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ploring the Effects of Student and School Socioeconomic Status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in South Korea

        구남욱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8

        Recently in South Korea, the social and economic ga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is widening, which reduces the number of students and schools in rural areas and accelerates the aging and devastation in these regions. I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re influenced by their home, school, and region, fairness in education can be questione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students’ circumstances, such as their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their school’s SES affect their achievements, comparing the results in rural and urban areas. This study used multilevel modeling as its statistical tool. This study identified student and school-level variables that affect students'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South Korean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5 sample. The effect of students’ SES and their schools’ SES on student achievement in rural areas was found to be much greater than that in urban areas.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estimates of contextual effects of school SES on Science, Reading, and Mathematics in rural areas are greater than in urban areas, which mean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ttending rural schools is more affected by school SES than those attending urban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students attending low SES schools in rural areas have unequal access to educational resources in their families and schools compared to those in high SES schools thus educational strategies or policies to support those students are needed.

      • 국민학생용 시중 평가지의 양호도 검증에 관한 연구

        丘南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敎育論叢 Vol.16 No.-

        One must make sure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est scores actually serve the purpose for which the test was designed. Decisions made on the basis of tests will be valuable only to the extent that the inference made from the test scores are appropriate. The process of judging what properly be inferred from an achievement test score of known as determining the validity of the test. Another characteristic of quality test, refer to the degree to which score differences within a class are attributable to true differences rather than chance differences in student achievement. Unfortunately, many good tests are discarded and forgotten after they have been marked and the scores entered in a record book. Once a test is administered and scored, it is usually desirabl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ach of the test items to do consistently distinguish between good and poor performer. It will also help to identify individual student's areas of weakness that may be in need of remediation. Although such information cannot serve to improve te items on the current test, it can form the basis for worthwhile item revision prior to reuse. This information is often found to be instrumental in improving the ability to construct tests and examinations in the future. There are two main parts to an item analysis. First is an examination of the difficulty level of item(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answer each item correctly). Second is the calculation of the discrimination index of each item. This index summarizes information as to whether students who are knowledgeable in the subject matter of the test actually answered an item correctly more often than students who did not know the subject matter. This study was concerned with the important task of analyzing and improving commercialized work sheets. This study focused on two main parts of item analysis: an examination of the difficulty level of items and calculation of the discrimination index of each items. Also, this study computed reliability index of each different work sheet. Ten different kinds of work sheets were administered to the 6th grade separately during classroom hour. Collected work sheets were analyzed by a computer program SPSS(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most commercialized work sheet items have poor indexed in terms of item difficulty level and performer's discrimination.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commercialized work sheet item maker to take some courses in the area of measurement and scaling to make better items.

      • KCI등재

        남녀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자아개념의 변화 추이 및 종단적 연관성 탐색

        구남욱(Namwook Koo),조명근(Myounggeun Jo),김현철(Hyunchul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6 교육평가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시간에 따른 남녀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자아개념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종단 매개효과 모형을 토대로 성별과 진로성숙도 및 자아개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집단 잠재성장모형 및 평행한 과정의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의 4개년 자료(2차년도~5차년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진로성숙도는 네 시점에 걸쳐서 선형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진로성숙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점차 증가한 반면, 남학생의 진로성숙도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자아개념은 남녀학생 모두 비선형의 변화 궤적이 나타났으며, 중2부터 고1까지는 증가하 는 양상이 나타났으나, 고2 때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고1까지는 남학생의 자아개념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나, 고2 때 남녀 모두 유사하게 네 시점 중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종단 매개효과 분석 결과, 학생의 성별 차이가 ‘자아개념의 변화’를 통해서 ‘진로성숙도의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중․고등학교에서 학생의 성별차이를 고려한 진로교육 뿐만 아니라, 고등학생들이 성적과 입시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서 자아개념을 잃지 않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s of career maturity and self-concept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self-concept based on longitudinal mediation model. A multiple-group latent growth model and a parallel process latent growth model were applied to the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female students’ career maturity increased over time, whereas male students’ decreased. Also, self-concept for male students is greater than female until 8th grade, but drop sharply in 9th grade. The results of longitudinal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 differ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the change of career maturity through the change of self-concept. Thus, the results recommend specific instruction of a particular gender in career education and new plans for high school students’ self-concept education.

