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술관의 소셜플랫폼 역할과 관람객 체험

        구보경,Koo, Bokyu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20 트랜스- Vol.9 No.-

        소셜플랫폼과 기술의 발전 덕분에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일상화 되면서 자신의 감정, 생각, 경험 등을 인터넷에 표현하는 것은 지극히 일반적인 일상이 되었다. 특히 SNS는 자신을 쉽게 표현하는 동시에 다른 이용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대표적 플랫폼이다. 개인의 소소한 일상부터 무엇을 하고 어떤 경험을 했는지 SNS로 소통하는 방식이 보편화되었다. 이에 따라 미술관은 관람객들의 참여와 관심을 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관람객들을 끌어들여 놀이와 학습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콘텐츠 기반의 프로그램 및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신기술의 발전과 이를 수용한 미술관 환경의 변화와 함께 단순한 감상에 그치지 않고 일상의 소통방식이 미술관 관람에서도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탐색할 것이다. 이를 통해 SNS을 비롯한 모바일 기반 소통이 미술관 관람의 질적 다양성을 제공하고, 의미있는 미술관 경험으로 완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험의 플랫폼으로서 미술관, 더 나아가 기술수용에 따른 문화예술기관의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social platforms and digital technology has promoted the age of the communication in our society. As online communication has become commonplace, expressing feelings, thoughts and experiences on the Internet has become an everyday routine. Among them, SN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platforms for expressing oneself easily and interacting with other users. The way of communicating with the SNS about what they did and what experiences they experienced from one's everyday lives became more common. As a result, the museum makes various efforts to enhance visitors' attention and interest with the use of SNS. It provides a content-based programs and museum environment that allow visitors to enjoy playing and learning at the same time. This study will explore not only a simple appreciation, but also the way of communicating to everyday life in terms of the changes for museum environment through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adaptations of digital technology. Through this, mobile-based communication with SNS provides various values and quality of museum visit, can be completed with meaningful museum experience, and various roles and functions of the museum are examined in terms of social platform of experience.

      • KCI등재

        시각문화 연구로서 뮤지움 교육의 가능성

        구보경(Koo, Bo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3

        1990년대부터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한 시각문화 연구에 대한 연구와 논의는 오늘날 이론과 실천의 다양한 분야에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많은 미술이론가, 문화연구가들이 지적한 대로 시각문화연구는 실제로 1990년대에 대학과 지식, 출판에 거대한 담론이 되어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뮤지움 학습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이 지금까지 어떻게 다루어져 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오늘날 그리고 앞으로 뮤지움과 교육에 대한 연구의 시각문화 연구로서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뮤지움과 교육에 대한 연구동향 및 활동들을 살펴봄으로써 시각문화라는 틀 속에서 뮤지움과 뮤지움 교육의 역량을 짚어보고자 했다. 뮤지움 연구를 통하여 자기 반성적인 사고와 역사적, 물질적, 미학적 세부 사실에 대한 관심을 혼합한 다각적인 질문을 제시하는 것은 생산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있으며, 결국 역사와 이론, 전시기획과 실천들을 아우르는 뮤지움 환경과 관람객 사이의 인터랙티브한 소통을 이끌 것이다. 여기에 뮤지움 교육은 시각문화 연구의 대상으로서 수집된 자료들의 의미와 학제적인 성격에 의해 결정되고, 그 학제성이 종합되어 구체화 되어 질 것이다. 뮤지움 소장품, 전시, 전시기획, 관람객과의 조우, 해석, 미디어, 환경, 체험, 실천하는 방식이 서로 만나고 겹치는 하나의 수렴을 통해서 시각문화의 틀 속에서 뮤지움 학습은 구체화 되고, 실현될 수 있다고 본다. The studies and debates of visual culture have long voiced in the field of theories and practices since 1990. Visual culture has been turning to the gigantic discourse all over academic field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previous and current research trend of museum and learning, and to consider the possibilities of the museum and learning at the museum in terms of visual culture. It describes a few central aspects of how research has treated questions on learning in general, more specifically learning at museums. Questions regarding learning, education, and the usability and identity of the museums are also discussed. Research shows primarily that the visitor has become increasingly engaged in the museum process and in the interpretation of exhibitions and that the museums have a social responsibility to grant all groups in society access to the world of the museums. Therefore, the study of museum and museum learning also indicated that they may be of importance to the self-image of the individual, and where museums constitute an arena where people may both act and be an audience in a way that is typical for the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the meeting with museum collection, exhibition, design, the visitor, interpretation, media in the museum environment, the learning in museums will be dealt with the area of visual culture.

