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대칭 동조질량감쇠기를 활용한 바닥진동제어의 강건성 향상 방안

        고아라,이철호,김성용,Ko, A Ra,Lee, Cheol Ho,Kim, Sung Yong 한국강구조학회 2014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26 No.3

        최근 강재의 고강도화를 통한 부재 단면 사이즈의 절감은 종종 강성의 부족으로 이어져 과도한 처짐이나 진동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적절한 설계나 예방을 통해 구조물의 바닥진동에 대한 보완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바닥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조질량감쇠기가 종종 쓰이고 있다. 동조질량감쇠기는 바닥의 진동수에 대해 정확히 설계되었을 때에는 효율적으로 바닥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바닥질량의 크기와 외부하중의 특성에 따라 바닥의 진동수가 수시로 변하는 경우에는 그 효율이 급격히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현상을 동조이탈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실제 바닥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에 따라 바닥의 진동수가 달라지는 양상을 실험을 통해 고찰한다. 실험 바닥에 기존의 단일동조질량감쇠기를 적용하여 단일동조질량 감쇠기의 한계인 동조이탈현상을 확인한다. 또한, 바닥진동제어의 강건성을 확보하기 위해 진동수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비대칭 동조질량감쇠기의 활용을 제안한다. TMD의 강건성이란 진동수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바닥진동제어 성능이 얼마나 지속되느냐를 뜻한다. 제안된 비대칭 TMD는 두 개의 비대칭 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진동에너지를 소산한다. 제안된 비대칭TMD의 최적화 결과, 비대칭TMD는 기존 STMD에 비해 28%이상의 진동제어성능을 확보하였으며, 외부의 환경 변화에 대한 강건성은 약 1.4배 개선되었다. When floor vibration problems occur in existing buildings, TMD (tuned mass damper) can be a viable alternative to resolving the problem. Only when TMD has been exactly tuned to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floor, it can control the vibration as intended in design. However, TMD gets inefficient in the situation where the natural frequency changes as a result of the uncontrollable variation of the floor mass weight. This physical phenomenon is often called as TMD-off-tuning. This study proposes asymmetric TMD for enhancing the robustness of floor vibration control against uncertain natural frequencies. The proposed TMD features two asymmetric linear springs such that the floor vibrational energy can be dissipated through both the translational and rotational motion. An easy-to-use graphical optimization method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asymmetric TMD proposed outperformed in vibration control by 28% compared to that of conventional TMD. The robustness of asymmetric TMD of this study was two times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TM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패션 브랜드의 SNS 마케팅에 관한 연구 - 기술 수용 모델을 중심으로 -

        고아라 ( A Ra Ko ),김선희 ( Sun Hee Kim ) 복식문화학회 2014 服飾文化硏究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lead to continuous use intention of SNS marketing.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NS factors that affect use intention based on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uggested by Davis (1986). The survey focused on age twenties to thirties male and female who had experience in receiving fashion brands message through Facebook. 329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study, and SPSS 12.0 was used to conduc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teraction/playfulness, information, reliability, and convenience of access were extracted as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s SNS marketing. Second, all SNS factors had significant relation on perceived usefulness. But only interaction/playfulness and convenience of access showed significant relation on perceived ease of use. Thir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ffected continuous use intention. Forth, continuous use intention had significant relation on brand attitude and showed direct and indirect significant relation to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중장년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연구: 다인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아라 ( Ko A Ra ),정규형 ( Jeong Kyu Hyoung ),신보경 ( Shin Bo Kyou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가족복지학 Vol.59 No.-

        본 연구의 목적은 1인 가구 중장년과 다인 가구 중장년의 사회경제적 박탈과 우울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고,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 관계를 검증한다. 분석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자료 제7차(2012년)부터 제11차(2016년) 중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총 4,212건을 활용하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박탈과 우울이 다인 가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박탈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인 가구는 유의하지 않았다. 나아가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모두 사회경제적 박탈이 높을수록 우울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인 가구와 다인 가구 중장년의 사회경제적 박탈과 우울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중장년 1인 가구에 대한 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study to compare the change trajectory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depression the middle-aged in the single-person household and that in the Multi-person Household and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t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depression. To do so, we studied 4,212 single-person household and Multi-person Household cases in the 7th to 11th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2∼2016).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we go on analysis with the latent growth curve model. According to our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the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depress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higher than those of Multi-person Household and thus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Also, we reveal that the socioeconomic deprivation of Multi-person Household tends to decease while that of single-person household doesn’t decline significantly. Furthermore, it appears that the socioeconomic deprivation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depression in both groups. This research has meaningful significance in that we discussed in dep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oeconomic deprivation and depression of both groups, suggesting that welfare approach should be needed in the middle-aged in the single-person household.

