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몽골의 반한류 네트워크 분석- 미디어, 소셜, 정부 네트워크의 ‘구조적 공백’을 중심으로 -

        곽민경,Oyuna 한국몽골학회 2014 몽골학 Vol.0 No.39

        Anti-hallyu(Anti-Korean Wave) in Mongolia has been intensified while Korean social and economical effects on Mongolia are increasing. In 2013, a Anti-hallyu demonstration was planned by a Mongolian movie director who attracted many advocates on his facebook. This was the first off-line attempt to protest against Hallyu which is not a good sign for a good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While Korea-Mongolia relations have been constantly reinforced, why are the Anti-hallyu movements getting more intense in Mongolia,? And What is the most effective solution to Anti-hallyu problems? To answer these two questions, this paper addresses what factors in Mongolia have formulated Anti-hallyu on three dimensions: media, social, and governmental sectors, each of which has different contributing elements. In doing so, the Anti-hallyu network in Mongolia can be analyzed to figure out what structural holes exi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Structural hole’ means a figurative space that can be filled with one or two links in networks. Assuming that the Anti-hallyu network can be minimized by filling the structural hole in the Korean-Mongolian relationship network, this paper reveals what structural holes exist in it and what policies two governments can fill it with.

      • 황소개구리(Lithobates catesbeianus)의 소리 특성 변화에 따른 선호도 연구

        곽민경,구교성,장이권 한국양서ㆍ파충류학회 2022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7

        무미 양서류는 번식, 공격, 방어, 등을 위해 울음소리를 주로 이용한다. 그중에서도 대표적 으로 번식 울음은 종특이적으로 진화하는 성질로 개체의 생식 능력, 건강, 크기 등에 대한 정 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침입외래종 황소개구리(Lithobates catesbeianus)는 세계 100대 악성 외래종으로 국내에서도 1950년대 식용 목적으로 처음 도입되어 토종 생태계에 큰 위협 을 끼치고 있다. 황소개구리의 경우 대부분 인위적인 소리를 이용한 연구만 진행됐을 뿐 자 연적인 소리의 소리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황소개구리 종에 대한 이해와 번식 울음 을 이용한 새로운 개체 수 조절 방안 제시를 위해 황소개구리의 소리 특성 변화에 따른 선호 도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국내 서식하는 황소개구리 번식 울음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번식 울음의 선호도를 검증한 후, 번식 울음소리의 특성 변 화에 따른 선호도 차이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된 황소개구리 소리는 2021년 6~8월 충청남도 태안군 일대에서 녹음하여 총 17개체의 55개의 번식 울음, 123개의 croak을 확보하 였다. 수집된 음원의 분석 결과, peak frequency는 219.0±14.5 Hz, croak duration은 744.8±118.8 ms, pulse rate은 81.2±14.9 pulse/s로, 이를 바탕으로 소리 특성이 조정하여 유인 음향이 제작되었다. 1차 실험으로는 유인 음향으로 녹음된 자연적인 소리, 이를 바탕으로 만 들어진 인위적인 소리, 그리고 유인 음향이 없는 경우 세 가지에 대한 현장 비교 실험으로 진행되었다. 총 두 개의 연구 지점에서 실험이 진행되었으며, 총 66개체의 황소개구리가 포획 되었다. χ² 검정 결과, 두 지점에서 모두 유인 음향의 차이보다 지점 내 포획 장치의 위치의 차이가 더 유의미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2차 실험인 소리 특성 변화 실험은 총 세 개의 지점에서 진행되었으며, 한 지점 내 총 세 가지로 조정된 소리 특성을 유인 음향으로 사용하 였다. peak frequency 특성 변화 실험 지점에서는 high frequency (254 Hz), median frequency (218 Hz), low frequency (193 Hz), croak duration 특성 변화 실험 지점에서는 short croak duration (430 ms), median croak duration (750 ms), long croak duration (1100 ms), pulse rate 특성 변화 실험 지점에서는 high pulse rate (136 pulse/s), median pulse rate (80 pulse/s), low pulse rate (50 pulse/s), 총 세 개의 스피커에서 각기 다른 소리 특성 의 음향을 출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황소개구리가 선호하는 번식 울음의 종특이적 인 선호도를 연구하여 이후 생태계 보전 및 종 관리 방안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한반도 EUV-B 복사의 특성분석 및 적정 비타민D 합성을 위한 노출시간 산출

