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의 물리적 환경특성요인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구지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사람들이 도시 외부공간에서 느낄 수 있는 범죄두려움에 대해 고민하고, 이를 줄일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명확한 연구 질문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사람들이 느끼는 범죄두려움 정도는 외부 공간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가? 둘째, 다양한 형태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범죄두려움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러한 질문을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공간에서 나타나는 범죄두려움 정도, 특히 재개발로 인해 변화된 공간 형태에서 두려움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보다 안전한 도시 외부공간을 만들기 위한 설계요소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명동 가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가로특성별 범죄두려움 정도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범죄두려움 정도는 가로의 물리적 형태에 따라 모두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도시환경정비구역 내에서 재개발이 완료된 가로는 사업이 진행되지 않고 노후화된 상업가로에 비해 오히려 범죄두려움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로 폭이 좁고 건물 층수가 높아 D/H비가 클수록 두려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가로의 미관’, ‘운영 및 유지관리’, ‘입·평면적 형태’, ‘주변의 용도’, ‘가로의 가시성’ 공통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가로의 범죄두려움 정도에 따라 개별변인은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순위형 로짓모형 분석결과, ‘가로의 운영 및 유지관리 요인’이 범죄두려움이 높고 낮은 가로에서, ‘가로의 입·평면적 형태 요인’이 범죄두려움이 높은 가로에서, ‘주변의 용도’와 ‘가로의 가시성 요인’이 범죄두려움이 낮은 가로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세부 요인들의 영향력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이는 사람들이 느끼는 가로의 범죄두려움은 하나의 물리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보다는 도출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의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범죄두려움이 낮은 안전한 가로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가시성과 개방감 확보를 위한 가로의 형태적 요소 뿐 아니라, 가로의 운영 및 관리, 저층부의 용도에 대한 설계요소의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재개발로 인해 변화된 물리적 공간 형태가 범죄두려움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는 적절한 가로의 운영관리 및 용도 배치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가로의 물리적 환경 요소가 향후 정비사업의 개발유도지침에 강조될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도시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범죄두려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는 범죄로부터 안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한 연구로서 그 필요성 및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기존 선행연구에서 강조된 두려울만한 상황인가라는 점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과, 이전까지 범죄두려움에 관해 집중적으로 고민한 연구가 적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분석 방법적, 내용적 차별성이 있다. (본 논문은 구지연, 2011, “도시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시설계학회, 도시설계, 12권 5호의 연구내용을 보완, 발전시킨 것임을 밝혀둡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a fear of crime at the outdoor spaces and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design. First of all, organize the questions to make things clearly. First, does the differences of outdoor spaces design have an effect on fear of crime? Second, how is the matter of degree of fear of crimes that appear from structurally different places? The study identifies how people experience a fear of crime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spaces, especially areas that have been modified such as redevelopment areas, to determine ways to construct the city that will allow people to feel safer when they are outside. Data source is obtained from a survey of people on the streets of Myung-Dong that determines what factors can cause a fear of crime. First finding shows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i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s whether people feel a fear of crime. In addition, areas that have been modified by development can also create a fear of crime. Other factors are a higher D/H Ratio, narrow width of streets and high level buildings. Second finding shows that there is a common between the flat structures, visibility and the shape, and the use of the street which cause of fear of crime. Third finding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e Ordered Logit Model, shows that flat structures increase the fear of crime. In addition, the factors that decrease the fear of crime are the high use of the surrounding area and visibility and the shape and the use of the street as well as the maintenance can either increase or decrease the fear of crime. And also there is no degree differences between factors, which means people feel a fear of crime from complex factors not each. The following is the outcome of putting all the findings together. To build a street where people can feel safe, the shape and the use of street should be considered. Areas where modified by redevelopment could increase a fear of crime, but this could be also different by the proper maintenances and uses. this emphasizes the necessity of a guideline for further urban redevelopment plan. This study mainly aims to the necessity of findings the factors that can cause a fear of crime to build the street where people feel much safer than before. Especially, this study has differences with advanced study, because there were not many studies that mainly consider about a fear of crime.

      • 도심 상업가로경관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구지연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규모 상업시설로 인한 위압적인 도심 내 상업가로경관의 시각적 질을 향상시키고, 향후 상업가로 계획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신사동 가로수길의 경관 이미지 평가 및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신사동 가로수길은 현재 가장 활성화된 상업가로로서 오늘날의 문화를 주도하는 현 시대의 새로운 상권중심지이다. 따라서 신사동 가로수길에 대한 경관 이미지 평가와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는 것은 앞으로 조성되는 상업가로경관이 활발한 가로공간으로서 계획되기 위해 고려해야할 구성요소와 심리적 요인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상업가로가 도시의 활동 축으로서 도시민들에게 쾌적한 가로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본 연구의 필요성을 구명해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로수길 경관 이미지에 대한 응답자 특성에 따른 선호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나이, 전공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아 선호도 평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이용행태적 측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가로수길 방문경험 유무에 따른 선호도 차이에서 방문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방문경험이 없는 응답자보다 경관 평가에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는 방문경험이 있는 사람의 경우, 무의식적으로 신사동 가로수길을 경험했을 때에 받았던 느낌을 경관 선호도 평가 시 반영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즉, 경관 사진에 담지 못하는 가로수길 만의 고유한 분위기와 장소성이 경험자로 하여금 좀 더 좋은 평가를 이끌어 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가로수길 경관 이미지의 시각량 추출 값에 따른 선호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건축물’의 시각량이 많이 추출된 경관 이미지에서 대체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가로수길 만의 독특한 건축물 파사드나 전면 테라스, 상점들의 디스플레이가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가로수’ 시각량이 많은 경관 이미지의 경우 경관의 편안함과 조화로움의 심리적 인자를 이끌어 내며 건축물 다음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나무의 잎이 피지 않은 시기에 촬영된 경관 이미지로 인하여 예상보다 높은 평가는 받지 못하였다. 부족한 주차시설로 인한 ‘도로변 주정차’들의 시각량은 건축물과 가로수의 시각량이 함께 많음에도 불구하고 혼란스럽고 답답하며 개성이 없는 경관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가로수길 내의 부족한 주차시설로 인해 발생하는 도로변 이중주차나 불법주차가 상업가로 내에서 해결해야 하는 주요 과제임을 나타낸다. 경관 형용사 항목 선정 후 이루어진 경관 이미지 평가에 따른 요인분석 결과 신사동 가로수길의 가로경관을 함축하는 변수로 개성성, 정연성, 개방성 등 3개의 인자가 추출되었고 경관 선호도와의 회귀분석을 통해 3가지 인자요인 모두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어 개성성, 정연성, 개방성이 가로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향후 조성되는 상업가로는 위의 세 가지의 심리적 요인을 고려하여 각 각의 개성이 담긴 상업가로, 정돈된 상업가로, 시각적으로 답답하지 않고 개방된 상업가로 공간을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는 촬영된 경관 이미지를 통한 평가이므로 실제로 받아들여지는 경관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향 후 상업가로 계획 시 조경이나 건축, 도시계획 분야에만 제한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는 것에 한계가 있다. 때문에 공공디자인이나 행정자치, 지구단위계획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추가적인 상업가로경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추후에 이러한 분야들과의 협업을 통한 상업가로 조성 시 이를 위한 기초적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앞으로의 상업가로는 지역적 특색에 따른 자신 만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가로로서 조성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심·뇌혈관계 및 호흡기계 환자의 119구급 출동 분석

