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진연구자의 연구 성과 및 연구 네트워크 규모에서 포닥 경험의 역할: 이공계 박사학위 취득자를 대상으로

        고윤미,Ko, Yun Mi 기술경영경제학회 2016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4 No.4

        연구자의 성장경로에 있어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후 시점은 변곡점이 형성되는 전환기로 경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교수의 지도를 받는 학생의 입장에서 벗어나 독립된 연구자로 발전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또한 신진연구자 시기는 개인 연구역량의 축적과 더불어 독립적인 연구자로서 대외적인 명성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박사학위 취득 후 안정적인 연구자로서 자리 잡기 전까지의 경험에 주목하였다. 이 기간 동안 포닥 연구원의 경험이 지식이전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진연구자를 중심으로 논문 성과와 공저자 관계로 나타나는 지식이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박사취득 후 대학의 전임교원으로 임용되기 전까지 경험이 연구자의 논문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2008년도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을 수행한 대학 연구자를 대상으로 국가과학기술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연구자 정보를 활용하여 학력 및 경험사항, 연구 성과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STATA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포닥 기간의 경험 중 기관의 다양성이 논문 성과와 연구 네트워킹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닥 경험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포닥 경험 기간이 길고 국외 포닥 경험이 있는 경우 연구 네트워킹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포닥 경험 기간 중 경험한 기관이 많고 국외 포닥 경험이 있는 경우 논문 성과와 연구 네트워킹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포닥 기간의 경험이 연구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의 변수로 고려할 수 있고 포닥 연구원 지원제도와 관련된 정부 정책을 수립하는데 큰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eriod after the PhD has a huge impact on the careers of researcher from a researcher lifecycle perspective. This is a turning point which student receives guidance from professor and become an independent researcher. Furthermore, they learn to develop ideas for independent research, apply for grants and manage a project; they also form expert networks in related filed and publish papers to share their findings.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iod between earning doctoral degree and being employed as a stable position in university. This study starts from a research questions that asks which factors of postdoctoral experience affect research output. In this study, the paper performance, especially co-authorship of paper, of postdoctoral researchers was investigated. The cumulative advantage theory and Matthew effect were employed to shed a light on this research question. The empirical work is based on the Survey & Analysis of National R&D program in Korea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KISTEP).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research output and characteristics of postdoctoral experience were verifi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as new empirical evidences on investigating knowledge transfer activities of new PhDs.

      • KCI등재

        문제해결관점을 기반으로 한 R&D 협력 유형의 분류 및 함의

        고윤미(Yun Mi Ko),배성주(Sung Joo Bae) 한국생산관리학회 2013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4 No.2

        기업들의 R&D 협력 연구는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동적 문제해결과정(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cess)이다. 개방형 혁신의 흐름에 따라 협력 연구는 R&D를 수행함에 있어 필수적인 활동으로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R&D를 수행함에 있어 발생하는 기술적 문제들을 기업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하기도 하지만 외부의 다른 기업과 협력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ickerson과 Zenger(2004)가 제시한 문제해결관점(problem-solving perspective)을 기반으로 기업들의 R&D 협력 추진과정을 공동의 문제해결과정(joint problem-solving)으로 이해하고 문제해결의 주체, 장소, 방법에 따라 R&D 협력 유형을 분류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문제를 발견하여 정의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탐색ㆍ개발하여 다시 기업 내부에서 활용하는 과정에 따라 5개 유형으로 구분한다. R&D 협력 유형별 각 사례를 제시하고 특징, 장ㆍ단점, 성공적인 R&D 협력 추진을 위해 필요한 기업의 역량,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문제해결관점을 기반으로 R&D 협력 유형을 구분하는 것은 기업 입장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을 탐색하고 해결해나가는 과정이 기업 역량으로 연결되어 궁극적으로 기업의 가치 창출 기반이 될 수 있는 전략적 측면에서 의의를 제공한다. Firm's R&D collaboration can be described as th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to solve problems jointly. As one of the most traditional manifestations of open innovation, collaborative research plays an indispensable role for firm’s R&D activities. Collaborative R&D enables firms to figure out the solutions in cooperation with other capable firms, and to figure out the solutions that are not achievable on their own.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R&D collaboration process among firms using the problem-solving perspective initially suggested by Nickerson and Zenger(2004). Using this perspective, we suggest a theological framework which categorizes R&D collaboration types by subjects, locations, and solution modes of problem solving. We identified five different types of collaboration process, us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at consists of five different problem-solving steps: problem detection, problem definition, solution search, solution development, solution reinterpretation and internalization. Joint problem-solving process described in this paper will provide significant strategic implications for firms since this process, if successfully developed into firm’s core competency, will give firms opportunities to create values in a very innovative way.

