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양성자 방출 단층 CT (PET-CT)에서 과대사 종괴로 발견된 후복강내 신경집종

        고평곤 ( Pyung Gohn Goh ),고광훈 ( Kwang Hun Ko ),김의식 ( Eui Sik Kim ),김윤정 ( Yun Jeung Kim ),이수윤 ( Soo Youn Lee ),문희석 ( Hee Seok Moon ),정현용 ( Hyun Yong Jeong ) 대한소화기학회 201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7 No.5

        Schwannoma is a benign neoplasm of the Schwann cells of the neural sheath. Most schwannomas occur in the head and neck, and extremities and rarely in the retroperitoneal space. The differentiation of a schwannoma from other malignant tumor or benign tumor is very difficult on a preoperative examination with ultrasonography, computed tomography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Furthermore, the lesion with increased fluorodeoxyglucose uptake in PET-CT cannot exclude malignant tumor. Therefore, this lesion needs surgical excision and a histological examination wit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 report a case of schwannoma occuring in the retroperitoneal space that incidentally discovered by PET-CT for health-check up. Pathologic confirmation by laparoscopic excision was done. (Korean J Gastroenterol 2011;57:323-326)

      • KCI등재

        간 외 담관암의 수술과 방사선 치료의 효과

        김정일 ( Jeong Il Kim ),강선형 ( Sun Hyoung Kang ),남관우 ( Gwan Woo Nam ),권대순 ( Dae Soon Kwon ),고평곤 ( Pyung Gohn Goh ),황세웅 ( Se Woong Hwang ),고광훈 ( Kwang Hun Ko ),정재훈 ( Jae Hoon Jung ),문희석 ( Hee Seok Moon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2

        목적: 간 외 담관암의 보존 요법, 근치적 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충남대학교병원에서 간 외담관암으로 치료를 받은 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8명(1군)은 경피 경간 담도 배액술이나 내시경적 담도 배액술을 받았고, 17명(2군)은 근치적 절제술을 받았으며 18명(3군)은 근치적 절제술 후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결과: 1년 생존율은 1군, 2군, 3군이 각각 33.3%, 64.7%, 88.9%였고, 3년 생존율도 제 1군, 2군, 3군에서 각각 5.7%, 64.7%, 61.1%였다. 1군보다 2, 3군에서 의미있는 생존율의 향상이 있었지만 2군과 3군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3년 무병 생존율은 2군이 64.7%, 3군은 66.7%로 차이가 없었다.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성별, 나이, 위치, 주위 신경침범, 수술 방법, 분화도, 림프혈관 종양 색전, T 병기, N 병기를 알아보았다. 2군내에서는 수술 방법, T 병기, N 병기가 의미있는 인자였고, 3군과 비교시에 분화도가 좋을 경우에 생존율이 높았다. 3군내에서는 연령만이 의미있는 인자였고, 2군과 비교시에 림프절의 전이가 있을 경우에 생존율의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재발율은 34.3%로 주위 조직과 림프절에서 주로 재발하였으며 방사선 치료 후에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간 외 담관암은 비수술적인 고식적 치료보다는 근치적 절제술이 생존율 향상에 필수적이다. 또한, 근치적 절제술이 시행된 경우에 연령이 젊고 림프절의 전이가 있을 경우 방사선 치료가 생존율을 높이는데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Aims: To evaluate the effect and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curative surgical resec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Methods: The authors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53 patients with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who were treat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98 and 2005. 18 patients (Group 1) were managed with percutaneous bile drainage (n=13) or endoscopic bile drainage (n=5), 17 patients (Group 2) underwent only curative resection, and 18 patients (Group 3) received radiotherapy after curative resection. The radio-sensitizer used in these patients was 5-FU. Results: Three-year overall survival was 5.6% in group 1, 64.7% in group 2, and 61.1% in group 3,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noted between group 2 and group 3. The disease-free survival rate was 64.7% in group 2 and 66.7% in group 3,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noted between the two groups. We evaluated age, sex, differentiation, tumor location, perineural invasion, operative method, lymphovascular tumor emboli, T stage, and N stage as possible prognostic factors. T stage, N stage, and operative method were significant factors in group 2, but age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in group 3. Group 2 patients had longer overall survival than did group 3 patients with well-differentiated cancer, but group 3 patients had longer survival than did group 2 patients with lymph node metastasis. The recurrence rate was 34.3% (mean value) and was no different between group 2 and group 3. Recurrence sites included local tissue, such as liver, and regional lymph nodes. There were no serious complications during radiotherapy. Conclusions: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surgical resec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after surgery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or recurrent rates. However, curative surgery is considered to be the only method to improve survival. Our results suggest that radiotherapy after curative resection may improve survival in patients with lymph node metastasis. (Korean J Med 75:194-201, 2008)

