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Quinoline誘導體들의 置換基 效果에 關한 吸收分學的 硏究

        구원회 충남대학교 1978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present work, the ultra-violet absorption spectra of quinoline and its 17 derivatives with various substituents have been studied and discussions are made in terms of inductive and mesomeric effects der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order perturbation theory upon the wavelength shift and intensity change of the 1^L_b and 1^L_a type bands. In order to calculate the respective wavelength shifts of absorption peaks of 1^L_a bands of the quinoline derivatives which are caused by the substituent effects, modified and extended method of Longuet-Higgins has been used. The calculated results show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In the case of the quinoline derivatives which have monosubstituent at 2, 3, 4, 5, 6, 7 and 8 positions respectively, the α- and β-naphthylmethyl anion models have been proposed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pective band shifts. It has been found that the above mentioned models are quite suitable proposal. In the explanation of the changes in absorption intensities due to the substituent effects in some monosubstituent quinolines, an attempt has been made to use the idea of spectroscopic moment put forward by Platt and Petruska. Qualitative agreement between the above mentioned treatment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has been obtain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stituent effects on the spectra and basicity of the quinoline derivatives, basicity of quinoline and its 17 derivatives are measured in 40 per cent ethanol aqueous solution by the usual spectrophotometric methods. Basicities of quinoline derivatives are discussed in terms of inductive effect of substituents and, in addition, the applicability of the Hammett equation has been tested.

      • 가정 환경 수정에 대한 작업치료사와 노인의 인식 비교 연구

        구원회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정 환경 수정에 대한 작업치료사와 노인의 인식을 조사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병원 및 기관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172명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239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에 사용한 도구는 초기 문항 구성, 내용 타당도 검정, 최종 문항 구성 과정을 거쳐 제작하였다. 최종 구성된 설문 문항은 작업치료사와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각각 6문항과 9문항, 가정 환경 수정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공통 문항인 2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식은 인지도, 기대도, 목적으로 분류하였다. 조사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가정 환경 수정에 대한 인지도와의 관계, 작업치료사와 노인 간 가정 환경 수정에 대한 인지도 및 기대도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정 환경 수정에 대한 목적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이용하여 그룹 간 비교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가정 환경 수정에 대한 목적의 하부 요인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환경 수정에 대한 인지도는 작업치료사와 노인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𝘱<.001). 작업치료사는 가정 환경 수정 관련 중재의 수행 여부에 따라, 노인은 교육수준, 경제적 상태, 보유 질병에 따라 가정 환경 수정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 환경 수정에 대한 기대도는 조사한 모든 문항에서 작업치료사와 노인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𝘱<.001). 작업치료사는 가정 환경 수정을 통해 안전성, 기능적 지원성, 접근성 등 각 공간에서 주로 수행하는 활동에 따라 다른 기대를 보였으나, 노인은 모든 공간에서 안전성 향상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작업치료사가 인식하는 가정 환경 수정의 목적은 요인분석을 통해 건강과 독립성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노인이 인식하는 목적은 세부요인으로 구분하지 못하였다. 이를 통해 작업치료사는 건강과 독립성,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가정 환경 수정의 목적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노인은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목표를 추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가정 환경 수정에 대한 작업치료사와 노인의 인식 비교를 통해 작업치료사의 가정 환경 수정과 관련된 중재를 위해 고려해야 할 측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에 따라 작업치료사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교육과 학습을 통해 역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가정 환경 수정 중재 시 건강과 독립성, 사회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중심의 다각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 다양한 크기의 식별자를 적용한 Cycle GAN을 이용한 다목적실용위성 5호 SAR 영상 색상 구현 방법

