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키위 궤양병 효율적 관리를 위한 매뉴얼

        고영진,김경희,정재성,Koh, Young Jin,Kim, Gyoung Hee,Jung, Jae Sung 한국식물병리학회 2017 식물병연구 Vol.23 No.1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the causal agent of bacterial canker, is currently causing severe economic losses to kiwifruit production worldwide. The pathogen has affected green-fleshed kiwifruit cutlivars and yellow-fleshed kiwifruit cultivars since 1988 and 2006 in Korea, respectively. In recent years, the biovar 3 strains of P. syringae pv. actinidiae were introduced through imported contaminated pollens and have rapidly spread to neighboring kiwiruit orchards by secondary infection, leading to outbreaks of bacterial canker and tremendous damages on yellow- and red-fleshed kiwifruit cultivar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various management practices of bacterial canker of kiwifruit such as disease escaping, cultural practices, blocking of dissemination, early diagnosis, eradication of inoculum sources, chemical control, and trunk injection on the basis of our research works and field experiences and important research products conducted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in the world. Finally, we propose a manual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disease t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at the farmers' orchards in order to keep kiwifruit vines healthy in the future. 키위 궤양병균인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는 최근 전세계에서 심각하게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궤양병균은 우리나라에서 그린키위와 골드키위 품종들을 각각 1988년과 2006년부터 침해해왔다. 최근에는 오염된 수입꽃가루에 의해 유입된 궤양병균 biovar 3 (Psa3)가 주변 키위 재배 농가로 2차감염에 의해 급속하게 확산되어 골드키위와 레드키위 품종들에 대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다. 이 총설에서는 지난 30년간 수행한 연구 업적과 현장 경험 그리고 세계적인 주요 연구 산물들을 기초로 하여 궤양병 발생 회피, 경종적 방제, 궤양병균의 전파 차단, 조기 진단, 전염원 제거, 침입 차단, 약제 방제, 나무 치료 등 다양한 키위 궤양병 관리방법들을 요약하여 장차 키위나무를 건강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농가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뉴얼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영ㆍ호남의 학문과 사상 교류

