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러디를 통한 사설시조 교육방안 연구

        고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고전 교육의 필요성과 효율적인 수업방안을 모색하던 중 패러디를 활용한 수업을 고안하였다. 고전문학이 고루하고 어렵다는 인식을 쉽게 바꿀 수 없는 학생들에게 좀 더 흥미롭게 수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재 학생들은 주위에 많은 영상매체로 인해, 수동적으로 보는 것에만 익숙해지는 등 활자매체에 대한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고전을 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하며, 비판하고 창조하는 과정을 능동적으로 즐길 수 있도록 마련해 주어야 한다.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패러디 이론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사설시조 교육방법을 구안하게 된다. 패러디는 예술 담론에서 새로운 창조의 바탕이 되며, 글쓰기에 흥미 있게 접근하는 글쓰기 방법을 제공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먼저 원작을 충분히 감상하고 이해한 다음에 모방, 창작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작품을 통한 비판적 감상과 창의적인 쓰기교육으로 인한 내면화를 거치게 된다. 먼저 패러디의 활용을 위해 패러디의 개념과 조건, 소통 구조를 살펴 본 후 이를 바탕으로 글쓰기를 할 수 있는 원작을 정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들 중심으로 각 단계에 맞게 활동들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자 중심 수업이 이루어진다. 패러디를 활용하는 글쓰기 과정을 학습한 학생은 원텍스트의 내용을 자신의 경험과 연관 짓거나 작가의 입장이 되어 보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사고할 수 있다. 여기서 교사의 적절한 개입과 지도는 배경지식이나 문학적 경험이 부족한 학습자들의 스키마를 자극하여 배경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역할이 되어 효과적인 수업이 될 수 있다. 고전을 기피하고 글쓰기를 싫어하는 학생들에게 원작과는 다른, 재창작된 자신의 작품으로 완성하여 자신감과 고전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패러디를 활용한 사설시조의 짧은 창작은 수업에 흥미와 관심을 충분히 유발하여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 수 있겠다. 그러한 과정에서 여유롭지 못한 수업 시간에 쫓겨 활동하지 못하는 현실적인 일이 없었으면 하겠다. The present thesis devised class utilizing parody while seeking the necessity of classical education and an efficient class method. The purpose of the present thesis is to make students, who cannot easily change the recognition that classical literature is obstinate and difficult, take a class more interestingly. Currently, students get used to seeing passively due to many surrounding video media and are not feeling charm on print media. Amid the reality like this, teachers should arrange students to actively enjoy a process that understands, appreciates, criticizes create classical literature rightly. The 7th curriculum demands learner-oriented education and self-initiative and active learning of learners. In this viewpoint, the present thesis gets to devise an efficient educational method of a form of sijo with no restrictions on the length of the first two verses based on a parody theory. The parody has a meaning that becomes a basis of new creation in arts discourse and provides a writing method that can interestingly approach writing. After students first appreciate and understand original works sufficiently and then pass through imitating and creating processes, they get to go through internalization due to critical appreciation through works and creative writing education. First, after students examine a concept, conditions and communication structure of parody for utilization of parody, they decide original works that can do writing based on this. This writer suggested learners-oriented activities suitable for each step based on this. The active and positive learners-oriented class is executed in this process. The student, who learned a writing process utilizing parody, can think in various ways such as linking the content of one text to his own experience or becoming a standpoint of a writer, etc. Here, the proper intervention and guidance of a teacher stimulate a schema of learners having insufficient background or literary experience and thus can become an efficient class by becoming a role that can utilize the background knowledge. This makes students, who avoid classical literature and dislike writing, feel confidence and interest i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completion of one's own recreated works. The short creation of a form of sijo with no restrictions on the length of the first two verses utilizing parody can sufficiently induce interest in class from students and draw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This writer hopes that there will be no realistic matter that students cannot act due to insufficient class hours in such a process.

      • 공연예술 속 영상 미디어 활용에 있어서의 내용적 재매개와 체험적 재매개 : 뉴미디어 콘텐츠의 확장된 내러티브와 관객성

        고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대를 구성하는 기술과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는 뉴미디어 시대에 예술은 하나의 매체로는 규정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런 환경 속에서 각 매체들이 교환하는 가치와 그로 인해 사라지는 것, 그리고 새롭게 생겨나는 것들에 대한 탐구는 콘텐츠 수용자 입장에서는 수용 범위의 확장의 폭을 넓히고, 창작자의 입장에서는 매체적, 연출적 다양성에 대해 탐구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은 ‘다원적인’ 특성을 띄는 예술작품 사례 중, 내러티브를 지닌 공연예술과 영상으로 한정하여 두 매체 간의 상호보완적 그리고 상호교환적 사례들을 살펴본다. 이때 볼터(Bolter, J.)와 그루신(Grusin, R.)의 ‘재매개’ 이론은 작품들이 기존 미디어를 개조하여 스스로 의미를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론으로 뒷받침된다. 영화사를 되짚어보면 영화는 연극의 서사를 획득하여 내러티브 영화의 장을 마련했고, 연극은 독자적인 언어성을 획득한 리얼리즘 영화로부터 다시 영상 언어를 차출해갔다. 공연예술의 스펙타클(specatacle)을 재현해내는 뮤지컬 영화가 등장하고, 물리적으로 경험하기 힘든 공연을 보고자 하는 욕망은 공연을 NT Live와 같은 영상 형태로 재생산하였다. 미장센(mise-en-scène)이란 단어를 공유하고 있는 연극과 영화는 무대 위의 제약을 허물고 형식면에서 상호 교류할 때 새로운 예술적 체험을 만들어냈다. 두 매체가 재매개된 작품은 내용적으로, 또 체험적으로 비매개적이면서 하이퍼매개적인 특성을 갖게 된다. 모순된 이 두 논리에 의한 충돌은 재매개된 작품은 물론 그 작품을 경험하는 관객의 자아에도 적용된다. 자기규정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이런 뉴미디어적 경험은 관객으로 하여금 일방적인 연극 관람과 영화 관람 방식을 탈피하도록 한다. 또, 한스-티스 레만(Hans-Thies Lehmann)의 주장처럼 매개된 메시지가 주는 모호한 형식을 통해 더 유연한 정치적, 윤리적 사고를 하게 되는 ‘지각의 정치(politics of perception)’가 발현되기도 한다. 관객의 능동적인 태도, 작품을 통해 요구되는 사회적 정체성과 주체성에 대한 질문은 재매개 작품들이 공통적으로 만들어내는 관객성이다. Key words : 재매개, 뉴미디어 내러티브, 포스트-드라마 연극, 포스트-시네마틱 퍼포먼스, 능동적 관객성 In the new media age in which the structures and technologies comprising the world are changing rapidly, in many cases are cannot be easily defined within a single medium. In this context, studying the values exchanged by each medium and what is lost and gained as a result of such exchanges enables contents consumers to broaden the variety of content while allowing creators to explore diversity in terms of media and directing. Among the various forms of art that show “pluralist” characteristics, this thesis limits its focus to narrative-driven performing arts and video arts, and looks into the complementary and interchangeable cases of the two media. Here, the “remediation theory” of Bolter, J. and Grusin, R. is used as a lens through which to demonstrate the process of acquiring their own meanings while re-creation the existing media. Looking back on the history of film, a new chapter in the history of narrative films began when films incorporated the narratives of theater into themselves, while the theater once again adopted video language from realistic films, which gained a distinctive linguistic characteristic. Musical films reenacting the spectacle of performing arts were introduced, and the desire to view performances that could not easily be experienced directly led to the reproduction of performances in video form, as was the case with National Theatre Live in the United Kingdom. Film and theater, which share the term “mise-en-scène,” created a new artistic experience by eliminating the limitations of the stage and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n terms of their formal aspects. Works of arts produced through the remediation of two media have immediacy and hypermediacy in terms of their content and the viewing experience. The collision of these contradictory aspects emerges both in the remediated work and in the ego of the audience experiencing the work. Such new media experiences, which offer new opportunities for self-definition, enable the audience to break away from their one-sided way of seeing plays and films. Moreover, as Hans-Thies Lehmann has claimed, the “politics of perception” sometimes unfold where a more flexible political and ethical thinking is made possible through the vague from offered by the mediated message. The forms of spectatorship that remediated works commonly bring out include the active attitudes of the audience and the questions about social identity and subjectivity raised by the work.

