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특수학급의 성립과 변용(1970 ~ 1974)

        곽정란 ( Jeong Ran Kwa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1970년부터 1974년까지의 특수학급의 성립과 전개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정신지체학생을 위한 최초의 특수학급의 성립 배경과 이후의 변화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차 문헌조사, 현장방문, 관계자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학생을 위한 최초의 특수학급인 대구 칠성초등학교의 특수학급은 이제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1971년이 아닌 1970년에 정식으로 학급 편제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 특수학급은 자생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경북 지역의 특수교육 관계자와 경북교육위원회의 계획 하에 일반학교 내의 정신지체학생의 교육 보장이라는 특수교육적 목적을 분명히 가지고 있었다. 둘째,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특수교육적 목적을 지니고 있었던 특수학급은 1974년 문교부에 의해 전국적으로 확대되면서 특수교육의 성격 보다는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학력 구제의 성격을 더 강하게 가지게 되었다. 당시 일반교육은 ‘국민학교 의무교육의 확대와 중학교 무시험제도’라는 일대 변화를 겪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문교부(일반교육)는 학습부진학생 및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교육적 조치를 취하기보다는 특수학급을 확대 설치하여, 특수학급으로 하여금 임시방편의 학력 구제를 담당하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학습부진학생과 정신지체학생의 중학교 진학을 억제하기 위해 특수학급을 이용하였다. 셋째, 학습부진학생 및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학력 구제와 중학교 진학 억제 수단으로 전락한 특수학급은 학습부진학생에게는 정신지체라는 표찰을 씌우도록 만들었다. 또한 학습부진학생의 학력 구제에 치중한 나머지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교육은 소홀히 다루어졌다. 이 결과 상당수의 정신지체학생은 중학교 진학을 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특수학급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의 전형을 점점 더 고착화 시켰으며, 이것은 향후 특수학급의 정체성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앞으로 특수학급이 일반학교 내에 있는 장애학생의 개별화된 교육적 요구를 보장하고, 통합교육 시대에 맞는 역할을 수행해 나가기 위해서는 먼저 일반교육과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고, 특수학급 설치 당시의 교육 목적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creation and acculturation of special classes from 1970 to 1974, thereby looking into the background behind the formation of the first special class and how it has changed thereafter. To establish this purpose, a primary literature research, site visits, and interviews with relevant people were conduct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unlike what has been known so far, the special class in Daegu Chilsung Elementary School, the first special class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was formally included in the school system in 1970, not in 1971. This class was not spontaneously formed for educational salvage, it was made under the planning of those concerned with special education in Gyeongbuk, with an obvious goal of special education to guarantee education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within an ordinary school. Second, special classes, which first started to be established in Gyeongbuk Province, was expanded in 1974 to the whole nation by the Department for Education, so their goal was characterized more by educational salvage than by special education. At that time general education was going through two sweeping changes: the expansion of mandatory education and the system of middle school entrance with no exam. During this process, the Ministry increased the number of special classes so that they could play a makeshift role of educational salvage, rather than taking education for poor learners and mentally retarded students. Furthermore, the organization employed special classes to discourage mentally retarded students from advancing to junior high schools. Third, special classes labelled poor learners mentally retarded. In addition, more emphasis was placed on educational salvage of poor learners, so education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was largely neglected. As a result a large majority of the mentally retarded did not ender junior high schools. All the conditions above cemented the negative image of special classes and strongly influenced their identity in later years. For special classes to guarantee satisfaction of disabled students’individual educational needs and to play a role suitable for an era of integral education, new relationship with general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ir original goal of special education at the time when their were first established should be pursued.