        고영진 ( Koh Young-ji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0

        조선시대 영남과 호남의 학문·사상 교류는 시기별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 졌는데 이 글은 영·호남의 학문과 사상 교류를 두 시기로 나누어 16-17세기 전반의 시기는 지방관 역임과 유배, 교제와 서신 등을 중심으로, 17세기 중반 이후의 시기는 서원과 예송, 서적과 학파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먼저 16-17세기 전반 시기 지방관 역임을 통한 교류는 김종직과 노진, 김성일 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유배를 통한 교류는 김굉필과 노수신, 교제·서신을 통한 교류는 이현보와 이황, 박영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당시 영남과 호남의 성리학은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이론적으로도 당대 최고 수준이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김종직·김굉필·이황 등의 영남사림과 김인후·이항·기대승·유희춘 등 호남사림과의 활발한 학문·사상적 교류에 힘입은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영남과 호남의 학문·사상 교류는 16세기에는 학파와 당파를 초월해 폭넓게 이루어졌다. 또한 17세기 전반까지만 하더라도 조선사회는 서로 다른 붕당끼리 혼인도 자유스럽게 하고 학문 교류도 활발히 하였는데 이는 성리학과 예학을 비롯한 학문·사상의 수준을 높이는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중반 이후 서인·노론으로의 권력 집중과 붕당 간의 대립이 심화되면서 영·호남의 교류도 점점 그 폭이 좁혀져갔다. 그리하여 주로 영남남인과 남인계 호남사림(호남남인) 간에 교류가 이루어졌는데 서원과 예송, 서적·학파 등을 통한 교류로 나누어볼 수 있다. 먼저 서원을 매개로 한 교류는 경현서원과 미천서원, 자산서원 등의 경우를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예송에서도 남인계 호남사림과 영남남인은 예학적 입장을 같이 하며 학문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또한 서적과 학파를 통한 교류는 『반계수록』을 둘러싼 유형원·배상유·이현일·최흥원 등의 교류와 영향, 기정진학파의 문인집단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유형원은 학문적으로 배상유와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반계수록』은 이현일과 최흥원 등에게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또한 17세기 중반 이후 독자적인 학파를 형성하지 못한 호남사림이 다시 학파로 결집되는 것은 한말 기정진에 가서였는데 기정진학파는 16세기 호남사림의 인맥과 학맥이 다시 결집되는 양상을 보일 뿐만 아니라 영남지역의 학자들도 대거 문인을 참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조선시대 영남과 호남은 학문·사상적으로 또는 정치적으로 교류·제휴하면서 중기에는 사림의 시대를 열고 성리학을 심화·발전시키는 데 기여하였으며 후기에는 서인·노론의 권력 집중화에 반대하고 한말에는 위정척사사상을 내세우며 제국주의의 침략에 저항하는데 함께 하였던 것이다. There are various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in Joseon Dynasty. This study looks into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focusing on the work of local official, exile, friendship and letter during the 16th century and the early 17th century. and also focusing on Seowon and Yesong(Ritual disputes), book and school after the middle 17th century. First, I look into the exchanges of local official work by Kim Jong-jik and No Jin, Kim Seong-il. Second, I look into the exchange of exile by Kim Goeing-pil, No Soo-shin, and the exchanges of friendship and letter by Yi Hyeon-bo, Yi Hwang, Park Young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In those days Neo-Confucianism developed diversely and reached highest level. This owes to vigorous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sarim like Kim Jong-jik, Kim Goeing-pil, Yi Hwang and Honam sarim like Kim In-hoo, Yi Hang, Ki Dae-seung, Yoo Hwi-choon. The scolastic and intellctual exchanges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is made widely beyond the school and faction. Even until the 17th century the people married opposite faction without reserve, and had vigorous scolastic exchange. This largely contributed to raise the level of learning and thoughts as Neo-Confuciansm and Yahak(Ritual thoughts). But as the concentration of power to Seoin Noron and the conflict of factions were intensified after the middle 17th century, the width of the exchange came to be narrowed. Therefore mostly exchanges between Youngnam namin and Honam namin were made by Seowon and Yesong, book and school. First, the exchanges through Seowon could be looked into by Kyeonghyeon seowon and Micheon seowon, Jasan seowon. Honam namin and Youngnam namin had a effect academically each other in Yesong too. In the case of book and school there were exchanges and effects of Yoo Hyeong-won and Bae Sang-yoo, Yi Hyeong-il, Choi Heung-won, and the members of Ki Jeong-jin School. Yoo Hyeong-won had a effect with Bae Sang-yoo academically and 『Bangyesurok』 affect on Yi Hyeon-il and Choe Heung-won. Honam sarim which had no independent school was concentrated into Ki Jeong-jin School in the middle 19th century. Ki Jeong-jin School shows that personal connections and academic line of Honam sarim in the 16th century were concentrated and also scholars in Youngnam region participated in Ki Jeong-Jin School. Like this Youngnam and Honam scholars have scolastic and intellctual, polical exchanges. They opened the period of Sarim and contributed to develop the Neo-Confucianism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They also opposed the concentration of power of Seoin Noron in the late Joseon and resisted the invasion of the imperialism together.

