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코칭리더십이 변화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와 미래시간전망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인화,탁진국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psychological safety and change-oriented behavior, and how the effect differs depending on the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Accordingly,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change oriented behavior was examin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influence of coaching leadership on change oriented behavior was confirmed.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future time prospects was confirmed when psychological safety affects change-oriented behavior. Fin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uture time prospects was verified in the mediation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change-oriented behavior. For this purpose, data from 349 Korean office worker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change-oriented behavior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psychological safety and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oth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uture temporal prospects were significant. Finally,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derived from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심리적 안전감과 변화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미래시간전망의 수준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지는 것을 밝히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코칭리더십과 변화지향행동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코칭리더십이 변화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심리적 안전감이 변화지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미래시간전망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코칭리더십과 변화지향행동의 관계를 심리적 안전감이 매개하는 데 있어 미래시간전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직장인 349명의 자료를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SPSS 25.0과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코칭리더십과 변화지향행동 간의 관계를 심리적 안전감이 유의미하게 매개하여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래시간전망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모두 유의미한 효과가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무적 시사점, 한계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