      •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연계를 이용한 내.외과계 간호단위 간호정보시스템 구축

        고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resence of clearly defined knowledge i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profession with autonomy. As a profession, nursing should adduce grounds for what nurses ought to do for the sake of academic progress, what differentiates from other professions, and what sorts of nursing activities can be visualized on how much nurses make contributions to their patients… health. Nursing Information System (NIS) is a computer system collecting, using, saving, searching, and exchanging the data for the nursing services. It is necessary for NIS for the nursing process to establish its profession and to improve its quality through the systematic and yet scientific approaches in problem sol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pply and evaluate NIS using NANDA-NOC-NIC linkage (NNN linkage), which is the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in medical· surgical nursing units. Based on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SDLC), NIS was develop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ehring's content validity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 EXCEL and SPSS 13.0. Results of each phase are as followed. 1. Construction of database In order to construct databa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July, 2007 at the third level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 city. The data were composed of the survey from the 72 nurses with over three years experiences and the electronic nursing records of inpatients in medical surgical nursing units. The database of NIS was made up of 57 NANDA, 503 nursing assessment statements, 127 NOC, 482 nursing outcome indicators, and 272 NIC including approximately 2,500 nursing activity statements frequently applied to the inpatients from the 18 medical· surgical nursing units. 2. Development & Implementation of NIS The NIS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NIS…s flow diagram-Nursing assessment statement, NANDA, NOC, the 1st Nursing outcome indicators, NIC, and the 2nd Nursing outcome indicators- in order. The developed NIS was linked to the order communication system and was implemented by 202 nurses, learned the use of NIS, working at the 18 medical· surgical nursing units. The NIS's implementation was tested from October 11th, 2007 to October 14th, 2007. After its primary implementation, problems in NIS were identified and solved. 3. Application & Evaluation of NIS The developed and revised NIS was applied from October 17th, 2007 to November 11th, 2007 in 18 medical· surgical nursing units. It was applied to the 130 inpatients by the trained 202 nurses. Among the 57 constructed nursing diagnoses, it was 41 nursing diagnoses were identified. The most frequent nursing diagnoses were Acute Pain (11.7%), Delayed Surgical Recovery (9.7%), Deficient Knowledge (Specified)(8.5%), Impaired Gas Exchange (6.0%), and Risk of Infection (5.1%) respectively. The 104 Nursing outcomes were identified from the 127 constructed Nursing outcomes. As for the frequency of nursing outcomes were, Pain Control (7.6%), Wound Healing: Primary Intention (5.2%), Pain Level (5.0%), Infection Severity (5.0%), Respiratory Status: Ventilation (3.5%). Among the 272 constructed nursing interventions, 166 Nursing interventions were identified. They were prevalent in the order of Pain Management (9.7%), Fall Prevention (5.2%), Wound Care (4.9%), Bleeding Precautions (2.7%), and Fever Treatment (2.7%). In conclusion, the developed NIS for this study is linked with OCS. Both nursing outcome and nursing intervention are to draw from being clicked the appropriate nursing diagnosis, and that’s how supports nurses’ clinical decision. Thus, an application of NIS using NNN linkage can be implied nursing process correctly and systematically in clinical practice. It will be prove superiority of retrospective outcome evaluation uses nursing information to the professional nurse's activity. 자율성을 지닌 전문직의 핵심 요소 중의 하나는 명확하게 정의된 지식체의 존재 유무이다. 전문직으로서의 간호는 학문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간호사가 무엇을 행하고, 타전문직과의 다른 점이 무엇이며, 환자의 건강에 간호사가 어떤 공헌을 하는가에 대해 간호업무를 가시화시킬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간호정보시스템은 간호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를 수집, 이용, 저장, 검색 및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시스템이며, 이 중 간호과정 정보시스템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문제해결과정을 통하여 간호의 전문성을 확립하고 간호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표준화된 간호용어인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의 연계(NNN Linkage)를 이용하여 내·외과계 간호단위에서 간호정보시스템 구축한 후 이를 토대로 간호정보시스템을 적용 및 평가하였다. 간호정보시스템 개발은 시스템 개발 수명주기(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SDLC)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Excel과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Fehring 기법을 이용한 내용타당도 검증과 서술통계로 분석하였다. 연구 단계별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데이터베이스 구축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자료 수집은 2007년 3월부터 7월까지 G광역시에 위치한 3차 의료기관인 C대학교병원에서 내·외과계 근무경력 3년 이상의 간호사 7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내·외과계 입원환자의 전자간호기록 검토를 통해 이루어졌다. 간호정보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는 내·외과계 간호단위 입원환자에게 자주 사용되는 57개의 간호진단, 503개의 간호사정 진술문, 127개의 간호결과와 482개의 간호결과지표, 272개의 간호중재 및 2,500여개의 간호활동 진술문이었다. 2. 간호정보시스템 개발 및 구현 간호정보시스템은 ‘간호사정 진술문-간호진단-간호결과-1차 간호결과지표 평가-간호중재-간호활동 진술문-2차 간호결과지표 평가’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었다. 개발된 간호정보시스템을 C대학교병원의 처방전달시스템에 적용하고, 18개의 내·외과계 간호단위에서 근무하는 20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정보시스템 사용에 대한 교육 후 2007년 10월 11일부터 14일까지 시범적용하였다. 시범적용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해결하고, 시스템을 수정보완하였다. 3. 간호정보시스템 적용 및 평가 개발된 간호진단-간호결과-간호중재 연계를 이용한 간호정보시스템을 18개 내·외과계 간호단위에서 2007년 10월 17일부터 11월 11일까지 적용하였으며, 202명의 간호사가 130명의 입원환자에 대해 간호정보시스템에 입력한 자료를 근거로 분석하였다. 간호정보시스템에 구축된 57개의 간호진단 중 41개의 간호진단이 사용되었으며, 가장 많은 빈도로 사용된 간호진단은 급성통증(11.7%), 수술 후 회복지연(9.7%), 지식부족(8.5%), 가스교환장애(6.0%), 감염 위험성(5.1%) 순이었다. 간호결과는 127개 중 104개가 사용되었으며, 가장 많은 빈도로 사용된 간호결과는 통증조절(7.6%), 상처치유: 일차유합(5.2%), 통증수준(5.0%), 감염정도(5.0%), 호흡상태: 환기(3.5%)의 순이었다. 간호중재는 272개 중 166개가 사용되었으며, 가장 많은 빈도로 사용된 간호중재는 통증관리(9.4%), 낙상예방(5.2%), 상처간호(4.9%), 출혈예방(2.7%), 고열치료(2.7%)의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간호정보시스템은 처방전달시스템과 연계되어, 간호과정 틀에 따라 간호사정 진술문을 선택하게 되면 가능한 간호진단 목록이 도출되고, 적합한 간호진단을 선택하게 되면 간호결과와 간호중재가 자동으로 도출되어 간호사의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전문가의 사고 과정에 따라 의사결정을 지원해주는 본 간호정보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임상실무에서 간호과정의 정확하고 체계적인 활용을 도우며, 나아가 전문직 간호사의 간호활동에 대한 간호정보를 이용한 후향적 성과평가의 수월성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전류, 전압차에 의한 이미징 기법

