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검사실 조명이 뇌파검사 중 광자극에 미치는 영향

        허재석,김승용(동조자),구희근(동조자),김기원(동조자),이창희(동조자),최장욱(동조자),배난영(동조자),최완수(교신저자)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4 임상생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4 No.-

        배경(Background) : 밝은 상황에서의 광자극이 환자에게 정확하게 자극이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암실 상황과 형광등이 켜져 있는 두 가지 상황에서의 빛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계를 이용하여 광자극의 밝기를 측정해 검사환경의 밝기가 뇌파검사 중 광자극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Methods): 램프와 조도계의 거리는 30cm로 하고 빛의 자극은 10초, 각 자극간의 간격은 10초로 하여 암실과 형광 등의 조건에서 각각 측정하여 조도를 기록하였다. 보다 자세한 측정을 하기 위해 Spectometer를 이용하여 두 상황에서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았다. 결과(Results) : 2~20Hz에서 모우 p-value가 0.05 이하의 결과를 보여주며 조명에 대한 빛의 간섭이 광자극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12Hz는 가장 낮은 p-value인 0.008이 나왔다. 25Hz, 30hz에서는 모든 값이 p-value는 0.1 이상으로 그 의미가 작았다. 고찰(Discussion): 뇌파검사 중 광자극에 중에서 의미가 높은 8~15Hz사이의 모든 결과 같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을 바탕으로 검사실에 대한 조명도 환자가 받는 광자극에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준비된 검사실이 아닌 응급실이나, 중환자실에서 할 때는 협조를 받아 조명을 끄고 뇌파검사 중 광자극을 실시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신체활동과 뇌질환 : 정신건강, 정신분열, 수면을 중심으로

        공성아,김연수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7 스포츠과학리뷰 Vol.1 No.2

        지난 10여년전부터 건강과 신체활동의 관련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신체활동과 여러 가지 질병 사망률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왔다. 그 가운데 최근 역학연구와 예방의학에서는 신체적 활동이 정신건강과 우울증, 걱정, 불안 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소규모 실험적 연구를 통해 신체활동과 운동의 긍정적 효과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찰은 현재까지 보고된 국내․외 역학연구와 실험연구들을 바탕으로 정신질환과 정신분열증 및 수면 장애 측면에서 신체적 활동이 뇌질환에 미치는 효과와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선행연구들을 고찰한 결과 규칙적인 운동이 주는 긍정적인 효과로는 적당한 운동을 통하여 피로와 권태 그리고 무미건조한 생활을 상쾌한 기분으로 전환시켜 생활감이 넘치게 하며 일상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나 노이로제 역시 깨끗이 씻어 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 삶의 질을 높이는 긍정적 결과를 갖게 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뇌질환 발병율을 낮추며, 예방과 치료 효과가 있지만, 중강도 이상 장시간 지속할수록 긍정적 효과가 더욱 큰 것으로 보인다. 특히 뇌질환은 여성, 노인, 청소년에게서 발병률이높고 사회경제적 상태와도 높은 상관을 보이기 때문에 저소득층이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을 증진시키는 정책적 접근이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ver the past decade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on the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the enhancement of health.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all-cause mortality has been examined in several prospective studies, and virtually all have indicated a reduction in risk. Furthermore, there appears to be a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disease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gular physical activities on brain disease. Epidemiology and intervention studies on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suggest that physical activity can improve mental health status, particularly depression, anxiety, and general well-being. The promotion of a physically active lifestyle is an important public health objective. These review suggest that there is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and decreasing depressive symptoms in brain disease, independent of pre-exist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However, But, the variation of physically activity is huge and it depends on many various factors: intensity, frequency, duration, and type of exercise. For this reason, it is hard to estimate the total physical activity accurately with large population in a long term study. The inconsistent results could be attributed, in part, to methodological issues, including crude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Therefore, further studies should be performed to develop more precise methods of estimating total physical activity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brain disease with female, adolescence, elderly.

      • KCI등재
      • KCI등재

        근감소증 진단 지표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공성아,성순창,김현수 대한운동학회 2016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8 No.4

        [PURPOSE] Sarcopenia is a term utilized to define the loss of muscle mass and strength that occurs with aging. Sarcopenia is believed to play a major role in the pathogenesis of frailty and functional impairment that occurs with old ag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d the prevalence of sarcopenia assessed using different diagnostic tool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31 women elderly subjects aged over 65 years.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Physical fitness was evaluated with 8 tests (grip and leg strength, sit-and-reach, chair sit to stand, one leg stand with open eyes, timed up and go, 4- and 10 m walking speed). Sarcorpenia was assessed by three methods (ASM/Ht2, SMI%, and MAMC). ASM/Ht2 was defined as ASM(appedicular skeletal mass) divided by body height in meters squared. SMI(skeletal muscle index)(%) was computed as (SMM/weight(kg) × 100), to determine relative sarcopenia, after calculation of SMM(skeletal muscle mass) as above from BI-derived ASM. MAMC(mid-arm muscle circumferenc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standard formula (MAMC=mid-arm circumferenc-( 3.14×triceps skinfold thickness). ASM/Ht2 or SMI% were <- 2 SD from the mean of the young reference group. [RESULTS] The prevalence of sarcopenia was 28(21.4%) by ASM (kg/Ht2) and 12(9.1%) by SMI(%). ASM/Ht2 (r=.884) and SMI(%) (r=.443) showed the high correlation with skeletal muscle. Nevertheless SMI(%) was higher correlation between BMI, SMM(kg) and %BF than MAMC and ASM/Ht2. [CONCLUSION] Our paper summarises currently available data defining sarcopenia cut-off point by ASM/Ht2, SMI(%), Anthropometry(mid-arm, calf, thigh) and AWGS(asian working group for sarcopenia) algorithm for sarcope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