      • KCI등재

        매개효과 연구에서 자료의 분포형태에 따른 Sobel의 검정방법과 비대칭신뢰한계방법의 비교

        구남욱(Namwook Koo)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1

        최근 사회과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매개효과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매개효과는 두 경로 계수의 곱으로 나타내며, 이러한 매개효과는 일반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모의실험연구는 단순한 매개효과 모형인 보통최소제곱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자료의 다양한 분포형태가 매개효과의 추정과 검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는 Sobel의 검정방법과 비대칭신뢰한계방법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료의 비정규성은 경험적 일종오류와 통계적 검정력 비율, 그리고 포함확률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비대칭신뢰한계방법이 Sobel의 검정방법보다 경험적 일종오류 비율, 통계적 검정력 비율, 그리고 포함확률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산출하였다. In social sciences, mediation analysis has been frequently conducted in many areas. Generally, the mediated effect is not normally distributed. Thus, this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onnormality on estimating and testing the mediated effect with the simple mediation model of OLS regression. Futhermore, this study compared asymmetric distribution limits and Sobel's test in terms of testing the mediated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varied types of nonnormality did not seriously affect empirical Type I error rates, statistical power rates, and coverage probability. Also, it was found that the asymmetric confidence limits performed better than Sobel's test.

      • KCI등재

        선형 성장혼합모형에서 잠재집단 간의 거리와 잠재집단의 분포형태가 모수추정과 잠재집단 수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 검토

        구남욱(Namwook Koo),김현철(Hyunchul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1

        성장혼합모형으로 자료를 분석할 때, 전체 종단자료의 비정규성은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잠재집단 간의 거리는 전체 종단자료의 비정규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이 모의실험연구에서는 잠재집단의 다양한 분포형태와 잠재집단 간의 거리를 함께 고려하여, 과연 이 두 요인이 성장혼합모형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잠재집단 간의 거리가 멀리 떨어질수록 잠재집단의 분포형태에 관계없이 모수와 표준오차는 더욱 정확하게 추정 되었다. 또한 모든 잠재집단들이 정규분포를 따를 때에는 집단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정확한 잠재집단의 수가 선택되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잠재집단이 비정규분포를 따를 때에는 잠재집단 간의 거리가 멀수록 실제 존재하는 잠재집단의 수보다 더 많은 잠재집단이 선택될 수 있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성장혼합모형을 이용하여 종단자료를 분석하는 응용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위하여 자료 분석 이전에 전체 자료의 분포형태를 확인해 보는 일이 중요하며, 또한 자료 분석 이후에도 잠재집단들의 분포형태, 잠재집단 간의 거리, 그리고 잠재집단의 분류의 정확도 등을 보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When we fit a growth mixture model to data, nonnormality of a mixture distribution is needed for the correct parameter estimation and the selection of the correct number of latent classes. Nonnormality of a mixture distribution arises because of a distance between latent classes and nonnormality of latent class distributions. Thus, this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included two factors of a distance between latent classes and a shape of a latent class distribution, and then investigated how both factors affected the parameter estimation and the selection of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in linear growth mixture modeling. It was found that when a latent class distance was large, the parameter estimates were very accurate regardless of a shape of a latent class distribution. Furthermore, when a latent class distance was large and all latent classes were normal, the correct number of latent classes was selected across all conditions. However, when one or more latent classes were nonnormal,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incorrectly increased as a latent class distance increased. Therefore, in applied research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 it is recommended that the latent class distance and the shape of latent class distributions should be examined and reported.