        고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visualize the distribution of theinternal conductivity profile of an object. It is based uponmeasurements of voltage or current made at the body's surface.The relation between applied currents and measured voltagescontains the necessary information of the internal conductivity ofan object. And this relation can be described as mathematicalequations and numerical algorithms.To get the solution of the induced equations,we solve the inducedelliptic direct equations many times.In this paper, we use FEM (Finite element method) to solve theelliptic PDE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This particularalgorithm developed by Barber and Brown has shown itself to besurprisingly effective given its low cost. In this paper, weanalyze the Barber and Brown method in some detail and solve thedirect elliptic PDE by using Visual C++ Programming.To understand general Radon transform, it includes Radon TransformResult and also includes direct FEM programming which was made byC++ source code.

      • 아파트단지 부대·복리시설 공급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전용면적 85㎡초과, 60~85㎡, 60㎡미만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고은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파트는 지금까지 단순히 대량의 주택공급을 위한 도구로써 활용되어 왔기 때문에, 단지의 외부공간보다는 전용공간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여 왔고, 이로 인해 생활공간으로서의 아파트 환경은 고려된 경우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아파트에 대한 교환가치의 증대와 더불어 생활의 질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아파트의 경우에서 과거처럼 단순히 적정한 규모의 전용공간만을 추구하던 것에서 벗어나 외부공간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외부주거환경에 대한 욕구의 증가는 아파트의 외부공간에 대한 수요를 다양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입주민의 의식향상은 기존의 아파트단지 내 외부공간의 대부분이 도로와 주차공간으로 채워져 있고, 어린이놀이터를 포함하여 입주민들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원 및 녹지공간은 최소한의 법적 요건만 충족한 채 기능적·조경적으로 전혀 고려되지 못한 계획으로 오늘날의 단지환경에 대한 불만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대·복리시설에 대한 입주민의 의식조사를 토대로 부대·복리시설 공급에 관한 기준을 설정하고, 시설의 배치, 규모에 관한 계획, 설계 기준 및 관련 법 규정을 조정하며, 이용이 적거나 성능이 떨어지는 부대·복리시설을 지양함으로써 아파트 단지 내 한정된 가용공간 자원의 이용효과를 높이고, 입주민의 부대·복리시설 이용에 대한 활성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아파트 단지를 구성하는 전용면적별 입주민의 특성과 부대·복리시설 공급의 적정성에 대해 살펴보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아파트 단지의 부대·복리시설의 공급은 각 단지의 특성을 대체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세대수 구분에 의한 부대·복리시설의 법적 공급기준이 각 아파트 단지를 구성하고 있는 전용면적별 구분에 의한 입주민의 특성과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입주민의 단지 내 부대·복리시설 이용은 각각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옥외활동이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이루어지는 특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파트단지 내 각 부대·복리시설 공급의 적정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차장에서는 현행 주차장 설치에 대한 규정이 변화되는 단지여건을 충족시키기에는 힘든 규정임을 알 수 있었다. 전용면적별로 서로 다른 지하주차장 설치비율은 실제 입주민의 요구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차장 확보 시 지상주차보다는 지하주차장의 확보에 대한 보완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경시설은 부대·복리시설 중 아파트 단지의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시설로 나타났으며, 조경시설에 대한 세부요소 및 공간에 대한 구체적인 규제가 없어 공급자의 계획적 측면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조경시설은 공급특성상 시설 측면보다는 공간적 측면으로 해석해야 하며, 조경공간에 대한 세부 요소의 규정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단지 내 조경공간이 정적공간이 아닌 교육 및 체험을 위한 동적공간으로의 변화 요구가 높았다. 이는 최근 들어 아파트 단지 내에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조경시설의 종류 및 구성방식에 대한 이용 후 평가 및 입주민 특성에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현행 어린이놀이터 설치 규정은 면적과 시설물의 안정성에 대한 규정만 있어, 시설 공급에 있어서는 건설사의 계획에 의존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어린이놀이터 수준에 대한 불만족이 높게 나타나 시설의 질적개선이 우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 이용에 있어 다수의 이용계층을 위한 놀이시설로의 변화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민운동시설의 경우, 최근 사회적 관심이 되고 있는 건강에 대한 욕구가 입주민의 의식에도 영향을 미쳐 단지 내 운동시설에 대한 양적·질적 개선에 대한 입주민의 요구사항이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로 관리사무소에 있어서 입주민의 의식은 전반적으로 현 수준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파트를 비롯한 공공주택을 재산증식의 수단이나 잠시 거주하는 대상으로 여기는 풍조가 지배적이므로 평생 주거지라는 개념이 희박하고, 관리사무소의 관리 및 이용에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경로당은 이용계층을 위한 시설의 필요도에 대해서는 전체 단지에 걸쳐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시설면적의 확장보다는 질적개선이 우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로 근린생활시설의 경우, 시설의 기능 및 성격 상 주거기능과 더불어 상호 유기적인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입주민 역시 주거생활의 편리성 때문에 시설의 필요성을 높게 생각하고 있었다. 여덟째, 주민공동시설은 각 세부시설에 대한 규정이 없어 시설 공급기준이 애매하고 입주민의 시설 인지도 또한 낮았다. 이는 주민공동시설의 각 세부시설별 성격 및 이용 행태를 고려한 계획이 필요하고, 시설의 적정 규모에 대한 규정의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아홉째로 보육시설의 공급이 영육아 30인을 수용할 수 있는 면적으로 규정되어있어 공급기준이 애매한 실정이다. 또한,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치원의 기능과 유사한 성격의 보육시설에 대한 계획적 측면에서의 공급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열째, 문고의 경우에는 주민공동시설에 설치할 수 있는 도서실 및 독서실의 기능 및 성격이 비슷해 법적 기준에 의한 구체적 규정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하며, 입주민 측면에서는 다양한 계층을 수용할 수 있는 계획이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내공간시설 중 놀이터, 경로당, 문고, 보육시설, 주민공동시설 등은 시설의 이용에 있어 특정계층을 위한 공급보다는 다양한 계층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시설로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며, 시설의 공급에 있어서 시설 면적의 확충보다는 질적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부대·복리시설의 공급 목적 상 입주민의 단지 내 생활에 있어서 이용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각 시설에 있어 관리주체 및 이용주체, 시설기능 등에 따른 복합사용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partment was a tool for supply of large quantity so far simply. Because of, formerer out-door space than space of floor was important. There was no consideration about