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KD를 이용한 고강도 소수성 셀룰로오스 나노피브릴 필름 제조

        구수임,박현지,육심엽,박신영,윤혜정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18 펄프.종이기술 Vol.50 No.6

        Cellulose nanofibrils (CNF) is expected to have a great potential because it has high aspect ratio, mechanical strength and biodegradability. In addition, it is easy to make film using CNF, which shows good strength, optical transparency, and barrier properties. However, it is necessary to be hydrophobized because hydrophilicity attributed to the hydroxyl groups of cellulose fiber limits the application of CNF film to various fields including packaging area. In this study, alkyl ketene dimer (AKD) was selected as a hydrophobization agent since it is easy to react with CNF in the aqueous system. During the preparation of hydrophobized CNF film, process conditions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CNF film properties including hydrophobicity. The CNF film was prepared by two methods: internal treatment and immersion. The latter method showed a greater effect on the increase of hydrophobicity of the CNF film compared to the former method. In addition, the mechanical and optical features of the hydrophobized CNF film were evaluated. The film made by immersion showed higher tensile strength and light transmittance than the film made by internal treatment. Therefore, hydrophobized CNF film with high strength could be prepared by immersion of untreated CNF film into AKD emulsion.

      • 가교 방법에 따른 셀룰로오스 나노물질-폴리우레탄 표면처리 종이의 내구성

        구수임,육심엽,박신영,임완희,윤혜정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수분산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 간의 가교결합을 유도하는 가교제(Crosslinker) 를 투입함으로써 기계적 성능 및 내마모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교제는 폴리우레탄의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민기와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셀룰로오스 나노물질을 수분산 폴리우레탄에 첨가한 후, 다양한 가교제를 사용하여 셀룰로오스 나노물질과 폴리우레탄 간의 결합을 발생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폴리우레탄과 원지 간의 가교를 통해 내오염성의 주요 인자인 코팅층과 종이 간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셀룰로오스 나노물질로는 CNC와 TOCN을 사용하여 작용기에 따른 폴리우레탄과의 반응성을 비교하였으며, 혼합액이 코팅된 종이는 기계적 강도 및 내오염성을 평가하여 폴리우레탄-셀룰로오스의 가교가 종이의 내구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sup>**</sup> 이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 및 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 산업기술혁신사업(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섬유스트림))의 지원에 의한 연구임(과제번호 10067241).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질 답사 보고서에 나타난 고등학생들의 내러티브 특성: 내러티브적 사고와 학업 성취도의 관계

        수임 ( Sue Im Chung ),신동희 ( Dong 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이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지질 답사 보고서에 나타난 내러티브 텍스트와 Bruner가 제시한 두 가지 사고 양식 - 패러다임적 사고와 내러티브적 사고 그리고 학업 성취도가 어떻게 관련되는 지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의 주요 목표는 특정한 상황에서 나타난 내러티브 텍스트의 사용여부로 학생들의 내러티브적 사고 경향을 구별하고, 우세한 사고 경향에 따라 인지적 성취 결과에 차이가 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45명의 지질 답사 보고서의 텍스트 분석과 함께 답사지에 대한 회상 검사, 학업 성취도, 면담을 통하여 양적, 질적 연구를 수행했다. 텍스트 분석 결과, 학생들의 보고서에는 설명적, 논증적 텍스트와 함께 내러티브 텍스트가 상당 수 발견되었는데 이는 야외 답사지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심리적 상황과 지구과학 학습 및 현행 교육과정의 특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내러티브 텍스트로 보고서의 내용을 재구성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하여 3개월 후에 실시한 회상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지구과학Ⅰ의 학업 성취도에서는 여학생들의 경우에만 더 높은 성취도가 나타났다. 내러티브 텍스트의 사용 여부로 내러티브적 사고와 패러다임적 사고 경향을 판단할 수 있는지 학생들과의 면담을 병행하여 조사한 결과, 내러티브 텍스트 사용과 사고 경향이 일치하지 않는 학생의 사례가 나타났다. 학습 내용에 따라 내러티브적 사고와 패러다임적 사고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학생은 학습에 성공적이며 학업 성취도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n educational implication by analyzing the context of narrative texts, students’ narrative thinking,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We investigated text types in students’ geological field trip reports, the reason why students favors narrative texts,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texts and their scientific knowledge recal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thought and academic achievement. All students used expository texts, 82% of them expressed argumentative texts, and 36% of them used narrative texts. It is likely that students use more narrative texts because students were in the context of outdoor activity and so, their emotional feelings were more activated than when they are doing lab activitie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earth science seemed to contribute more narrative texts in students’ reports. The post-test revealed that students with narrative texts recalled better than the oth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we have noted that female students whose reports contain narrative texts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female students whose reports are without narrative texts. From in-depth interviews, we found that students who properly used both paradigmatic and narrative mode of thought were in a more advantageous position than those who used narrative thought only. It was also found that some narratively thinking students tended to feel uncomfortable with the way of learning or evaluating questions about science. In the future, a complementary approach of narrative and paradigmatic mode of thoughts would be encouraged by understanding students’ tendency of thinking.