      • KCI등재

        특수교육 분야 국내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0~2021)

        고아라(Ara Ko),홍재영(Jaeyoung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이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서 내러티브 연구를 실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의 방향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까지의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연구 51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으며, ‘학술지, 발행 연도, 연구 참여자, 참여자 수, 연구 주제, 장애 영역, 참여자 수, 자료형성 방법, 면담 기간 및 횟수’를 준거로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분석대상 논문 중 6편(11.8%)이 ‘유아특수교육연구’, 5편(9.8%)이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에 실려 있어 51편의 논문 중 11편(21.6%)이 2개의 학술지에 게재되어 있었다. 발행 연도는 2004년 1편을 시작으로 2021년에 8건이 발행되어 내러티브 탐구 연구의 증가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사 24편(40.7%), 일반교사 12(20.3%)편으로 교사 참여 연구가 많았으며, 참여자의 수는 3명(25.5%), 1명(21.6%), 2명(15.7%)으로 1~3명인 경우가 다수를 차지했다. 연구 주제는 교육과정 및 수업, 통합교육과 같은 직접적인 학생 지도를 주제로 한 연구가 많았다. 장애 영역의 경우 특정 장애 영역을 한정하지 않고 장애 전반을 다룬 연구가 26편(46.4%)으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단일 장애 영역으로는 시각장애, 중복장애가 각 5편(8.9%)으로 가장 많았다. 자료형성 방법은 개별 면담과 현장 자료를 함께 수집한 경우가 33편(64.7%)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면담 기간은 1개월 미만에서 12개월까지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개별 면담 횟수는 3~4회가 17편(27.4%)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서의 내러티브 탐구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researchers who want to carry out narrative inquiry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Methods 51 narrative stud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were analyzed from 2000 to 2021. For analysis, analysis criteria were established through a review of prior research, and based on this, analyzed by journal, publication year, research participants, number of participants, research topics, disability area, number of participants, data formation methods, interview period and number of tim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1.8% of the papers to be analyzed were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9.8% i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with a total of 21.6% published in two journals. The publication started with 1 paper in 2004, 8 papers were published in 2021, confirming the increasing trend of narrative inquiry research. As for the participants, 40.7%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20.3% of general teachers were involved in the study.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1~3 people accounting for the majority. Most of the research topics were instruction and curriculum operation experiences. In the case of the disability area, 46.4% of the studies dealt with the overall disability without limiting the specific disability area, and 8.9% of the single disability area were visual impairment and Multiple disability, respectively. As for the data formation method, 64.7% of them collected individual interviews and field text together. The interview period showed an even distribution from less than 1 month to 12 months. As for the number of individual interviews, 3~4 times were the most at 27.4%.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inquiry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were discussed.

      • KCI등재

        관리조방형 옥상녹화지의 동,식물상 변화

        고아라 ( Ah La Ko ),이은희 ( Eun Heuii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기 조성된 옥상녹화지의 동·식물상 모니터링을 통해 옥상녹화지의 생태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상지는 서울여대 행정관 옥상녹화지역으로 조성 당시인 2005년과 2009년 현재 식재 식물의 생존여부와 이입식물, 출현 동물군 중 곤충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식재당시인 2005년의 경우, 식물은 식재종 26과 100종이었으나, 2009년 조사 결과 23과 62종으로 나타났다. 이 중 식재식물은 14과 40종으로 줄었으며, 이입식물은 11과 22종이 출현하였다. 곤충은 2009년 총 9목 7과 21종이 출현하였으며, 육안조사법으로 8목 15과 19종, 먹이 유인포획법으로 5목 5과 5종이 발견되었다. 곤충은 주로 비행하여 대상지에 출현한 것으로 보이며, 문헌조사로 밝혀진 곤충의 특성과 연관하여 분석한 결과 대상지의 식물을 식수로 이용하거나, 서식처로 사용하는 등 식물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nge of flora and fauna in the extensive rooftop green area from 2005 to 2009. The experimental site is on the rooftop green area of Seoul Women`s University which was constructed in 2005. This research was consisted of four parts: soil, potted plants, invading plants and small animals especially insects. The plants were surveyed by enumeration, while animals were surveyed by two methods which are `Netting and Searching` and `Pit fall trap`. The initial group of plants planted in 2005 was 100 species of 26 families whereas in 2009 there were 62 species of 23 families including 22 invading species of 11 families. In case of insects in 2009, 21 species of 7 families (9 orders) were detected; 19 species of 15 families (8 orders) were discovered by `Netting and Searching` and 5 species of 5 families (5 orders) by `Pit fall trap`.