      • KCI등재

        호남남인 윤선도의 관계망

        고영진 ( Koh Young-ji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81 No.-

        이 글은 17세기 대표적인 호남남인(남인계 호남사림)이었던 윤선도의 관계망을 살 펴본 것이다. 윤선도의 관계망은 다양하지만 크게 혈연적, 지역적, 학문적, 관료적 관계망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윤선도집안은 고조인 윤효정 대 해남에 사회경제적 기반을 마련하고 호남의 대표적인 사족가문으로 성장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해남윤씨는 윤선도 대에 와서 문중을 형성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1702년 족보가 편찬되기도 하였다. 윤선도의 혈연적 관계망은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조선사회의 과도기적 모습을 친족관계의 측면에서 잘 보여준다. 윤선도집안은 호남의 서남해안지역에 강력한 재지적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서울 중앙과의 지역관계망을 구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 윤선도와 그의 가문의 지역적 관계망은 조선 중기에서 후기에 걸친 지방 재지사족들의 생존 전략과 변천 과정을 잘 보여준다. 윤선도의 학문·사상적 맥은 북인 또는 북인계 남인과 연결된다. 그러나 그의 학문적 관계망은 이들 뿐만 아니라 이황학파와 당색이 옅은 서인계 인물까지 연결되었는데 이는 호남남인의 학문적 특징이기도 하다. 윤선도는 집안과 문중의 재산을 유지·경영하고 지방 재지사족으로서의 기반을 다져나가는데 지방관들과의 관계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중앙과 지방에 걸친 윤선도의 관료적 관계망은 조선 중기 향촌에 기반 한 재지사족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자신들의 지배적 위치를 유지·발전시켜 나가려고 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조선시대 혈연적, 지역적, 학문적, 관료적 관계망 등 이 4개의 관계망은 서로 중층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다양한 관계망들은 윤선도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윤선도는 학문적 관계망을 통해 호남남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혈연적 관계망을 통해 해남윤씨집안의 결집을 도모하였고 지역적 관계망을 통해 서울 중앙과의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관료적 관계망을 통해 집안의 재산을 유지하고 지방 재지사족으로서의 기반을 다져나갔다. 또한 윤선도와 그 집안의 관계망을 통해 우리는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조선사회의 과도기적인 모습을 여러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 향촌에 기반 한 지방의 재지사족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자신들의 지배적 위치를 유지·발전시켜 나가려고 했는지, 그 생존전략과 변천과정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Yun Seon-do’s networks who is the typical Honam namin in 17th century. Yun Seon-do’s networks are various and we can study his networks in terms of kinship, regional, academic and bureaucratic networks. Yun Seon-do’s family established a socio-economic foundation by succeeding the great property from the wife’s father, Jeong Gui-young who was a landed proprietor in Haenam region. Hereafter from his three sons as Yun Gu and Yun Haeng, Yun Bok until Yun I-hoo who was Yun Seon-do’s grand son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Yun’s family became a typical noble family in Honam province. Based on this Haenam Yun’s family made an effort to form a clan and compiled the genealogy in 1702. The kinship network of Yun Seon-do showed the transitional figures of Joseon society from mid Joseon to late Joseon period. Yun’s family builded a strong regional base and prepared the hous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uthermore Yun’s family made a regional network and tried to maintain by marrying noble families of Seoul area. But Yun’s family was expelled from Yangban domination network in late 18th century becausing of cutting the regional network with Seoul. The regional network of Yun’s family showed a surviving strategy and a process of change of local noble family from mid Joseon to late Joseon period. Yun Seon-do studied without a teather but his learning and thoughts was rooted in Gimyo sarim. He rated Jeong Gae-cheong high. So his academic line was related with Bukin or Namin affiliated with Bukin. This fact was identified by that most persons to whom Yun Seon-do was related politically and academically were Geungi namin or Honam namin who were rooted in Bukin. But his academic network was related with Yi Hwang school and Seoin of few partisan coloring. This is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Honam namin. Yun Seon-do had a few persons to associate with during his incumbency because he had filled a government post for ten years. But keeping company with local governors was more than central bureaucrats. Yun seon-do used bureaucratic network positively to manage his family’s great fortune. Yun’s bureaucratic network from central to local area showed how local noble families maintained their dominant power. Four networks as kinship network and regional network, academic network, bureaucratic network had multi-level characteristics. And these various networks had much effect on Yun Seon-do. Yun established his identity as Honam sarim affiliated with Namin (Honam namin) through the academic network. He made an effort to unite Yun’s family and maintained the relation between Seoul and local area through the regional network. And he maintained his family’s property and established the foundation as local noble family through the bureaucratic network. We look into transitional figures of Joseon society in many ways through networks of Yun Seon-do and Yun’s family. And we also look into the surviving strategy and a process of change how local noble families maintain and develop their dominant power.

