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KSL) 교육과정 개선 방향에 대한 전문가 집단 간 의견 차이

        구영산 한국국어교육학회 2015 새국어교육 Vol.0 No.105

        Two professional research groups who study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and Korean as a mother tongue (KMT), respectively, are involved in the National Korean as a Second Language Curriculum (NKSLC). These two groups cooperate, compete, and conflict i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y means of delphi survey) the two expert groups’ perspectives on improving the NKSLC and compare them to inform future revision of the NKSLC. A t-test revealed that the KFL group takes Korean as a second language as ‘one of the languages necessary to live and study’, while the KMT group prefers that the NKSLC aims to substitute Korean as a ‘pseudo mother tongue’ in place of other languages spoken by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한국어 교육과정에는 서로 다른 두 전문가 집단이 연루된다. 한국어 교육 전문가와 국어 교육 전문가가 그들이다. 이에 따라 한국어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성격에 대해 서로 다른 두 입장이 협력하는 동시에 경쟁하고 충돌하는 모습을 보인다. ‘한국어(KSL) 교육과정 개선 방안’(구영산, 2015)에 이은 후속 연구로 본 연구를 기획하게 된 이유가 여기에 있다. 1차 연구의 이전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 전문가와 국어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거쳐 ‘2012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후속 연구에 해당하는 본 연구에서는 1차 연구 시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자세히 다루지 못했던 전문가 집단 간 의견 차이를 조사하였다.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수정) 의견에 대해 두 전문가 집단이 타당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어 교육 전문가는 ‘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언어 중의 하나’로, 국어 교육 전문가는 ‘유사 한국어 모어’로 각각 제2언어로서 한국어를 이해하고 그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 인터넷 의사소통 공간의 의미- 건강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

        구영산 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 Vol.- No.178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장애 학생 대상의 인터넷 의사소통 공간이 갖는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건강장애 학생을 위탁 받아 교육하는 한 기관(A 학교)에서 열어 놓은 온라인 소통 채널을 2021년 3월부터 같은 해 10월까지 관찰하였다. 관찰한 대화 자료를 바탕으로 이 채널에서 건강장애 학생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채널에서는 학생들 간 대화를 바탕으로 놀이, 학습, 기웃거림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근거로 이 A 학교의 인터넷 의사소통 공간이 건강장애 학생들에게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도출하였다. ‘학교 친구’와 소통할 수 있는 ‘학교 공간’, 선택적 소통 및 관계 형성의 공간, ‘학습-대화-삶’의 연결 공간, 또래와의 소통에 대한 기대감 및 기회의 공간이 그에 해당한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 인터넷 의사소통 공간이 건강장애 학생들에게 일종의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 갖는 가능성과 한계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건강장애 학생 대상의 국어과 화상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표현 특성과 개선점

        구영산 한국국어교육학회 2019 새국어교육 Vol.0 No.118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expression in Korean language arts online video classes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and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ir cap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in Korean language arts classroom discourse. Methods:To do this, I selected the schools with the largest number of students (in 13 municipalities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mong all 4 teaching institutes. The research material was produced and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iscourse analysis for the Korean language arts class. Results: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various expressions of students are shared among all the members of the class in the classroom where the microphone, headset, and text message are communicated. In such a special communication space, among all of the members of the class, spontaneous utterances, talking to themselves, and speech sound are shared, so that the Korean language arts classroom discourse has a public character and a very strong personal character. Conclusion:Health-disabled students experience the acceptance of their own speech and learn to accept the speech of others. I suggested how to improve their self expression considering ethics, purposes, and interaction for learning in video class of Korean language arts. 목적:건강장애 학생 대상의 국어과 온라인 화상 수업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표현 특성을 밝히고 그 개선점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방법:전국의 4개 화상 수업 기관 중 가장 많은 학생들이 소속되어 있는 학교(13개 시․도 교육청)를 연구 사례로 선정하였다. 참여관찰과 담화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2017학년도 중학교 1학년 1학기 국어 수업을 대상으로 연구 자료를 생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해당 온라인 화상 수업의 장(場)에서는 학생들의 다양한 표현이 마이크, 헤드셋, 텍스트 메시지를 매개로 수업 구성원 ‘모두에게’ 공유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그 과정에서 수업 구성원 사이에 개인의 속말, 혼잣말, 말소리 등이 모두 공유됨으로써 국어 수업 대화는 사적인 성격을 매우 강하게 갖고 있었다. 결론:이 고유한 국어 수업의 장에서 학생들은 자유로운 자기 표현이 허용됨은 물론이고 타인의 표현 또한 인내심 있게 수용하는 경험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담화의 장이 국어 수업의 장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학생들의 표현 및 소통 방식이 윤리성, 목적성, 의미 공유의 측면에서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국어수업에서 ‘관계의 언어’ 생산에 대한 연구

