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연구 - 천안시 문헌정보관을 중심으로 -

        구수연,최예린,Gu, Su-Yeon,Choi, Ye-L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1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은 실험적인 시행과정에 있다. 본 연구는 천안시의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이용과 운영 실태를 질적으로 연구하여, 성공적인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을 위한 필요조건들과 개선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영아 대상 북스타트 참여 인력은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인력과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강사로 구성되며, 이들에게 영아 대상 북스타트는 육아 지원자 역할에 대한 만족감, 사회적 참여 기회의 확대, 전문적 능력의 개발의 장이 된다.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은 주마다 각각의 강사가 구성하는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특성은 영아들과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의 제공처, 육아정보교류의 장, 교육의 장으로서 규정될 수 있다. 영아 대상 북스타트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하여 프로그램 자체에 관해서는 프로그램의 취지에 대한 영아 보호자와 의사 결정자들의 북스타트에 대한 이해 필요, 놀이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의 제공, 북스타트의 정체성의 문제 등이 있으며, 운영에 있어서 참여 대상자의 제한, 참여 기간, 참여 인원, 인력과 예산의 문제의 측면에서 지적되었다. The bookstart program for infants and toddlers is still in experimental progress. From this qualitative research that contains the both administration and utilization of the bookstart program at the Cheonan public library, some necessities for improvement were found to be the more effective program. The administration staffs of program consist of the supporting team and the instructional team. This program gives the meaningful experience to staffs such as the satisfaction as supporters of caring infants and toddlers, extension of social participation, and developing professionalism. The characteristic (purpose) of bookstart program for infants and toddlers could be categorized as three: offering a place to plays with other infants and toddlers, opportunities to exchange practical information, and chances to have educational support. To be more effective program, the difficulties and administrative problems of the program should be solved.

      • KCI등재

        재미교포 아동의 한글학교 경험에 대한 연구

        구수연(Gu, Su Yeon)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8

        본 연구는 재미교포 아동의 한글학교 경험을 통해 재미교포 아동을 위한 한글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주일학교에서 운영되는 재미교포 아동의 한글학교 입학 후 교실생활을 관찰하고 그 학부모들과 교사를 인터뷰하였다. 연구 결과는 한글학교에 대한 부모의 인식, 한글학교에 대한 아동의 인식, 한글지도에 대한 교사의 경험으로 분류되어 정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외교포 아동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이해와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children in Korean Language school and suggested the implication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is goal, class observations of Korean language class were executed from march to June, 2017. And also interviews with parents of children in the frist grade Korean language class and teachers of the class were carried ou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classified under three heads: parent’s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hildren’s understandings of Korean language school, and teachers’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chool. The result showed that teaching heritage language for young Korean‐American children was important to live in U. S. A. as a multicultural person and had implications o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for young Korean‐American children.

      • KCI등재

        어린이집 생활을 통해 본 여성 결혼이민자 자녀와 가정에 대한 이해

        구수연(Gu Su-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여성 결혼 이민자 자녀의 어린이집 생활을 통하여 이들의 가족과 자녀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K시에 소재한 A 어린이집의 여성 결혼 이민자 자녀 두 명을 2007년 2월부터 6월까지 관찰하였으며, A 어린이집의 두 명의 교사를 포함하여 인근 지역에서 여성 결혼 이민자 자녀를 보육하고 있는 6명의 교사와 두 명의 원장을 인터뷰하였다. 관찰 자료와 어린이집 교사들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하여 어린이집에서 유아들의 생활과 여성 결혼이민자 가정의 특징으로 두 가지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에서 결혼 이민자 자녀들은 또래와 유사한 언어 발달과 사회성 발달을 보여주었으며, 결혼 이민자 가정이 한국인 가정과는 다른 생태학적 배경을 가진 가정이라는 점에서 이민자 가정의 인간관계와 가족 구성원의 특징적인 역할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중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실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들의 실제적인 생활과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적인 지원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ves of the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s(FIMMs)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 and their famil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wo 4-year-old children of FIMMs in a child care center and six teachers and two principals responsible for them in their classes. The children were observed two or three times a week for free play time from February to June 2007 and the teachers and principles were interviewe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wo questions; first how are the lives of FIMM's childrens' lives in the child care center?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FIMM's families? Results showed: 1. They used language skills like suggestions and rejection and invitations to peers and asked help to teachers to settle the troubles and difficulties in their play with peers. 2. The children used social strategies to negotiate and compromise and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in their play. 3. The families of FIMMs have different ecological backgrounds than that of Korean families. The mothers have difficulties because of the language problems. The grandparents have active roles in rearing the grandsons, and the fathers need to be open-minded to their multicultural situations and recognize their active roles in raising their kids. This study can be the basic research to seek ways and think out the practical program to support the families of FIMMs.

