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한소급에 대한 화엄의 입장

        고승학 철학연구회 2019 哲學硏究 Vol.0 No.127

        with the hallmark of the Huayan scholasticism, which is dubbed as “chongchong wujin” (repetitive containment ad infinitum). Such an inconceivable perspective is drawn from the Huayan thinkers’ presupposition that a part contains the whole, which is again composed of such parts. But many philosophical traditions, in general, try to avoid the infinite regress as one of the logical fallacies. This paper examines the Buddhist literature that alludes to “wuqiong” as infinite regress, and highlights that the Huayan thinkers also had a critical attitude toward this issue when they discussed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 dissociated factors. But they also used the term in a positive sense of inexhaustiveness. This twofold usage of the term seems to show that the Huayan thinkers critically incorporated the elements of previous scholarship even when they created their own unique metaphysical theories.

      • KCI등재

        이통현의『 해심밀경』과 『유마경』 해석에 대하여

        고승학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29 No.-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thought of the lay exegete Li Tongxuan 李通玄(635-730) who presented a unique interpretation of the Avataṃsaka-sūtra in the Xin huayan jing lun during the early Tang period. The ascription of supreme status to the Avataṃsaka-sūtra is evident in his doctrinal-classification schemata as in the case of those presented by other Huayan masters. Yet, his evaluation of individual scriptures is not fully examined and thus open to criticism. Therefore I bring to light some problems inherent in his doctrinal-classification by re-examining his interpretations of the Saṃdhinirmocana-sūtra and the Vimalakīrti-nirdeśa . In his doctrinal-classification Li depicts the contemplation of emptiness extolled in the Prajñāpāramitā-sūtra as an escapist practice carried out by those who dread life and death. Thus he evaluates the Saṃdhinirmocana-sūtra which proclaims the thesis of neither emptiness nor existence as more advanced than the Prajñāpāramitā-sūtra and believes that it establishes an untainted realm of consciousness within the tainted cognitive foundation of sentient beings. By misreading some passages of the scripture, however, he changes the reference to the dharma-abiding wisdom(Skt. dharma-sthiti-jñāna ), which simply means a knowledge that conforms to the Buddha’s teachings, into a thesis of wisdom as a self-recognition that realizes the existence of the untainted substance in a sentient being’s mind. In the case of the Vimalakīrti-nirdeśa , the scripture neither establishes the metaphysical substance nor denies their phenomenal functionality with regard to the mind and body of sentient beings. But he again misrepresents this as a scripture that absolutely affirms the entirety of existential foundation of sentient beings. Li’s incorrect citations and misguided readings of some scriptural passages may be viewed as limitations of his doctrinal-classification. But these “defects” are in fact a natural outcome of his notion of the one true dharma realm (yi zhen fajie 一眞法界), according to which the current status of sentient beings is itself a foundation for attaining buddhahood. 본 논문은 당 초기의 거사로서『 신화엄경론』을 통해『 화엄경』에 대한 독특한 해석을 제시한 이통현(635-730)의 사상을 조명하기 위 한 하나의 시도이다. 다른 화엄사상가들과 마찬가지로 그 역시 교판 을 통해『 화엄경』을 최상의 경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개별 경 전들에 대한 그의 평가가 얼마나 타당성을 지닐 수 있는지에 대해 서는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필자는 이에『 해심밀경』과 『유마경』에 대한 그의 해석을 검토함으로써 그의 교판이 지닌 몇 가 지 문제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의 교판에서『 반야경』의 공관(空觀)은 생사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초세간적 세계로 도피하려는 이들의 수행법으로 인식된다. 따 라서 그는 불공불유(不空不有)를 표방한『 해심밀경』을 중생의 의식 기반 속에 번뇌에 물들지 않는 실체가 있음을 보인다는 점에서『 반 야경』 보다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한다. 그러나 그는『 해심밀경』의 일부 구절을 오독하여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는 지혜인 ‘법주지’(法住智) 개념에 대한 논의를 중생 자신의 의식 속에 번뇌에 물들지 않는 실체가 있음을 깨닫는 지혜에 대한 논제로 전환시킨다. 또한 그는 중생의 신체와 의식에 대하여 그것의 실체성을 부정하면서도 그 현 상적 기능성을 인정하는『 유마경』에 대해서 중생의 존재 기반 전체 를 절대적으로 긍정하는 경전으로 취급한다. 이처럼 일부 경전에 대한 인용과 독해가 잘못된 점은 한편으로 이 통현의 교판이 지닌 한계라고 할 수 있지만, 이는 다른 한편으로 중 생의 현 상태 그 자체를 불과(佛果)를 얻을 수 있는 기반으로 본 그 의 일진법계(一眞法界) 사상의 자연스런 귀결이기도 하다.