environment as life in apartment complex. But, value in exchange of apartment complex increased these day. Also, request about quality of life as rising, request that must enhance quality of out-door space is growing. Increase of request about external environment is doing demand about out-door space of apartment complex variously. Out-door space of resident's level elevation who is such is satisfy minimum legal important matter in existent apartment complex and these plan nowaday only by complaint about environment appear. Out-door space of these resident's Consciousness level elevation is satisfy minimum legal important matter and is appearing by complaint about environment only in existent apartment complex. So, a study that see hereupon probed resident's consciousness about communal & service facility of apartment complex and set criterion about law. Utilization is small to heighten utilization effect of equipment in apartment complex and performance searched for 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oing activation way presentation about resident's communal % service facility by using. Supply of communal & service facility is not reflecting special quality of each apartment complex by size of floor space. Also, there was difference with resident's special quality who legal supply standard of communal & service facility by number of households division ensues each apartment in exclusive use area only. The suitable of communal & service facility appeared as following. Current establishment regulation of parking lot change that to satisfy situation only difficult. Different underground parking lot establishment rate was variance with actuality resident's request according to size of floor space. When secure parking lot area, need security of underground parking lot than ground parking lot. Second, landscape is affecting most satisfaction of apartment complex of communal & service facility. Also, specific law about details element and space about landscape in apartment complex there is no and show tendency that depend on aforethought side of caterer. Landscape in apartment complex must analyze for space side than equipment side and Regulation of details element about landscape space could know that should be gone ahead. Specially, change request of same long-standing labor for education and experience that activity landscape is not inactivity landscape was high. This could know that consideration need in assessment and resident special quality of post occupancy evaluation about kind of landscape and composition way been trying variously in apartment complex these days. Third, current child outing place establishment regulation is regulation about area and stability of facilities, equipment supply is displaying phenomenon that depend on a plan of construction company. Dissatisfaction about child outing place level appeared that laziness or incress of equipment should be been prior high, and appeared by thing that change request to play equipment for many utilization class in equipment utilization is high. Fourth, in case of sports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to sports facilities in only because desire about becoming health of recently social interest influences to resident's consciousness high drought quantitative·resident's requirement about qualitative improvement highly appear. Resident's consciousness in superintendent's office appeared by thing that is satisfying in present level generally by fifth. Also, appeared that active participation need in concept is rare, and supervision of superintendent's office and using of is residing all life because tendency which think public house which begin apartment complex as implement of wealth propagation or destination that for a while inhabit is dominate. Sixth, that appeared by similar level over whole apartment complex by size of floor space about necessity degree of equipment for utilization class per path, and appeared that improvement of quality than extension of equipment area should be been prior. Seventh, in case of Neighborhood Facilities have reciprocity organic connection along with function of equipment and personality upper residing function, and the residents was thinking necessity of equipment high because of convenience of housing life. Eighth, inhabitants public facility because there is no regulation about each details supply that equipment supply standard is vague and is resident's facility also low. This could need plan that consider each details equipment different personality of inhabitants public facility and utilization formal type, and improvement of regulation about optimum scale of equipment know that need. Ninth, supply of child care facility is real condition that have been prescribed by area that sprit and flesh can accommodate 30 persons and supply standard is vague. Also, supply in deliberate side about child care facility of personality similar to function of kindergarten could know that should be gone ahead to heighten availability. Tenth, in the case of library which can establish to inhabitants public facility and that specific regulation by legal standard should be improved preferentially because function and personality of reading room are similar and plan that can accommodate various hierarchical in occupancy people side should be considered appear . Finally, each communal & service facility, size of floor space equipment, change to equipment that various hierarchical than supply for specification class in using of equipment of library, child care facility, inhabitants public facility etc. can use together that should be gone ahead, could know that qualitative improvement than expansion of equipment area in supply of equipment must consist preferentially. Specially, because of supply purpose of communal & service facility, because availability in life is very important element in residents, it is judged that research about composition use by management subject in each facility and using subject, facility function etc. should be continued. Also, improvement of legal supply standard of unit welfare equipment by current number of households division is required by number of households and supply standard by component ratio according to size of floor space.