      • KCI등재

        해외 학습분석학(Learning Analytics) 연구에 대한 동향 분석: 실증 연구 중심으로

        안미리 ( Mi Lee Ahn ),최윤영 ( Youn Young Choi ),고윤미 ( Yoon Mi Ko ),배윤희 ( Yun Hee Ba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4

        다양한 기술의 발달은 교육환경에 많은 변화를 시키고 있다. 특히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VLEs/LMSs. MOOC, 웹과 같은 학습환경은 학습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학습환경에서 수집된 방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습 유형을 이해하고, 학습성과를 예측하며, 교수전략 개발 등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분석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실증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외 학습분석학의 연구 목적, 학습분석학이 활용될 수 있는 학습환경과 적용가능한 자료분석방법에 관한 정보가 충분히 정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분석학에 관한 해외 문헌 동향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9월부터 2015년 8월까지 학습분석학이 적용된 해외 실증 연구 총 154편을 리뷰하였으며, Papamitsiou와 Economides(2014)의 학습분석학 문헌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목적, 학습환경, 그리고 자료분석방법에 따라 세 분야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 결과 (1) 연구 목적은 학습성과예측, 교수전략 제안과 학생 행동 모델링, (2) 학습환경은 VLE/LMSs과 웹기반 교육, 그리고 (3) 자료분석방법으로는 통계 기법이 많이 활용되었다. 자료분석 방법은 Text Mining과 Social Network Analysis 방법과 같이 다양한 방법이 고르게 사용되었으며, 더하여 새롭게 Bayesian Inference Network, Machine Learning 등과 같은 자료분석방법이 활용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반을 두어 국내 학습분석학 연구를 위해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국내 연구에서도 MOOC/사회적 학습, 인지적 튜터 시스템, 모바일과 같은 학습환경에서 학생 및 학생 행동 모델링 등과 같은 연구 목적과 자료분석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와 함께 학습분석학의 새로운 개념화와 연결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에서의 데이터 활용은 교육공학 분야에 큰 시사점을 준다. 교수설계, 교수전략, 성취도 평가와 피드백, 시각화 자료 등은 학습과정을 객관화할 수 있어 학습자 중심의 교수설계에 시사점을 준다. 최근 활성화되는 하이브리드 교수법에 대한 효과성과 자기주도성 등 교육공학의 온·오프라인 학습환경 개선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Advances in technology brings mcuh changes in learning environment. Especially, advances in Internet technology have created various learning settings such as LMSs/VLEs, MOOC, and Web-based learning. These newly emerging learning settings have contributed to provide more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learners than ever before. These learning environment enable collection of vast amount of data and analyze such data for meaningful interpretation. Recently,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Learning Analytics in order to understand different learning types or learners, predict learners’ performances, and further to develop various teaching strategies under those learning settings. Although many studies on Learning Analytics have been conducted, we lack information about research objectives, learning settings, and data analysis methods used in Learning Analy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review of international research was to identify trends of current Learning Analytics studies in terms of research objectives, learning settings, and data analysis methods. In this research, we reviewed a total of 154 published in international articles and presentations made between September of 2013 through August of 2015. This literature review applied Papamitsiou & Economides (2014) literature review framework and methods.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1) prediction of performances, recommendation of resources, and student behavior modeling were prevalent in terms of research objectives, (2) LMSs/VLEs and web-based education were prevalent in terms of learning settings, and (3) statistics was prevalent in terms of data analysis method. Specifically, various data analysis methods have been used such as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Interestingly, Bayesian Inference Network or Machine Learning which is not commonly used in Educational Technology was found from this literature review.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to improve Learning Analytic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with various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settings, and data analysis methods. Finally, it should lead to conceptualize Learning Analytics for Korean researchers. In addition to these conclusion, the use of data for education offer implication for researcher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al Technology. The research using Learning Analytics can provide strategies for designing hybrid learning environment, student achievements and feedback, and the visualized data could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students’ learning process. Further researches in the area of Learning Analytics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ose who research to improve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중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R&D)협력과 기업 성과 분석