      • KCI등재

        연구논문 : 장성지역의 유학 전통과 특징

        고영진 ( Young Jin Koh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4 역사학연구 Vol.55 No.-

        이 글은 호남 유학의 형성과 발전 과정의 전형이라고 할 정도로 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장성지역의 유학 전통과 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장성지역의 유학은 약간의 차이가 없지 않았으나 전체 호남 유학의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은 아니었다. 즉 고려 말부터 16세기 전반까지 장성지역의 유학 전통은 서릉과 송흠ㆍ박수량에서 볼 수 있듯이, 향촌교화적인 성격을 가지고 기묘사림의 도학사상, 지치추의유학과 크게 다르지 않으면서도 효와 청렴, 지행합일의 강조 등 수기적이고 실천적인 측면을 중시하였다. 16세기 중반 이들의 사상을 계승하여 학문적으로 더욱 발전시킨 김인후는 향촌 교화에 대한 열망과 사심 없고 청렴한 지방관의 중요성, 지나치지 않음과 겸손함에 기반한 삶의 태도 등을 선배 학인들로부터 이어받았다. 여기에 성리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천명도」, 「주역관상도」, 「서명사천도」 등을 저술하였으며 서경덕ㆍ정지운ㆍ이항ㆍ기대승ㆍ노수신 등과의 수준 높은 학술논쟁을 통해 성리학의 이론적 심화와 이이학파의 학설이 정립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그의 학문적 위상은 문인들에 의해 발전적으로 계승되어 송시열과 정조에 의해 ‘도학과 절의ㆍ문장을 다 갖춘 사람’, ‘동방의 周子’, ‘호남의 공자’로 평가받으며 호남지역에서는 유일하게 문묘에 배향되었다. 또한 효와 충, 청렴과 절의, 지행합일을 강조하는 이 지역의 유학 전통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장성 남문창의 등 활발한 의병활동으로 나타났으며, 여기에 민본적 성격까지 덧붙여져 한말 기정진의 위정척사상과 문인들의 사회경제 개혁책, 의병활동 등을 통해 다시 한번 구현되었다. 따라서 장성의 유학 전통과 특징은 호남 유학의 성격과 발전 과정의 전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나아가 조선 사상계의 전체적인 흐름과도 궤를 같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tradi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in Jangseong Region. Confucianism in Jangseong region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stream of Confucianism in Honam province. From Goryo Dynasty to the mid-sixteenth centry in Joseon Dynasty Confucian tradition in Jangseong region had emphasized the sides of self-discipline and practice like Seo Reung, Song Heum and Park Soo-Ryang. Kim In-Hoo who much developed their thought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oretical deepening of Confucianism and a formulating of Yi I school’s theory. His thougths was succeeded by his disciples developmentally and he was considered as ‘the man who has a moral philosophy, fidelity and a literature’, ‘Zhou Dunyi(周子) of the East’ and ‘Confucius of Honam province’. He was only canonized into Confucian shrine among the Honam scholars. Confucian tradition in Jangseong region which emphasized filial piety and royalty, integrity and fidelity, uniting knowledge and conduct were succeeded to the Righteous Army as Jangseong Namun Changui(長城南門倡義). Futhermore It was realized as Ki Jeong-Jin’s expulsion of wickedness theory, his disciples’ socio-economic reformation and Righteous Arm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it is no exaggerating to say that Confucian tradition and the characteristic in Jangseong region was a model of Confucianism in Honam province. It also had a same way of the general stream of the thinking world in Jose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조선 중기 가례주석서의 특성