      • KCI등재

        보육교사들이 인식하는 다문화 가정 영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특성

        구수연(Gu Su-Ye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가 교실에서 보이는 기본생활습관의 특성과 교사들이 인식하는 가정의 기본생활습관 지도와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다문화 가정의 유아들의 건강한 사회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지원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18명의 시설장과 보육교사를 인터뷰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은 식습관, 청결과 의복 착용, 배변훈련, 예절, 질서의 부분에서 다문화 가정자녀의 기본생활습관의 특성에 대해 보고하였다. 다문화 가정 영유아의 기본생활 습관 지도에 있어 어려움으로 교사는 다문화 가정 부모와의 협력 관계의 어려움,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 다문화 가정 영유아를 배려하는 문제 등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child care educators' conception of basic life habit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basic life habit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showing in classes and their parents' attitudes dealing the basic life habit of their children, and the difficulties of child care educators to guid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good basic life habi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8 child educators from 9 child care centers and they were interviewed. They reported characteristic behaviors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n eating habit, hygiene matters, evacuation training, etiquettes and good manners, and keeping order. The child care educators have difficulties in making cooperative relation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in understandings about the differences among cultures and fall into a dilemma treating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n special ways.

      • KCI등재

        영아반 교사의 합반 운영 경험의 의미 탐색

        구수연 ( Su Yeon Gu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영아반 합반 운영에 대한 연구로 영아반 합반 운영의 의미를 탐구하여 보다 나은 영아반 합반 운영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6명의 경력별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영아반 합반 운영의 의미는 ‘시소놀이’로 은유되어 해석되었다. 영아반 합반 운영의 의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합반운영에 대한 교사의 의견 반영이 미흡하며, 교사들 간의 운영 차이 발생하는 것을 ‘원치 않는 시소놀이’로, 합반 교사들 간의 업무편중과 위계관계를 ‘기울어진 시소’로, 후임교사의 교실 내 낮은 지위에 대하여 ‘한쪽은 늘 낮은 곳에’로, 일관된 운영을 향한 교사들 간의 동화를 ‘균형 잡기’로 해석하여 기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협력적인 합반 운영을 위한 논의를 하였으며, 합반운영이 공동의 목표를 가진 동료 교사가 전문성을 가지고 복수 담임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진정한 협력수업이 되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managing combined classes to better improve conditions for managing combined classes. This study adopted in-depth interviews which were based on the questionnaires with 6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ccording to their careers. The results were organized by four metaphorical expressions of seesaw play; ‘unwanted seesaw play’, ‘declined seesaw’, ‘one side always staying low’, and ‘making the seesaw parallel’. According to the metaphors, first of all, ‘unwanted seesaw play’ meant the lack of reflecting teachers` opinion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eam teachers, ‘Declined seesaw’ meant inequality in sharing classroom works and hierarchy between team teachers, ‘One side always staying low’ meant the low status of low-career teachers and ‘making the seesaw parallel’ meant passive adaptation to good models as well as bad models. Thus this study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and proposed the ways that a combined class could be a cooperative class for infants and toddlers by utilizing strong points of each teachers in combined classes.

      • KCI등재

        코로나19 상황에서 긴급보육의 실태와 과제

        구수연(Gu, Su-Yeon),최예린(Choi, Ye-l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정부에서 시행한 긴급보육 실태를 알아보고 긴급보육 실시 과정에서 교사역할이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 교사 12명, 원장 10명 그리고 육아종합지원센터 직원 2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면담을 활용하여 2020년 5월 1일부터 2020년 7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긴급보육 실태의 경우, 어린이집 휴원이라는 행정명령 중에도 긴급보육 이용률은 증가하여 교실 내 거리 두기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들은 긴급보육 시기에 개정된 보육과정의 적용, 거리 두기를 위해 놀이 해체시키기, 식사 시 일렬로 앉아 식사하는 것에서 혼란을 느꼈다. 둘째, 교사의 역할은 긴급보육 운영자, 방역 전문가, 가정연계 놀이 꾸러미와 동영상 제작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해야 했다. 셋째, 긴급보육 과제로 교사의 근무기준 제시, 구체적인 운영지침 마련, 어린이집 원아 수 감소에 따른 지원, 어린이집에 대한 물리적 지원 등으로 정리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현재 제시되고 있는 방역 위주의 대책보다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지침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conducting of emergency child caring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and to find out how the role of teachers has changed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For the purpose, 12 childcare center teachers, 10 directors, and 2 employees of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 2020 to July 15, 2020 using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during the emergency child caring,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using emergency child caring increased even though an administrative order to close daycare centers has taken effect, making it difficult to keep a distance in the classroom. In particular. teachers were confused about applying the revised curriculum during the emergency child caring period, dismantling the play for distance, and sitting in a row while eating. Second, the role of the teacher was to perform various tasks such as emergency caregiver, quarantine expert, play package and video maker for children at home. Third, as urgent childcare tasks, it was needed to present the work standards of teachers, specific guidelines for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support for economic difficulties of childcare centers, and material support. Such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to prepare specific guidelines for better conducting of emergency childcaring rather than the currently proposed.