      • KCI등재

        농아동을 둔 농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언어 선택을 중심으로

        곽정란 ( Jeong Ran Kwak ),서영란 ( Yeong Ran Seo ),이정옥 ( Jeong Ok Lee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농아동을 둔 농부모의 언어선택을 둘러싼 양육경험에 대해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농아동을 둔 농부모 5명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농부모들은 자신의 자녀가 청각장애라는 것을 알았을 때 충격을 받았으며, 이와 같은 심리적인 충격은 자녀가 수화를 사용하게 되면서 점차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농부모들 대부분은 인공와우 수술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자신의 농자녀들이 농인으로 성장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부모들은 자녀 양육을 할 때 수화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농아동들은 자연스럽게 수화를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자녀의 정서적 안정과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에 참여한 농부모들은 수화로 동화책을 읽어주면서 자녀의 문해지도를 하고 있었으며, 자녀가 잘 모르는 내용은 농식 수화를 사용하여 쉽게 설명해 주어 이해를 돕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에 참여한 농부모들 모두는 자신의 자녀를 농학교에 보내기를 희망하고 있었으며, 농학교 교사의 수화사용능력에 대한 우려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af parents’ language choice in experiences of rearing their deaf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nd an in-depth interview with five deaf parents who have deaf childre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ea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shocked when they noticed their children were deaf and such psychological shock gradually disappeared as their children started to use sign language. Second, most of the deaf parents had negative perception of cochlear implant surgery and rather hoped their deaf children to grow up deaf. Third, the deaf parents used sign language rearing their children and as a result their deaf children naturally obtained sign language skills. In this way the children were positively influenced in their emotional stability and language development. Fourth, the deaf parents taught their children how to interpret writings by reading the children fairy tales using sign language and helped their understanding by explaining what their children did not comprehend in an easy way using sign language for the deaf. Fifth, all of the deaf parents wanted to send their children to a school for the deaf but were concerned about school teachers’ abilities to use sign language.

      • KCI등재

        인공와우를 둘러싼 부모의 선택에 대한 질적 연구

        곽정란 ( Jeong Ran Kwa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와우를 둘러싼 부모의 선택에 대한 의료계의 영향, 부모의 인식, 사회적인 배경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공와우 수술을 선택한 부모 4명에 대한 심층면담 및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에 대한 조기 선별 및 진단체제의 강화, 인공와우 수술에 대한 의료보험 적용, 조기 시술이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의료계의 주장은 인공와우에 대한 부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청각장애아를 둔 부모는 보청기를 선택할 경우 청력저하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화와 청각장애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매스미디어의 발달과 인터넷 환경 변화에 따라 인공와우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최근기업의 인공와우 수술 지원 사업, 수술과 관련한 방송 등은 부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비해 농사회나 수화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으로 제공되고 있었다. 반면 일본의 경우는 다양한 정보를 접한 부모를 중심으로 이중언어교육을 선택하는 부모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정보의 다양화는 부모의 선택을 불러일으키고, 나아가 농교육의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향후 부모의 선택이 더욱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청각장애의 진단 및 조기중재에 대한 다양한 교육계의 접근이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인공와우 재활 과정, 인공와우가 아동의 전인적인 발달과 전 생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들이 충분히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농사회 및 수화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들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최근 청각장애아교육계에서 대두되고 있는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연구들이 부모에게 파급력을 지닐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교육계는 농사회 및 부모와의 협력과 연계를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medical field, parents’ perception and social circumstances on the parents’ choice to use cochlear implants for deaf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nd an in-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for four parents who had their children use an cochlear impla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everal factors strengthening of early detection and diagnosis system, application of medical insurance to the operation, argument in medical field that early operation leads to better result affected parents’ choice. Second, parents of deaf children were concerned about using a hearing aid for risk of further deteriorating hearing ability, and had negative ideas about Sign language. The parents received limited information on deaf community and Sign language. In comparison, in Japan, parents had access to a wide range of information, and increasingly more parents chose to provide bilingual language education for deaf children. Provision of diverse information helped parents’ choice and brought about changes in education for deaf children. In addition, more information should be offered on the rehabilitation process of cochlear implants, and influence of the operation on the children’s overall development in life. Information about deaf community should convey to parents of deaf children. The recent studies on bilingual language education for deaf children need to be introduced to the parents. To do so, deaf education should explore how to build a network between deaf community and parents of deaf children.

