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문광고에 나타난 주부표상과 식문화의 근대화 전략 -1920~1930년대 아지노모토 광고를 중심으로-

        고선정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3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5 No.-

        본 연구는 19세기 말 일본에서 개발한 화학조미료 ‘아지노모토’가 어떻게 조선 사회에 자리 잡고, 조선인의 일상에 스며들었는지 당시 신문광고를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산업화로 인해 표준화된 새로운 조미료의 탄생은 식민지 조선의 맛의 근대화와 식생활의 변화를 이뤄냈는데, 그 핵심적 요인을 당시 ‘신문광고’에서 찾을 수 있었다. 하나는 광고를 이용한 제품의 ‘토착화’ 전략이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소비 주체인 ‘주부’를 선택한 것이다. 아지노모토는 광고에 조선인을 모델로 세워 그들의 일상과 사회현상을 삽화와 문구에 적용하여 제품의 토착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조선인의 상품이해도와 접근성, 판매율까지 높이는 데 성공하였다. 게다가 근대 자본주의사회에서 탄생한 ‘주부’를 전근대적 미개한 관습과 낡은 제도를 개조할 주재자로 세워, ‘주부’를 모방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심리를 활용해 다양한 광고를 선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1920~30년대 아지노모토 신문광고에서 ‘주부’ 이미지가 그들의 정체성과 근대성을 어떻게 재현했고, 가정생활 개선에 어떠한 역할로 표준화에 앞장섰는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hemical seasoning 'Ajinomoto,' developed in late 19th-century Japan, gained a foothold in Korean society and permeated the daily lives of Koreans, through an analysis of contemporary newspaper advertisements. First, the advent of standardized new seasonings due to industrialization led to changes in the dietary habits and modernization of taste in colonial Korea. A key factor in this transformation was identified through contemporary newspaper advertisements. One strategy involved the 'localization' of the product through advertising, while the other focused on targeting a new consumer group, namely 'housewives.' Ajinomoto attempted to localize its product by featuring Koreans as models in their advertisements, incorporating illustrations and text that reflected their daily lives and social phenomena. Furthermore, the concept of the 'housewife,' born out of modern capitalism, was positioned as an agent for reforming pre-modern, outdated customs and systems. The advertisements leveraged the psychology of women aspiring to be 'housewives' to showcase a variety of promotional campaig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how the image of the 'housewife' in Ajinomoto newspaper advertisements from the 1920s and 1930s reproduced their identity and modernity, played a role in improving domestic life, and led the way in standardization.

      • 한국어와 영어의 능동-수동 번역 유형 연구 - 한미 대통령 연설문을 중심으로 -

        고선정 한국언어유형론학회 2020 언어유형론연구 Vol.5 No.1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ssues of active-passive voices translation, especially in Korean-English translation. Translating English passive construction entails some problems such as grammar errors or awkward sentence structures. This paper tries to examine a translation issue on English and Korean active-passive voices by analyzing on the translation of the Presidents’ speeches. As a result, the study reaches the conclusion that a strategy on the translation of English and Korean active-passive voices reflects the views of translators.