      • 내, 외단열 구조체의 열관류율 수준별 열교에 의한 단열성능 저하 정도 분석

        구보경(Koo, Bo-Kyoung),임재한(Lim, Jae-Han),송승영(Song, Seung-Yeong)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2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2 No.10

        As the national regulation of building performance is getting tightened, the importance of thermal bridges is increasing. In this study, linear thermal transmittances of wall-slab joints of internally and externally insulated walls are calculated, and the ratio of heat transfer through thermal bridge to total heat transfer through the wall is calculated to compare the influence of thermal bridge on the insulation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wall by the U-value levels.

      • 국내외 주거용 건물 열교부위 단열성능 규정 현황 및 개선 방안 제안

        구보경(Koo Bo-Kyoung),임재한(Lim Jae-Han),송승영(Song Seung-Yeong)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계획계)

        In Korean apartment buildings, internal insulation system is usually applied, so the layer of insulation is disconnected due to structural component at wall-slab and wall-wall joints in envelope. In particular, the amount of heat loss is significant at the wall-slab joints adjacent to hot water heating pipes through these thermal bridges. To improve the energy performance of these joints in apartment building envelopes, regulations related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rmal bridges should be supplemented. So in this study, improvement schemes of building regulations related the energy performance in Korean apartment buildings are suggested.

      • KCI등재

        내, 외단열 공동주택의 축열체 위치 차이에 따른 동단위 연간 냉난방부하 비교평가

        구보경(Koo Bo-Kyoung),이병인(Lee Beung-In),최두성(Choi Doo-Sung),송승영(Song Seung-Yeong)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0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30 No.1

        The IIS(Internal Insulation System) is applied in most Korean apartment buildings which are the most common type of residential buildings. Consequently,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layer of insulation is disconnected by the structural components at the wall-slab and wall-wall joints in the envelope. The sejoints become thermal bridges where the risk of heat loss increases. It is expected that the EIFS(External Insulation and Finish System) is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n this study, annual heating and cooling loads of apartment buildings with IIS and EIFS were compared using Design Builder program in order to evaluate the thermal storage effect of EIFS where the concrete thermal mass is located inside of the insulation material. As results, the apartment building with EIFS could reduce annual heating and cooling loads by 2.4% and 4.1%, respectively.

      • KCI등재

        디지털사회혁신을 위한 미술관 운영과 역할 확장

        구보경(Koo, Bo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4

        디지털사회혁신(DSI)은 시민이 직접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일상에서 발생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진보적이고 혁신적 활동을 지칭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사회혁신 플랫폼으로서 미술관의 역할과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혁신 개념을 바탕으로 디지털기반 미술관 운영방안을 탐색하였다. 미술관에서 디지털 기술은 관람객의 접근성과 참여를 확대시켰다. 디지털 기술은 미술관이 사회혁신 역할을 수행하는데 유용한 도구이자 사회적 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촉진시킨다. 디지털사회혁신을 위해 미술관은 조직 내부의 혁신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미술관의 조직문화 및 사회혁신 역할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필요하다. 조직구성원과 시민들이 협력하여 미술관이라는 플랫폼에서 사회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과정에서 공동체의 공감대가 형성된다. 미술관은 디지털 연대를 구성하고 소통하는 장소이자 새로운 가치를 구현하는 공공의 장소가 된다. 미술관 관람객, 참여자, 지역사회, 타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미술관 콘텐츠와 정보를 교류하고 가치를 공유하며 사회통합과 다양성을 추진하는 사회혁신 주체이자 플랫폼으로서 미술관의 역할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Digital social innovation(DSI)refers to progressive and innovative activities in which citizens directly utilize digital technologies to solve social problems that occur in their daily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and possibility of art museums as a digital-based social innovation platform. Based on the concept of social innovation, a digital-based plan for art museum operation was explored. In art museums, digital technologies expanded visitors accessibility and participation. Digital technologies promote the function of art museums as a useful tool and social platform for playing a role in social innovation. For digital social innovation, the innov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should be prioritized in art museums. It is also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art museum s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innovation role. A community consensus is formed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ng with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citizens to solve social problems together on a platform called the art museum. The art museum becomes a place to organize and communicate digital solidarity and a public place to realize new values. The art museum should continue to play a role as a social innovation entity and platform that exchanges information, shares values, and promotes social integration and diversity through collaboration with art museum visitors, participants, local communities, and other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