      • KCI등재

        개별 학생 학업성취 변화 측정 방안 탐색

        구남욱(Nam Wook Koo),박인용(In Yong Park),신진아(Jin ah Shin),시기자(Ki ja Si)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개별 학생의 학업성취 향상 지표를 산출하는 방안과 통계모형을 탐색하였다. 개별 학생의 학업성취 향상 지표의 산출방안으로 시간에 따른 향상률을 고려하는 방안과 초기수준에 따른 향상률을 고려하는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하고, 방안별로 세 가지 통계모형, 즉, 학생 및 학교 변인을 통제하지 않은(기초) 모형, 학생 변인을 통제한 모형, 학생 및 학교변인을 모두 통제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업성취 향상 지표를 산출하는 방안에 따라 산출값에 큰 차이가 나타났지만, 통계모형에 따라서는 산출값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또한 학업성취 향상 지표를 통하여 교과별 향상 특성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업성취 향상 지표는 개별 학생에게 학업성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수ㆍ학습 활동, 교육과정 개선, 교육정책의 수립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Korea, rece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apturing students' academic growth. This study first explored the methods and statistical models to produce an individual student's academic progress index based on the result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en the implications of the different student's academic progress indexes were discussed. To produce an individual student's academic progress index, two methods were suggested; one is using a student's growth rate and the other is using a student growth rate conditional on a student's initial academic status. Also, for each method, three different statistical models of the unconditional model, model containing a student variable, and model with student and school variables were suggested and then compared. This study found that the different methods had a great effect on a student's academic progress index rather than different statistical models. Futhermore, it was found that students' academic progress was varied across different subjects. The student's academic progress indexes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urriculum improvement, and policy development as well as providing students and teachers with customized information.

      • KCI등재

        선형 잠재성장모형 모수의 추정에 대한 오차 공분산행렬 적용의 영향력 검토

        구남욱(Namwook Koo),김현철(Hyunchul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4

        잠재성장모형과 시계열모형은 사회과학분야의 종단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고 있으며, 두 모형은 잠재성장모형의 오차 공분산행렬에 시계열과정을 포함시킴으로써 통합될 수 있다. 그렇지만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종단자료를 분석할 때, 과연 시계열 과정이 존재하는지, 만약 존재한다면 어떤 시계열과정을 선택해야 하는지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모의실험을 이용하여 선형 잠재성장모형의 오차 공분산행렬에 잘못된 시계열과정이 포함될 경우에 모수 추정치들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오차 공분산행렬에 AR(1) 시계열과정이 포함된 잠재성장모형으로 시계열과정이 존재하지 않는 자료, MA(1) 시계열과정이 존재하는 자료, 그리고 ARMA(1,1) 시계열과정이 존재하는 자료를 분석했을 때, 모든 조건에서 모수 추정치들이 적합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종단자료에 특정한 시계열과정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잠재성장모형의 오차 공분산행렬에 AR(1) 시계열과정을 포함시키는 것이 모수 추정치들의 편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In the social sciences, latent growth modeling and times series analysis are popular methods for longitudinal data analysis and two methods can be combined by including a time series process in an error covariance matrix in a latent growth model. However, it is difficult to either to detect a time series process or select a correct time series process when we fit a latent growth model to data. Thus, this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a misspecified time series process in an error covariance matrix on the estimates of parameters in linear latent growth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a latent growth model with an AR(1) error covariance matrix produced acceptable parameter estimates across all conditions when it was fitted to the three types of datasets which contained no time series process, MA(1), and ARMA(1,1) time series process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recommend an AR(1) error covariance matrix in linear latent growth modeling when it is difficult to select a correct time series process.

      • KCI등재

        자료에 이상점들이 존재할 때 매개효과 검정 방법들의 비교

        구남욱(Nam wook Koo)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2

        이 모의실험 연구에서는 매개효과연구에서 OLS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이상점들의 영향력을 검토하였으며, 다섯 가지의 매개효과 검정방법을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서 이상점들(outliers)은 목표 모집단(target population)과 다른 분포를 갖는 하위 모집단(subpopulation)으로 정의되었다. 모의실험의 조건으로는 목표 모집단과 이상점들의 분포(평균과 분산), 이 상점들의 혼합비율, 매개효과의 크기가 고려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모의실험의 조건들 중에서 이상점들의 분산이 증가할수록 매개효과의 검정력은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이상점들이 존재할 때 일종오류 비율에 있어서는 비대칭신뢰한계 방법이 모든 조건에서 명목상의 일종오류 비율인 0.05에 가까운 적합한 값들을 산출하였고, 그리고 통계적 검정력 비율에 있어서도 비대칭신뢰한계 방법은 전반적으로 높은 검정력 비율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선행 매개효과 연구에서 일종오류와 통계적 검정력에 있어서 우수한 방법 중 하나로 추천되었던 편향이 수정된 붓스트랩 방법은 이상점들이 존재할 때, 이 연구의 모든 조건에서 일종오류 비율을 명목상의 일종오류 비율보다 과대 추정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자료에 이상점들이 존재할 때, 붓스트랩 방법보다 비대칭 신뢰한계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매개효과 검정 결과를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utliers in mediation analysis and compared five different methods of testing a mediated effect with OLS regression models. In this study, outliers are defined as a subpopulation which distribution has a different shape from a target population 's. The design factors of this study were the different mean and variance of a target population and outliers, the ratio of outliers, and the effect size of the medated effect. Interestingly, it was found that among design factors, an increase of variance in outliers resulted in a decrease of a statistical power rate of a mediated effect. In terms of empirical Type I error rates, the asymmetric confidence limits performed best whereas a bias corrected bootstrap performed worst in most conditions. Also, the asymmetric confidence limits resulted in the higher power rates than others in many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ed the asymmetric confidence limits over bootstrap methods when data include outliers.

