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의 외식 빈도와 관련된 식습관 및 생활습관 요인 분석

        구슬(Sle Koo),박경(Kyo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5

        본 연구에서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외식 현황과 이와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특성, 영양섭취 수준, 식습관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남성이 여성과 비교하여 외식을 자주하는 경향을 보였고, 도시에 거주하는 젊은 성인일수록, 가구소득 및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더 자주 외식을 하는 것으로 보였다. 둘째, 외식 빈도에 따라 영양 섭취 기준 대비 영양소 섭취비율을 분석한 결과 남녀의 패턴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외식을 자주 하는 사람에게서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가 더 높은 반면 탄수화물 및 조섬유의 섭취는 더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외식 빈도가 높은 그룹에서 낮은 그룹에 비해 에너지/지방 과잉 섭취자의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셋째, 외식 빈도에 따른 아침 결식률을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외식을 자주 하는 사람일수록 아침결식률이 더 높았고, 특히 이는 여성에게서 두드러졌다. 넷째, 대상자의 한국인 식생활 지침 실천도를 분석한 결과, 나이가 많은 여성일수록 식생활 지침 실천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였고, 남녀 모두 외식을 자주 하는 사람일수록 식생활 지침 실천 점수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문항에 대한 실천도를 비교한 결과, 성별, 연령별로 상이한 식생활 문제점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한국인 식생활 중 외식의 비중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성인의 건강한 외식 관련 식생활 문화에 기여하기 위한 공중보건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러한 영양교육 및 정책 마련 시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집단의 특성에 따라 외식 관련 식습관문제점이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Epidemiologic research has suggested that frequent eating out may be associated with poor dietary habits, including high-calorie and inadequate nutrient intakes. Limited studies, however, have evaluated dietary behaviors with patterns of eating out in South Korea.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nutrient intakes, adherence to dietary guidelines, and frequencies of eating out among Korean adults. Data were analyzed from adult (30 to 64 years old) participants of the 2007~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10,223). Nutrient intake levels were assessed by the 24-hour recall method. The dietary score (DS-ADGK) was calculated based on the adherence to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Subjects who frequently consumed meals outside the home tended to be younger, male, urban-dwelling, highly educated, and receiving a higher income. The frequency of eating ou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intake of most nutrients, except carbohydrates and crude fiber. Regular breakfast habits seem to be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of meals outside the home for women; younger women who frequently eat out tended to have irregular breakfast eating habits, but this association is attenuated with increasing age. The mean DS-ADGK differed by sex, age, and the frequency of eating out; older participants scored higher than the younger ones, women had higher scores than men, and those who frequently eat out had lower scores than their counterparts. In addition, the adherence score for each component of the dietary guidelines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and sex. The consideration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frequent eating out and other barriers to healthful eating, as well as essential and practical interventions, are needed to promote positive dietary behavioral changes in Korea.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육가공품 섭취 빈도와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 2007~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구슬(Koo Sle),박경(Park Kyong) 한국영양학회 201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4 No.5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high consumption of processed meat may be associated with increasing risk of metabolic syndrome which have been suggested as a predictor of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However limited studies have investigated this association in Korean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ross-sectional association between processed meat/unprocessed (beef pork chicken) intakes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Using data from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 analyzed data including 5,545 men and women who were aged older than 20 years and who were free of chronic disease such as hypertension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Subjects who frequently consumed processed meat tended to be younger and more likely to be current smokers. In addition men were more likely to consume processed meat than women. Although higher processed/unprocessed meat intak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ow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a crude model these associations were no longer significant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For example comparing subjects in the highest intake quartile of processed meat with the lowest intake group the multivariate-adjusted odds ratio (OR) of metabolic syndrome was 0.92 (95% CI: 0.58-1.46) for processed meat 1.09 (95% CI: 0.76-1.56) for beef 1.10 (95% CI: 0.74-1.62) for pork and 0.75 (95% CI: 0.51-1.12) for chicken. In conclusion we found no evidence of any adverse effects of frequent processed or unprocessed meat intakes o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at the exposure levels seen in this study.