      • KCI등재

        Dewey 교육론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구수연 ( Su Yeon Gu ),나성식 ( Sung Sik L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John Dewey의 문헌을 통해 듀이 교육론을 고찰함으로써 영아 및 유아교육에서의 도덕 교육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그에 따른 도덕교육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듀이의 도덕교육은 ‘도덕 안에서의 교육’, ‘도덕적 관념’을 갖게 하는 교육을 말하며, 듀이의 도덕교육 개념이 영유아 도덕교육에 주는 의미는 첫째, 영유아 도덕교육의 목적은 성장이며, 자기통제를 통해서 모든 교육활동에서 반성적으로 ‘보다 더 좋음’을 선택하고 실천하는 것이다. 둘째, 영유아기의 도덕교육은 ‘나 좋음’의 선택에서 ‘우리 좋음’을 선택하는 성향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셋째, 영유아기의 모든 영역의 교육활동은 도덕교육의 의미가 고찰되어지는 통합적 도덕교육의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넷째, 영유아들의 도덕적 성장을 위해서는 모든 교육활동 과정에서 반성적 선택과 실천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 다섯째, 영유아의 도덕적 성향 발달은 영유아가 자신들의 활동과정에서 자신을 조절함으로써 궁극적인 결과를 얻어내는 경험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of moral education for infant and young children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Dewey`s education theory. The conclusions are: First, the goal of moral education is the ‘growing’, to develop the disposition to choose and practice ‘the better’ by reflection. Second, another goal of mor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s to develop the disposition of choice for ‘the better-for-us’ beyond ‘the better-only-for-me’. Third, all activities in all curriculum are to be focused on the moral education approach. Fourth, it should be to guarantee the freedom of choice and practice in all activities. Fifth, the development of the young child`s moral disposition seeks to have them experience ‘self-control’ in all activities.

      • KCI등재

        루소의「에밀」에 나타난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

        구수연 ( Su Yeon Gu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3 No.3

        루소는 자연주의 교육사상을 통해 ``자연인``을 실현시키는 방법을 연구한 교육개혁론자로 평가된다. 루소의 교육목적은 ``자연인의 형성``에 있으며, 자연인이란 인간에게 부여한 본성, 즉 자연성을 소유한 존재로서, 이러한 자연성 회복을 위해 택한 교육방법이 자연에 따르는 자연주의 교육(naturalistic education)이다. 본 연구는 루소의 「에밀」에 나타난 자연주의 교육 사상이 갖는 영유아 도덕교육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에 따라「에밀」에 나타난 자연주의 교육사상과 도덕론을 살펴보고, 자연주의 사상이 영유아 도덕교육에 갖는 의미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영유아기의 도덕교육은 감성을 통한 취향의 형성과, 둘째, 감각적 이성을 훈련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하며, 셋째, 이성을 통한 절대적 도덕기준의 적용보다는 소극적 교육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이는 영유아 교육현장에서 절대적 가치의 도덕 옹호와 배려, 양보와 같은 이성적 올바름의 미덕이 강조되기 보다는, 도덕적 행동이 영유아에게 ``좋은 감성``을 갖게 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영유아 교육현장에서는 영유아의 도덕 발달의 특성을 고려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지도와 교수학습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Rousseau had revolutionary thoughts on education and in Emile. The meaning of ``natural man`` was man who had natural instinct and Rousseau explicitly said that his educational ideal was to cultivate ``the natural m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e the meaning of Rousseau`s moral education for children based on his naturalism in Emile. In order to achieve that purpose, the naturalism in his educational thoughts and moral education was reappraised, and it`s implication on moral education for children was explo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al education for children was cultivated by sentiment to form good inclination by training sensible reason, and should be practiced by negative education. The moral education for child should not emphasize absolute values, caring for others and concession but should seek to raise good sentiment for others by practicing moral activities. So, the moral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in children`s development.