      •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환자의 피로 관련요인간의 상관관계 연구

        고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환자들에게 있어서 피로는 가장 흔하게 경험하는 증상이며, 다원인적이고 다차원적인 속성을 갖는 개념이다. 피로는 질병과정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는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환자의 피로 정도 및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피로를 완화하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 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01년 3월 7일부터 5월 31일까지 광주광역시 소재 C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 외래를 내원하여 치료 목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환자 9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와 의무기록지 검토를 통해 이루어졌다. 피로 측정도구는 Barbara Piper(1987,1998)가 자신이 제시한 통합피로모형을 근거로하여 개발한 Revised Piper Fatigue Scale 19문항을 이은현(1998)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피로관련요인측정도구로 McCorkle과 Young(1978)의 Symptom Distress Scale, Jones(1993)의 일상활동장애 측정도구, 김신미(1997)의 수면 불만족 측정도구, Sutherland 등(1988)의 LASA Scale, 태영숙(1985)의 가족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AS-PC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t-test, Fisher's Least Significance Differenc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가 사용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평균 피로 정도는 중등도(5.59=1.59)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피로정도는 무종교군, 저소득층, 자녀돌봄군보다는 배우자돌봄군에서, 그리고, 비인두암, 두경부 방사선 조사군, 진통제 복용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의 피로는 신체적 증상, 일상활동 장애, 수면불만족 그리고 기분상태와 중등도의 유의한 정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가족지지와는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환자들은 치료 과정에서 중등도 이상의 피로를 경험하며, 다원인적 요소들이 피로와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연구대상자를 확대하여 피로 및 관련 요인에 대한 반복 연구와 방사선 치료경과에 따른 종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atients with cancer receiving radiation therapy experience fatigue the most commonly. Fatigue is a concept with multicausal and multidimentional characteristics. Fatigue influences negatively the disease process and usual activity and then consequently decreases quality of life. The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degree of fatigue and its related factors, to obtain baseline data of nursing intervention to decrease fatigue in cancer patients during the radiation therapy.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98 patients receiving radiation therapy for curative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t radiation oncology unit in a C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7 to May 31, 2001. It is used to questionnaire and medical record for data collection. The research instruments were for fatigu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developed by Barbara Piper(1998) which was translated and modified by Lee, Eun-Hyun(1998); for related factors to fatigue, McCorkle & Young's(1978) Symptom Distress Scale, Jones's(1993) Disruption of Usual Activity Scale, Kim's(1997) Sleep Dissatisfaction Scale, Sutherland et al's(1988) LASA Scale, and Tae's(1985) Family Support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analysis, ANOVA, t-test, Fisher's least significance difference(LSD),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mean score of fatigue was middle level(5.59=1.59) and 72.4% of subjects reported greater than 5 points for fatigue. The scores of fatigue of no religion, low income, and spouse caregiver groups were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respectively. And also the scores of fatigue of nasopharyngeal cancer, Head & Neck radiation site, and analgesics medication groups were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respectively. The score of fatigue was not on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ores of symptom distress, disruption of usual activity, sleep dissatisfaction, and mood state, but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at of family suppor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cancer patients receiving radiation therapy experience the middle level of fatigue and the fatigue of cancer patients correlates to the multicausal factors.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identify fatigue-related factors and to identify the changes of fatigue over the period radiation therapy through longitudinal design.

      • 공격성과 분노 정서 유발이 얼굴 표정 정서 판단에 미치는 영향

        고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gression and anger induction on perception of facial expressions. 208 high school students in the 10th grade completed scales on aggression (Aggression Inventory) and anger (State 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Based on the aggression score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High Aggression Group and Low Aggression Group. The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two mood induction conditions (anger induction condition and comparison condition) in which mood was induced by showing films. After watching the films, the subjects completed the anger scale and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ll participants watched 24 pictures of faces with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and rated facial expressions of emo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wo-way ANCOVA.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aggression significantly influenced perception of emotion, but the anger induction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effect of the level of aggression on the perception of facial expressions was significant in positive and neutral facial expressions. The High Aggression Group rated the positive and neutral facial expression more negatively than the Low Aggression Group.The present study clarified the role of aggression on the perception of facial expressions. Also the present study was unique in its use of facial expression as stimuli in the emotion perception task which was an efficient method for representing emotions. 본 연구에서는 공격성과 분노 정서 유발이 다른 사람의 얼굴 표정을 보고, 그의 정서 상태를 판단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208명을 대상으로 공격성 수준에 따라 상위 30%는 공격성 상위 집단, 하위 30%는 공격성 하위 집단으로 나누었다. 정서 조건은 분노 유발 조건과 비교 조건이며, 두 가지 조건으로 조작하기 위한 영상물을 실험 참가자에게 보여주고, 제시되는 얼굴 사진의 정서 상태에 대해 판단하도록 하였다.이원공분산분석 결과, 긍정적 얼굴 표정과 중립적 얼굴 표정에 대한 공격성 수준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정서 조건의 주효과, 공격성 수준과 정서 조건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부정적 얼굴 표정 자극에 대한 공격성 수준의 주효과, 정서 조건의 주효과, 공격성 수준과 정서 조건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긍정적 얼굴 표정과 중립적 얼굴 표정에 대해서 공격성이 높은 집단이 공격성이 낮은 집단 보다 더 부정적으로 판단하였고, 부정적 얼굴 표정에 대해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본 연구는 공격성이 얼굴 표정 정서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고, 정서 상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비언어적 단서인 얼굴 표정을 사용하여 공격성향자의 부정적 정서 판단 편파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가람 이병기 시조 연구 : 연시조를 중심으로