        구원회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SAR(Synthetic Aperture Radar)는 레이더 안테나에서 마이크로파를 방사하여 관측대상물에 의해 산란된 전자파에너지를 안테나로 감지하는 능동형 센서이다. 태양으로부터 방사된 전자파 에너지를 이용하는 수동형 센서와는 특성이 다르다. SAR는 대기 중 입자의 크기에 비해 파장이 긴 마이크로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름이나 안개 등을 투과할 수 있고 주야간 구분 없이 고해상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SAR 영상은 해양, 군사,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SAR 영상에는 코히런트(coherent) 방식 특유의 스페클(speckle)이 존재하고, 산란 문제나 영상 생성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데이터 해석에 제한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SAR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영상은 색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SAR 영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쌍(pair)이 없는 데이터의 도메인 변환에 효율적인 성능을 보이는 생성형 딥러닝 모델인 Cycle GAN을 도입하여 SAR 영상의 도메인 변환을 수행함으로써 색상을 대입하였다. Cycle GAN은 paired 데이터셋 기반으로 감독학습을 수행하던 pix2pix의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Cycle-consistency 손실을 도입한 도메인 변환 딥러닝 모델이다. Cycle GAN은 해상도가 다르거나 기하학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두 도메인의 데이터 집합을 바탕으로 무감독 학습이 가능하다. 하지만 Cycle GAN은 학습 불안정성과 생성 영상의 해상도가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다중 크기의 식별자를 적용하여, Cycle GAN의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중 식별자 및 다중 크기 식별자를 적용하여 GAN의 학습 불안정성과 생성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하는 연구를 바탕으로 다중 크기 식별자를 Cycle GAN에 적용하여 Cycle GAN의 생성 영상의 해상도를 향상하였으며, 색상대입을 위한 학습이 효율적으로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제시한 모델이 생성한 영상 또한 본 논문에 수록하였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운영 중인 Kompsat 5가 촬영한 Dubai 전역과 미국의 Florida 주 도심 지역의 SAR 위성 영상이 다중 크기의 식별자를 적용한 Cycle GAN의 학습에 사용되었다. 위성 영상의 개수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작은 크기로 무작위로 추출하여 학습을 위한 데이터 개수를 늘렸다. Unpaired 데이터셋 기반으로 모델의 학습을 수행하기 위해 광학 영상은 Google Earth Pro 프로그램에서 Dubai 전역과 Florida 주 도심 지역을 SAR 위성 영상과 동일한 크기로 임의로 추출하였다.

      • 도시재난 발생 시 표준운영절차(SOP) 작성에 관한 연구

        구원회 강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재난은 우리에게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와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더욱더 재난의 양상이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되고 있으며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재난의 피해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11년에 7월 중부지방 집중호우로 인해 서울 우면산 산사태가 발생하여 16명의 사망자와 36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으며 2013년 포항 산불로 인해 1명이 사망자와 26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우면산 산사태는 집중호우로 인해 도시지역에 산사태가 발생하여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으며 포항 산불도 강풍으로 인해 도시지역까지 피해가 확산되어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처럼 재난은 과거와 달리 기존의 피해범위를 벗어나 예측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규모도 대형화되어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국가, 지자체, 기업 등은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재난대응계획, 긴급구조대응계획, 재난분야 위기관리매뉴얼 등의 표준운영절차를 수립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재난의 특성이 다양해지고 예측 불가능한 상황으로 변화되고 있어 표준운영절차를 적용하는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또한 기관별 협업의 미비, 지자체와 유관기과의 협력체계 부족, 순환근무로 인한 재난담당자의 전문성 미흡, 표준운영절차를 활용한 교육 및 훈련 미비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여 표준운영절차를 적용하여 재난을 대응하는데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도시재난 발생 시 표준운영절차(SOP)를 효율적으로 작성하기 위해 첫째, 표준운영절차 작성을 위한 이론적 검토를 실시하였다. 둘째, 최근에 발생한 대표적인 도시형 재난을 선정하여 표준운영절차상 원활한 대응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도시형 재난은 2011년 8월 집중호우로 발생한 도시생활권 우면산 산사태와 2013년 3월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도시형 산불이다. 셋째, 산사태 및 산불 발생 후 피해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식조사와 도시재난 발생 시 표준운영절차를 작성하기 위한 전문가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도시재난 발생에 따른 역할별 단계별 표준운영절차를 제시하였다. 단계별로는 재난관리 4단계인 예방, 대비, 대응, 복구와 발생 전, 발생 중, 발생 후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역할별로는 중앙정부, 시?도 광역자치단체, 시?군?구 자치단체, 유관기관, 주민조직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시재난 발생에 따른 역할별?단계별 표준운영절차를 작성하여 신속하고 체계적인 적용 및 활용으로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The diverse and complicated disasters are bringing many damages in this rapidly transforming society. The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expands, complicates and diversifies the aspects of the disasters whil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nnually increases the scope of damage. In particular, the heavy rains in the central region in Korea in July 2011 caused the landslide of Mt. Oomyeon in Seoul that brought the death toll to 16, leaving 36 injured. The wildfire in Pohang killed one and injured 26 in 2013. The landslide of Mt. Oomyeon due to the heavy rain lost many lives in the city. The wildfire in Pohang spread to the urban area by the strong wind damaged people, as well. Now, disasters occur unexpectedly in a bigger scale beyond the existing extent of damage unlike the past, brining enormous amount of damages to the people and the assets. In response to such disaster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companies have established and applied the standardized operating procedures including the Basic Plan on National Safety Management, Disaster Response Plan, Emergency Response Plan and Disaster Risk Management Manual. However, as disasters are changing in a diverse and unexpected way, the disaster management authorities have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SOPs unlike the regular administrative agencies. In addition, there are difficulties in responding disasters under the SOPs due to a lacking collaboration among organizations, an insufficient cooperation system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relevant agencies, an inadequate expertise of disaster officers under shift work, and an unsatisfactory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using the SOP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SOPs in an efficient manner in response to the urban disasters. First, it conducted theoretical reviews to establish the SOPs. Second, it analyzed the SOP for the landslide of Mt. Oomyeon in an urban environment due to the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s in August 2011. Third, it analyzed the SOP for the urban wildfire occurred in Pohang, Gyeongbuk in Korea in March 2013. Fourth, it conducted the survey on awareness of the residents in the damaged area on disaster after the landscape and wildfire, and the survey for the experts to establish the SOPs in response to the urban disasters. Fifth, the study suggested the SOPs for each urban disaster.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minimizing the human and capital damages by establishing the SOPs for each urban disaster and systemically Preparation and utilizing the procedures.