        구지연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As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progress, the number of emergent patients is increasing rapidly along with the occurrence of various accidents and due to aging of the population and dietary habits, diseases that require prompt managements such as cardio-cerebrovascular and respiratory diseases are also rapidly increasing. In addition, the high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which, the recently emerged serious social problem, raises concern about public health. Particulate matters may exacerbate the symptoms of cardio-cerebrovascular and respiratory diseases and the symptoms can vary widely. Since cardio-cerebrovascular and respiratory symptoms may imply emergent situation, proper managements is required as soon as possib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on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symptoms in the pre-hospital stag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responding ability of 119 emergency services in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PM10) and fine particulate matter(PM2.5) measured at 17 stations of Air Monitoring Networking i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from January 1, 2016 to December 31, 2018 and prehospital care reports of 46,389 among patients using 119 emergency services in Incheon, aged over 15 years who were classified as “disease” type and transferred to the hospital for complaints of cardiopulmonary arrest, cardiovascular, cerebrovascular and respiratory sympto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ver. 24.0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1) The mean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PM10) and fine particulate matter(PM2.5) between January 1, 2016 and December 31, 2018 were 44.68㎍/㎥ and 24.42㎍/㎥, respectively. When compared by year, the mean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were found to be highest in 2016 and lowest in 2018, but the maximum value of PM2.5 was found to be 142.56㎍/㎥ in 2018. When compared by season, the concentrations PM10 and PM2.5 were found be highest in spring, followed by winter, autumn and summer. 2) Of a total of 46,389 patients, 50.8%(23,568) were male, while 49.2%(22,819) were female.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0.318.8 years. 78.2%(36,262patients) of the patients were found to have specific medical history, of whom 32.6%(15,111patients) had hypertension, 28.5%(13,209patients) other disease, 19.1%(8,857patients) diabetes, 13.6%(6,305patients) heart disease and 8.1%(3,739patients) cerebrovascular disease. For the level of consciousness, 78.3%(36,303) were found to have Alert status(A), followed by 8.7%(4,058) of Unresponsiveness(U), 6.6%(3,049) of response to Pain(P) and 6.4%(2,979) of response with Verbal(V) stimulus and for the classifications of patients, 49.9%(23,167) patients were classified to be emergent, followed by 26.8%(12,431) to be less urgent, and 22.7%(10,517) to be potent emergency.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dical histor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s of PM10(=212.711, p=.000)·PM2.5(=102.668, p=.000), and 81.0%(166patients) of patients were found to be ‘with’ specific medical history at the concentration of PM10 being 'very bad' and 80.6%(7,168patients) at the concentration of PM2.5 being 'ba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nsciousness according the concentration of PM10(=38.818. p=.000), and patients with 'response to Pain'(P) were found to be highest, 10.2%(21patients), at the level of concentration of PM10 being 'very bad', while patients with ‘Unresponsiveness’(U) to be highest, 10.1%(335patients) at the level of concentration of PM10 being 'bad'.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diopulmonary arrest according to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in all time lags. For the concentrations on the day of symptom onset, the occurrence of cardiac arrest was shown to be 9.1%(300patients)(=24.491, p=.000, lag0) with PM10 'bad' and 9.0%(47patients)(=16.137, p=.001, lag0) with PM2.5 'very bad', which were highest for both case, while, for the occurrence of pulmonary arrest, 8.6%(284patients)(=25.021, p=.000, lag0) with PM10 'bad' and 8.7%(45patients)(=14.088, p=.003, lag0) with PM2.5 'very bad' being the highe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hest pain, palpitation, convulsion/seizure, dizziness, and sputum according to the PM10 concentration, while dyspnea, chest pain, convulsion/seizure, dizziness, cough and sputum according to PM2.5 concentrations, of which the most occurrence was found to be at particulate matter 'bad' and 'very bad'. 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concentrations of PM10 were found between all time lags in cardiopulmonary arrest,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symptoms and between the day of symptom onset in cerebrovascular symptoms, while for concentrations of PM2.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ardiopulmonary arrest, cardiovascular, cerebrovascular, and respiratory symptoms. For the concentrations on the day of symptom onset, the occurrence of cardiopulmonary arrest was shown to be 9.1%(302patients)(=25.548, p=.000, lag0) with PM10 'bad' and 9.0%(47patients)(=16.829, p=.001, lag0) with PM2.5 'very bad', which were highest for both case. 6) The emergency dispatch for cardiopulmonary arrest patient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s of PM10 and PM2.5. The probability of 119 emergency dispatch for patients with cardiopulmonary arrest increased 2.8∼4.0% from the day of symptom onset to 2 days before as the PM10 concentration increased by 10㎍/㎥(OR=1.028; 95% CI=1.014∼1.041, p=.000, lag0), (OR=1.040; 95% CI=1.024∼1.056, p=.000, lag1), (OR=1.032; 95% CI=1.016∼1.049, p=.000, lag2), while 3.6∼6.1% as the PM2.5 concentration increased by 10㎍/㎥(OR=1.046; 95% CI=1.024∼1.068, p=.000, lag0), (OR=1.061; 95% CI=1.035∼1.088, p=.000, lag1), (OR=1.036; 95% CI=1.010∼1.063, p=.006, lag2). Conclusi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nd respiratory disease patients over 60 can be considered to be vulnerable to particulate matt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occurrence of cardiopulmonary arrest, cardiovascular, cerebrovascular, and respiratory symptom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and fine particulate matter and it is shown that particulate matter and fine particulate matter affect some of cardio-cerebrovascular and respiratory symptoms. 119 emergency dispatchs for cardiopulmonary arrest were also shown to be increased with increase in particulate matter and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Therefore, it could be suggested that educat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risks of high-risk patients vulnerable to particulate matter that may deteriorate their health in spring and winter season, when the severity of particulate matter gets worse, to the public and th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s necessary.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should be able to make rapid and accurate patient evaluation and provide professional first aid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ulnerable groups. In addition, for prevention of the occurrence and exacerbation of symptoms caused by particulate matter, it is necessary to be equipped with the preparation and response system for high particulate matter in EMS system.