      • KCI등재

        Mary Wollstonecraft 교육론의 유아교육적 함의

        구수연(Gu Su-Yeon),나성식(La Sung-S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18세기 여성 페미니스트였던 울스톤크래프트의 교육 사상을 탐구하고, 그녀의 교육론의 유아교육적 함의를 고찰하는 데 있다. 울스톤크래프트의 교육관은 교육을 통한 여성해방, 이성의 함양, 적극적 모성론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교육적인 가치, 아동관, 교육목표, 교육내용과 방법, 부모교육의 측면에서 유아교육적인 의미를 고찰하였다. 고찰한 결과 울스톤크래프트의 교육론이 갖는 유아교육적 의미는 유아기부터 남녀에게 동등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에 가치를 부여하고, 아동을 사회적 존재로 보며, 유아기 교육의 주요 목표는 이성을 발달시키는 것이며,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맞는 유아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적용하여 교육하며, 부모들은 모델링을 통한 교육의 가치를 인식하고 실천할 것으로 정리되었다. 울스톤 크래프트는 최초의 페미니스트로서 여성의 목소리로 여성의 교육권에 대하여 주장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방법의 제안은 유아교육에 갖는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hought of education of Mary Wollstonecraft, a feminist in the 18th century and explored its meanings in the field of childhood education. The thought of education of Wollstonecraft was the liberation of female through education, fostering rationality, active motherhood to care and educate their children. According to Wollstonecraft’s thought of education, meanings for childhood education could be suggested in the aspect of value of childhood education, the view of child, object of education, contents and the ways of education. And the results are; the value of her opinion for education was to give same opportunity between female and male from childhood to be educated. She imaged a child as a social one, the main object of childhood education was to develop their rationality, there could be suggested better ways to educate children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 and parents should recognize and practice to discipline children by modeling. Wollstonecraft maintained the equal rights of female to be educated, suggested practical ways of educating children, and gave valuable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재원영아의 적응 특성 이해

        구수연(Gu Su-Yeon),나성식(La Sung-S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재원영아들의 새 학급 적응과정을 통해 재원영아들이 새 학급에서 경험하는 환경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 속에서 재원영아들이 보이는 행동상의 특징을 알아본 질적연구로서, 어린이집에서 만 2세 반 15명(재원 영아 7명, 신입 영아 8명)들을 대상으로 2004년 1월부터 2004년 9월까지 참여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 재원영아들은 진급 초기에는 새로운 교실을 탐색하고, 신입영아들의 울음과 진급 전의 교실과 달라진 교실상황으로 인해 축적된 긴장감을 표출한 후, 신입영아들의 행동에 동조함으로써 새로운 학급의 상황에 자신을 조절해나간 다음, 다시 교실에서의 규칙을 준수하며 또래들에게 언어로 의사소통을 할 것을 강조하는 ‘교실 탐색 → 긴장감 표출 → 새로운 학급 상황에 조절 → 규칙 준수와 언어적 의사소통의 강조’ 라는 적응과정의 흐름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재원영아들은 신입영아들이 보여주는 행동특성에 의한 인상에 따라 또래를 배척, 회피하였다. 초기에는 놀이가 위축되고 주로 다른 재원영아들과 단독놀이나 병행놀이를 했으나, 교실이 안정됨에 따라 다시 놀이를 주도했으며, 새학급 구성 초기에 하락했던 규칙이행 수준이 다시 회복되는 행동특징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pecial features of the adaptation process of coddlers who move up co a higher class in a child care center.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15 toddlers aged 2-years old (8 newcomers and 7 re-enterers of a child care center). Data was collected by observation from January to September, 2004. Analysis showed that the flow of adaptation of returning toddlers is 'investigating the physical environment→showing stressful behaviors → aligning with the new class → keeping a rule and putting a stress on the verbal communication'. The re-enterers looked withdrawn from the newcomers and their parents, and nervous about the new class while the newcomers' parents were staying in the class. They felt uneasiness and insecurity and showed stressful behaviors, and then they adjusted their play and actions to the newcomers who did not know the rules and played roughly. When the newcomers overcame their separation anxiety and were accustomed to the routines in the class (about June), the re-enterers leaded the play, put the rules into practices and put stresses on verbal commun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