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대학창업교육의 평가 모형 탐색

        구자억(Gu, Ja Oek),김숙이(Kim, Sook Yi),김한나(Kim, Han Na)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대학 창업교육 평가모형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향후 대학 창업교육 프로그램, 학습자의 역량, 지원 체제 등의 전반적인 운영과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법 및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국내·외 대학 창업교육 평가 관련 문헌 및 논문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홀리스틱적 관점에서의 창업교육평가의 개념, 창업교육의 역량, 대학 창업교육 평가의 대상 및 절차, 구성요소를 탐색하였다. 또한, 대학 창업교육 평가 지표를 개발하여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는 중국의 대학 창업교육 평가 지표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우리나라 대학창업교육 평가 지표 개발 시 참고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대학창업교육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valuation model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and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performing overall operation and evaluation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programs, learners competence, and support systems in the future. As research methods, literature and papers related to evaluation of start-up educ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were analyzed using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content analysis method.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h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valuation from a holistic perspective, the compet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object and procedure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evaluation, and the components. In addition, the evaluation index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in China, which uses the evaluation index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was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index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in Korea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model for evaluating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was proposed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 KCI우수등재

        언어영재 판별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장영숙(Young Sook Jang),구자억(Ja Oek Gu) 한국아동학회 2002 아동학회지 Vol.23 No.6

        The test for the identification of verbally gifted children was administered to 323 gifted and average primary school children. Listening, reading, writing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s, and speaking was videotaped for analysis of the interview and discussion process. Cronbach`s α confirmed reliability of the te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tem scores and total scores. Concurrent validity was indicated by correlations between total scores and language arts scores. The test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gifted and average children in reading and writing scores for the 2nd and the 3rd graders, and in listening and reading scores for the 4th, 5th, and 6th graders. Analysis of speaking ability showed that the gifted children expressed their ideas more logically and creatively than the average children.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의 고등교육 수월성 프로그램의 추진체제와 전망 비교 - BK 21(한), 211공정(중)을 중심으로 -

        최영표(Choi young-pyo),김남순(Kim nam-soon),구자억(Gu ja-ok),손계림(Shun chi-l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3 比較敎育硏究 Vol.13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고등교육 수월성 신장 프로그램인 한국의 BK21사업과 중국의 211공정사업을 대상으로 삼아 거시적으로 이들의 추진체제와 앞으로의 전망을 비교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첫째, 대학의 교육과 연구능력을 격상시키고자 하면서도 국가사회의 상황이 달라 목표설정 도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 둘째, 추진사업의 내용에 있어서 방식을 달리하고 있다. 셋째, 수월성을 신장시키는 방법에 있어 한정된 재원을 소수의 대학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하는 방식에 있어서 양국은 유사한 면을 보이면서도 접근방식을 달리 하고 있다. 넷째, 이 사업을 중앙교육행정기관이 주관하고 있는 점은 같지만 지원하는 방식은 상이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이들 사업의 종결 시기에 있어 서로 다른 면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형태로든 지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나 똑같은 방식으로는 추진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This paper is to comparatively study the promoting system and prospect of Korea's BK21 & China's 211Gongcheng, which are the same higher educational excellence program of each nation. First, the two programs take a different approach to targeting due to the situation of each country, and try to upgrade universities' education and studying ability in each country at the same time. Second, the program are different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Third, they are similar each other in the aspect of choosing a limited number of universities and assisting them intensively, but they have a different approach. Fourth, central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 takes charge of the programs in each country, but the way to assist the program is not the same. Fifth, the programs end at the different period, anyway they seem to continue. But it seems difficult that they take the same approac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농촌지역 유형별 교육혁신 추진과제 탐색

        나승일,정철영,구자억,박행모,장호순,김진구,마상진,조단비,문세연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1

        이 연구는 교육혁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농촌지역 교육혁신 성공요소를 도출하고, 농촌의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농촌지역 유형별 추진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고찰 및 사례연구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협의회를 실시하였다. 농촌지역 교육혁신 성공요소는 마을공부방 운영 등 26개가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농촌지역 교육혁신모형을 개발하여 목표와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기초로 농촌지역 유형별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농촌지역 교육혁신의 비전은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혁신 실현으로 살고 싶은 농촌지역 구현" 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는 도시수준의 교육기회 제공, 농촌형 수월성 교육 추구, 지역 인적자원개발로 설정하였다. 농촌지역 유형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는 발전 농촌지역은 마을 공부방 운영 및 학습도우미 지원, 중간수준 농촌지역은 교육환경 개선, 장학금 지원 및 다양한 교육기회 제공, 저개발 농촌지역은 기존 지원 유지, 적극적 학습 지원 및 교원의 근무여건 개선, 도농복합 농촌지역에서는 교통편의 제공, 학습기회 개선 및 학부모의 교육참여 유도 등이 선정되었다. 그리고 농촌지역 유형별 중점 추진과제에 대한 단계별 로드맵과 이를 적용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rive success factors and explore actions plan for the education innovation of rural areas for releasing education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s and case analysis were conducted, and experts council were executed. As a result, 26 success factors for the education innovation of rural area were derived.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education innovation model of rural area including goals and strategies to identify action plan for the education innovation by types of rural areas. The vision of the education innovation model was making the place pleasant to live in by doing education innovation for releasing education gap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The goals of the education innovation model were to provide urban-level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pursue rural-customized education for excellency and to develope local human resources.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core tasks corresponding to each rural area: additiona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village study-rooms and support for learning assistant system for highly-developed rural areas;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ndition and provision of scholarship and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middle-developed rural areas; maintenance of existing support, active learning-support and improvement of teachers' working conditions for lowly-developed rural areas; provision of traffic convenience, improvement of learning opportunities and promotion of parents' educational participation for urban-rural complex areas. Moreover, this study suggested roadmap according to action plan divided by types of rural areas, and political proposal for effective actualization of th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