      • KCI등재

        한국전쟁기 휴전회담에서 통역사의 역할에 대한 일고찰

        고선정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4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le of interpreters at the Korean Armistice Negotiations. The Korean war is a traumatic experience for Koreans. As the United Nations Command(UNC) and the Communists fail to reach a peace agreement, the two Koreas are technically still at war. Many studies point out the problem of the cease fire talks. However, there is little attention to the interpreters at the Korean Armistice Negoti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record of cease fire talks to find out the role of interpreters in the political or military settings. We need to consider the work done by interpreters in conflicts and under the conditions of verbal aggression in the cease fire talks. The study on the interpreters at the Korean Armistice Negotiations helps to find out the inner scene of the meetings. Interpreters played three roles; the role of cultural mediator, the role of watcher and the role of editor. With the study of the roles, we can understand interpreter’s activities at the process of the negotiations. If we put more importance on the role of interpreters, it could provide a new perspective of the Korean Armistice. 한국전쟁은 한국 근현대사에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남겼고 그 상처는 지금도완전히 봉합되지 못했다. 그렇게 끝날 수밖에 없었던 주요인으로 대부분 휴전협정을꼽는다. 휴전협정에 대한 연구는 주로 휴전회담의 결과물로 많이 논의되어 왔지만, 정작 협정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보여주는 휴전회담 회의록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특히 휴전회담 회의록에 기록된 유엔군과 공산군 대표들의대화는 통역사의 언어적 중재를 통해 이뤄졌음에도 휴전회담장에서 통역사의 역할은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에 휴전회담장에서 통역사의 역할을 조명해봄으로써 이제껏 휴전회담장 ‘바깥’을 향해있던 시선을 회담장 ‘안’으로 돌려보고자 한다. 휴전회담장 ‘안’에서 소통을 담당했던 통역사의 역할에 대한 분석은 휴전회담장내의 실제 모습을 그려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통역사의 역할 분석을 통해미시적 차원에서 휴전회담의 또 다른 측면을 살펴보고, 기존 휴전회담 관련 연구에서 보지 못했던 휴전회담의 막후 전개과정의 일부를 재구성해 보았다.

      • KCI등재

        재사용이 가능한 패키지디자인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폰 패키지디자인을 중심으로

        고선정,도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4

        현대의 패키지는 제품을 보관하거나 보호, 운반하던 과거와는 달리 기존의 역할뿐만 아니라 재질이나 형태의 변화와 함께 사회적 요구(재활용, 분리수거 등)까지 충족시켜줄 수 있는 패키지의 역할이 확대되면서 우리 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더불어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에 맞게 스마트기기의 확산은 패키지의 새로운 시장의 기회가 열리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요즘 소비자는 디자인뿐 아니라 기능성을 동시에 겸비한 제품을 선호함에 따라 스마트폰 패키지는 다양한 형태나 재질(플라스틱, 하드케이스 등), 기능성 등의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환경문제가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게 되면서 디자이너들은 재활용이나 재사용이 가능한 패키지디자인에 대해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 흐름에 맞춰 생각해 볼 때, 과연 소비자가 스마트폰 패키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그렇다면 재사용이 가능한 패키지를 선호할 것인가? 에 대한 의문에서부터 이 연구를 시작해본다. 본 연구는 사회·환경적 이슈에 대응하여 재사용, 재활용, 감량화, 재충전, 재생 등을 기반으로 재사용이 안 되는 패키지 2점과 친환경적인 소재의 재사용이 가능한 패키지 2점, 총 4점의 샘플을 가지고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패키지의 기능적 요소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4점의 패키지유형 모두 고관여 집단이 저관여 집단보다 재사용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의 재사용패키지에 관한 관심은 구매행동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재사용패키지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더욱 더 확산되어야 할 것이다. The role of today‘s package is expanding not only to satisfy the social requirement(recycling, etc.) in changing the materials and forms but to keep the product or protect it from the outside in contrast to the past. It has close ties with our lives. Besides, the proliferation of smart devices has become the opportunities that opens up new market of packaging design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at changes rapidly. Consumers require a change in the various form and quality of the material, functionality, etc. of smartphone packaging as well as design. As the environmental topic, it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round the world. The designers will have to suffer under the perpetual necessity of reusable or recyclable packaging design. This study will start from these questions about consumers’ opinions about smartphone’s package importance. If so, will they prefer a reusable package? This study looked at how changes i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that is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al elements of the package. There are total of four samples. Two are not reusable packages and two are reusable packages there eco-friendly materials based on reuse and recycle, reduce, refill, regeneration. Those were seen that the high involvement group is the highest level of preference about reused materials. Thus, consumers concerns about the reused package has more of an effect on the purchasing behavior change can be obtained a conclusion. In the future studies about reuse package design will have to be spreaded.