      • 전통복식유물의 전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전통복식관련 박물관을 중심으로

        구지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Costume is the most visual cultural relics during a period. Since nowdays researches about relics and museums were mostly historical, ethnic, architectural, law and so on, but of costume, most of the study is about preservation or excavated relics and the costume that the museum takes care of. And no such study of museolo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look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and study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costumes to the museum. Second, study the changes of educational paradigm in a point of traditional costume education. Third, analyze the traditional costume relics exhibition and its educational program through questionnaires. Forth, offer the method of traditional costume relics exhibition and its educational program, and form a basic reference that can be applied. Fifth, recognize the traditional costume to the children and teenagers through a practical exhibition and educational method and make them understand the traditional costume culture and the potential field. The rang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rist the costume relics are from the time of the Three Kingdoms to modernization period, and the item are selected upon the data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hich are gwanmo, clothes, dae`gu, shoes, ornaments and gwan`bokham. Second, among 111 of museums in Seoul the selected ones are the National Museum of Seoul, Seoul Museum of History, Museum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ird, as for analyzing the practical education situation, kindergart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the compensat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we are living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educational paradigm is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econd, traditional costume is a way of expressing a special culture and transfer it to other cultures as well. Thir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of the traditional costume relics and practical educational method is as follows. 1. Was done computerization classifica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ith bases, but a case to all apply a classification item after a criminal record revision revised 2003 looked in case of relics classifications. The belonged case was found to the classification that was not suitable too at all. It is phenomenon there is a little very the specific gravity that a compound specialist occupies during curator total a museum, and they shall deal with an exhibition, a process all from computerization works of compound relics, and this burns, and being delivered, and can do. 2. Is displaying the classic style of dress, and On/humidity of an exhibition hall was mostly appropriate, and it is high in the inspection early days, and is looking in case of interest duties. This is thought to things by a uniform exhibition way and distracted exhibition ways. 3. Is displaying, as classify, by use by the times in case of classic style of dress relics exhibition hall configuration. Mostly classic style of dress relics exhibition hall be able to watch while moving along the copper wires which are entire of a museum. 4. Use most terminology an explanation auxiliary exhibition water consists to introduction panel, division panel, exhibition water label etc., and to rise, and is describing. Also, a sentence is too long, or there are a lot of short cases, and it is the misgovernment that it cannot play of auxiliary data. 5. Was looking, and was groping for improvement plan for effective illumination directions, and case of the folklore museum where was putting as it is on still historic illumination appeared about illuminations in each museums. 6. As was designed together from establishment steps of a museum in case of showcases, a museum was made is applying technology, and look at that time. Also, various showcases such as fixture and independent older brother be used according to exhibition spread decorations, and a uniform showcase can mostly take. 7. Classic style of dress relics exhibition way was displaying with the state that put on fixture except most accessories, and accessories etc. was displaying used other showcase. In addition to the forms that compound relics displaying write down, and wearing was finished was applying an exhibition technique various the back whom would stretch on planes. 8. The replacement times of classic style of dress relics and a method are performed according to inner policy decision. 9. expert is very a little actual condition regarding the classic style of dress during museum curator. A few expert installed with relics computer work, exhibition planning, and this preserved, and was grasped so that manpower and time were short for educating. 10. Study object museum was looking to educational utilization of classic style of dress relics, and was taking connected utilization with a school into consideration very much, and it was exposed. However, it can indicate to short sections that cannot be continuous. Forth, Is as follows if presents the fourth, exhibitions of classic style of dress relics and an educational utilization plan. 1. You shall try to take integration with subject to be different in the social cultural regarding the style of dress in order to raise understanding into consideration in school education. You shall teach so as to be able to watch together enemy background, the mode side etc. in too compound subject the times of the formal sides (a kind, materials, an expression way etc.) and the work of the compound bosom in history. 2. You shall do so as to have an opportunity to be able to see each real thing between modern dress of the same age which was the bosom compound of the different country that was the style of dress bosom classic of us through exhibition tubes compound of a museum in education out a school. You can grow an eye you understand the situation that you find the real value of the each compound bosom, and is binding the work, and to be able to see the critically compound bosom through this. However, the important real thing example education that it is salted, and included education and a strict interchange shall be accompanied at this time between the person in charge and teachers educational a museum abundant in knowledges regarding a museum. 3. This all a life of student and compound education for connected life shall work. 4. Infuse the classic style of dress to order educational to the national which originated from the beginning. A high school student through contemporary history guild culture and exhibitions and educational utilization plans to be exposed to, and to realize again importance of culture sense cultures regarding thing and relics and potential power shall contribute. 