        고영진 ( Koh Young-jin ) 한국계보연구회 2016 한국계보연구 Vol.6 No.-

        이 글은 조선 중기 家禮註釋書의 편찬과정과 그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朱子家禮』에 대한 최초의 주석서는 1550년대 말 金麟厚가 저술한 「家禮考誤」이다. 모두 13항목으로 이루어진 2쪽 밖에 안 되는 매우 간단한 글이지만 주자가례의 내용을 설명하고 그 속에서 의문 나는 부분을 자기 나름대로 수정한 최초의 예서라고 할 수 있다. 1570년대에 가면 李德弘의 『家禮註解』, 金隆의 『家禮講錄』 등이 편찬되는데 이들은 주자가례의 항목에 대한 간단한 해석 수준에 머물고 있어 초보적인 가례주석서라고 할 수 있다. 이어 16세기 말에 宋翼弼의 『家禮註說』과 金長生의 『家禮輯覽』이 편찬되었다. 『가례주설』은 완벽한 체제와 내용을 가진 본격적인 가례주석서의 시초라고 할 수 있으며 『가례집람』은 당시 예서 중에서 제일 방대하고 수준이 높은 가례주석서라고 할 수 있다. 16세기 후반에는 주자가례를 주석하려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과 더불어 언해하려는 노력도 이루어졌는데 申湜의 『家禮諺解』는 최초의 본격적인 家禮諺解書라고 할 수 있다. 17세기 들어오면 성리학 이해의 심화와 양란의 영향으로 예학이 한단계 더 발전하면서 예서도 이전 시기보다 많이 편찬되었다. 曺好益의 『家禮考證』은 17세기 초반의 대표적인 가례주석서이다. 또한 김장생의 『疑禮問解』, 姜碩期의 『疑禮問解』, 金集의 『疑禮問解續』, 金應祖의 『四禮問答』 등 家禮問答書가 편찬되었다. 가례문답서는 문인들과 예에 관해 교환했던 서찰의 내용들을 주자가례의 체제 항목에 따라 편집한 것이다. 17세기 중반의 대표적인 가례주석서는 兪棨의 『家禮源流』이다. 『가례원류』는 주자가례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발췌하여 주석한 이전의 가례주석서와는 달리 주자가례의 모든 내용을 빠짐없이 수록하고 주석을 붙인 최초의 가례주석서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당시까지의 대표적인 가례주석서였던 『가례집람』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킨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17세기 예학시대론’에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하며 조선 예학사의 정점은 17세기가 아니라 18세기라는 주장까지 제기되었다. 그러나 18세기를 조선시대 예학의 전성기로 보는 것에 대해서는 좀 더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단지 가례주석서의 완성도만을 가지고 판단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양란 이후 예학이 발전하고 예서가 이전 시기에 비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것은 나름대로의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그런 과정에서 본격적인 가례주석서가 등장하고 가례문답서와 王士禮書 등 다양한 형태의 예서가 출판되었다. 또한 이 시기는 주가가례 등 유교적 생활관습이 양반사회에 일반화되었던 시기이기도 하다. 예송 역시 당쟁뿐만 아니라 당시 사회의 모든 분야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결합되어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측면을 종합해서 볼 때 17세기를 ‘예학의 시대’로 불러도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다고 생각된다. 그럴 때 조선 중기 가례주석서의 편찬과 특성, 그 발전과정도 좀 더 다각적, 체계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compila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annotation books of 『Jujagarye(朱子家禮)』(Zhu Xi's family ritual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The first annotation book of 『Jujagarye』 is 『Garyegooh(家禮考誤)』 which Kim In Hoo wrote in the late 1550s. In spite of 2 pages with 15 items this book is the first ritual book that explain the contents and correct doubts of 『Jujagarye』 Yi Deok Hong wrote 『Garyejuhae(家禮註解)』 and Kim Yung wrote 『Garyegangrok(家禮講錄)』 in the 1570s. These books are elementary annotation books of 『Jujagarye』. In the late 16th century Song Ik Pil's 『Garyejuseol(家禮註說)』 and Kim Jang Saeng's 『Garyejipram(家禮輯覽)』 are published. 