        고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가람 시조가 그의 시조 지침과 마찬가지로 종래 시조의 추상성과 관념성에서 벗어나 구성, 표현 방법 등에서 구체성과 개성을 보여주는 점에 주목한다. 특히 가람은 무엇보다도 단시조 일변도였던 고시조와는 달리 많은 양의 연시조를 실험 창작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가람 연시조를 고찰하여 그의 시조로 하여금 현대적 감수성을 표현하게 하는 양상을 검토한다. 그러나 이렇게 새로운 가람 시조의 모습은 그 이전의 시조적 질서와 전혀 무관한 것이 아니다. 시대와 사회가 바뀐다 해도 시조는 시조 그것이어야 한다는 명제만은 변함이 없다. 즉 시조는 시조의 정형적 틀인 '시조성'을 유지해야만 한다. 현대 시조는 시조성을 기층구조로 한 표현이라는 점에서는 전통시조와 같지만, 그 표현은 개성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가람의 현대 시조는 현대적 요소와 시조성에 그 존재 여부가 달려 있다. 따라서 본고는 가람 시조의 현대적 요소와 시조성, 즉 시조의 형식<시조성>과 내용<현대 정신>, 이러한 이질적인 모순의 통합이 어떻게 심미 체험을 이루고 있는가를 그의 창작이론인 <시조혁신론> 에 맞추어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않았던 각종 문예 잡지와 신문에 발표한 1920-30년대의 시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람 시조의 전기와 후기의 계기를 1932년<시조는 혁신하자>를 기점으로 하여 전·후의 변모 양상을 검토한다. 먼저 가람 시조의 형식적 차원에서 핵심이 되는 연시조의 구성과 의미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내용적 차원의 고찰을 위해 서정의 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특히 가람의 구체적인 표현으로서의 서정은 '賞感實情'이다. 필자는 본고에서 이렇게 실제 체험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서정을 '實感實情의 서정'이라 이름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주의적 서정의 이론적 고찰을 돕기 위해, 전통적·고전적 서정시론에서 확대된 서정 이론을 수용하고, 의미의 형상화 방법 중 묘사를 검토한다. 끝으로 앞선 논의들에서 밝힌 가람 연시조의 변별 자질들을 여타의 시조들과, 또 시대 상황을 고려하여 더욱 심화·확장해본다. 그리하여 가람 시조의 시조성과 현대성의 문학사적 의의를 밝혀보고자 한다. 첫째, 전기는 '공<公>적 체험의 관습적 표현화' 단계로서 전통적인 연시조의 모습을 보인다. 가람은 <시조혁신론>에서 '格調의 變化'를 주장한다. 즉 과거 시조의 모습이 '부르는 시조'였다면 이제는 '짓는 시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조혁신론> 발표 전인 전기의 시편에서는 그가 언급했던 과거 시조의 모습, 즉 '부르는 시조'적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부르는 시조'는 특히 전통시조의 '구술성'<Orality>에 의존한다. 이와 같이 구술적인 전기 시편들은 '병렬 구성'을 취하고 있다. '병렬 구성'<Paratatic Structure>이란 시의 음악성에 관한 논의에서 형식과 주제의 반복을 중요시하는 구성이다. 병렬은 시에 있어서 한 쌍의 서로 다른 구절, 행, 운문 등이 대응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진 패턴들이 규칙적인 반복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 구성은 우리 시가의 보편적인 연형식 구성인데, 가람의 전기 시조 역시 각 연들을 통해서 구상화되는 제재들이 서로 대등하게 반복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병렬 구성은 구술문화에서 표현한 사고를 기억해 두고 그것의 재현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기억하기 쉬운 형태로 만든 것이라 할 수 있다. 내용상으로는 현실 상황에 대한 선험적 인식이 주가 되어 그 내용이 지극히 공<公>적이고 보편적이다. 또한 전기의 시조에서는 전통 서정시에 주로 나타나는 표현적 서정이 실현된다. 특히 각장의 종지형을 살펴보았을 때 더욱 두드러지는데, 영탄적 어법을 통해서 직설적인 정서의 표출이 자주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가람의 시조는 종래의 시조에서 행해지지 않았던 감각적이고 개성적인 묘사가 나타나기에 이르면서, 점차 實感實情적으로 변형한다. 그러므로 전기는 實感實情의 선행 단계적 위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의 시편으로는 <時調三章>, <새봄> , <가을> 등이 있다. 둘째, 시조혁신론 이후의 '자기 체험의 객체적 재현화' 시기에는 '짓는 시조'로서의 연속구성과 객관적 묘사를 통한 지시적 서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가람의 연시조는 이제 음악적 측면보다 문학적 대상으로 읽을 수 읽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연속 구성이다. 연속구성<sequential Structure>은 연 배열을 통해서 시상의 線條的 진행<liner development>을 보이는 구성이다. 이 구성은 무엇보다도 '시간과 논리의 연속'과, 각 연들의 긴밀성<coherency>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시간과 논리의 연속을 따라서 진행되므로 기존 연시조의 한계점으로 지적되는 詩想의 중복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짓는 시조'로서의 연속 구성은 '쓰기' 즉, 문자성<literacy>에 의해 지식의 객체로부터 지식의 주체를 분리해낼 수 있는 정확하고 분석적인 감각에서 기인한 것이다. 가람은 실제 체험을 바탕으로 한 기행이나 자연물의 변화 등을 시간과 공간의 추이에 따라 線條的으로 보여주는데, 특히 기행시조의 연속 구성은 각 연이 한 장면씩 카메라로 적어 옮겨 놓은 듯한 영상적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는 재현하고자 하는 대상<객체>이 자신에게 어떤 의미로 경험되는지에 관한 진술과, 대상과 주체가 어떻게 교섭하는지에 대한 일체의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단지 대상의 형상만을 재현 할 뿐이다. 그러므로 감정 표현은 배제되고, 구체적인 묘사를 통한 지시적 서정이 실현된다. 그러나 그의 <寫生論> 중 '實物, 實事'만을 담고 있을 뿐, '實感, 實情'에 이르지 못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대표적 시편으로는 <溪谷>, <迦葉峯>, <소나기>, <道峯> 등이 있다. 셋째, '자기 체험의 주체적 개별화' 의 특징을 보이는 시편들은 그의 작품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며, 시조혁신론의 창작 지침을 완성도 있게 구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에는 체험 대상과 체험한 주체의 감정이 조화롭게 나타난다. 그리고 주체적으로 자신의 체험을 변용하여 재구성한다. 자기 체험으로서 재구성된 체험이야말로, 체험의 주체적 개별화를 이룬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인 체험은 보편 체험과도 잘 융화되어 나타난다. 형식적 차원에서는 전통적인 병렬 구성과, 논리적이고 記述적인 연속 구성이 한 작품 내에서 어우러지는데, 이것이야말로 '부르는 시조'와 '짓는 시조'의 조화를 이룬 것이다. 이렇게 내면화된 實感實情의 서정이야말로 가람 시조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시편으로는 <난초>, <내한생> , <詩魔>, <石窟庵> 등이 있다. 특히 이 시기엔 특히 감각적 이미지가 뛰어나고, 지시적 서정과 표현적 서정의 조화 안에서 자신의 인생을 자연스럽게 투영시킨다. 점차 생활과 인정시조로 나아가는 것도 이를 입증함이다. 이와 같이 가람은 독자적인 규칙을 마련하여 실제 체험에서 우러나온 사실적인 정감과 격조를 시조에 불어넣었다 무엇보다도 그는 논리적이고 記述的인 시조를 창작하여 '문학으로서의 시조' 라는 발전을 이룩하였다. 또한 가람은 자신이 직접 체험한 사실에 색채를 준 감각적인 심상을 시조의 질서와 합일케 함으로써 구체적인 衣裝을 입혔다.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한 선명한 이미지인 문학의 도상성은 가람 연시조가 갖는 현대성이다. 이렇게 가람만의 경험 양식인 현대성은 시조의 보편적 질서라 할 수 있는 시조성과 조화를 이루어 시조의 상상력을 확대시켰다. 즉 유기적 시형을 지속적인 내면 요소로 하고, 거기에 현대의 모습을 리얼리스틱하게 재현한 것이 가람의 연시조이다. 1926년부터 시작된 시조 부흥운동이 체계적으로 전개되지 않았다면, 시조는 희생 될 위기에 놓였을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상황에서 가람은 實感實情의 사실적 감각으로 현대 시조라는 장르를 개척하여 우리 민족의 전통시가인 시조가 문학으로 지속될 수 있게 하였다. This study notes that Garam's shijo(Korean verse), with deviation from abstractness and ideology of traditional shijo, displays concreteness and individuality in structure and expression, as does his guiding principle on shijo. Above all, Garam wrote a number of experimental stanzaic shijo, unlike old shijo completely devoted to single shijo.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 which makes his shijo express modem sensibility by considering Garam's stanzaic shijo. However, these new features of Garam's Korean odes are not irrelevant to the former order in Korean odes. Even when the times and society change, the proposition that shijo should remain shijo persists. That is, Korean odes have to maintain their fixed form, or 'the tradition of shijo.' Modem shijo is common to traditional one in that it is expressed on the understructure of the tradition of shijo, but is presented characteristically. Hence the key elements of Garam's modern shijo lie in modernity and the tradition of shijo.