복식은 그 시대를 가장 가시적으로 그 시대를 조명해주는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유물 및 박물관에 대한 연구는 사학, 민속학, 건축학, 법학 부분에서는 비교적 다양한 주제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복식학 분야에서는 유물 보존 및 출토 복식에 대한 연구와 해외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한국 전통복식유물에 관한 연구 등이 전부이며, 전통복식유물의 실물을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박물관과 관련한 연구는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의 특징을 살피고 그 속에서 전통복식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다문화사회에서의 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전통복식교육 관점에서 고찰한다. 셋째, 서울 소재 전통복식관련 박물관을 중심으로 연구문제에 따른 전통복식유물의 전시 및 교육적 활용현황과 관람객의 설문조사를 통한 전통복식유물의 전시 및 교육적 활용현황을 분석한다. 넷째, 위의 분석을 바탕으로 전통복식유물의 전시 및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여, 전통복식유물 관련 연구, 전시 및 교육적 활용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다섯째, 현대사회문화에 맞는 전시 및 교육적 활용방안을 통해 초·중·고등학생을 비롯한 국민들에게 전통복식을 인식시키고 교육시킴으로써 우리 것에 대한 문화감각 배양 및 유물의 중요성과 잠재력을 재인식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식유물의 시대 범위는 삼국시대부터 개화기까지이며, 복식유물의 범주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산화 분류기준인 대분류 항목으로 한정하여 관모, 의류, 대·구, 신발, 장신구, 관·복함을 포함하였다. 둘째, 조사대상 박물관은 서울시에 소재한 총 111개의 박물관 중 국립중앙박물관의 대분류 항목에 해당하는 전통복식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상설 전시하고 있는 박물관으로 제한하였다. 그 박물관들을 국립, 공립, 사립, 대학 박물관으로 분류하여 각 각의 항목별로 전통복식유물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국립민속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숙명여대박물관으로 연구의 범위를 제한하였다. 셋째, 전통복식유물의 교육적 활용의 현황 분석 기준은 교육대상이 초·중·고등학생인 경우로 제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는 다문화사회로 문화의 혼성이 난무하는 시대라고 대변될 수 있으며, 과학기술의 혁명적 발전에 힘입어 교육적 패러다임이 문화와 지식의 발전적 상호작용, 미래·창조적이며 개방적인 체제, 평생학습의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둘째, 전통복식은 특정문화를 나타내는 수단임과 동시에, 특정문화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문화와 전통복식의 통합적인 연결을 강조하게 한다. 셋째, 7개의 분야로 설정한 연구문제에 따른 전통복식유물의 전시 및 교육적 활용현황과 관람객의 설문조사를 통한 결과는 1. 유물 분류의 경우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산화 분류를 기준으로 행해지고 있으나, 2003년 개정 전과 개정 후의 분류항목을 모두 적용시키는 경우가 보였다. 또한 전혀 합당하지 않은 분류에 속해있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이는 박물관 전체 학예사 중 복식전문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적어 이들이 복식유물의 전산화 작업부터 전시, 교육, 보존의 모든 과정을 처리해야 하는데서 오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2. 전통복식을 전시하고 있는 전시장의 온·습도는 대부분 적당했으며, 흥미도의 경우, 관람초기에는 높다가,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획일적인 전시방법과 산만한 전시방법으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3. 전통복식유물 전시장 구성의 경우 시대별, 용도별로 구분하여 전시하고 있다. 대부분 전통복식유물 전시장 형태는 박물관의 전체적인 동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관람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4. 전시물 보조 설명문은 도입 패널, 구획 패널, 전시물 라벨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대부분 전문용어를 사용하여 기술하고 있다. 또한 글이 너무 길거나 짧은 경우가 많아 보조 자료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5. 각 박물관에서 조명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었으며, 아직 과거의 조명을 그대로 쓰고 있는 민속박물관의 경우도 효과적인 조명연출을 위해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진열장의 경우 박물관의 설립단계에서부터 함께 설계되어지기 때문에 박물관이 설립된 당시의 기술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시 전개 장식에 따라 벽부형과 독립형 등 다양한 진열장이 사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획일적인 진열장이 대부분이었음을 알 수 있다. 7. 전통복식유물 전시 방법은 대부분 장신구를 제외한 복식일습을 착용한 상태로 전시하고 있었으며, 장신구 등은 다른 진열장을 사용하여 전시하고 있었다. 전시하고 있는 복식 유물이 적을수록 착장이 완성된 형태뿐만 아니라, 평면상에 펼쳐 놓는 등 다양한 전시기법을 적용시키고 있었다. 8. 전통복식유물의 교체 시기와 방식은 내부의 정책적 결정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다. 9. 박물관 학예사 중 전통복식 관련 전공자는 매우 적은 실정이다. 이는 소수의 전공자가 유물 전산작업, 전시기획 및 설치, 보존, 교육의 모든 부분을 담당하게 되어 좀 더 심도 있는 연구 및 전시, 교육을 하기에는 인력과 시간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10. 연구 대상 박물관은 전통복식유물의 교육적 활용에 관심을 보이고 있었으며, 학교와의 연계한 활용을 많이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학교와의 연계가 지속적이지 못하고 일회성으로 끝나는 점이 부족한 부분으로 지적할 수 있다. 넷째, 전통복식유물의 전시 및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학교교육에서는 복식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른 교과와의 통합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특히, 특정 복식유물을 이해시킬 때, 사회과의 역사내용 및 나른 나라의 문화관련 내용과 연계하여 통합수업을 한다면, 두 교과 모두에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복식교과 내에서도 복식품의 형식적 측면(종류, 재료, 표현방법 등)과 함께 그 작품의 시대․사상적 배경, 양식적 측면 등을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2. 학교 밖 교육에서는 박물관의 복식전시관을 통해 우리의 전통복식품이던, 다른 나라의 복식품이던, 동시대의 현대복식품이던 간에 각각의 실물을 볼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해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각 복식품의 진가를 발견하고 그 작품을 둘러싸고 있는 배경적 상황을 이해하며, 비판적으로 복식품을 볼 수 있는 눈을 길러 줄 수 있어야 한다. 단, 이때 중요한 점은 사전․사후 교육을 포함한 실물보기 교육이 되어야 하고, 박물관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박물관 교육 담당자와 교사 간에 긴밀한 교류가 동반되어야 한다. 3. 이 모두는 학습자의 생활과 연계된 삶을 위한 복식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는 전통복식을 학습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현재 자신의 삶과의 연결 속에서 이해하고, 다른 나라의 복식을 학습함에 있어서는 우리의 전통복식과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찾아 볼 수 있도록 하며, 동시대의 시각문화를 학습함에 있어서는 현재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함께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현대사회문화와 맞는 전시 및 교육적 활용방안을 통해 초·중·고등학생을 비롯한 국민들에게 전통복식을 인식시키고 교육시킴으로써 우리 것에 대한 문화감각 배양 및 유물의 중요성과 잠재력을 재인식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중·고등학생의 시간 활용 집단 분류 및 특성 연구

        구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dividuals choose their activities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engage in them, based on not only their lifestyle, growth experiences, and values, but also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culture of the society to which they belong. Adolescence is a period during which individuals explore their identity, social roles, relationships, social norms, and institutions.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emphasis on self-management skills, student agency, and mental well-being, there is a growing need to focus on time utilization by adolescents. Further, challenges such as diminishing academic achiev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widening educational disparities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indicate that educational gaps may manifest in both learning and leisure time. Thus, it is imperative to identify latent group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study and leisure time and discern policy interventions through a person-centered approach that accommodates individual differences. Previous studies on latent profile analysis have limitations, such as focusing on specific groups of subjects, analyzing only leisure time, and incorporating numerous indicator variables, leading to complex or less rigorous interpretations. In particular, there is a scarcity of research that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patterns of utilization of latent profile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identifies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this study poses four research questions. First, how are latent profiles categorized according to adolescents' study and leisure time?