『Garyejuseol』 is the first full-scale annotation book of 『Jujagarye』 which has perfect system and contents. 『Garyejipram』 is the most large and high level annotation book of 『Jujagarye』 among ritual books in those days. In the late 16th century not only the work of annotation but also the work of korean annotation are done. Sin Sik’s 『Garyeeonhae(家禮諺解)』 is the first korean annotation book of 『Jujagarye』. In the 17th century ritual thoughts(Yehak) developed to a higher level under the influence of the understanding Neo-Confucianism and Imjin War, Byeongja War. Jo Ho Ik’s 『Garyegojeung(家禮考證)』 is the typical annotation book of 『Jujagarye』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the question and answer books of 『Jujagarye』 such as Kim Jang Saeng’s 『Euiryemunhae(疑禮問解)』, Gang Seok Ki’s 』Euiryemunhae(疑禮問解)』, Kim Jip’s 』Euiryemunhaesok(疑禮問解續)』, Kim Eung Jo’s 』Saryemundap(四禮問答)』 are published. The typical question and answer books of 『Jujagarye』 is Yu Gye’s 『Garyeweonryu(家禮源流)』. 『Garyeweonryu(家禮源流)』 is the first perfect annotation book of 『Jujagarye』 which has all contents and annotate 『Jujagarye』 unlike the previous annotation books of Zhu Xi's family rituals. So to speak this book developed 『Garyejipram(家禮輯覽)』 to a higher level. Recently with raising the question to ‘the theory of Yehak period in 17th century’ the opinion that the peak of Yehak history in Joseon dynasty is not 17th century’ but 18th centry was brought up. But we need to be look at the opinion that 18th centry is the peak of Yehak in Joseon dynasty. It is a problem to decide with the completeness of the annotation book of 『Jujagarye』 After Imjin War and Byeongja War It is for solving the problem of period that Yehak developed and the number of ritual books increased so much. In this process the full-scale annotation books of 『Jujagarye』 appear and the various ritual books are published. And Confucian customs enter into general use in Yangban society. Yesong(Ritual disputes) also occurred because of faction and all factors of Joseon society in those days. Therefore It is no problem that we characterize 17th centry as the period of Yehak. When it is like that we can look at compilation and characteristic, development process of annotation books of 『Jujagarye』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 KCI등재