        곽민경,김재환 한국기상학회 2011 대기 Vol.21 No.2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radiative characteristics of erythemal ultraviolet-B (EUV-B from 1999 to 2005) over the Korean Peninsula. EUV-B measured at Gangneung,Anmyondo, Mokpo, and Gosan represents the measurements from clean areas and that at Seoul represents from a polluted area. The magnitudes of EUV-B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latitudinal decrease. Monthly mean variation of EUV-B at noon shows the maximum value of 158.5 mWm^(-2) in August and the minimum value of 36.4 mWm^(-2) in December in the clean areas. Seasonal mean diurnal variation of EUV-B shows a peak around noon (12:00 ~ 13:00 hr) and its intensity varies along with a season in order of summer > spring > fall > winter. The maximum value of 56.4 mWm^(-2) in summer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in winter (14.3 mWm^(-2)). The value of EUV-B in the polluted area is lower than that in the clean areas, resulting from the effects of the blocking, reflection, and scattering of EUV-B due to high concentrations of PM10. UV-B is an essential element to synthesize vitamin D in human body. 200 IU(International Unite) of vitamin D can be formed by an exposure of 6-10% of body surface area to 0.5MED(Minimal Erythemal Dose). In order to form vitamin D, the calculated exposure times to EUV-B are 15 min. in spring, 12 min. in summer, 18 min. in fall, and 37 min. in winter for the clean areas and 16, 16, 24, and 37 min. for the polluted area.

      • KCI등재

        단일 상급종합병원에서 노인 환자의 다제약물 복약상담 현황

        곽민경,금민정,고종희,손은선,유윤미 한국병원약사회 2023 병원약사회지 Vol.40 No.1

        Background : Elderly patients have a high rate of polypharmacy due to the increased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Polypharmacy can increase the risk of poor drug compliance, drug-related problems (DRPs), and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 (PIM) 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direction to improve polypharmacy management for the elderly by analyzing the status and results of polypharmacy counseling for the elderly. Methods : A retrospective medical record review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21 to August 2022 based on the polypharmacy counseling records at a tertiary hospital. DRPs were analyzed using Pharmaceutical Care Network Europe (PCNE) Classification version 9.1. PIM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polypharmacy counseling using the screening tools for older person’s potentially inappropriate prescriptions (STOPP). Results : The median age of the 46 included patients was 80.5. The median number of drugs administered was 16. The median number of DRPs was two, and 63% of the patients were using PIMs based on STOPP. Among 115 cases of DRPs, ‘adverse drug event (possibly) occurring’ accounted for the most (68.7%). Among the causes of 124 DRPs, ‘drug selection’ accounted for the most (71.8%). The 378 interventions were in the order of the patient level’ (48.4%), the prescriber level’ (30.4%), and the drug level’ (21.2%), and the intervention acceptance rate was 87.8%. After counseling, 86.9% of the DRPs were completely or partially resolved. PIMs based on STOPP decreased from 45 to 39 cases. In particular, the unnecessary use of proton pump inhibitors (PPIs) decreased the most. Conclusion : Most DRPs and PIMs were resolved through various interventions by pharmacists. The pharmacist’s role in continuously monitoring medications for elderly patients after polypharmacy counseling is important and should be expanded further.

      •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곽민경(Kwak, Min-Kyung),서보준(Seo, Bo-Jun) 한국복지행정학회 2011 복지행정논총 Vol.21 No.1

        본 연구는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대구지역 학교의 조손가정 청소년을 중심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불충분한 응답 등 기타 부적합한 2명의 자료를 제외한 최종 135명의 질문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손가족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손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하여 자아탄력성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더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조손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더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곱째,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과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교우관계, 규칙준수에서는 조손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비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돌봄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조부모로부터 양육 받는 조손가정 청소년들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의 향상과 이로 인해 학교생활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how the self-flexibility and the social support felt by the teenagers living in the grandparents-children families(G-C families) affect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For this research, 13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family background were sampl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135 questionnaires except for two which were considered to be inappropriate due to insufficient answers. An SPS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processed the collected dat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 flexibility the teenagers in G-C families felt and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ly, it prov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felt by the G-C family teenagers and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Thirdly, the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the self-flexibility the teenagers in G-C families felt and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Fourth, the influence the self-flexibility felt by the teenagers in G-C families had on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proved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higher the self-flexibility was, the more successful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was. Fifth,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results, the social support the teenagers in G-C families felt and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Sixth, the influence the social support felt by the teenagers in G-C families had on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was, the more successful their school adaptation was. Seventh,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luences the self-flexibility and the social support felt by the G-C family teenagers had on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showed that the social support had a stronger impact on the lower variations related to school life adaptation such as their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rules observance than the self-flexibility did. Therefore, careful concern and clos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help improve the self-flexibility and the social support for the teenagers in G-C families devoid of parents care and to monitor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 KCI등재

