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Problem-Solving Process with the Users

        Sung Joo Bae(배성주),Ayaka Oda(아야카오다),Se-Bum Park(박세범)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3 연세경영연구 Vol.50 No.1

        사용자들의 제품에 관한 의견은 혁신의 가장 중요한 원천이 되기 때문에 기업들이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의견을 기업의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반영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기업들이 종종 사용자의 의견을 경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사용자의 의견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개선사항이나 불만의 표출을 ‘문제’를 제기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러한 문제가 기업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추적함으로써 사용자가 제기한 문제들이 어떻게 하면 더 효과적으로 처리되어 기업의 제품 개발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에 관해 분석하였다.<br/>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문제 해결 과정을 1) 문제 접수(problem reception), 2) 문제할당(problemassignment), 3) 문제수용(problemacceptance)의 세 단계로 나누어, 문제가 사용자로부터 기업으로 넘어오는 접수 과정, 기업이 접수한 문제를 각 분야의 전문가에게 할당하는 과정, 그리고 문제 해결을 주도할 전문가가 이를 자신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수용하는 과정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문제를 수용하는데 방해 요소로 작용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정희하였는데, 이러한 방해 요인들로는 문제 표현, 사용자 중요성, 전략적 중요성과 기술적 중요성, 문지기(gatekeeper) 지식 수준, 업무 관련 요인 등으로 정의되어 이러한 요인들이 문제수용 단계까지 어떻게 방해 요소로 작용하는지에 관해 분석하였다.<br/> 이러한 이론적인 프레임워크 하에서 탐색적인 사례분석을 창업초기의 게임업체에서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피드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초창기 기업의 사용자 문제 해결 과정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상당수의 사용자 문제들이 각 단계를 거칠 때마다 문제 해결 과정에서 사라지는 것을 발견하였고,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방해 요인들이 각 단계에서 작용하여 이러한 결과로 이어진다는 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br/> 본 논문에서는 기업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공동 문제 해결(joint problem-solving)으로 정의하고 이 과정에서의 방해 요인들을 정의하고 이러한 방해 요인들이 어떻게 공동 문제 해결에 작용하는지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관리자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기업의 관리자들은 사용자의 의견을 제품 개발과정에서 적극 반영하기 위해 이러한 방해 요인들을 인지하고 제거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본 연구 과정에서, 연구 대상이 초창기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이 사용자가 제기한 59개의 주요 문제들을 도출하라 수 있었다는 사실은 중소기업이나 대기업의 경우에는 보다 많은 주요 문제들이 도출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이러한 공동 문제 해결이 기업과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데에 중요한 원천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Many organizations tend to neglect user inputs for product development and improvement. However, they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user inputs because such feedback may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innovation. User inputs can take various forms, yet in this study, we assumeit as taking the form of a ‘problem’.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how the user’s feedback in the form of problem gets processed by organizations, we develop a problem-solving process framework, which consists of three stages: 1) problem reception. 2) problem assignment, and 3) problem acceptance. We also propose several factors such as problem representation, importance of user, strategic and technical importance, gatekeeper’s knowledge, and task related factors that may hinder problems from getting processed along the three problem-solving stages. An exploratory case study in the context of an early-stage game companyis conducted, and we find that many of the problems raised by the users, in fact, do not reach to the problem acceptance stage in the framework. We also find that some factors seem to influence the hindering mechanism relatively more than the others.<br/> sources of hurdle to this process. Managers should be aware of these intervening factors and try to eliminate these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ideas of users. 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for this study, 59 important problems were identified for this start-up company. We expect that larger, more established companies should be able to find more important problems for new product development and improvement.

      • KCI등재후보

        Manifestation of Language Transfer Problem During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Sung Joo Bae(배성주),Minah Park(박민아)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9 연세경영연구 Vol.56 No.1