      • KCI등재

        송대 이후 중국불교사에 보이는 인명(因明)의 적용과 그 의의

        고승학 한국불교학회 2024 韓國佛敎學 Vol.109 No.-

        중당(中唐) 이후의 중국불교의 흐름에 대해서는 ‘제종융합(諸宗融合)’으로 특징짓는 경향이 있다. 이는 한편으로 이때부터 종파 간 경쟁이 줄어들었음을 함축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교학에서 획기적 발전이 없었다는 인상을 주기도 한다. 특히 인명(因明) 연구는 회창폐불 이후 그 명맥이 끊어진 것처럼 인식되기도 한다. 화엄종의 경우에도 남송(南宋) 이후에는 법장(法藏)의 『기신론의기』와 『오교장』에 대한 조술(祖述)에만 집중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장수 자선(長水子璿)의 『필삭기』에는『기신론』의 일심‧이문‧삼대의 구조를 인명의 개념을 통해 설명하는 등 법장에게는 보이지 않는 독특한 해석이 나온다. 나아가 여러 거사 및 학승들이 활약한 명(明)‧청(淸) 시기의 문헌들을 살펴보면, 천태‧유식‧화엄‧인명에 걸쳐 당나라 시기에 결코 뒤지지 않는 풍부한 교학 성과가 ‘성상융회(性相融會)’의 기치 아래 산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통리(通理), 종륵(宗泐) 및 여기(如玘), 지욱(智旭) 등의 『원각경』, 『능가경』, 『성유식론』에 대한 주석서는 단지 ‘종(宗)’‧‘인(因)’‧‘유(喩)’의 삼지(三支)를 언급하는 수준을 넘어서 해당 경론의 논제를 옹호하기 위해 오류론을 채택하는 등 인명의 개념들을 활발하게 응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송대 이후 명‧청대에 이르기까지의 중국불교의 흐름 속에서 교학 전통이 결코 시들지 않았음을 보이고, 그것이 오늘날 한국불교의 발전적 토대를 확보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after the mid-Tang is generally characterized as “syncretism of diverse sects” (諸宗融合). While this characterization implies that competition between sects was mitigated, it also gives us an impression that no groundbreaking scholastic developments appeared thereafter. In particular, it is often understood that the tradition of hetuvidyā was severed after the Huichang persecution. The Huayan school after the Southern Song, too, seems to have focused only on the exposition of Fazang’s Qixin lun yiji and Wujiao zhang. In Changshui Zixuan’s Bixiao ji, however, we see a peculiarity that cannot be seen in Fazang’s Qixin lun commentary as it explicates the structure of one mind, two gates, and three greatnesses through the concepts of hetuvidyā. Moreover, texts from the Ming and Qing periods, written by lay scholars and monks such as the four great masters of the late Ming, demonstrate abundant scholastic achievements comparable to those of the Tang period in diverse fields, such as Tiantai, Yogācāra, Huayan, hetuvidyā. These achievements were produced with the motto of “harmonization of nature and characteristics” (性相融會). In particular, the commentaries on Perfection of Wisdom Sūtra, Laṅkāvatāra Sūtra, and Cheng weishi lun, respectively written by Tongli, Zongle and Ruji, and Zhixu, tell us that these authors actively applied the concepts of hetuvidyā―they not only referred to the three‑membered syllogism but also adopted theories of logical fallacies to defend the theses of those scriptures and treatises.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survey, this paper shows that scholastic trends, including hetuvidyā, have never withered in the current of Chinese Buddhism from the Song to the Ming and Qing. It also emphasizes that these trends are full of suggestions for securing foundations for developing today’s Korean Buddhism.

      • KCI등재

        신라 불교사에 나타난 願力의 의미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고승학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3 No.-