      • KCI등재후보

        장애담론의 정치적 이해: 장애인당사자주의를 중심으로

        곽정란 ( Jeong-ran Kwak ),김병하 ( Byung-h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3

        본 연구는 장애인당사자주의의 배경 및 의미를 살펴보고, 장애인당사자주의가 특수교육 및 전문가중심주의에 시사하는 바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들어 장애당사자를 중심으로 “우리를 제외하고는 우리에 대해 아무 것도 하지 말라(Nothing About Us Without Us)”라는 새로운 슬로건이 등장하였다. 이 슬로건은 장애인당사자주의를 대표하는 것으로 당사자 배제불가의 원칙과 자기결정권을 강조한다. 장애인당사자주의는 특수교육에서 강조되고 있학습자 중심 교육을 더욱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장애정책에서 지배적 위치를 차지해 온 전문가중심주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장애인당사자주의가 단지 ‘당사자’ 이념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당위론적 주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설득력을 잃을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당사자주의는 긍정적인 장애 개념과 당사자의 주체적인 참여를 이루어 내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평등한 관계에서 더불어 살아가고자 하는 사회 통합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slogan: "Nothing About Us Without US" which disabled people have insisted. Recently, disabled people have developed another disability discourses that emphasizing the disabled peoples`` rights to self-determination and independent living. In brief, it is called "Nothing About Us Without Us". We call it "Jangein dangsaja-juwui" in Korean. The special education or the service for disabled people needs to shift from the profession-centered services to person-centered services.

      • KCI등재

        장애인의 고등교육사에 대한 문화기술적 고찰

        곽정란 ( Jeong Ran Kwa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고등교육 보장 및 장애학생지원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60년대 이후 2008년까지 장애인의 고등교육 관련한 각종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삶의 맥락에서 역사적 사실들을 이해하기 위해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장애인의 고등교육사는 부분적 입학 허용의 시기(해방이후 고등교육성립초기-1994), 형식적 기회확대의 시기(1995-현재), 장애학생지원의 등장 시기(2000년대-현재)를 거쳐 전개되었다. 장애학생지원은 사명감, 헌신 그리고 자원봉사자의 동원이라는 틀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장애인의 고등교육은 배제에서 통합으로 나아가고 있지만, 장애학생지원체제는 비장애학생을 위한 전문적인 학사지원과는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istory of higher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 for disabled people in South Korea. To establish this purpose, the writer used analyzing records and interview.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South Korea, entrance into higher education of disabled people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s aspects of support services given to them; first, permitted partially, from the beginning of higher education to 1994, second, the expanding period in formal, after pregenital entrance program conducted, and the last, after established Assistive Office for the disability since 2000 to current. High education for disabled people have proceed from exclusion to inclusion, but support system for disabled people is different from support system for non-disabled people.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 속에서의 농인의 경험

        곽정란(Kwak, Jeong Ran),조정환(Cho, Jung Hwan),정점희(Chong, Chom Hui),이기상(Lee, Ki Sang),이준우(Lee, Jun Woo)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1 No.51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수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농인의 일상생활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명의 농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수어를 통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농인들은 수어통역을 매개하지 않는 농인과 청인의 의사소통, 농인과 청인을 잇는 수어통역, 농인과 농인 간의 관계에서 모두 소통의 단절과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일상 속에서 농인은 청인이 무슨 말을 하는 지입모양을 볼 수 없었다. 코로나19 검사 예약 및 자가격리 상황 속에서도 전화로만 대응하고 있었다. 비대면 방식의 수어통역은 얼굴 표정이 정확하게 보이지 않아, 의미전달의 정확성이 요구되는 의료현장에서 한계를 드러내었다.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는 어떤 의사소통지원도 제공되지 않았다. 농인과 농인간의 멀어진 사회적 거리는 농인 간의 정보공유의 제한과 대화에 대한 욕구가 해소되지 않는 문제로 귀결되었다. 이를 토대로 코로나19 및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청각장애인 지원체계에 대한 제언과 장애인 내부의 차이를 드러내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in-depth the daily life experiences of Deaf people using sign language as their first language in the COVID-19 situation. To this purpose, we selected six Deaf people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in sign language. And then we analyzed the collected in-depth interview data through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OVID-19 situation, Deaf people were having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 and hearing person who did not mediat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in sign language interpreting linking Deaf person and hearing person, and in relationships between Deaf people. In the daily routine of wearing a mask, the Deaf people could not see what the hearing people were saying. Even in the situation of appointment for COVID-19 inspection and self-quarantine, they were only responding by phone. The contactless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revealed its limitations at medical fields where accuracy of semantic transfer is required because the facial expression is not accurately visible. No communication support was provided at the COVID-19 screening centers. The social distance between Deaf people resulted in the problem of restrictions on information sharing and the desire for conversation between them. Based on this, we suggested the need for a support system for the Deaf people to cope with the COVID-19 and post-COVID era and a follow-up study that reveals differences within the disabled.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장애인 돌봄 연구의 동향