      • KCI등재

        시각장애학교에서 음악교과를 가르치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 탐구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고아라(Ko A Ra),홍재영(Hong Jae Young)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3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학교에서 음악을 가르치는 교사가 겪은 경험을 면밀히 살펴보고, 이러한 경험을 통해 수업전문성을 탐구해가는 과정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자문화기술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자로서의 나는 음악수업 전문성의 부족과 특수교사로서의 전문성 부족을 마주했다. 둘째, 연구자로서의 나는 음악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 음악적 기능과 지식을 함양시켜 나갔으며 음악수업을 통해 실천적 지식을 축적해나갔다. 또한 반성적 사고를 행하며 수업의 질을 개선해나갔으며 사회적 지지 속에서 수업 전문성 계발을 지속하고 보다 다양한 수업을 시도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시각장애학교에서 음악 교과를 가르치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 함양 및 시각장애학교 음악수업의 질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시각장애학교 음악수업의 질 개선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closely examines the experience of teaching a music class at a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investigates the process of nurturing the expertise practical knowledge through such an experience by using autoethnography. Method: The autoethnography research method was used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Results: First, I was faced a lack of expertise on music classes and a lack of expertise as a special teacher. Second, I was developed musical skills and knowledge to improve my expertise in music classes and accumulated practical knowledge through music classes. It also improved the quality of the class through reflective thinking and was able to continue to develop class expertise under social support and lay the foundation to try more diverse classes. Conclusion: Through this research, I was able to draw implications on nurturing the expertise of music teacher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music classes at a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research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necessary to enhance the quality of music classes at a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 KCI등재

        구조BIM 기반 철골접합부 자동화 설계시스템 개발

        고아라(Ko, A-Ra),이승일(Lee, Seung-Il),조영상(Cho, Young-Sang) 대한건축학회 2013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9 No.2

        As a way to improve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industry,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ased on parametric method is being studied and applied recently. Structural BIM among BIM enable the flexible environment promptly by providing structural analysis and design, structural member modeling, generation of drawing, quantity takeoff ect in integrated environment. Current work process of steel structure applying structural BIM has been performed for main member except connection parts. However entire steel structure including the connection has a number of limitations. Integrated work process also, is utilized as limited result of steel main member generated structural analysis result and geometric data in structural analysis and design phase. Accordingly, Generation of Integrated information model including connection and integrated structural BIM process management are required through more research on generating analysis result of steel connection and connection design, detailed model etc. This study presented work process in each stage on steel connection based on structural BIM for follow-up work through auto generation of connection information model and efficient design of steel connection in design phase of steel structure, and proposed the integrated design system for executing work process. Furthermore a case study was performed by using the process in an actual project.

      • 성별에 따른 SW·AI 분야의 진로 선호도 요인 탐색

        고아라(Ara Ko),배진아(Jinah Bae),조정원(Jungwon Cho)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7 No.2

        정부는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을 위해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 기본계획’을 기반으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공계 분야의 성별 불균형은 여전히 존재한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여학생들이 이공계열 전공 및 직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데이터 기반의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대-가치 이론을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진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W·AI 캠프에 참여한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대는 자기효능감, 가치는 내적 가치와 유용 가치로 구분하여 진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고, 결과적으로 내적 가치와 유용 가치가 진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남학생들은 전체 데이터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유용 가치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학생들은 내적 가치만이 진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성별에 따라 진로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달라서 여학생들의 이공계열 유입을 위해서는 해당 분야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