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nt profiles? Third, what coefficients influence the categorization of latent profiles? Fourth, how do the characteristics of latent profiles and factor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iffer?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fourth year of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which comprehensively assesses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including use of time. I used fourth-grade (Middle School-1st grade) and first-year middle school panel data (High School-1st grade). Different patterns are observed for study and leisure time depending on school level and age, suggesting significant potential differences among the latent group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latent profil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irst-year middle school and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most recent data available. The final analysis included 2,267 middle school and 2,251 high school students, after excluding missing data. The research methodology is as follows. First, a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Mplus 7.3,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number of latent profiles. Second, groups were named on the basis of the average study and leisure tim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nt groups; thereafter, a chi-square 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using SPS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ir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using R3STEP in Mplus to identify the coefficient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groups.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compared. First, the latent profi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named “passive activity group,”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passive learning group,” and “active activity group.” The latent profiles of high school first-year students were categorized as “passive activity group,”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active activity group,” and “study-focused group.” In middle school, the passive activity group was at the top (42.6%), followed by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32.6), the passive learning group (15.3), and the active activity group (7.5). The proportion of passive activity groups in high school was higher than that in middle school(59.4%), followed by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16.1), the active activity group (13.4), and the study-focused group (11.1). Seco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showed that the mean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of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while those of the passive activity, passive learning, and active activity groups were reasonable, and that of the study focus group was the most positive. Therefore, in middle and high school, passive activity groups could not be considered negative. The passive-learning group displayed high academic achievement, self-esteem, grit, time spent with parents, and positive teacher relationships. Similarly, the active group exhibited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grit. The study-focused group emerged as the most positive group, displaying high academic achievement, commitment, happiness, self-esteem, attention, grit, friendships, and teacher relationships. Third, in middle school, the factors influencing latent classification were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helplessness, attention, self-esteem,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grit,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economic level, parental education, time spent with parents, and school location. In high school,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cademic enthusiasm, academic helplessness, aggression,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grit, autonomy support, household income, parental education, time spent with parents, and teacher relationships contributed to the classification. Common factors across both school levels included gender,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helplessness,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grit,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parental education, time spent with parents, and school location. In middle school, grit, parental education, and school location were common factors that increased the odds of moving from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to the better group. In high school, grit and parental education were common factors that increased the likelihood of moving from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to better groups. In addition, grit and academic commitment emerged as strong individual factors that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ing in all other groups, respectively, in middle and high school. Fourth, in high school, boy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while girl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passive activity group. With regard to school location, the proportion of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was higher in regional areas than in large cities. Passive activities were more prevalent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s,in large cities. However, in middle school, the proportion of passive learning and active activity groups was greater in large cities, whereas in high school, active activity and study-focused groups were relatively more prevalent in rural areas. Therefore, first,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for students falling behind in middle school are imperative. While it is encouraging that the proportion of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diminishes in high school compared with middle school, there is a notable increase in recreational leisure time and a decrease in study time during high school. Furthermore, the study time of students in the study group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in high school, suggesting a heightened academic gap during this period. Hence, early intervention during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is crucial.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tudents with characteristics that align with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s, and implement academic achievement programs, including ongoing counseling for enhanced academic enthusiasm, attention, and grit. Additionally, programs to improve the relationships of such students with their parents, and to support teachers in paying more attention to them are required. Second, the study time of adolescents should be secured.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focused and passive learning groups were positive.