      • SCOPUSKCI등재

        연구논문 : 급성 독성간염 159예의 임상적 고찰

        강선형 ( Sun Hyung Kang ),김정일 ( Jeong Il Kim ),정경혜 ( Kyung Hye Jeong ),고광훈 ( Kwang Hoon Ko ),고평곤 ( Pyung Gohn Ko ),황세웅 ( Se Woong Hwang ),김은미 ( Eun Mi Kim ),김석현 ( Seok Hyun Kim ),이헌영 ( Heon Young Lee ), 대한간학회 2008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4 No.4

        목적: 최근 급성 간염의 많은 원인이 독성간염으로 밝혀지고 있지만 아직 그 빈도나 임상양상, 예후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들은 단일 기관에서 독성간염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에 대해서 임상양상과 예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3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단일 기관에서 독성간염으로 진단받은 환자 159예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Modified RUCAM score를 이용하여 4점 이상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간손상의 형태는 혈청 간효소치를 이용한 R값(ALT/ALT 상한치/ALP/ALP 상한치)에 따라 간세포형, 담즙정체형, 혼합형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A형, B형, C형간염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자가면역간염 등의 다른 간염의 원인을 배제하였다. 결과: 독성간염의 남녀 비는 62:97로 여자가 더 많았고, 연령은 51.0±15.4(범위, 16~90세)였다. 원인은 민간약제에 의한 것이 34%(54/159), 한 의사가 처방한 한약이 41.5%(66/159)였으며, 의사 처방에 의한 약제가 23.9%(38/159)였다. 민간약제는 봉삼이 14예(8.8%)로 가장 많았으며, 의사가 처방한 약 중에서는 항생제가 14예(8.8%)로 가장 많았다. 증상은 황달이 41.5%로 가장 많았으며, 복통(32.7%), 피곤함(20.1%), 오심(20.1%), 구토(10.1%), 가려움증(10.1%)의 순이었다. 내원 시 혈청생화학검사 소견은 AST 729.4±877.0 IU/L, ALT 857.1±683.0 IU/L, 총 빌리루빈 6.4±6.5 mg/dL, ALP 209.8±129.5 IU/L, GGT 227.6±284.8 mg/dL였다. 간손상의 유형은 담즙정체형이 6.9%, 간세포형이 60.4%, 혼합형이 32.7%였다. 입원기간은 10.0±9.5일, 간기능 수치가 정상으로 회복되는 데 걸린 시간은 31.0±29.5일이었다. 다중회귀분석 시 입원기간은 내원 당시의 혈청 알부민 및 총 빌리루빈 수치와 연관이 있었으며 식욕부진이 있는 환자에서 입원기간이 길었다(P<0.05). 회복기간은 내원 당시의 혈청 총 빌리루빈 수치와 연관이 있었으며, 복통을 호소한 환자에서 회복기간이 짧았다(P<0.05). 성별이나, 연령, BMI, 음주 여부, 약제의 복용기간은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159예 중 2예에서 사망하였으며 각각 B형 간경변증과 알코올간경변증이 독성 악화된 경우였다. 결론: 급성 독성간염은 민간약제와 한약에 의한 원인이 대부분이었고 간세포형이 가장 많았으며 내원 당시의 간기능의 정도가 입원기간 및 회복기간을 결정하였다. Backgrounds/Aims: Toxic hepatitis has recently been discovered to be a major cause of acute hepatitis. We studied the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of patients diagnosed with toxic hepatitis at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edical records of 159 cases of toxic hepatitis that were diagnosed from March 2003 to March 2008. Patients were selected based on a RUCAM score of 4 or above. Results: The incidence was higher in women (n=97) than in men (n=62). The age (mean±SD) of the patients was 51±15 years. The major causes of the disease included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therapeutic preparations (34.0%), herbal medicines (41.5%), and drugs prescribed by a physician (23.9%). At the time of admission, jaundice was the most common symptom (41.5%), and the results of a liver serum battery were as follows: aspartate aminotransferase, 729.4±877.0 IU/L; alanine aminotransferase, 857.1±683.0 IU/L; total bilirubin, 6.4±6.5 mg/dL; and alkaline phosphatase, 209.8±130.0 IU/L. The hospitalization period was 10.0±9.5 days, and the duration of recovery from liver injury was 31.0±29.5 day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ospitalization period included the presence of anorexia and the serum levels of albumin and bilirubin at the time of admission (P<0.05). A high serum bilirubin level and a history of alcohol ingestion were associated with a delayed recovery (P<0.05). The sex, age, BMI, and duration of medication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ospitalization and recovery periods. Conclusions: The main cause of acute toxic hepatitis in the current study was the use of herbal medicines. The severity of liver injury at the time of admission was a major factor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ospitalization and recovery periods. (Korean J Hepatol 2008;14:483-49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