        The religious acts of the Silla people, as recorded in the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may give an impression that they are removed from the ideal of vows (weollyeok 願力) made by the Mahāyāna bodhisattvas who devote themselves to the attainment of enlightenment and liberation of sentient beings. Our textual analysis conducted in terms of subject, object, and content of vows, however, will reveal the following positive characteristics of the Silla Buddhist cults. First, most of the subjects who made vows are monks and the objects to which their vows were delivered are buddhas and bodhisattvas. It seems that the Silla people came to be aware of the inefficiency of shamanistic rituals in which the royalty could accomplish their vows only when they became guardian deities after their demise. They were thus inclined to take more efficient Buddhist vision which ensured immediate achievement of vows through the empowerment of universal vows made by buddhas and bodhsattvas. Secondly, although the content of the Silla people’s vows is rather secular-oriented, their cultic practices promoted by the elite Buddhists represent the ideology of non-duality and dedication (hoehyang 廻向) of Mahāyāna Buddhism. And their adoption of the vernacular language exemplified in the use of hyangga 鄕歌 for their prayer symbolizes their overcoming of the “borderline complex.”Thirdly, prior to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the Silla people tended to subordinate their Buddhist cults to the state agendas. After the unification, however, they had the propensity to make vows and practice for the personal and familial welfare. Lastly, diverse buddhas and bodhisattvas feature in the Silla people’s course of vow-making without making any conflicts. This may be labelled as a syncretism of Silla Buddhism. 『삼국유사』에 나타난 신라인들의 신앙 양태는 깨달음의 완성과 중생 구제라는 이상적인 대승 보살의 원력과 거리가 멀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 텍스트를 원력의 주체와 대상, 그 내용의 관점에서 분석할 경우 다음과 같은 신라 불교 신앙의 긍정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원력을 일으킨 주체와 대상은 주로 승려들과 불보살인데, 이는 왕과 귀족이 사후 호국의 수호신이 되어 원력을 이룬다는 무속적 세계관의 비효율성을, 불보살의 보편적 원력과 加持에 의해 극복하였음을 의미한다. 둘째, 그 원력의 내용이 현세적인 측면이 있긴 하지만, 그 신앙은 불교계의 엘리트층에 의해 주도적으로 보급되었고, 대승불교의 不二와 廻向의 정신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그들이 주로 향가라는 고유의 언어로 기도했다는 것은 이들이 주변부 의식을 극복하였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셋째, 삼국 통일 이전까지 신라인들의 불교 신앙은 국가적 아젠다에 종속되는 경향이 있었지만, 이후 개인과 가족의 안위를 위한 원력을 세우고 수행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넷째, 그들의 신앙했던 다양한 불보살들이 원력의 실현 과정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신라 불교의 종합적 특성으로 간주해도 좋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 화엄사상에서의 ‘원융(圓融)’ 개념의 다양성

        고승학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6 南道文化硏究 Vol.0 No.30

        중국불교사에 대한 교과서적 기술에 따르면 화엄 전통은 ‘법계연기’와 ‘원융무애’와 같은 추상적이며 기술적(技術的)인 용어들로써 묘사되는 경향이 있다. 이 중 후자는 동 아시아 불교 일반의 중심 원리로 자주 거론된다. 화엄사상가들의 저작에서 이 ‘원융’ 개념은 현상적 대상들의 차별성 이면에 본질적 평등성이 있음을 강조하며, 여러 교리적 범주들이 그 본성상 방편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용어들을 주의 깊게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똑같이 『화엄경』에 의해 종교 적 영감을 받았으면서도 그 경전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이해했던 사상가들 사이의 미묘한 차이를 무시하여 그 전통을 지나치게 단순화할 우려가 있다. 동시에 화엄 전통에 관한 ‘정통’과 ‘이단’의 이분법에 근거한 고답적인 설명을 답습할 경우 원융이라는 개념을 주 류 화엄 사상가들만의 전유물로만 간주할 위험에 빠질 수도 있다. 본 논문은 이통현(635~730), 법장(643~712), 징관(?~839)의 저술들을 살펴봄으로써 화엄 전통에서 정통과 이단을 구분하는 선이 그다지 선명하지 않음을 보이려 한다. 이통현은 ‘정통’ 화엄 사상가로 간주되지 않지만, 육상원융(六相圓融)에 관한 보다 발전 된 설명을 제시하였는데, 그의 육상 이론은 법장의 이론에 기원한 것이다. 또한 징관의 삼성원융(三聖圓融) 개념은 이통현에게서 유래한 것이다. 그러나 자종(自宗) 안에서의 사제 관계로부터 자유로웠던 이통현과 달리 이 두 ‘정통’ 사상가들은 원융의 원리를 적용 함에 있어서 기존의 교리적 틀을 충실히 따르려 했다는 차이점도 존재한다. 화엄 전통을 균형 있게 그려내기 위해서 우리는 이러한 개별적인 화엄 사상가들의 사상을 보다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Textbook accounts of Chinese Buddhism tend to depict the Huayan tradition with abstruse technical terms such as “dependent origination of the dharma realm” and “perfect interfusion.” Of these the latter has often been characterized as a guiding principle of East Asian Buddhism in general. This concept of perfect interfusion emphasizes the fundamental equality underlying different phenomenal objects and denotes the provisional nature of doctrinal categories in the works of Huayan thinkers. If we use such terms without due attention, however, we may run the risk of oversimplifying the tradition by overlooking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 thinkers who were equally inspired by the Flower Garland Sutra but understood the scripture in their own fashion. At the same time, if we are led by stereotyped descriptions of the tradition (predicated in an unwarranted orthodox-heterodox dichotomy) we could be in danger of regarding the concept of perfect interfusion as an exclusive intellectual property of the “orthodox” or mainstream Huayan thinkers. By drawing upon the works of Li Tongxuan (635–730), Fazang (643– 712), and Chengguan (d. 839), this paper aims at demonstrating that the lines separating the orthodox from the heterodox are not as clear as were once thought. Although Li Tongxuan is not considered an “orthodox” Huayan thinker, his slightly advanced formulation of perfect interfusion between the six marks seems to be based on Fazang’s. Moreover, Chengguan’s notion of perfect interfusion between the three sages clearly originated from Li Tongxuan’s. Unlike LI Tongxuan who was free from the master-disciple relationship these two “orthodox” thinkers tried to follow the established doctrinal frameworks in their application of the thesis of perfect interfusion. Thus in order to draw a balanced picture of the tradition, we should examine the thought of such individual Huayan masters more cautiously.