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n connection with his creation theory <SHIJOHYEOKSINRON> how the synthesis of this disparate contradiction between form (tradition of shijo) and substance (modernity) of Garam's shijo attains aesthetic experiences. This study includes the Korean odes which were published in the 1920s and the 1930s in various kinds of literary magazines and newspapers, but which have, thus far, not been dealt with in existing studies. And also, dividing his shijo into the former and the latter terms by <SHIJOREULHYEOKSINHAJA> in 1932, it examines the transformation pattern before and after the turning point. First of all,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significance of stanzaic shijo, which is key points of Garam's shijo on the formal dimension. Next, poetic feeling will be considered in order to seize their substance. In particular, Garam's poetic feeling as concrete expressions is 'real feelings and real thoughts.' In this study, this concrete and realistic poetic feeling based on real experiences is named 'lyricism of real feelings and thoughts.' Also, to help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realistic poetic feeling, this study adopts a poetry theory expanded from the traditional and classical one, and examines description from among the methods to embody meanings. Finally, this study furthers and expands the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of Garam's stanzaic shijo discussed earlier, considering other shijo and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thus identifies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 and modernity of Garam's shijo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Firstly, the former term is the stage of 'conventional expression of public experiences,' which displays the aspects of traditional stanzaic shijo. In <SHIJOHYEOKSINRON>, Garam asserts 'the change of rhythm', meaning that 'shijo for recitation' of the past should now be changed into 'shijo for composition.' His poems of the former term, which were written before the publication of <SHIJOHYEOKSINRON>, show the aspects of past shijo, that is, the pattern of 'shijo for recitation.' And also, 'shijo for recitation' particularly depends on 'orality.' These oral poems of the former term have 'the paratactic structure', which lays emphasis on the repetition of form and theme in the matter of musicality. In poetry, parallelism means that a pair of different phrases, verses, poems and so on correspond to one another. In other words, patterns with the same size and form are repeated regularly. This stanzaic structure is ubiquitous in Korean traditional verse, and Garam's shijo in the former term shows the pattern that subject matters conceived through each stanza are repeated correspondingly with one another. This paratactic structure is a form made easy to remember so as to memorize expressions and revive them effectively in the oral culture. With regard to substance, it consists mainly of transcendental cognition about the real situations, making its contents extremely public and general. In shijo in the former term, expressional lyricism, which mainly appears in traditional lyric poetry, is realized. Especially, it becomes clearer when considering the last part of each verse, which often exhibits the plain expression of emotions through exclamatory phraseology. However, Garam's shijo gradually becomes 'real feelings and real thoughts' as it begins to give sensuous and peculiar descriptions not found in conventional shijo. In this regard, the former term can be regarded as the preceding step for real feelings and real thoughts. <SHIJOSAMJANG>, <KSAEBOM> and <GAEUL> are examples of these poems. Secondly, after <SHIJOHYEOKSINRON> is the stage of 'the objective representation of personal experiences,' in which Garam's shijo prominently demonstrates sequential structure as 'shijo for composition' and indicative delineation of feeling through objective description. Garam's stanzaic shijo now can be read as a literary subject with less focus on the musical aspect, and this is the sequential structure. Sequential structure refers to the structure which displays linear development of a poetical idea through an array of stanzas. This structure is characterized above all by its 'sequence of time and logic' and strong coherency among each stanza. As it proceeds following the sequence of time and logic, the overlap of a poetical idea,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the limitation of existing stanzaic shijo, does not occur. The sequential structure as 'shijo for composition' arises from the accurate and analytic sense which separates the object from the subject of intellect by 'writing', or literacy. Garam linearly describes his trip or changing natural objects based on his real experiences, with the progress of time and space. Especially the sequential structure of travel shijo shows the flow of image as if each stanza were a scene photographed with a camera. This stage, however, does not mention about what the experience of the objects he. wants to revive mean to himself, nor how the object and the subject interact with each other. It simply revives the shape of the object excluding emotional expressions, and thereby realizing indicative lyricism through concrete delineation. However, it contains 'real objects and real events' only, without reaching the state of 'real feelings and thoughts.' <GYEGOK>, <GASEOPBONG>, <SONAGI>, <DOBONG> etc. are typical examples. Lastly, the poems that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ive individualization of personal experiences' take up most of his works, which means he realized his creation guide principle to perfection. At this stage, the experiential objects harmonize with the experiential subject. Also, he reconstructs his experiences by subjectively transforming his experiences. Experiences reconstructed as his personal experiences attain the subjective individualization of experiences, and these personal experiences are well reconciled with general experiences. Concerning the formal dimension, traditional paratactic structure and logical and descriptive sequential structure get joined together, which is the attained harmony between 'shijo for recitation' and 'shijo for composition.' Lyricism of real feelings and thoughts' internalized in this way is the essence of Garam's shijo. <NANCHO>, <NAEHANSAENG>, <SIMA> and <SEOKGULA M> are fine examples of these poems. At this time, his works show exceptional sensuous image, and naturally reflect his life in the harmony of indicative lyricism and expressional lyricism. The fact that his poems gradually progress toward life and sympathy shijo proves this. As we have seen so far, Garam established a rule of his own and inspired shijo with realistic sentiments and rhythm which arise from the real experieces. Above all, he accomplished the development of 'shijo as literature,' by composing logical and descriptive shijo. And also, Garam clothed shijo with concrete design by uniting sensuous image colored by his own experiences with the order of shijo. Literary iconology, or image as vivid as a picture is the modernity of Garam's stanzaic shijo. Thereby modernity as the Garam's unique experiential form is harmonized with the tradition of shijo, that is the general order of shijo, and thus expands the imagination of shijo. In other words, realistically reconstructing modem aspects on the basis of organic form as a continuous inner element is Garam's stanzaic shijo. If the renaissance movement starting from 1926 had not been developed systematically, shijo would have come to a crisis to disappear. In this historic situation, Garam opened a new field of modern shijo with realistic sense of real feelings and real thoughts and thus kept up shijo of our traditional poetry as literature.