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suggesting that studying can positively affect mental health, happiness, and self-esteem if students manage their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fterschool institutions, study spaces, and programs to increase student concentration and academic enthusiasm. Additionally, counseling to prevent excessive use of digital devices may help students focus on their studies.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ort socially disadvantaged groups. Parental socioeconomic background significantly impacts both, the recreational and study-focused groups. High parental education was a common factor that increased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a group other than the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are more likely to be immersed in recreational leisure because they cannot access diverse leisure activities. Therefore, youth leisure policies that provide opportunities for low-income groups to enjoy leisure activities are necessary. On the other hand, increasing grit in middle school and academic enthusiasm in high school may be an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through individual factors. Fourth,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customized learning and leisure policies according to school level, gender, and location. In terms of gender, it is important to implement policies that prevent female students from becoming lethargic in both, learning and leisure as they progress through school. For male students, policies should help manage their time so that they do not become excessively immersed in recreational leisure as compared to learning, as they advance through school. Additionally, policies are needed to enhance learning and promote both, study and healthy leisure time, for recreational leisure-focused groups in rural areas, and for passive activity groups in urban areas. 인간은 동일한 시간의 흐름 아래 생활하지만, 시간을 활용하는 모습은 모두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청소년이 생활시간을 어떻게 배분하고 활용하는지는 향후 청소년의 신체적·정신적 발달, 삶의 모습 등에 중대한 영향을 준다. 오늘날 자기관리 역량, 학습자 주도성, 정신적 웰빙이 강조되며 청소년의 시간 활용에 주목할 필요가 커지고 있다. 아울러 학생들의 기초학력 저하, 코로나19 이후의 교육격차 심화는 학업포기 현상이 학습시간과 여가시간의 양적 분석을 통해서도 나타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개인차를 반영한 사람 중심적 접근을 통해 학습시간과 여가시간에 따른 잠재집단을 발견하고 정책적 개입 방법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기존 선행연구들은 연구대상이 일부 집단에 한정되었거나, 여가시간만을 분석했거나, 많은 지표변수를 투입하여 집단 규명 및 해석이 엄밀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특히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잠재프로파일 활용 양상을 모두 분석하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힌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학습·여가시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둘째, 중·고등학생의 학습·여가시간에 따라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은 어떤 특성을 가지는가? 셋째, 중·고등학생의 학습·여가시간에 따라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중·고등학생의 학습·여가시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의 특성과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4차년도 데이터(중1)와 중학교 1학년 패널의 4차년도 데이터(고1)를 활용하였다. 최종 분석에 사용된 연구대상은 결측치를 제외한 중학교 1학년 학생 2,267명,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251명이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Mplus 7.3을 통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최적의 잠재프로파일 개수를 결정하였다. 둘째, 각 잠재집단별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시간과 여가시간의 평균을 통해 집단을 명명하고,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를 통해 카이제곱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Mplus의 R3STEP을 통해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지수, 분류의 질, 분류율, 해석 가능성을 종합한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학생들의 잠재집단 수를 4개로 결정하였다. 중학교 1학년의 잠재프로파일은 유희적 활동집단(유희집단), 소극적 활동집단(소극집단), 타율적 학습집단(타율집단), 적극적 활동집단(적극집단)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1학년의 잠재프로파일은 소극적 활동집단(소극집단), 유희적 활동집단(유희집단), 적극적 활동집단(적극집단), 학습몰입집단(학습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중학교에서는 소극집단이 42.6%로 가장 높았고 유희집단(34.6%), 타율집단(15.3%), 적극집단(7.5%) 순이었다. 고등학교에서는 소극집단의 비율이 59.4%로 중학교보다 높았으며, 유희집단(16.1%), 적극집단(13.4%), 학습집단(11.1%)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차이 분석 결과, 유희집단의 개인, 가정, 학교 요인별 평균이 유의하게 낮은 편이었으며, 소극집단, 타율집단, 적극집단의 개인, 가정, 학교별 평균은 양호하였고, 학습집단이 가장 긍정적으로 드러났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모두 소극집단은 학습 및 여가에 특징적인 투자가 없을 뿐 부정적인 집단으로 간주할 수 없었다. 타율집단은 높은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 그릿, 부모와의 대화시간, 교사와의 관계를 보였다. 적극집단 또한 학업성취도, 학업열의 등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집단은 높은 학업성취도, 학업열의, 행복감, 자아존중감, 주의집중, 그릿, 따스하고 자율성을 지지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가구소득, 경제수준, 부모학력, 친구관계, 교사관계 및 낮은 공격성과 학업성취만족도를 보여 가장 긍정적인 집단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셋째, 중학교에서 잠재집단 분류의 영향요인은 유희집단을 기준으로 ‘성별, 학업성취도, 학업무기력, 주의집중, 자아존중감, 공격성, 사회적 위축, 그릿, 월평균 가구소득, 경제수준, 부모학력, 부모와의 대화시간, 학교소재지’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고등학교에서의 영향요인은 유희집단을 기준으로 ‘성별, 학업성취도, 학업성취만족도, 학업열의, 학업무기력, 공격성, 우울, 사회적 위축, 그릿, 자율성지지, 가구소득, 부모학력, 부모와의 대화시간, 교사관계’가 유의하게 측정되었다.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는 ‘성별, 학업성취도, 학업무기력, 공격성, 사회적 위축, 그릿, 월평균 가구소득, 부모학력, 부모와의 대화시간, 학교소재지’가 있었다. 중학교에서 유희집단으로부터 ‘소극, 적극, 타율학습 집단’이 될 확률을 높이는 공통적인 요인은 ‘그릿, 부모학력, 학교소재지’로 나타났다. 고등학교에서 유희집단으로부터 ‘소극, 적극, 학습몰입 집단’으로의 가능성을 높이는 공통적인 요인은 ‘학업열의와 부모학력’이었다. 유희집단을 기준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에서 발견된 영향요인은 ‘부모학력’으로 드러났다. 한편, 개인요인 중에서는 중학교에서는 그릿이, 고등학교에서는 학업열의가 유희집단을 기준으로 다른 세 집단일 확률을 높이는 요인이었다. 넷째, 고등학교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희집단에 많이 분포하고,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소극적 활동집단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희집단의 비율은 읍·면지역에서 대도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극적 활동집단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모두 대도시에 더 높은 비율로 분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중학교에서는 타율집단과 적극집단이 대도시에 더 큰 비율로 존재한다고 나타났고, 고등학교에서는 적극집단과 학습집단이 읍·면지역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비율로 분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희집단을 중학교부터 발견하고 조기에 개입할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에서 중학교보다 유희집단의 비율이 작았던 점은 긍정적이지만, 고등학교 유희집단의 유희적 여가시간은 중학교보다 증가하고 학습시간은 더 감소하였다. 또한, 학습집단의 학습시간은 고등학교에서 더 상승하였다. 이는 고등학교에서 학습시간은 중학교보다 더 작고, 유희적 여가시간은 더 길어지는 양극화와 학업포기 현상이 고등학교에서 더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중학교에서 유희집단의 특징을 보이는 학생들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학업성취도 자율평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업성취도 증진 프로그램, 학업열의·주의집중·그릿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부모·친구관계 개선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소년이 학습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학습시간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타율집단과 학습집단의 특징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학습을 잘 관리할 수 있다면 청소년이 학생의 본분인 학업에 열중하는 것이 정신건강, 행복감,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학교는 기초학력지도강사(튜터링) 지원, 학습도약 계절학기, 키다리샘(서울) 등 정부와 시·도교육청이 제공하는 학습지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을 조력해야 한다. 성적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 외에도 학습에 대한 흥미, 집중력, 학업열의 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과 모바일 기기 중독 관련 상담 및 치료 등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도 요구된다. 