        구영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1 국어교육연구 Vol.27 No.-

        이 연구는 국어수업의 장에서 교과서나 교사의 의도를 벗어나며 국어수업의 결과로서 생산되는 학생들의 특정 언어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계의 언어’라고 불리는 이 국어수업 언어는 수업 구성원들 사이의 부정적 관계 양상이 ≪쓰기≫ 교과서 과제 수행의 과정에서 재현되는 양상을 지칭한다. 현재 국어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쓰기 과제 수행이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사이의 적극적인 소통 대상이 되지 못함으로 인해 생기는 이상(異常)적인 증후이다. 관계의 언어 생산에 있어서 기반이 되는 수업 구성원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한 특정 학생을 구성원들 간 관계의 중심에 위치시켰다. 초점화된 연구 대상인 태환이는 만 9세의 어린이로, 국민기초생활수급 대상 가정의 자녀이다.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1년 동안 수행한 국어교실에서의 참여관찰 결과, 태환이가 타인에 대한 증오와 자기혐오를 ≪쓰기≫ 과제 수행을 통해 지속적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부정적 맥락에 있는 관계의 언어는 국어수업의 장에서 소외 또는 배제되는 태환이의 위치를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수업의 장은 학생들의 사회경제적 조건의 영향력 안에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에 의해 일정 부분 결정되는 학생들 사이의 관계가 특정 학생의 국어수업 언어를 통해 표현되며, 이는 그가 속한 사회적 영역, 즉 국어수업의 속성 및 행동 규칙에 반응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적 생산물임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how children are influenced by the social fields in which they practice language.I focus on a case study of a nine-year-old boy, Taehwan, from a poor family that receives need-based-support from the government. I observed Taehwan from March 2009 to January 2010 in Korean language arts class: in the classroom, where he was a student in the third grade. I analyzed Taehwan’s language written in his textbook titled “Writing”. The classroom is comprised of children from families with various socioeconomic statuses, but all higher than Taehwan. In the classroom, Taehwan clearly manifested feelings of inferiority, and also hatred toward his classmates, which I called “relational language”. I conclude that Taehwan identifies with his social postion in the classrom in his writing. Language behavior among children is highly sensitive to the social field in which a child is acting--to the extent that a child may learn and display his social position to the other children.

      • KCI등재

        다문화 예비학교의 대상자 선정에 대한 연구 : 중학교 장(場)의 특성을 중심으로

        구영산 한국교육개발원 2015 한국교육 Vol.42 No.3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middle school organizations on preparatory schools for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born outside of Korea.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Participation observation, interviews, and archival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dynamic process through which middle school administrators run preparatory schools for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born outside of Korea and select students who apply to preparatory schools. In this regard, one preparatory school was selected from each district. Findings/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detail how some preparatory schools for stud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s became ‘schools without students’ and ‘schools in progress.’ The findings suggest that some middle school teachers negotiate with each other during the admissions process to determine the selection of students. Value: This study demonstrates how the concepts of ‘logic of selection’ and ‘attitude of acceptance’ are prevalent during the student selection process, and these concepts determine students' access to different preparatory schools. 본 연구는 다문화 예비학교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학교라는 사회적 장(場)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비학교를 직영하는 일반 중학교가 다문화 가정 중도 입국 자녀 중에서 예비학교 대상자를 어떠한 방식으로 결정하는지에 주목하였다.

      • KCI등재

        초등 입문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 연구

        구영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6 No.2

        초등 입문기 국어 능력 검사는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과 학습이 시작되기 전 실시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중 1학년 학생들이 학습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성취기준을 선별하였으며, 이를 지필형 검사와 수행형 검사로 나누어 문항화하였다. 검사 결과 초등학교 입문기 학생들의 국어 능력을 각 성취기준별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학생 변인에 따른 수준 차이도 볼 수 있었다. 전체 검사 결과를 보면, 전체 학생 2,635명에 대한 평균은 19.4655점, 표준편차는 3.5391로 나타났다. 초등 입문기 국어 능력 검사 결과 전체 19개 문항 중 16개 문항에서 학생들이 정답률 80% 이상을 보였다. 그러나 말의 재미를 주는 요소를 활용하여 자신의 경험 표현하여 쓰기에서는 정답률 70% 미만, 자신의 생각을 문장으로 표현하기, 이야기의 시작, 중간, 끝 파악하기와 관련된 문항에서는 정답률 50% 미만을 보였다. 변인별 검사 결과와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가장 유의미한 변인은 성별이었다. 전체 19개 문항 중 15개 문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 또 다른 주요 변인은 지역이다. 14개 문항에서 도시 지역의 학생들이 읍 · 면 지역의 학생들에 비해 더 높은 정답률을 나타냈다. 취학 전 교육 변인과 다문화 가정 변인은 성별이나 지역 변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통계적 유의미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시 출발점 행동 설정을 위한 주안점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administered diagnostic tests to students before the course began. The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diagnostic tests related to KLAE. (1) Students consistently had difficulty when asked to verbally report what they did before they came to school on that day. (2) In the section on reading, writing, and grammar, students had difficulty comprehending unusual vocabulary and long sentences. (3) In the section on literature, students had great difficulty when asked to report the order of events in a story that they had read. I suggest that this task - reporting the order of events in a story - is too difficult for K- and 1st-grade level students, and should not be taught until later. (4) The best predictors of performance on the diagnostic tests were, first, gender(girls performed better), and second, region.

      • KCI등재

        논문 : 한국어 학습 동기화 과정에 대한 연구 -국제 한인 입양인을 둘러싼 결핍의 담론`` 생산을 중심으로-

        구영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어 교육 Vol.23 No.1

        Youngsan Goo. 2012. An Explanation for Korean Learning Motivation: Ethnic Expectation as a Motivation for Adult Korean-American International Adoptee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3-1: 183-217. This study explores the identity-formation of adult Korean-American intentional adoptees who studied Korean in a Korean language center in New York from 2005 to 2007.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in the classroom, observations of student conversations in their gatherings, and discourse analysis of conversations related to why they were studying Korean, I found that adoptees felt that their lack of knowledge of Korean had caused them to fall short of expectations of ethnic Koreans. Stereotyped as Korean (or Asian) based on their looks, they were often assumed to possess knowledge of and skills associated with Korean culture, which they of course lacked. They were motivated to study Korean (and acquaint themselves with Korean culture) in order to meet these expec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