      • 지진 발생 시 지방자치단체 대응업무 연속성 확보에 관한 연구

        구원회 강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지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미국지질조사국(USGS)에 의하면 1978년부터 2015년까지 규모 5.0이상의 지진이 연평균 약 1,637회 발생하였다. 이에 반면 우리나라는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하고 있어 환태평양 지진대에 속해 있는 일본 등의 주변 국가보다 지진으로부터 비교적 안전지대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에서 2016년 9.12지진, 2017년 11.15 포항지진으로 인해 인명피해와 많은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더 이상 우리나라는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닌 것을 보여주었으며 향후 더 규모의 지진으로 더 큰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2016년 규모 6.5의 전진과 7.3의 본진의 구마모토 지진으로 많은 피해를 입었으며 우토시청은 지진피해로 건물이 피해를 입어 피난소에 대한 구호물자의 배송과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행정 업무를 정상적으로 실시한 것은 5월 10일로 시민체육관에 재해대책본부를 설치하여 대응 및 복구업무를 시작하여 약 1개월만 업무가 마비되었다. 우리나라도 2017년 11.15 포항지진으로 인해 일반적인 건축물뿐만 아니라 포항 북구청 건물도 피해를 입어 정상적인 업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워 이전하여 업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방자치단체는 재난현장과 가장 밀접한 대응 및 수습하는 기관으로 13개 협업기능을 바탕으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조직하여 관련 유관기관과 협력을 통해 수행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진과 같은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여 지방자치단체 건물이 피해를 입어 대응 및 복구활동이 늦어져 신속한 대응, 수습 및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피해는 더욱더 확대될 수 있으며 대응 및 수습활동도 늦어질 것이다. 이에 지진 발생 시 지방자치단체가 대응업무에 대한 연속성 확보를 할 수 있는 세부적인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진 발생 시 지방자치단체가 대응업무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지진과 연속성 확보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실시하였고 미국과 일본의 연속성 확보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강원도 삼척시를 중심으로 지진에 대한 위험도 분석(지진재해대응시스템을 통한 피해추정 시뮬레이션 실시), 지방자치단체 지진대응업무 분석, 지방자치단체 13개 협업기능 담당자 의식조사 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재난 및 안전관리분야, 지진방재분야, BCP/COOP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의식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진 발생 시 지방자치단체 대응업무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Major earthquakes occur frequently around the world. According to the U.S. Geological Survey (USGS), an earthquake with a magnitude of 5.0 or greater has occurred approximately 1,637 times a year on average from 1978 to 2015. Korea, which is located inside the Eurasian Plate, has been recognized as a relatively safe area from earthquake in comparison to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apan that belongs to the circum-Pacific earthquake belt. However, huge losses of life and property occurred recently in Korea due to the earthquake on September 12, 2016 and the earthquake that happened in Pohang on November 15, 2017. These accidents indicate that Korea is no longer a safe zone from earthquake and there is an increasing possibility of more significant damage from large-scale earthquakes in the future. In particular, Japan suffered significant damage due to an earthquake that occurred in Kumamoto in 2016, which was preceded by a foreshock with a magnitude of 6.5 and followed by an aftershock with a magnitude of 7.3. The Uto Town Hall was damaged due to the earthquake, and was unable to deliver and provide relief supplies to the refugee shelters. Its normal administration service was resumed at the civic stadium where the disaster relief center was established on May 10. The service was suspended only for approximately 1 month. In Korea, the 2017 Pohang earthquake damaged many buildings, including the Buk-gu Office of Pohang, which was unable to provide the service normally, and thus, the service was provided at a temporary location. In such situation, local governments are supposed to perform immediate response activities and take appropriate actions at the disaster site. They establish disaster safety relief headquarters to carry out their duties based on 13 cooperation functions and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relevant competent authorities. However, if a large-scale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damages