        양산보의 학문과 사상

        고영진 ( Koh Young Jin )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5 No.-

        양산보는 16세기 전반 대표적인 호남사림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15살 때인 1517년 조광조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으나 2년 만에 기묘사화가 일어나 스승이 賜死당하고 많은 사림들이 화를 당하자 통분하며 낙향하여 무등산 아래 창암촌에 조그마한 집을 짓고 소쇄원을 경영하고 평생 처사로서의 삶을 살았다. . 양산보의 사상적 특징으로는 먼저 至治主義의 구현을 들 수 있다. 그는 스승인 조광조의 사상을 충실히 계승하였다. 그의 학문은 『소학』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四書 중에서는 『대학』과 『중용』을, 五經 중에서는 『주역』을 중시하였다. 또한 그는 도연명과 주돈이를 흠모해 서재에 도연명의 「歸去來辭」와 「五柳先生傳」, 주돈이의 「太極圖」, 「通書」, 「愛蓮說」 등을 두고 가까이 하였다. 양산보는 『소학』의 실천에 힘썼으며 「孝賦」와 「愛日歌」등을 저술하고 소쇄원에 愛陽壇을 쌓는 등 효를 강조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하였다. 그의 『소학』과 효 중시 사상은 家學으로 전해 내려져 갔다. 그는 스승의 죽음과 개혁의 실패를 보고 좌절하기도 하였지만 그 절망을 딛고 일어나 스승이 꿈꾸고 실현하고자 했던 지치를 자신의 주변부터 시작하여 가족과 사회에까지 넓혀가고 자연 속에서까지 구현하려고 하였다. 『소학』과 효의 실천, 의리의 강조, 소쇄원의 건설이 이를 반증한다고 할 수 있다. 양산보의 또다른 사상적 특징으로는 天人合一論을 들 수 있다. 양산보는 역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성리학적 세계관과 우주론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북송성리학의 특징이기도 하다. 주돈이의 사상은 기본적으로 천인합일론에 기반하고 있다. 양산보가 흠모했던 또 한 명의 인물은 도연명이다. 그는 평생 가난과 병에 시달렸지만 직접 농사를 지으며 부귀영화를 탐내지 않고 권세와 타협하지 않고 지조를 지키며 살았는데, 道家的 隱逸之士보다는 엄격한 出處觀을 가진 儒家的 處士의 모습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비록 은거하였지만 세상과 등진 것은 아니었으며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의식을 버리지도 않았다. 그의 시문은 따스한 인간미와 담담한 기풍이 깃들어 있었으며 그 바탕에는 천인합일론에 입각한 物我一體의 사상이 있었다. 양산보는 스승과 자신이 꿈꿨던 이상사회인 지치를 자연에 구현한 원림의 이름을 소쇄원이라 이름 짓고 자신의 호도 소쇄옹으로 하였다. 그러나 소쇄는 단순한 쇄락으로서의 내면적 정신 세계를 표현한 것이 아니라 쇄락의 기상을 의미한 강한 실천지향성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 구체적 형용이 광풍제월이었다. 그리고 이 두 단어는 도연명과 주돈이의 사상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소쇄원을 소쇄라는 문학적 기풍과 광풍제월이라는 기상의 결합이 역사적으로 구조화된 건축물로 이해하기도 하며 이 모든 것의 바탕에는 천인합일, 자연과 인간과의 합일사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학문과 사상은 그 내용과 성격에 있어서 조광조의 사상과 이기심성론 중심의 주자성리학의 중간 단계, 즉 성리학적 우주론 중심의 북송성리학과 친연성이 있었지 않나 생각되며 호남유학사에서는 송순계열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는데 특히 소쇄원이 그들 사이의 학문 교류의 장이 되면서 송순계열의 학문과 사상을 더욱 풍부하게 하는데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양산보는 소쇄원을 중심으로 송순, 임억령, 김윤제, 김인후, 김성원, 기대승, 고경명 등 많은 인물들과 직간접적으로 활발한 문학 교류를 하였다. 당시 호남지역은 학문뿐만 아니라 문학적으로도 최고 수준이었는데 양산보와 소쇄원이 그 선구적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Yang San-Bo was one of the typical Honam sarim. He entered the Jo Gwang-Jo’s school in 15 years old and studied. But his teacher and many Literatis were executed or exiled in the Purge of 1959(kimyo sahwa), he went back home and built Soswaewon(瀟灑園) in Changamchon of Changpyeong province. He lived there until he was dead. The first characteristic of Yang San-Bo’s thoughts is the realization of Ideal politics and world. He succeeded to Jo Gwang-Jo’s thoughts faithfully. His Study was based on 『Sohak(小學)』 and put emphasis on 『Book of Changes(周易)』. He also respected Tao Yuanming(陶淵明) and Zhou Dunyi(周敦頥) and put books of these two men. Yang San-Bo made effort to realize the Ideal politics and world from himself to a family, socity and nature. The practice of 『Sohak』 and filial duty(孝), a emphasis of royalty, building of Soswaewon were a evidence of this. The another characteristic of Yang San-Bo’s thought is the theory of Unification of heaven and human. He has deep knowledge of 『Book of Changes』 and was concerned about the world view and the universal theory of Neo-Confucianism. The study and thoughts of Yang San-Bo is located between Jo Gwang-Jo’s thoughts and Lichi theory(理氣論) of Neo-Confucianism, in other words Neo-Confucianism of North Song(北宋性理學). Futhermore Yang San-Bo contributed a development of Song Sun’s school and he with a activity in Soswaewon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area of literature of Honam province.