      • KCI등재

        한국 성인의 고혈압 유병 관련 영양소 섭취 및 생활습관 위험 요인 분석

        구슬(Sle Koo),김영옥(Young Ok Kim),김미경(Mi Kyung Kim),윤진숙(Jin Sook Yoon),박경(Kyong Park)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12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7 No.3

        Hypertension is a well-known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changes in diet and lifestyle factors can prevent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but the combined effects of these modifiable factors on hypertension are not well establish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ssociations of diet and lifestyle factors, evaluated both individually and in combination, with prevalent hypertension among Korean adults. We analyzed data obtained from the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a nationwide cross-sectional study using a stratified, multistage probability sampling design. The associations of 12 nutrient intakes and lifestyle factors with risk of hypertension were explored using restricted cubic spline regression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s among 6,351 adults. Total energy and several nutrients and minerals, including, calcium, vitamin A, vitamin C, and sodium, showed non-linear relationships with the risk of prevalent hypertension.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dietary score, obesity and alcohol intake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prevalent hypertension, but smoking and physical activity were not. Overall, participants whose dietary habits and lifestyle factors were all in the low-risk group had 68% lower prevalence of hypertension (OR: 0.32, 95 CI: 0.14-0.74) compared to those who were at least one in the high-risk group of any dietary or lifestyle factors. The result suggests that combined optimal lifestyle habits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lower prevalence of hypertension among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7(3) : 329~340, 2012)

      • KCI등재

        비타민 D와 우울증

        조수경(Su Kyung Cho),구슬(Sle Koo),박경(Kyo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0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D와 정신질환, 특히 전 세계적으로 높은 유병률 추이를 보이고 있는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비타민 D의 종류, 급원 식품, 비타민 D 영양상태 현황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타민 D와 우울증과의 연관성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요약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타민 D는 자연계에 주로 비타민 D2(ergocalciferol)와 D3(cholecalciferol)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주로 대구간유, 고등어, 정어리와 같은 지방이 많은 생선, 난황, 표고버섯 등이 주요 급원 식품이다. 둘째, 국내외 다양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비타민 D 수준을 고찰한 결과 비타민 D 결핍은 매우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혈청 25(OH)D 20 ng/mL 미만인 남녀는 각각 89%, 99%로 매우 낮은 비타민 D 수준을 보였다. 셋째, 체내 비타민 D의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인종, 거주 지역, 위도, 의복차림, 계절적 차이, 직업, 자외선 노출 정도, 보충제 복용 여부 등이 보고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연령의 증가(한국인 및 일본인의 경우 반대 방향),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 어두운 피부색, 흡수 불량 및 비만은 비타민 D의 합성, 흡수 및 이용률에 영향을 주어 비타민 D 부족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넷째, 최근 비타민 D 수준과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국외 역학연구들은 꾸준히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횡단 연구와 코호트 연구 결과는 불일치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최근 비타민 D 보충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임상시험연구도 일부 진행되었으나 이 또한 불일치한 결과를 보였지만 보충제로 얻는 비타민 D는 식이로부터 얻는 비타민 D와 다르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더 나아가 횡단 연구 및 코호트 연구를 메타 분석한 연구 결과 우울증에 대한 비타민 D의 이로운 효과에 대하여 비교적 일치하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 결과는 국외에서 진행된 연구이며 한국인을 대상으로 분석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insufficient or deficient vitamin D status may be linked to increased risk of depressive conditions or depres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ll available evidence on vitamin D, depression, and any association between them. Cross-sectional, case-control, and cohort studies have reported contradictory results. Some have reported that low levels of vitamin D may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of depression or depressive symptoms while others reported that vitamin D status may not be related to depression. Recent clinical trials examining the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depression have also showed discrepant results. However, meta-analysis study results are consistent regarding the beneficial effects of vitamin D. Several mechanisms that account for these beneficial effects of vitamin D on depression have been reported but remain largely speculative. Vitamin D deficiency is very common,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is increasing in the Asian population, especially females. However, limited literature is available on this population. Considering research results of a potential invers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level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it is important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vitamin D in depression and conduct well-designed prospective trials in the Asian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