      • 31-P 자기공명 분광영상에서 자화 전이를 이용한 대뇌 크레아틴키나제 반응속도 측정연구

        고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아데노신 삼인산(ATP, adenosine triphosphate)의 합성과 분해는 생명체의 에너지 대사 활동에 필수적인 과정이다. 특히, 크레아틴키나제(CK, creatine kinase) 반응은 신속하게 ATP를 합성하여 안정적으로 에너지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최근 발표된 연구에서 뇌 내 에너지대사 저하와 다양한 신경, 정신질환과의 상관관계가 알려지면서, 사람에서 에너지대사 효소의 활성도 측정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인(31P, phosphorus) 자화 전이(MT, magnetization transfer) 자기공명 분광영상(MRS,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을 위한 프로토콜이 정립되어있지 않다. 해외에서는 핵자기공명(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system 또는 Sieme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ystem을 위한 설정이 개발되어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Philips MRI System에서는 아직 표준적인 프로토콜이 설정되어있지 않으며, 시스템 별로 다른 특성이 있기 때문에, 한 시스템에서 설정한 프로토콜을 그대로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hilips MRI system에서 31P MT MRS를 이용해 정상 성인에서 CK반응 속도 상수 kf를 측정하는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측정에의 타당성을 확인하여 뇌 내 에너지대사 효율성을 비침습적이고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방법: Philips Magnetic Resonance Imaging System에서 31P volume head coil을 이용하여 MT MRS에서 정상 상태(steady-state) 포화 방법론을 통해 CK 반응속도 kf를 측정하였다. 건강한 성인 1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 6명의 연구참여자가 전 포화(pre-saturation)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기 위한 실험에 참여하였다. 13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설정된 프로토콜을 통해 31P MT MRS스펙트라(spectra)를 획득하였고, 포스포크레아틴(PCr, phosphocreatine)의 역전 회복(inversion recovery)방법으로 T1이완시간(relaxation time)을 측정하여 kf값을 계산했다. 결과: γ-ATP (gamma-ATP)를 포화시키기 위한 전 포화 파라미터는, 상쇄 주파수(offset frequency)를 -94(Hz), 진동 각(pulse angle)을 3000, 신호지속시간(window)을 1(Hz), 신호 평균 횟수(NSA, number of signal average)를 64으로 설정하였다. T1 이완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시간 지점을 각 55, 661, 1464, 2653, 5000(ms)으로 다섯 개를 설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결정된 프로토콜의 총 촬영시간은 37분2초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토콜을 통해 측정한 평균 T1 이완시간은 0.48(표준편차 0.05)(s-1)이었으며, 평균 kf값은 0.28(표준편차 0.07)이었다. 평균 수소이온농도지수(pH)는 7.04(표준편차 0.04), 평균 마그네슘이온농도지수(pMg)는 4.46(표준편차 0.27)이었다. 이 값들은 선행연구의 결과값과 일관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개발된 프로토콜이 타당함을 입증하였다. 고찰: 본 연구에서 설정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타당한 측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최초로 Philips Magnetic Resonance System에서 31P 코일을 이용하여 뇌 내 에너지대사 연구 방법론을 확립하였음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에너지대사와 관련된 정신질환의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효과를 확인하는 데에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다. Introduction: The synthesis and decomposition of adenosine triphosphate (ATP) are essential processes for the energy metabolism of organisms. In particular, the creatine kinase (CK) reaction rapidly synthesizes ATP andenables stable energy metabolism.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relationships between brain energy metabolism and neurodegenerative and psychiatric disorders, contributing to growing interest in the field. Thus, the current study aimed to validate a noninvasive and direct methodology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brain energy metabolism, by measuring the forward transition rate constant (kf) of the CK reaction through phosphorus (31P) magnetization transfe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T-MRS). Method:Using the steady-state saturation MT-MRS method, the kfvalues from 19 participants were measured with a 31P volume head coil in a Philips magnetic resonance system. Among the participants, 6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to set up the protocols for pre-saturation parameters. Subsequently, the 31P MT-MRS spectra were obtained from 13 participants by using the established protocols. The kf values were calculated from the T1 relaxation time measured by using the inversion recovery of phosphocreatine. Results: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set up in order to saturate the peak of γ-ATP (gamma-ATP): offset frequency = -94 Hz; pulse angle = 3000 degree; window = 1 Hz; number of signal average (NSA) = 64. For the T1 relaxation protocols, 5 time points including 55, 661, 1464, 2653, and 5000 milliseconds were chosen. The total scanning time of the finally established protocol was 37 minutes and 2 seconds. The mean T1 relaxation time was 0.48(s-1) (standard deviation, SD=0.05). The mean kfwas measured as 0.28 (SD = 0.07) in the current study. The mean values of pH and pMg were 7.04 (SD=0.04) and 4.46 (SD=0.27), respectively. As these values are consistent with those from previous studies, the validity of the currently proposed novel protocol has been affirmed. Discussion: Using the new protocols set up in the current study, to obtain a valid measure of kf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has become possible.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South Korean study which has validated a research methodology to study brain energy metabolites with a 31P volume coil in an magnetic resonance system. The current results may constructively contribute to the investigation ofthe cause of psychiatric disorders related to energy metabolism and the assessment of treatment effectivenes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