      • KCI등재후보

        16~17세기 예학의 지역적 분화과정과 그 특징

        고영진(Koh Young-jin) 한국국학진흥원 2008 국학연구 Vol.13 No.-

        이 글은 조선 중기 예학의 지역적 분화과정과 그 특징을 지역정체성의 형성과 향례鄕禮에 대한 인식, 예학의 지역적 전개를 중심으로 살펴 본 것이다. 군현郡縣과 도道를 하나의 역사와 문화를 지닌 독자적인 존재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은 16세기 성리학적 소양을 강하게 지닌 사림이 재지사족으로 지역사회에서 확고하게 자리 잡으면서부터였다. 그리고 하나의 역사ㆍ문화적 단위로서의 도가 형성되는 데는 성리학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사림들이 예학에서 독자적인 지역 인식을 가지게 되는 것도 지역정체성의 형성과정과 궤를 같이 하였다. 조선사회에서 향당鄕黨의 예禮로서의 향례의 개념을 확실하게 인식하고 본격적으로 시행하려고 한 것도 16세기 들어와서였다. 또한 주자의 『의례경전통해』를 모범으로 하여 가례家禮ㆍ향례鄕禮ㆍ방국례邦國禮ㆍ왕조례王朝禮를 균형있게 복원한 정구의 『오선생예설분류』, 향례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를 본격적으로 하고 향례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유형원의 『반계수록』, 향례라는 항목이 처음 등장하는 박세채의 『육례의집』에서 알 수 있듯이 17세기로 넘어가면 조선의 학자들은 향례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가고 예학에서 향례는 독자적인 분야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나아가 17세기 향촌 정책의 두 흐름은 향례에 대한 인식의 차이, 즉 교화의 측면과 통제의 측면 어느 쪽을 중시하느냐와 연관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 사림들은 향례를 가례 또는 왕례와 대립적으로만 본 것은 아니었다. 주자의 『의례경전통해』의 가례ㆍ향례ㆍ방국례ㆍ왕조례와 『대학』의 수신ㆍ제가ㆍ치국ㆍ평천하에서 알 수 있듯이 이들은 예를 행하는 주체와 그 실천의 장을 유기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정체성의 형성과 예학에서의 지역 인식은 예학의 지역적 분화과정과 궤를 같이 하였다. 그러나 16세기에는 아직 학파 또는 지역에 따라 예론이나 예설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아직 차이점보다는 공통점이 많았던 시기였다. 17세기에 들어서면서 학파와 지역에 따라 예학의 차이가 나타나지만이 시기 예학의 발달은 예학자들간의 대립뿐만 아니라 활발한 학문교류에 기인하는 바가 컸다. 17세기 전반까지 이들은 붕당에 관계없이 의문나는 예설과 그 근거에 대해 서로 의견을 주고받았으며 그것을 자신의 예학과 예서에 반영하였다. 한편 학파와 지역에 따른 예학의 차이는 17세기 전례논쟁典禮論爭에서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예학의 심화에 힘입어 발달하였던 이 시기의 전례 논쟁은 역으로 예학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충청지역 이이 계통의 서인ㆍ노론과 서울ㆍ충청지역의 성혼ㆍ김상헌 계통의 소론학자들은 『의례』와 『주자가례』를 모범으로 삼으면서 가례ㆍ향례ㆍ방국례ㆍ왕조례를 복원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노론은 주로 사례士禮의 입장에서 왕례王禮를 흡수하여 왕사동례王士同禮를 주장하였으며, 소론은 사례와 왕례를 균형있게 보면서 왕사부동례王士不同禮를 주장하는 경향이 더 강하였다. 이에 반하여 서울ㆍ경기지역의 서경덕ㆍ조식 계통의 기호남인들과 최석정 등 일부 소론들은 『주례』ㆍ『예기』 등 고례古禮를 기반으로 하여 왕사부동례를 강조하였다. 결국 학파와 지역에 따라 예학의 차이가 드러나고 이를 바탕으로 학문적ㆍ정치적으로 대립하는 것은 17세기 중반에 가서야 본격화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같은 학파ㆍ같은 지역 안에서도 예학의 차이가 없지 않으므로 학파와 지역에 따른 예학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보다 세밀한 접근과 분석을 필요로 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regional specialization process of Yehak(the study of ritual thoughts) in middle Joseon. and its feature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the local identity, the recognition of Hyangrye(鄕禮), the regional development of Yehak Beginning to recognize counties and province as independent existence having one history and culture was from that Sarim possessing strong Neo-Confucianism in 16th century settled confirmly down in regional society as Jaejisajok(在地士族). And Neo-Confucianism was closely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province as the unit of one history and culture. And this formation of local identity and regional recognition in Yehak had the same way with regional specialization process of Yehak.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ritual theory according to the school and the region in 16th century, and it was still the period of common point rather than different point. Coming up 17th century, there was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chool and the region, but the development of Yehak in this period contributed to a lot for the opposition of ritual scholars as well as active scholarship interchange. Until early 17th century, they interchange their opinions about the ritual theory and its base without parties and reflected them in their Yehak and ritual books. In the meantim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and the region was directly reflected on the ritual controversies in 17th century. The ritual controversies in this time that strongly developed with deepening of Yehak affected oppositively to research of Yehak. Seoin and Noron with the school of Yi I in Chungcheong area and Soron scholars with a school of Seong Hon and Kim Sang-heon in Seoul and Chungcheong area tried to recover Garye(家禮) and Hyangrye, Banggukrye(邦國禮), Wangjorye(王朝禮) with a model of 『I li(儀禮)』and 『Chu Tzu chia li(朱子家禮)』. But Noron usually insisted Wangsadongrye (王士同禮) absorbing Wangrye(王禮) in aspect of Sarye(士禮) and Soron did more strongly insist Wangsabudongrye(王士不同禮) in view of Sarye and Wangrye in balance. On the contrary to this, Kihonamin with the school of Seo Gyeong-deok and Jo Sik and Soron like Choi Seok-jeong emphasized Wangsabudongrye based on Old rituals(古禮) like 『Chou li(周禮)』 and 『Li chi(禮記)』. Finally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and the region was appeared, and based on this, it was the middle of 17th century that the dispute of academic and politic was beg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