셋째, 유희집단과 학업집단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정책이 요구된다. 부모의 높은 학력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모두에서 유희집단이 아닌 다른 세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었다. 이는 다양한 여가문화를 누릴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되지 않는 청소년들은 상대적으로 접근이 쉬운 유희적인 여가활동에 몰두할 가능성이 크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한다. 사회취약계층 학생의 여가 및 학습 통합지원을 위해 지역별 교육복지안전망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교육복지 사업과 안전망 구축 예산의 확대, 교육복지사의 증원, 교사-교육복지사-학교-시도교육청-지역사회의 연계 강화 등이 필요하다. 그 밖에도 취약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멘토링 프로그램, 디지털 학습 기기 지원, 긴급 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내실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급별, 성별, 학교소재지별로 맞춤형 학습 및 여가정책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성별의 경우, 여학생은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습과 여가 모두에 무기력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남학생의 경우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학습보다 여가에 지나치게 몰두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정책의 시행이 중요하다. 또한 지방의 유희집단과 도시의 소극집단의 학습시간과 건전한 여가시간을 증진하기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농어촌 우리동네 예술학교’, ‘늘봄학교’ 등을 확대하고 지역사회의 문화·예술·체육 전문기관 및 전문 인력과 학교와의 연계 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 밖에도 지방의 학습지원을 위한 온라인 학습지원 프로그램 등의 개선 및 확대도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습 및 여가시간의 잠재집단을 비교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학생의 학습 및 여가시간을 통해 드러나지 않았던 잠재집단을 규명하여 중·고등학생의 시간 활용에 대한 이해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학습과 여가시간의 양극화, 학습집단의 긍정적인 특징,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습 및 여가시간 활용에 미치는 강한 영향, 성별과 지역에 따른 시간활용 양상 차이 등을 확인하고 맞춤형 지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디지털 휴먼(Digital Human)의 특성 및 경험이 체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구지연 전남대학교%0A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혼합현실 서비스 및 콘텐츠 시장이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휴먼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휴먼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가상 인플루언서 위주이며, 디지털 휴먼 이용에 관하여 특성 및 경험에 따른 만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휴먼의 특성과 경험이 기억과 몰입 디지털 휴먼의 특성으로써의 의인화, 판타지, 화제성, 참신성과 경험 측정으로써의 오락체험, 교육체험, 일탈체험, 심미체험이 기억 및 몰입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체험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휴먼의 특성과 이용동기가 체험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디지털 휴먼에 대한 기억과 몰입 경험이 디지털휴먼의 특성, 이용자 체험과 체험 만족 사이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첫째, 디지털 휴먼의 특성인 의인화, 참신성이 기억과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만, 판타지와 화제성은 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용자에게는 관련 콘텐츠의 직접적인 체험이 더 중요하다고 추정된다. 둘째, 경험 중 일탈체험, 심미체험, 교육체험은 기억과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오락체험은 기억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몰입에서는 기각되었다. 이용자들에게는 디지털 휴먼을 이용한 게임, 방송이 오락적인 경험으로 다가오지 않아 기억의 정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억과 몰입은 체험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체험과 기억 간의 영향 관계를 통해 교육 분야에서 디지털 휴먼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디지털 휴먼의 특징 중 의인화가 기업과 몰입의 정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의인화 특징을 살린 디지털 휴먼을 이용하여 독거노인, 한 가구 가정의 외로움 등을 해소시킬 수 있는 사회적 문제 해결 방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led to the activation of the mixed reality service and content market. As a result, digital humans are being utilized in various fields. However, research related to digital humans has mainly focused on virtual influencers,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experiential experiences of digital human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and experiential experiences of digital humans, such as anthropomorphism, fantasy, topicality, novelty, and experiential measurement in terms of entertainment, educational, escapism, and aesthetic experiences, influence memory and immersion experien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xperiential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focus is on understanding how the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s of digital human use affect experiential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memory and immersion experi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humans and user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humans, such as anthropomorphism and novelty, significantly influenced memory and immersion. However, fantasy and topicality did not affect immersion, indicating that direct experiential content is more important to users. Second, experiential experiences such as escapism, aesthetic experience, and educational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emory and immersion, while entertainment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ly on memory but was rejected in terms of immersion. Users found that digital humans used in games and broadcast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degree of immersion. Finally, memory and immers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xperiential satisfac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rough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xperience and memory, digital humans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educati on. Secondly, it was found that anthropomorphism,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humans, positively influences the degree of immersion and memory. Therefore, using digital humans that emphasize anthropomorphic features can positively impact social problem-solving solutions for issues such as loneliness in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or in single-family ho useholds.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미술교육 운영실태와 교사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구지연 군산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직 자신의 생각을 말이나 글로 표현하는데 익숙하지 않은 유아들에게 이루어지는 미술교육은 신체, 언어, 인지, 정서 발달이 급속히 이루어지는 중요한 유아시기에 발달을 원만하게 이끌어 줄 수 있는 가장 적절한 활동이다. 이처럼 유아미술교육이 갖는 중요성을 비추어 볼 때,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지도 교사와 자유로운 미술활동을 할 수 있는 원만한 분위기 조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미술교육은 모든 유아를 대상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 가장 잘 실시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미술활동의 전반적인 운영 실태와 교사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미술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원장 및 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신정숙(2006), 김혜진(2009), 백선예(2009), 경민성(2013)의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지도교수의 도움을 받아 수정, 보완하였다. 본 조사에서 수집 된 자료는 데이터 코딩을 거쳐 SPSS WIN 21.