        한국의 사회문화적 공익브랜드 공간디자인 연구

        곽민경 ( Min Kyung Kawk ),이재규 ( Jae Kyu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브랜드는 현대인의 물질적인 삶의 가치를 높이는 것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화를 이해하고 대중에게 공익적인 역할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대중은 공익적 브랜드를 향유함에 따라 물질적 욕구 충족과 더불어 얻을 수 있는 삶의 가치 실현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기 시작하였다. 기업의 공익브랜드 공간디자인 연구와 제안을 통해 사회적책임과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제공해야 할 의무와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며, 이로 인해 얻을 수 있는 대중의 공동체적 소속감과 공익적 문화 소통 공유 공간을 향유함으로서 가치 실현이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 (연구방법) 공익적 브랜드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브랜드 디자인이 추구하는 사회적 변화를 인지하고, 사회 문화적 공익 가치 실현을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사회적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업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CSR)에 대한 활동 현황을 바탕으로 공익적 요소를 도출하여, 브랜드 공간이 공익적 문화소통공간으로 적용과 발전이 가능한가를 살펴 본 후, 공익 브랜드 공간으로부터 대중이 상호간 소통을 통해 공감하기 위한 집단 공동체적 문화소통공간으로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실제 적용 사례들을 조사하여 앞으로의 사회문화적가치와 발전 가능성을 도출한다. (결과) 기업의 비전과 미션, 그리고 그들이 추구하는 상호 보완적 가치를 토대로 브랜드 인프라환경을 구축하여 공간을 향유하는 대중과 소비자에게 삶의 가치와 관계,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전달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브랜드 공간은 공적(公的) 공간에서 공공(公共) 공간으로 유형이 점차 변화되고 있으며, 공공 공간은 사적 공간과공적 공간을 뛰어넘는 사회적 공간으로 사회적 통합과 소통, 참여 그리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협력을 목적으로 존재한다. (결론) 공공 공간으로의 공익적 브랜드 공간을 통해서 기업과 대중은 서로의 가치를 함께 고민하고 영감을 얻어 진정한 삶의 가치를 모색하기 위해 끊임없이 소통한다. 한편, 공공 공간으로서의 역할 보다 공적 공간으로의 상업적 사익을 우선시 하는 브랜드 공간에 그치는 현실은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기업 브랜드 공간 운영에 직면해있는 한계라고 볼 수 있다. 공익적 문화소통공간을 기반으로 인간의 삶을 더욱 더 가치 있게 하고 함께 더불어 사는 공동체적 관계를 만들어 나간다면 사회의 기반이 되고 기업과 국가, 크게는 세계 인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인간 중심``의``삶의 가치``와 함께``관계``를 이루며 함께 더불어 사는 의미 있는 장소의 역할을 하는 공익적 브랜드 공간을 통해 기업은, 무궁무진한 사회적, 인간적 발전 가능성과 올바른 사회적 의식형성 가능성을 염두하고 상호 발전을 위한 선구적 역할자로서의 공공 공간 발전을 위한 노력을 통해 사회적 책임과 의무를 다 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Brand, in current times, should explore measures to increase physical life value for contemporary people and promote public interest while comprehending the social culture. The public has started to give greater priority to fulfillment of physical desires and realization of life values by utilizing public brands for their benefits. This study examined the obligation and need of corporates to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through research proposals concerning spatial design for building corporate visual identity, based on which values can be realized through community awareness and promoting space and providing a platform for sharing cultural communications. (Methodology) This study proposed to understand the social changes intended by brand design and explore social trends requiring space for realization of socio-cultural public values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brand space. The study derived public benefit factors based on activities related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CSR) and explored the possibilities for brand space to be developed into a cultural communication space serving public interest. Subsequently, the study explored measures for using public brand space for collective community and cultural communication, and hereby allowing the public to be engaged in mutual communication. It also investigated practical application cases to derive socio-cultural value and development potential. (Results) Brand infrastructure is built on corporate vision, mission, and mutually complementary values that they pursue, delivering a message that presents life values, relationships, and future possibilities to the public and consumers using this space. Brand space has transformed gradually from being a public space to public utility space. Public utility space is a social space transcending private space and public space and aims to promote cooperation for social integration, communication, particip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onclusion) Corporations and public contemplate on mutual values and derive inspiration through public brand space as public utility space while communicating ceaselessly to explore true values of life. Meanwhile, social integration and interchange are hindered in reality as public utility space continues as brand space for commercial, private, and corporate benefits, whilst not serving interests of the public as public space, which reveals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nationwide with corporate brand spatial operations. The community relationship brings greater value to human lives and sharing based on cultural communication promotes public interests, and consequently provides social foundation with a global influence on corporations, country, and humanity. Corporations will need to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through development of public space. They need to play a pioneering role in promoting mutual advancement by keeping in mind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social and human development, and create desirable social awareness underpinned by brand space for promoting public interests while being a meaningful space affiliated with human-oriented life valu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