        김정석 ( Kim Cheong-seok ),곽정란 ( Kwak Jeongran ),김미선 ( Kim Miseon ),박세경 ( Park Seky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2

        [목적] 이 연구는 장애인 돌봄에 관한 사회적·정책적 인식과 접근의 변화가 학술 담론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분석대상은 ‘장애인 돌봄’이란 용어가 등장한 2005년부터 2022년 3월까지 한국학술지 인용색인(KCI)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장애인 돌봄 관련 논문 170편이다. 장애인 돌봄 논문의 발간 시기 및 학문영역별 분포를 확인한 후, 논문의 한글 제목과 한글 초록을 자료로 키워드 빈도분석, 의미연결망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시대적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논문을 발간 시기별로 네 시기(2000년대 후반, 2010년대 초반, 2010년대 후반, 2020년대 초반)로 구분하였다. [결과] 첫째, 장애인 돌봄 연구 논문은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했으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 걸쳐 생산되었다. 둘째, 키워드 빈도분석 및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자녀’, ‘어머니’, ‘부모’, ‘가족’ 등 가족 돌봄 관련 키워드가 모든 시기에 걸쳐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전체 중심성 분석에서도 높은 순위를 보였다. 반면 ‘자립’, ‘탈시설’, ‘지역사회통합돌봄’과 같은 사회적 돌봄 관련 단어는 주변적 위치에 있다. 한편, 시기별 분석에서 가족 돌봄 관련 키워드의 빈도는 유지되었지만, 중심성은 다소 떨어졌다. 반면, 사회적 돌봄을 나타내는 ‘지역사회’빈도와 중심성이 점차 상위권을 차지했다. 셋째, 토픽 모델링 결과 4개의 토픽이 추출되었다. 토픽1은 ‘발달장애인을 위한 커뮤니티케어 서비스 지원’, 토픽2는 ‘활동지원서비스와 돌봄 노동’, 토픽3은 ‘장애자녀를 돌보는 부모와 가족의 부담과 이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 토픽4는 ‘발달장애자녀를 돌보는 부모와 어머니의 돌봄 경험과 스트레스’이다. 사회적 돌봄과 관련된 토픽1, 2를 주제로 한 논문의 수가 많이 증가하였고, 가족돌봄와 관련된 토픽3과 토픽4를 주제로 한 논문이 여전히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결론] 장애인 돌봄에서 가족은 여전히 돌봄의 주체로 상정되고 있으며 사회는 이를 부분적으로 보조하는 패러다임이 유지되고 있다. 돌봄의 사회화를 촉진하기 위한 학술적 담론 형성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how changes in social and policy perceptions and approaches to caring for the disabled are reflected in academic discourse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Methods] The analysis targeted the 170 papers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registered between January 2005 and March 2022, that included the term "care for the disabled". After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articles by period of publication and academic discipline, keyword frequency analysis,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conducted using the Korean-languages titles and abstracts. To examine periodic trends, publication dates were divided into four periods, namely the late 2000s, early 2010s, late 2010s, and early 2020s. [Results] First, papers about caring for disabled people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cent years and have been produced across various academic fields. Second, the keyword frequency and semantic network analyses show that terms relating to family care, such as 'children', 'mother', 'parent', and 'family', have high frequency and high centrality throughout the publication period. On the other hand, keywords relating to social care, such as ‘self-reliance’, ‘de-facility’, and ‘community integrated care’, occupy more peripheral positions. In the analysis by period, the frequency of family-based keywords was maintained while their centrality decreased somewhat, and both the frequency and centrality of 'community' gradually increased. Third, topic modeling for this research on caring for the disabled extracted four groups: Topic 1 is support for community-care services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pic 2 is personal assistant services and care labor; Topic 3 is the burden on parents and families of car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support for them; and Topic 4 is the care experience and stress of mothers car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number of articles in the social care Topics 1 and 2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ime, and family-based articles in Topics 3 and 4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research throughout. [Conclusion] In the context of caring for the disabled, the research paradigm that the family is the main agent of care while society plays a partial role has persisted. This suggests a necessity for academic discourse that promotes the socialization of care.