a local government building, this results in the local government being unable to respond to and handle the situation immediately. The damage from such disaster may be extended further, and response and restoration activities may be also delay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tailed standards that enable local governments to ensure response task continuity in the event of earthquake. In order to prepare standards for local governments to ensure response task continuity in the event of earthquake, this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of earthquakes and regarding ensuring continuity and examined the cases of ensuring continuity in the U.S. and Japan. In addition, it also analyzed earthquake risks with focus on Samcheok-si, Gangwon-do Province (execution of damage estimation simulation through the earthquake and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examined local governments' disaster response task, along with an awareness survey and analysis targeti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13 cooperation functions. This study also conducted an awareness survey and analysis targeting experts in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field, the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field and the BCP/COOP field, in order to develop and present standards. Based on the findings, standards for local governments to ensure response task continuity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were presented.

      • 유방암의 진단에 있어서 Thermography의 의의

        구원회 全南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방체열촬영술(Breast thermography)은 유방에서 방출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열, 즉 적외선을 촬영하여 천연색 영상으로 유방질환을 진단하는 방법이다. 저자는 1991년 1월초부터 1991년 12월말까지 전남대학교 병원 외과학교실에 내원한 3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Thermography를 실시했으며, 이중 유방암으로 판명된 40명의 환자에서 Thermography의 진단적 가치에 대해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방암의 가장 흔한 연령은 30대와 40대였으며(각각 30.0%), 평균 연령은 45.8세였다. 2. 가장 흔한 종양은 무통성 종괴였다(75%). 3. 대부분의 환자들이 발병후 1년 이내에 내원하였다(82.5%). 4. 가장 흔한 발생부위는 외상부(57.5%)였고, 그다음이 내상부(25%)였다. 좌측유방이 우측유방보다 약간 많았다(57.5% versus 42.5%). 5. 종괴의 크기는 모지 단대 크기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35%). 6. Thermography상 TH1:12예(30%), TH2:2예(5%), TH3:8예(20%), TH4:5예(12.5%), TH5:13예(32.5%)였으며, 악성종양을 시사하는 TH3 이상은 총 26예(65%)였다. 7. Mammography와 U1 trasonography의 진단율은 각각 90%였으며, Thermography는 65%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Thermography는 다른 진단수기에 비해 진단적 가치가 떨어짐을 알수 있으며, Thermography가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지기 위해서는 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 breast thermogram is a pictorial representation of the infrared radiation of the skin over the breast and can be utilized for the detection of breast cancer.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breast thermography, author analyzed 40 cases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that had been treated for 1 year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1991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in Chornam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st prevalent age groups in breast cancer were 30 to 39 years and 40 to 49 years. Mean age of breast cancer was 45.8 year. 2. The most common initial symptom was palpable mass without pain (30 cases, 75%). 3. Most patients visited to our hopsital within 1 year from onset (82.5%). 4. The most frequent site of breast cancer was upper outer quadrant(57.5%), followed by upper inner quadrant of breast(25%). The left breast was slightly more frequently involved than the right (57.5% versus 42.5%). 5. The thumb tip sized mass eras most common(35%). 6. Using Amalric's classification, Author found the thermographic classification of 40 carcinomas to be the following : TH1:30%, TH2:5%, TH3:20%, TM:12.5%, and TH5:32.5% fo 40 cases, 26 patients(65%) were above TH3. 7. The diagnostic accuracy of mammography and ultrasonography were 90% and in thermography, 65%.