        신제품 개발 과정은 회사 내외부의 다양한 관계자가 참여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그 중 이 논문은 사용자와 제조업체에 집중하며 특히 그 두 집단의 공동 문제 해결 과정에 중점을 둔다. 사용자들은 제품 설계 및 개발을 위해 중요한 정보들을 갖고 있으나 사용자와 제조업체 사이에는 강한 경계가 있다. 또한, 사용하는 언어의 차이로 인해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공동 문제 해결 과정에 양측 모두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제조업체와 사용자들이 협력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 기업의 외부 학습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문제해결과정 대한 연구 확장을 연구목적으로 두고 있다. 또한, 두 집단 사이에 존재하는 문제 해결 방식 차이의 근원지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문제 해결 언어를 개념화하고,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캐나다의 제조 회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시행하고 또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사용자-제조업체의 언어 차이가 존재하고 이는 공동 작업과 문제 해결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포착하였다. 우리는 사용자와 제조업체가 상대방 언어의 이해가 부족함을 밝히지 않고 추가 도움을 청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에 경계가 더욱 뚜렷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경계는 사용자와 제조업체가 서로의 언어 차이를 인지하고 두 집단이 협력하여 시행착오에 기반을 둔 학습을 통해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특히 사용자와 제조업체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기술에 의존하여 로컬 시행착오 과정을 통해 언어 차이로 생기는 두 그룹 간의 경계가 완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rocess of new product development is a complex process where many different stakeholders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the firm participate. Among them, this paper specifically focuses on the users and a manufacturer and their joint problem-solving process. Understanding the joint problem-solving process between users and a manufacturer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issue because users are important sources of information for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a strong boundary between them and an issue of communication gaps created by language problems challenges both groups. This paper extends what we know about firm boundaries from the existing studies, and focuses on a specific type of collaborative product design process between a manufacturer and its users.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building method with multiple data sources from a manufacturing company in Canada, we develop a process model of how user-manufacturer problem-solving language differences can negatively affect the collaboration. By doing so, we conceptualized problem-solving language difference and qualitatively observed them. Then the discussion shifts towards the actual process of how the language boundary can be mitigated by local coordination based on the technical interdependencies between user requirement and technological implementa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용인지역 일부 실업계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여부에 따른 영양지식, 식습관, 식생활 지침 실천도 비교

        배성주 ( Sung Joo Bae ),이승민 ( Seung Min Lee ),안홍석 ( Hong Seok Ahn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0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tritional knowledge, practice of eating behavior guidelines, and problematic dietary habits in working high school students in comparison with non-working high school students. A survey questionnaire was formulated to obtain information on demographic variables, body size, part-time jobs, nutritional knowledge, practice of eating behavior guidelines, and dietary habits. The developed questionnaire was given out to 515 students attending a vocational high school in Yongin, Gyeonggi-Do. Those who had been working 5 hours or more per day for at least a month at the time of survey administration were defined as working students for this study. Proportions of working students were similar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e. 49.5% for male, 50.5% for fema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cores of nutritional knowledge between working (8.43±2.29) and non-working students (8.60±2.19). However, some dietary habits were found to be dependent on working status. While approximately 43% of non-working students reported skipping a meal, about 57% of working students did so (p<0.01). The proportion of students with any drinking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working students (92%) compared to non-working students (80%) (p< 0.001). Working students were found to drink alcoholic beverages more often than non-working students (p<0.001). The mean score of practice of eating behavior guidelines was lower in working students than non-working students. The magnitude of this difference was modest (51.33±0.63 in working students, 53.40±0.51 in non-working students), but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specific behavior-oriented messages to improve certain problematic dietary habits need to be directed toward working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후보

        How do Online Product-Related Electronic Network of Interest Grow?

        Sung Joo Bae(배성주),Minah Park(박민아),Mooweon Rhee(이무원)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8 연세경영연구 Vol.55 No.3

        제품 관련 온라인 네트워크(eNoI)는 관리자와 학자 모두에게 주목을 받는 주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보다 eNoI의 총체적인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eNoI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밝혀내려고 한다. 첫째, 우리는 기존 학습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연구에 기반하여 온라인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고 eNoI가 다른 공동체들과는 어떻게 다른지를 보여줌으로써 eNoI의 이론적 배경을 확립한다. 둘째, 자원 기반 관점을 기반으로 eNoI의 성장에 대화 내용, 의사 소통 활동 및 구조들이 eNoI의 성장에 어떻게 영향을 주고 이를 실증연구로 포착하고자 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08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975개의 eNoI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검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다양한 주제 및 상호적인 반응은 eNoI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커뮤니케이션의 중앙 집권화는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Product-related electronic network of interest (eNoI) which allows access to external knowledge has become a great interest for both managers and scholar. In this study, we attempt to provide a more holistic theoretical foundation and empirically test the growth of the eNoI. First, we establish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eNoI, by extending the research of a community of practice and community of network and illustrate how eNoI is different in terms of communication channel, network size, access, participation and activity. Second, based on a resource-based view of online social structures, we posit that the growth of eNoI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content, communication activity, and structure and aim to empirically capture the growth of eNoI. To test our hypotheses, we collect data regarding 975 different product-related eNoI from January 2008 to June 2009. The results indicate that while topic variation and responsiveness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growth of product-related eNoI, the centralization of community communica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growth. By doing so, we offer managerial implications for firms to manage their eNoI and a tool to accurately examine their future potential.