        정도범 ( Do Bum Chung ),고윤미 ( Yun Mi Ko ),김경남 ( Kyung Nam Kim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2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0 No.1

        지식기반관점(KBV)에서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은 기업의 부족한 기술 및 지식을 획득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에 따른 기업 성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협력 연구가 과연 기업 성과에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협력 유형에 따라 기업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한 2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R&D) 협력 비율 및 유형과 기업 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기업 성과는 특허 출원 건수로 측정한 기술적 성과와 총자산수익률(ROA)로 측정한 경제적 성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개발(R&D) 협력 비율과 기술적 성과는 역U자형(inverted U-shape)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개발(R&D) 협력 유형 중에서 산산 협력 연구는 기술 적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산학연 협력 연구는 기술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제적 성과의 경우에는 연구개발(R&D) 협력 비율 및 유형과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이나 기업의 전략을 수립하는데 큰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From a point of knowledge based view, IUI(Industry-University-Institute) R&D collaboration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way to acquire lacking technology and knowledg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firm performance of IUI R&D collaboration on national R&D project. That is, we identified whether a collaborative research really affects firm performance, and whether firm performance is differed by types of collaboration. To test our hypotheses, we selected 250 Korean SMEs(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hich were funded from government R&D for 2006-2009, and we verified relations between the ratio and/or types of R&D collaboration and firm performance. Firm performance was measured by number of patent applied and ROA(Return on Assets) after completion of the project (in year t+1). Finding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of R&D collaboration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was inverted U-shape. Among types of R&D collaboration, though inter-industry collaborative research was negatively related to technological performance, IUI collaborative research was positively related to technological performance. However, the ratio and types of R&D collaboration had no relation to economic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trategy of SMEs as well as the policy of a government with regard to IUI R&D collaboration.

      • KCI등재후보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실태분석을 통한 유형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길우(Gil-Woo Lee),천세봉(Se-Bong Chon),고윤미(Yun-Mi Ko) 한국기술혁신학회 2009 기술혁신학회지 Vol.12 No.1

        각국의 과학기술연구개발 투자는 자연의 법칙 규명과 진리탐구에서 벗어나 국가발전의 핵심적인 경쟁력확보 및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국가가 시행하는 여러 정책 중에서 정부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은 사회에 미치는 여러 가지 파급효과를 고려해 보았을 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관리 전문기관은 국민의 세금으로 조성된 정부 R&D 정부예산을 정부를 대신하여 연구기획ㆍ관리ㆍ평가의 공적기능을 민간조직의 형태로 추진하는 점에서 볼 때 준공공부문에 해당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정부 R&D 투자의 중요한 주체로서의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그 역할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부처 중심의 정부연구개발예산 편성으로 인해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다. 각 부처에 산재해 있는 연구관리 전문기관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현황파악과 이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논의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진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노정되고 있다. 이에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현황파악을 통하여 현상을 분석하고 개념적 특성을 도출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how to manage the national R&D program and the systematic problems of R&D planning, evaluation, and management, and then shows the strategy to support special agency of national R&D management for effective operation. Additionally, this study seeks to search for the macro methods to coordinate and to develop the roles and functions of special agency of national R&D management, and to promot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he National R&D investment. First of all, this study generally introduces the national R&D and surveys each special agency of national R&D management by analyzing the status of each agency charged by Ministry. Also, this study defines special agency of national R&D management by investigating each agency’s status based on law and finds out the strategy to support special agency of national R&D management for effective operation. Each special agency of national R&D management is based on acts, administrative orders, or blanket contracts and takes whole charge of each National R&D program. The organization forms of special agency of national R&D management can be classified into two forms: One is a form to plan, to evaluate, and to manage the National R&D program and other is a form to research program together with the functions of planning, evaluation, and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defines special agency of national R&D management as “an organization, having a legal basis(acts, administrative orders), funded and charged by government for executing R&D planning,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R&D program.” This study shows the strategy to operate special agency of national R&D management efficiently by analyzing each agency’s current status and comparing each agency with each other. Moreover, every agency has a committee member pool, and the pool is classified well according to the fields of work and technology. Also, the special agency of national R&D management has its own organization to manage performances of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