      • 교사의 수업 경험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 '교육적 성장'을 중심으로

        구원회 成均館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educational growth by teaching experience. I have wanted to know how teachers implement the national-curriculum, and I have felt in need of qualitative research rather than quantitative research. So I have studied two social-studies teacher's instruction by participational-obsrvation for one-semester in 2006. For studying various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I have established for my own viewpoint. That include the meaning of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growth, reality shock, and the gap between reality of instruction and theoretical knowledge gained in university. While I have analysed the meaning of teaching experiences of two social-studies teachers, I wanted to investgate how teachers pursuit what kind of value in teaching, why they think that is valuable, how to interrelate the value teachers consider important and their teaching experience. Two teachers attempted to give some advice to students as an elder-person, to experess an ardent wish of change the world, and comprehend the immaturity of students, and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eacher. By analysing these contents, I wanted to prove how they hope to live as a teacher. By analyzing the teaching experience of two teachers, I has sought to explore the kind of values pursued by them when conducting their classes, why such values were considered important for th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s and the experience gained from the classes. Such values reveal the conviction which the teachers have about their own role in the classroom. As people who have experienced more of life, the two teachers provided advice to the students and expressed their aspiration to change the world. Also, the values appeared in the form of an image of teachers who embraced the students' limits and sought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y as instructors and who tri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well the phenomena of society and culture. I viewed the teacher's classroom experience as a type of interaction, and made a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ontrol, tension, compromise, and unanticipated situation using such types. Control was recognized as an inevitable and a necessary evil for managing and administering a class, and it was being exercised either strongly or weakly. Because the teachers and students exhibited differing views of school norms, attitude to class instruction, and commitment to life, there was tension among them. When the tension intensified, then a strong form of control appeared. When the teachers and students faced difficulty and became tired amidst tension and control, an appropriate form of compromise emerged. Although unanticipated situations did not arise often, they temporarily exerted influence upon class instruction and created different forms of control tension, and compromise. Teaching experience that emerges in such varied forms are accompanied by concomitant emotions, and the teachers and students sometimes sympathized with and came to understand each other's ideas by talking about common interests. The teachers' experience and emotions associated with supervising entrance examination and moving onto the next level of education appeared in the form of victory, failure, joy, and pain. Moreover, there emerged frustration, discouragement, fear, etc. when looking at students who behaved contrary to the expectations of the teachers. Such multifarious teaching experiences and emotions accumulated along with many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significantly operated to form each person's attitude and conviction about work and life as a teacher. Chapter three has analyzed the difficulty of class instruction and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s and social structure and sought to reveal its level