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미술교육을 위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교육환경조성을 위한 각종 시설, 교수매체 등의 물리적 시설 구비가 필요하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미술교육을 실시를 위해 교사들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하고, 활동 중심적인 미술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유아 미술교육 측면에서 교사 역할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아미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과 지도방법에 대하여 충분한 교육을 이수한 후 유아교육에 임할 수 있도록 유아 미술 교육 관련 학과 개설이 필요하다. 또한 현직 교사들을 위한 유아발달단계 등에 대한 연수프로그램 운영 및 재교육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많은 정보를 제공 받는 교사들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유아미술교육 전문 사이트를 만들 필요가 있다. 또한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고, 일상생활 경험과 유아교육과정의 통합을 실현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제공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art activity for the infants who are not accustomed to express their thoughts by words or letters is suitable activity that leads easily their important growth for body, conscious and emotion. Viewed in the importance of art activity of the infant, it is very important to form the kindergarten teacher well qualified for art activity and make easygoing atmosphere. This art activity could be enacted for all infants and be taken effect in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It is purposed to the come up with an effective plan by find the operation condition and teacher’s conscious in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It is aimed at the 198 directors of kindergarten and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And It is modified and supplemented adequately for the study’s purpose with my advisor in reference to precedent study of Shin Jung-suk(2006), Kim Hye-jin(2009), Baek Sun-ye(2009) and Kyung Min-sung(2013). The data of this study is analyzed going through data coding by utilizing the SPSS WIN 21.0. Summerizing results of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It needs to collect variable materials for art education and be equipped with physical facilities like all sorts of equipment and instructional media. And second, For the art education in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it needs to develop art program needed in quality for infant teacher and focused on activity. Next, we should appreciate the role of infant teachers from the art eduation point. In this sense, It needs department major concerned with infant art education that makes infant teachers engage in infant education after complete enough course about desirable direction and teaching method. And training program and retraining about infant growth stage must be enacted for the incumbent teachers. Finally, It needs to establish various kind of special site of infant art education for teachers who are provided with a lot of informations by internet. And it should be carried on an study for a way of offering that arouses infant’s interest and realizes combination of experiencing everyday life and taking infant education course.

      • 여자프로농구선수들의 영양 보조물 섭취 실태와 도핑의식 분석

        구지연 용인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r analyzing the taking type in the Nutritional Ergogenic Aids and an awareness of the doping on the women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examined whether or not it was taken, how they take, which purpose and which motive and investigated an awareness of the doping and analyzed focused on whole 95 of the women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for every position on the active list except for imports, who belong to 6 teams that participated in 2011-2012 WKBL(Women's Korean Basketball League) in the winter. This study derived the result as follows: First, The taking frequency in the Nutritional Ergogenic Aids for every position on the women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was the highest for a shooting guard (93.3%), on the other hand, was the lowest as the mean, 60.6% for the center and point guard. Second, In the taking type during the training and the season for every position on them, the taking rate in vitamins was the highest for all position, the taking rate in a sports gel during the season was increased more than during the training. Third In the taking motive in the Nutritional Ergogenic Aids for every position on th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every position, in general, it was the highest that they are taken in it by their family’s or friend’s suggestion. Fourth, The purpose for taking in the Nutritional Ergogenic Aids for every position on th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every position; in general, it showed that they are taking in it the highest for overcoming fatigue, for improving a function and for supplementing energy. Fifth, In an awareness of the doping on them, regardless of a position, the rate of the player who isn’t educated in doping was very higher than the player who is educated in the doping test. Sixth, The acquisition route of knowledge for every position on them, the professional education was the highest for a point guard, a power forward and a center, on the other hand, a team member for a shooting guard, the magazine and the specialty publication was the highest for a small forward. The players take in the Nutritional Ergogenic Aids, training for maximizing the improv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However, if they are not taken in the Nutritional Ergogenic Aids by a precision prescription depending on their nature and items, it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being exposed to the doping that they didn’t intend. A leader and the families including a player have to make an effort continually for the right nutrition of a player and a diet and the improvement of an awareness of the doping 본 연구는 여자프로농구선수들의 영양보조물 섭취실태와 도핑의식 분석을 위해 2011-2012 WKBL(Women's Korean Basketball League) 여자프로농구 겨울리그에 참여했던 모든 프로 팀 6개 팀에 소속된 외국인 선수를 제외한 현역 여자프로농구선수들 전체 인원 95명을 대상으로 포지션별 섭취 빈도, 섭취 형태, 섭취 목적, 섭취 동기와 도핑의식을 조사·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여자프로농구선수들의 포지션별 영양보조물 섭취 빈도는 슈팅가드(93.3%)가 가장 높았고, 센터와 포인트가드가 평균 60.6%로 가장 낮았다. 2. 여자프로농구선수들의 포지션별 훈련기, 시즌기 섭취 형태에서는 모든 포지션에서 비타민 섭취 비율이 가장 높았고, 시즌기 스포츠젤 섭취 비율이 훈련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여자프로농구선수들의 포지션별 영양 보조물 섭취 동기에서는 포지션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전체적으로 가족·친구의 권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여자프로농구선수들의 포지션별 영양 보조물 섭취 목적으로는 포지션별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전체적으로 피로회복 기능향상, 에너지보충 목적을 위해 가장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여자프로농구선수들의 포지션별 도핑의식은 포지션에 상관없이 도핑교육을 받지 않은 선수들의 비율이 도핑교육을 받은 선수들 보다 매우 높았다. 6. 여자프로농구선수들의 포지션별 지식습득경로는 포인트가드, 파워포워드, 센터는 전문적인 교육이 가장 높았고 슈팅가드는 팀동료, 스몰포워드는 잡지·전문서적이 가장 높았다.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극대화하기 위해 선수들은 훈련과 동시에 영양보조물을 섭취한다. 하지만 운동선수들이 특성과 종목에 맞는 정확한 처방에 의해 영양보조물 섭취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운동수행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고 의도하지 않게 도핑에 노출될 수 있다. 선수들의 건강 및 운동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선수는 물론 지도자와 가족들은 선수들의 올바른 영양섭취와 식이요법, 도핑의식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