      • 『대승기신론』에서 여래장의 수행론적 의미

        고승학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1 불교학 리뷰 Vol.10 No.-

        『대승기신론』의 중국 찬술설과 관련하여 본 논서에 중국적 사유방식, 특히 현실 세계에 대한 긍정이 잘 표현되어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부증불감경』 및 『승만경』 등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기신론』에서의 근본 무명은 중생의 세계와 부처 또는 열반의 세계가 동일함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기신론』은 번뇌를 제거의 대상이 아닌, 그 실체가 없음을 인식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는데, 이는 일진법계를 주장하는 화엄가들의 견해와 일치한다. 또한 『기신론』의 본각 개념은 수행자의 마음속에서 발심과 수행을 일으키는 성불의 내적인 인(因)으로서의 여래장과 그들의 성불을 돕는 외적인 연(緣)으로서의 불보살의 작용을 가리키며, 진여의 용(用) 훈습 및 지관문(止觀門)에 대한 설명은 여래장이 수행의 전 과정에서 자비의 실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짐을 시사한다. 요컨대 『기신론』은 마음과 깨달음의 구조를 설명하는 한편, 중생의 현실을 수행의 토대로서 긍정하고 깨달음은 궁극적으로 자비의 실천으로 실현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논서인 것이다. In relation to the thesis of Chinese authorship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Dasheng qixin lun 大乘起信論), we may point out that a sort of Sinicized mode of thinking, especially an affirmation of the present world, is implied in the text. This article aims at clarifying that fundamental ignorance (genben wuming 根本無明) referred to in the text denotes one’s failure to realize the identity of the realm of sentient beings with that of the Buddha or nirvāṇa, through a comparison of the text with the Scripture of Neither Increase Nor Decrease (Buzeng bujian jing 不增不減經) and the Śrīmālādevī Sūtra (Shengman jing 勝鬘經), two scriptures that explicate the tathāgata-garbha (rulai zang 如來藏) thought. In particular, the Awakening of Faith does not regard afflictions as objects of elimination. Instead, the text emphasizes that one should recognize that afflictions are devoid of self-nature. And such a view of afflictions is congruent with the Huayan idea of the one true dharma realm (yi zhen fajie 一眞法界). Original enlightenment (benjue 本覺) introduced in the text indicates the function of tathāgata-garbha as an internal cause for attaining buddhahood and the activitie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as an external condition for enlightenment. While tathāgata-garbha arouses aspiration for enlightenment in the practitioners’ mind, the Buddhas and bodhisattvas lead those practitioners to attain buddhahood. The text’s account of the permeation (Skt. vāsanā) of suchness in terms of its functionality (zhenru yong xunxi 眞如用熏習) and the gate of stopping (Skt. śamatha) and contemplation (Skt. vipaśyanā) (zhiguan men 止觀門) implies that tathāgatagarbha is intricately connected with the practice of compassion throughout the entire stages of cultivation. In sum, the Awakening of Faith explicates the structure of one’s mind and mechanism of enlightenment on the one hand, while it affirms the present state of sentient beings as a foundation of cultivation and stresses their compassionate engagement as an ultimate realization of their enlightenment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인명학(因明學) 주요 개념의 분석적 이해―‘회토비월(懷兔非月)’ 논증식 분석을 위한 시론―