      • KCI등재

        학교만족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탐색

        조명근,구남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9

        본 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른 남녀학생의 학교만족도 및 진로성숙도 변화를 살펴보고, 또한 남녀 학생의 학교만족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분석자료는 고용패널의 청년패널(Youth Panel)자료의 2~8차년도(2008년~2014년)의 7개년 자료이며, 2차년도에 고등학교 1학년이었던 760명을 분석대상으로, 다집단잠재성장모형과 평행한 과정의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진로성숙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7개년 동안 계속 높았으며, 이러한 진로성숙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7개년 동안 학교만족도에서는 남녀 학생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또한, 종단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녀 성별 차이는 학교만족도를 매개변수로 하여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PISA 2015 읽기 영역 결과에 나타난 한국 학생들의 성취 특성 및 교육맥락변인의 영향력 분석 연구

        이인화,구남욱 한국독서학회 2019 독서연구 Vol.0 No.50

        Each of PISA participating countries uses the results of PISA study to compare its educational outcome and system to the other countries’ and to make their educational polici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Korean students’ achievement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educational variables on PISA 2015 reading literacy by comparing Korea with other five countries of Singapore, Japan, Canada, Estonia, and Finland. The ranking of Korean students’ reading literacy performance had declined somewhat, but it was still at a high level. However, one issue is that the achievement gap between different student groups such a as low achievers and top performers and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multi-level analyses found that there were some educational contextual variables which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reading literacy such as the gender, ESCS, and lateness at a student level and the school mean ESCS at a school level. On the other hand, when examining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n each sub-element in assessment framework, Korean students showed low performance on ‘situation’ dimension compared to ‘text format’ and ‘aspect’ dimensions. Thus, it is necessary to inspect the current status of reading literacy education which are related to personal, public,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situations. The fact that the education gap between different students’ groups had increased among students who finished compulsory education would require investigation of process and outcome of school education system. In the future study, it is necessary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tudents’ group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nd gend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세계 각국은 PISA에서 산출된 자료를 통해 자국의 교육 수준을 국제적인 수준에서 비교하고 교육 정책의 근거로 삼는다. 본 연구에서는 PISA의 핵심영역 중 하나인 읽기 영역에서 한국의 성취특성과 교육맥락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 싱가포르, 일본, 캐나다, 에스토니아, 핀란드의 6개국을 대상으로 국제 비교를 수행하였다. 최근 한국의 읽기 영역 순위는 다소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상위 수준이다. 그러나 성취수준 상집단과 하집단 간 차이, 남녀 학생의 성취 수준 차이가 커지는 추세라는 점은 문제적이다. 읽기 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을 살펴본 결과, 학생 수준 변인 중 ‘성별, ESCS, 지각’이, 학교수준 변인 중 ‘학교평균 ESCS’ 읽기 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변인에 대한 탐색이 후속될 필요가 있었다. 한편, 평가틀 하위 요소별 정답률을 검토했을 때, 한국은 ‘텍스트 체재’나 ‘양상’에 비하여 ‘상황’ 차원의 정답률이 낮은 편으로 나타나 향후 개인적, 공적, 교육적, 직업적 상황과 관련된 읽기 교육의 현황을 점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의무교육을 마친 시기의 학생들이 점차적으로 집단별 격차를 크게 보이고 있다는 점은 학교교육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점검을 요청한다. 앞으로 국어교육 영역에서 학생의 성취수준별 집단, 성별 집단의 학습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