      • 보육교사의 특성에 따른 심폐소생술의 차이

        배성주,이병주,Bae, Sung-Ju,Lee, Byung-Joo 한국임상보건과학회 2018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Vol.6 No.2

        Purpose. The study was basic materials are provid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care teachers, and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will enable you to improve your future CPR performanc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47 child care teachers. The questionnaire of the previous study was corrected and 48 total questions were used. Using spss 22.0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Duncan-test were performed. Results. The knowledge level of 50s was higher those in their 20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with education, the more positive was about CPR(p<.001). The more CPR training, the higher the performance(p<.01). Th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PR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r=.355, p<.001). Conclusion. In order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PR of child care teachers, the number of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and the level of education satisfaction should be managed to increase.

      • KCI등재

        수용자 집단별 혁신제품 확산 및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영향

        한상연(Sang yun Han),배성주(Sung Joo Bae),박세범(Se Bum Park),마은정(Eun jung Ma),한혜나(He na Han) 한국IT서비스학회 2014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diffusion and the intention to use, and how these factors differ among adopter categories. A survey was done to analyze the diffusion of smart-phone, the most popular and innovative product nowdays. We collected 197 survey questionnaires from smart-phone user and analyzed the data using SPSS 18.0 and Smart PLS 2.0. PLS (Partial Least Square) analysis was implemented before multiple group-innovator, early adopter, eraly majority- analysis which is categoriezed by Innovation Diffusion Model of Rogers (1995). The results show that firstly, in innovator group (n=63), the functional and the safety valu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In addition, we found that user satisfaction and the brand loyalty are significat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of use. Secondly, in early adopter group (n = 67), the design value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and it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Finally, in early majority group (n = 67), the design value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it has stronger effect on the intention of use and brand loyalty. We conclude this paper with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to both academia, business practice, and policy making.

      • KCI등재후보

        New Product Development with Facebook Fans

        Ayaka Oda(아야카 오다),Sung Joo Bae(배성주),Se-Bum Park(박세범)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6 연세경영연구 Vol.53 No.1

        사용자의 혁신 프로세스 참여는 지금까지 중요하고 효과적인 것으로 논의되어 왔다. Howe (2006)는 크라우드소싱(crowdsourcing)이라는 개념을 통해 이러한 사용자 참여를 “전통적으로 특정 주체가 행하던 작업을 공모(open call)의 형태로 정의되지 않은, 일반적인 집단에 아웃소싱하는 행위”로 정의하였다. 인터넷의 발전으로, 대중을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참여시키는 것이 용이해졌으며, 그 중 한 가지 방법으로 아이디어 컨테스트가 존재한다. 많은 기업들은 가상 커뮤니티, 또는 개방형 혁신 중개매체를 통해 아이디어 컨테스트를 실시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페이스북(Facebook)이 급부상하면서 기업들이 대중들의 흥미를 얻을 수 있는 유망한 플랫폼으로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페이스북이 제공하는‘좋아요’버튼과 같은 기능을 통해 페이스북 사용자들 사이에 정보가 바이러스처럼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우리는 페이스북에서 아이디어 컨테스트를 주최함으로써 기존 아이디어 컨테스트와 페이스북 관련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아이디어 경연대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동기와 이에 따른 회사와 고객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가장 큰 대학 중 하나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아이디어 컨테스트에 참여하였고, 부분 최소 제곱법을 활용하여 연구 모델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 표현(self-representation)과 금전적 보상이 사용자들이 아이디어 컨테스트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동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이디어 컨테스트에 대한 사용자들의 높은 기여도는 참여자의 긍정적인 입소문과 향후 제품 구매 의사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분석에서 우리는 네 그룹으로 팬들을 분류하였고, 이들 간 아이디어 컨테스트에 참여하기 위한 동기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요한 이론적, 경영 시사점을 제공한다. Involving users into the innovation process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and effective. Howe (2006) coined the term crowdsourcing to refer to “the act of taking a job traditionally performed by a designed agent and outsourcing it to an undefined, generally large group of people in the form of an open call.” Thanks to the Internet, involving the crowd into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has become easier, and one way to do so is to conduct an idea contest. Many firms have used virtual communities or open innovation intermediaries to conduct idea contests; however, because of the embedded social network, Facebook, one of the most popular social networking websites, appears to be a promising platform for firms to obtain the interests of many individuals. Functions, such as Like button, allow the information to spread like a ‘virus’ among Facebook users. Thus, in this study, we took an initiative to set up an idea contest on Facebook, contributing to the past literature on both idea contests and Faceb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a hypothesized model that examines users’ motivations for contributing to the idea contest and the resulting company-customer relationship. Students from one of the largest universitie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idea contest, and the model was tested using partial least squares. The findings suggest that self presentation and monetary rewards serve as important motivations to contribute to the idea contest. Also, higher contribution to the idea contest was found to result in higher intentions for positive word-of-mouth and willingness-to-purchase behavior of the participants. In our post-hoc analysis, we categorized fans into four groups and found interesting differences among those groups for the motivations to participate in the idea contest.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 KCI등재