        고승학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3 철학사상 Vol.89 No.-

        We sometimes use paradoxical or contradictory words to reveal profound religious and philosophical insights inaccessible to ordinary experience. However, we tend to refrain from using such words when it comes to composing treatises or commentaries that aim at logical clarity. The Buddhist tradition of logic or hetuvidyā has presented theories of fallacies with the same purpose. While this hetuvidyā tradition has been studied with a comparative approach of Western analytic philosophy, its literature is still full of difficult terms and examples. Moreover, Chinese translations of the Indian hetuvidyā treatises as well as Chinese commentaries continuously pose difficult problems for research. This paper aims at having an analytic understanding of the major concepts of Dignāga’s hetuvidyā system, as a preliminary step to explicate the statement “acandraḥ śaśī” (a hare-bearer is not the moon), which is presented as an example of lokaviruddha in the Nyāyapraveśaka and the Nyāyamukha. To attain this goal, this paper first clarifies that general components of logical formulae, such as three-part syllogisms and three qualities of the reason (trairūpya), can be easily rendered into the form of symbolic logic and Venn diagrams with some modifications. In particular, the three-part syllogism of hetuvidyā may appear similar to Aristotelian syllogism. However, the former has an existential import in that reasons and examples should be confirmed in experience, as it has its own peculiarities in which deductive reasoning and inductive logic are combined. This also means that when one represents hetuvidyā formulae with Venn diagrams, which are widely used for a visualized understanding of syllogisms, one should be able to verify their logical validity by examining whether a specific area in the diagrams is a null set or not. Examination of the logical validity of the statement “acandraḥ śaśī”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is.

      • KCI등재

        화엄 교학에서의 연기(緣起) 개념

        고승학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화엄 교학 전통에서 연기 개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고찰하고 단일해 보이는 이 전통 내에 다양한 연기 개념이 존재하였음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불교의 연기 개념이 시간의 흐름을 중시하여 고통의 발생과 소멸이 특정한 조건에 의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면, 대승불교의 공 개념은 현상계의 모든 사물들이 상호 의존하고 있다는 직관을 가지게 하였고 연기로부터 시간성을 탈각하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화엄 교학의 진여연기와 볍계연기, 그리고 성기 개념은 여기에 사물의 발생론적 근원을 추구하는 중국적 사유가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법장이 체계화한 화엄 교학에는 자종의 우월성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노골적으로 드러나 있고, 중중무진으로 특징지어진 법계연기를 설명하기 위해 『화엄경』의 전체 문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새로운 그러면서도 복잡한 이론 틀을 도입하여 이론을 위한 이론을 개진한 듯한 느낌을 준다. 다른 한편으로 이통현이 인과동시로서 화엄 일승을 규정하면서 제시한 중관적 논리 전개와 의상이 성기 개념을 논하면서 여래장사상과의 화회를 시도한 사례들로부터 우리는 화엄 교학 전통 내의 연기 개념이 지난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tracing the process in which the concept of dependent origination(pratītyā-samutpāda) was developed in the tradition of Huayan scholasticism. It also intends to reveal that diverse interpretations on the concept were presented within the seemingly unitary tradition. Whereas the concept of dependent origination in early Buddhism emphasized the passage of time and showed that the arising and cessation of suffering was dependent upon a specific condition, the notion of emptiness(śūnyatā) in Mahāyāna Buddhism led to the intuition of the interrelatedness of every object in the phenomenal world, thereby excluding temporality from dependent origination. Combined with this atemporal notion of emptiness, the Chinese penchant for finding the generative origin of thing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uch Huayan theories as dependent origination of suchness, dependent origination of the dharma realm, and nature origination. However, Huayan scholasticism as systemized by Fazang (643-712) is rather biased, openly touting its superiority to other schools. It also gives the impression that its theories just serve for the sake of theories. When Huayan masters explicate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the dharma realm, characterized by the idea of "repetition ad infinitum," they often introduced new and complicated theoretical frames without considering the whole context in which certain key concepts occur in the Flower Garland Sutra. On the other hand, we can confirm the existence of diversities in the Huayan tradition from examples such as Li Tongxuan's (635-730) adoption of Mādhyamika logic for the definition of the simultaneity of cause and result, and Uisang's (625-702) reconciliation of Tathāgata-garbha thought and the philosophy of nature origin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