      • KCI등재

        고령 지체장애인의 스마트 토이 이용 만족도와 사용 경험 분석

        송승민(S. M. Song),김은하(E. H. Kim),곽정란(J. R. Kwak),김영미 (Y. M. Ki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0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고령 지체장애인의 스마트 토이에 대한 이용 만족도와 사용 경험을 탐색하여 스마트 토이에 대한 효용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고령의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12명을 대상으로 스마트 토이를 두 달간 사용하게 한 후 이용 만족도와 사용 경험을 알아보았다. 이용 만족도는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사용 경험은 2명을 선정한 후 가정에서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활용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영역별 이용 만족도 분석결과 ‘재이용 의도(4.7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불쾌감(1.46)’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중심 비교 분석 결과는 여성이용자의 재이용 의도(4.79) 가장 높았고, 남성 이용자의 불쾌감(1.20)이 가장 낮았다. 또한, 독거하는 고령 지체장애인이 가족과 동거하는 고령 지체장애인에 비해 스마트 토이에 더 친숙하게 인식하였다. 사용 경험의 분석결과는 주로 사용한 기능들과 스마트 토이의 사용과 조작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 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고, 스마트 토이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 토이에 대한 고령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지원을 위한 도구적 역할을 확인 하였으며, 고령 지체장애인으로 스마트 토이 적용과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atisfaction of using smart toys and their experience in using them for the elderly retarded people to find out the utility of smart toys. After having 12 people with cerebral palsy use smart toys for two months, we looked at their satisfaction and experience. The satisfaction level of use was surveyed for the entire group, and the experience of using two people was selected a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at hom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level by area, ‘intention to reuse(4.75)’ was the highest, and ‘discomfort(1.46)’ was the lowest. The results of the cross-group comparative analysis by gender showed that female users had the highest ‘intention to reuse(4.79)’, while male users had the lowest ‘discomfort(1.20)’. In additio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ere more familiar with smart toys than the elderly people living with their familie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use experience were able to identify the main functions used, satisfaction with the use and operation of smart toys,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and the emotional response to smart toys. This study confirmed the role of tools for supporting daily life of the elderly retarded on smart toys, and suggested suggestions for the application of smart toys and the expansion of research.

      • KCI등재

        고등교육기관의 장애학생지원센터 모델 연구 1: 실태 및 개선 방안

        김용욱 ( Yong-wook Kim ),김남진 ( Nam-jin Kim ),곽정란 ( Jeong-ran Kwa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2

        본 연구는 각 대학이 장애학생지원센터를 운영함에 있어 대학 규모에 구애됨이 없이 장애대학생의 개인적ㆍ법률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애학생종합지원센터(가칭)의 표준 모델구안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의 장애학생지원센터 모델 연구’의 기초연구에 해당된다. 이를 위한 첫 단계로 사회모델을 이론적 배경으로 몇몇 대학의 장애학생지원센터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과 새로운 모델의 구안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해당 대학에서 실질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장애학생지원센터는 장애학생의 수가 적은 대학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음은 물론 조직 모형 및 실재적인 업무추진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음도 알 수 있다. 이에 변화된 장애의 개념이 반영된 그리고 사회모델에 기초한 새로운 모델의 구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This research, a basic research on "Developing Comprehensive Center for Disability Service for the Disabled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which aimed to develop model irrelative at an university scale, fulfill the personal desire and law requirement. For that purpose, looked into a social model of disability and change necessity of the point of view which see the disabled and importance of center for disability service at the university. And grasped also the actual condition of some center for disability service which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currently around the universit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odel of centers to look into many problems to apply all university. And found out the many differences between a model and actual task. So consequently the development of new model needs absolu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