        정부 선정영향력이 기술발전 프로세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현식(Hyunsik Kim),배성주(Sung Joo Bae),한상연(Sangyun Han) 한국혁신학회 2018 한국혁신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같은 선진국을 추격하는 국가에서 기술발전에 정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정부의 선정영향력이 어떤 요인에 의해 결정되고 민간 영역에 어떻게 연계되어 기술발전을 이끌어주는지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정부선정영향력의 발생과 확산 과정은 제도적 환경에 기반한 정부의 선정영향력이 기술분야별 투자전략을 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며(selection), 정부의 선정영향력은 적합한 탐색 전략에 따라 공동 탐색과 학습 과정을 거쳐 민간영역의 연구개발활동에 영향을 주는 형태로 진행(variation)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자료 연 단위 284개, 10년치(’07~’16) 합계 총 2,840개의 기술분야별 패널데이터와 연구개발활동조사 연 단위 35개, 10년치(’06~’15) 합계 총 350개의 기술분야별 패널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정부 선정영향력을 결정하는 규제적, 규범적, 문화인지적 요인 등의 제도적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선택이 탐색전략을 병행하면 공동탐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정부선택이 공동탐색을 거치면 민간연구개발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과학기술기본계획과 정부R&D 투자방향에 포함된 기술분야를 규제를 통해 의무적으로 반영하고 전문가적 가치관이 반영된 전년도 정부연구비와 민간매칭연구비가 높을수록, 전년도 논문과 특허등록에 기여한 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국가가 전략적으로 육성하는 기술분야에서 기존에 잘 하던 방식으로 연구개발을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새로운 영역에 대한 창의·도전적 연구를 확대하는 탐색전략을 병행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그리고 정부R&D를 통한 문제 해결과정에서 발생한 성과물이 민간에 이전되고 사업화되어 민간R&D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In order to research the impact of government on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chasing advanced countries such as our country,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government’s selection force on which factors were determined and linked to the private sector to lea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re is a government’s selection force based o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which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expanding the government’s selection force is reflected in the determination of investment strategies by technology fields.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the government’s selection force is conducted in a form that affects R&D activities in the private sector through collaborative search and learning processes according to appropriate search strategies. For this purpose, We were utilized for analysis 284 national R&D project research analysis data per year, 10 years (’07-’16) total of 2,840 technical field-specific panel data and a total of 350 panel data for each technical field including 35 units of R&D activity surveys per year (’06-’15). The results of an empirical analysis,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regulative, normative, and cultural-cognitive factors that determine the influence on the government’s selec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And The collaborative search could be increased if the government’s selection combines a search strategy,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that the collaborative search could increase the private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So, the government is obliged to reflect the technology fields that includes the S&T basic plan, government R&D investment direction through regulation. The higher the previous year’s government research funds and private matching research funds reflected in professional values, the higher the degree to which the previous year’s papers and patents were contribut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focus on R&D in ways that the country has traditionally performed well in the technology fields that the country strategically fosters, and to expand creative and challenging research in new areas. And it is meaningful to consider it empirically that the outcomes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government R&D could be transferred to the private sector and commercialized, increasing private R&D activities.