of difficulty. From the individual perspective, it was seen that providing class instruction was difficult due to students' deviant behavior in classroom, lethargy, and failure to questions. Further, when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eachers themselves, it was analyzed that deviancy in classroom takes place. When seen from the structural perspective, I discovered the fact that they were trained in a system of teacher training for social studies division where it was difficult to foster expertise in the subject, that they sometimes faced difficulty of being committed to the class due to other work all the while being limited by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tests which can be viewed as a general problem among Korea's high schools, and that they were in a situation where it was difficult to provide class instruction and education amidst the reality of degeneration into memorizing which was not related to students' life. I saw that it was difficult to adequately their' self actualization amidst the above specified reality, situation, and context, of being unable to provide proper class instruction and education. I believe that they recognized to an extent their weaknesses and limitations and realistically tried to overcome in order to move beyond the limitations. In other words, I saw that while they did not show themselves as actively seeking change and development and as showing more existential appearance, they had the foundation or the potential for change and development. 연구자는 두 명의 고등학교 사회과 교사의 수업 경험을 분석하면서 교사들이 어떤 방향으로 성장을 하고 싶어하는지, 그러한 성장의 방향은 수업 실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교사는 수업에서 학생들과 어떠한 관계를 맺는지, 교사는 학생들과 어떻게 교감을 하는지, 교사가 수업 경험을 통해 성장하는데 장애가 되는 것은 무엇인지 등을 분석하였다. 두 교사는 인생의 선배로서 학생들을 도와주고 싶어했으며, 세상을 변화시키는데 이바지하고 싶어했고, 포용과 책임 등 교사로서의 덕목을 함양하고, 사회과 교사로서 교과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싶어하였다. 교사들이 추구하는 이러한 성장의 방향은 교사와 학생들의 관계가 적절하게 형성될 때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두 교사는 학생들과 소통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학생들과의 소통이 잘 안 될 때에는 불가피하게 학생들의 수업 행동을 통제했는데, 통제의 과정에서 학생들과 갈등하고 마찰을 겪기도 하였다. 지나친 갈등을 피하기 위해서 교사들은 적절한 선에서 타협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두 교사와 학생들이 늘 소통의 어려움을 겪으며 통제와 갈등만을 경험했던 것은 아니다. 두 교사는 학생들과 세상사는 이야기를 하며, 또 입시 경험의 공유로 교감을 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두 교사의 수업 경험 속에는 교사들이 수업 경험을 통해 성장해 가는데 적지않은 장애물들이 있었다. 두 교사는 수업에서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지 않고, 질문을 하지 않는 등 무기력한 모습을 보일 때 힘들어 했으며, 학생들의 낮은 학습의욕에 맞추어 수업을 하다보니 때로는 교사 자신도 모르게 수업 일탈을 하게 되기도 했으며, 사회과 교사 양성 구조의 모순으로 인하여 교과 전문성을 함양하기 어려웠다. 또한 두 교사는 교육 본연의 책무에 충실할 것을 요구하는 입장과 입시에 유리하도록 수업을 해줄 것을 요청하는 입장간의 모순된 요구를 동시에 받고 있는 이중구속상황에 놓여있는 것으로 보였다. 학교 내에서는 수업 보다는 업무가 우선시되며, 업무로 인한 제약이 교사가 수업 경험을 통해 성장하는데 방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장에서는 교육적 성장으로서의 수업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두 교사들이 수업 경험을 통해 교육적으로 성장해가는 과정에는 교직 입문 전에 기대가 작용하지만, 교직 입문 전의 기대는 교직에 들어온 이후로 그들의 기대와는 사뭇 다른 실제를 경험하고 충격을 받고 혼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교사는 이러한 충격과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교직에 조절하고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였는데, 그러한 노력은 생존을 위한 적응, 적응 과정에서 겪는 갈등에 대한 성찰,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 등이 중요한 의미로 파악되었다. 두 교사들의 수업 경험의 의미를 교육적 성장의 내용 측면에서 해석해 보면, 두 교사는 다종다양한 수업 경험을 통해 학생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고, 교직에 대한 이해도 깊어지게 되었다. 교사가 수업을 하고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하는 경험이 성장의 계기로 작용하고, 성장의 과정에서 학생과 교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나가는 것이 수업 경험의 교육적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교사들이 바라는 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사 자신과 교육연구자가 교육에 대한 확고한 견해와 실천의지를 견지해야 하며, 교육과 수업에서의 책임은 결코 타인이 대신해줄 수 없는, 교사 본연의 숙명과도 같은 것이다. 교사가 이러한 숙명을 고난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어려움을 겪어야 하지만 그러한 어려움이 결국 교사로서의 삶을 변화시키고 성장으로 이끌어줄 수 있는 가장 큰 원천임을 철저히 자각하는 것이 새로운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