      • KCI등재

        과학과 자기보고식 정의적 영역 평가의 정확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탐색

        수임,신동희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3

        This study reveals the aspects of subjectivity in the test results in a science-specific aspect when assessing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 through self-report items. The science-specific response was defined as the response that appear due to student’s recognition of nature or characteristics of science when his or her concepts or perceptions about science were attempted to measure. We have searched for cases where science-specific responses especially interfere with the measurement objective or accurate self-reports. The results of the error due to the science-specific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quantitative data of 649 students in the 1st and 2nd grade of high school and the qualitative data of 44 students interviewed. The perspective of sc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hat students internalize from everyday life and science learning experiences interact with the items that form the test too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obstacles to accurate self-report in three aspects: characteristics of science, personal science experience, and science in tool.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 of science in relation to the essential aspect of science, students respond to items regardless of the measuring constructs, because of their views and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science based on subjective recognition. The personal science experience factor representing the learner side consists of student’s science motivation, interaction with scienc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cience and life. Finally, from the instrumental point of view, science in tool leads to terminological confusion due to the uncertainty of science concepts and results in a distance from accurate self-report eventually.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review of inclusion of science-specific factors, precaution to clarify the concept of measurement, check of science specificity factors at the development stage, and efforts to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everyday science and school science. 이 연구는 자기보고식 검사를 통해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을 평가 하려할 때 검사 결과에서 나타나는 주관성의 양상을 과학 특이적 측면에서 밝혔다. 과학 관련 개념이나 인식을 측정하려할 때 학생이 지닌 과학 특성, 본성에 대한 인식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반응을 과학 특이적 반응으로 정의했다. 그 중에서 과학 특이적 반응이 특별히 측정 구인을 방해하거나 정확한 자기 보고를 벗어나게 하는 경우에 대해 탐색했다. 고등학교 1, 2학년 649명의 정의적 특성 및 심리적 특성을 검사한 양적 자료와 학생 44명을 면담한 질적 자료로부터 과학 특이적 요소로 인한 오차 결과를 도출했다. 학생이 일상과 과학 학습 경험으로부터 내면화한 과학에 대한 관점과 과학 특성은 검사 도구를 이루는 문항들과 상호작용한다. 그 결과 과학의 특성, 개인의 과학 경험, 검사 도구 속 과학이라는 세 측면에서 정확한 자기 보고를 방해하는 요소가 발견되었다. 과학 본질적 측면과 관련 있는 과학의 특성은 학생들이 과학을 보는 관점과 주관적으로 인식한 과학의 특성이 측정하려는 구인에 관계없이 문항에 반응하도록 한다. 학습자 측면에서 개인의 과학 경험은 학생이 지닌 과학 동기, 과학 경험과의 상호작용, 과학과 삶에 대한 인식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도구적 측면에서 검사 도구 속 과학은 과학 개념의 불명확성으로 인한 용어 혼동으로 연결되며 정확한 자기보고를 방해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한 시사점으로 검사 문항에서 과학 특이적 요소의 포함 여부 검토, 측정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한 주의점, 개발 단계에서의 과학 특이성 요소 검토, 일상 과학과 학교 과학의 괴리를 줄이려는 노력 필요 등을 제안했다.

      • KCI등재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평생교육의 역할 :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으로 비판적 사고 가르치기

        수임(Sooim Kim),정혜진(Hyejin Chung)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20 영미문학교육 Vol.24 No.2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necessity of critical thinking in adult learning a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The world is changing fast. There is quite a bit we know about the global megatrends that much has been written abou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the recent Future of Jobs report by the World Economic Forum. We have a hard time catching up with the rapid change only for ourselves. In this situation, lifelong education can bridge the gap. Then by what could we educate critical thinking? Literary works have played a leading role as a space for the imagination. This paper is focused on Frankenstein written by Mary Shelley. Learners can enhance their critical thinking in the process of close reading and discussing various current issues like post-human, AI, distopia, human cloning, basic income, gender, lookism, low birthrate, youth unemployment, elderly poverty etc. In short, learners are expected to learn how to relate a chance encounter with the great novel to their own lives resulting in developing their critical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