      • KCI등재

        기술 및 비기술 혁신과 성과향상 관계 분석

        김현식(Hyunsik Kim),배성주(Sung Joo Bae),한상연(Sangyun Ha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5

        본 연구에서는 제품 및 공정혁신과 같인 기술혁신활동이 기업 성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마케팅 및 조직 혁신과 같은 비기술적 혁신이 수행하는 매개적 역할을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시행하는 ‘2010년 기술혁신활동조사표: 제조업부분’과 한국신용 평가정보에서 제공하는 KIS Value DB로부터 재무자료를 추가로 수집한 두 자료를 결합하여 분석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술혁신 자체는 기업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했던 비기술 혁신은 기술혁신의 영향을 받는 동시에 기술혁신이 기업 성과로 연결되는 경로에서의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기술혁신의 매개효과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위해 수행된 소벨 테스트(Sobel test)에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기존의 이론에서 다루고 있는 기업의 혁신에 대하여 기술혁신과 더불어 비기술혁신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의미가 있음을 도출하였으며, 기술혁신만으로도 그리고 비기술혁신을 매개로 하는 기술혁신 또한 기업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tent to which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is associated with firm performance, and mediating effect of non-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deduces the hypothesis in order to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non-technological on firm performance.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Empirical analysis conducts the regression analysis a dataset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from the 2010 KIS(Korean Innovation Survey) data and merged with financial data from KIS Info for acquiring the objectivity. The result suggest that innovation study need to consider non-technological innovation as well as technological innovation. Only technological innovation,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non-technological innovation improve firm performance. In other words, a firm is necessary to provide the differentiated products i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rocess through marketing innovation activity such as focasting customer’s demanding present and future, organization innovation activity such as business strategy establishment in order that the products developed in product innovation meet the needs of market and customer.

      • KCI등재

        문제해결 과정별 그룹의 창의성 발현에 관한 실증연구

        이기영(Kiyoung Lee),배성주(Sung Joo Bae),박세범(Se-Bum Park)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3 동서연구 Vol.25 No.2

        혁신의 관점에서 기존의 생각을 뒤엎는데 창의성이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발현을 위한 동기부여, 그룹지지 등 기존 요인들이 문제탐색, 문제채택, 해결탐색, 해결채택의 문제해결 4 단계과정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상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조직 내 개인단위의 업무가 아닌 그룹 단위의 업무상에서 창의성의 발현하여 문제해결하기 위한 과정별 요인에 대해 제시하 여, 조직내 창의성이 발휘되기 위한 조직 환경조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1년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의 마케팅원론, 생산 및 운영관리, 제품 및 서비스 혁신수 업의 학생을 대상으로 문제해결 4단계의 과정별 내적동기부여, 그룹지지와 창의성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내적동기부여가 창의성에 발현되게 하는데 시간압박에 따른 조절효과를 제고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내적동기가 문제해결의 전 과정별 긍정적 영향을 미쳐, 창의성이 발현되었다. 그리고 그룹지지는 문제해결의 과정 중 문제 탐색, 해결탐색의 과정에서만 긍정적 영향을 미쳐 창의성이 발현되게 하는 반면, 문제 채택, 해결채택의 과정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간압박은 문제채택과 해결채택의 단계에서 내적동기와 상호작용을 통해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 내 창의성을 요구하는 업무와 관련된 신제품 개발 등을 위한 조직 내 환경 구성에 큰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Innovation becomes a pivotal tool to survive in today’s business world. Creativity is the fuel that leads to innovation. Our study analyzed previous studied factors such as intrinsic motivation, group support to facilitate creativity based on four problem solving stages : problem search, problem selection, solution search, solution selection. This, in turn, will help to distinguish our study from previous studies focuse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other factors. Our study is based on survey results of students in department of management at Yonsei Univ. Also, we examined whether time pressure moderated the link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The empirical results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facilitated creativity during four problems solving stages, and group supports affected positively during the stages of problem search and solution search. Lastly, we also found that time pressure negatively affected the interaction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during the stages of problem selection and solution selection. This implies time pressure increases performance to meet a deadline but deceases creativity. In conclusion, our results will contribute to find a way to motivate group members’creativity in organization. Also other managerial implantations are also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