      • KCI등재

        장애인 생활시설의 후원자원 개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기획 사례연구 : J기관을 중심으로 Focused on J Institution

        고선정,김성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4 재활복지 Vol.8 No.1

        본 연구는 장애인생활시설의 후원자 개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기획과정(Strategic Marketing Planning Process)에 따른 사례연구를 하고자 함이다. 최근 사회복지시설은 후원자원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담당인력의 마케팅 기법에 관한 지식과 기술이 미숙한 단계에 있다. 특히 작은 규모의 생활시설은 자원개발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후원자원 개발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위해 장애인생활시설(J기관)의 후원자개발 사례를 종합하여, 전략적 마케팅 기획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을 분석하고, 그 내용을 토대로 포트폴리오 기획을 통해 핵심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였다. 특히 조직적 차원에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Andreasen과 Kotler(2003)가 제시하고 있는 기본들을 사용하였다. J기관의 조직분석 결과, 도서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수성은 자원개발을 하는데 저해요인이 되고 있었으나, 기관의 약점을 강점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회요인(시설의 개방)을 찾고, 후원자개발을 위한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특히 마케팅믹스에 의한 자원개발 전략을 7가지 요소로 구분하여 최적의 상태에서 자원개발을 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활시설의 담당인력이 자원개발 업무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점을 감안할 때, 단일기관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생활시설의 자원개발에 따른 실천적 접근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의미가 있겠다. This is a case study on the process of strategic marketing planning to develop sponsors of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y. Recently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re rais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sponsoring resources but persons in charge of relevant affairs lack knowledge and skills in marketing. In particular, small-sized residential institutions hav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c for the development of sponsoring resources despite their keen necessity of resource development. Thus this study examined a case of sponsor development by an residential institu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y(J Institution), analyzing the organization focused on the process of strategic marketing planning. In addition, based on the findings, it established a key marketing strategy through portfolio planning. Particularly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in an organizational dimension, this study used a basic frame proposed by Andreasen & Kotler(2003).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J Institution,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 namely, its being at an island was a factor hindering resource development but the institution had developed organizational culture for finding opportunities (openness in residential institution) to utilize its weakness as a strength and developing sponsors. In particular, it divided its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marketing mix into seven elements, and looked for resource development plans under the optimal condition. Thus, considering difficulties that persons in charge of resource development at residential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have in performing their job,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looked for practical approaches for the institutions to develop resources by suggesting the case of an institution.

      • KCI등재
      • KCI등재

        1960년대 한국 라디오의 사회문화사 연구 - 금성라디오 ‘A-501’을 중심으로 -

        고선정 ( Ko Sun-j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1 No.-

        1960년대 한국사회와 문화를 지배하던 매체는 바로 ‘라디오’였다. 신문물인 플라스틱PVC의 도입으로 최초의 국산 라디오 ‘A-501’이 탄생하면서 한국은 제조업에서 전자산업으로 발전하고 새로운 산업 국가를 건설하는데 앞장섰다. 새롭게 디자인된 대상(object)인 ‘금성 라디오’가 전국적으로 보급되면서 농어촌의 문화적 공백을 메울 뿐만 아니라 군사정권을 선전·선동하는 공보수단으로 활용되는 등 한국의 사회·경제·정치·문화적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 왔음을 그 당시의 신문과 기록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국산 라디오가 만들어지게 된 계기와 디자인의 탄생, 라디오가 전국적으로 확산된 계기 등을 살펴보며, 이를 통해 나타난 다양한 현상들이 ‘라디오’를 중심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계층과 젠더의 경계를 넘어 사회구성원들의 기술문화적 현상들과 자작문화의 형성 그리고 ‘청취 양식’의 다양화 등을 본 연구를 통해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라디오’라는 매체를 통해 그 당시의 사회·경제·정치·문화적 현상과 변화 그리고 사람들의 생활사가 하나로 연결되어 다각도에서 1960년대를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medium that dominated the society and culture of Korea in the 1960s was ‘radio’. With the introduction of PCV, a new culture, the first domestic radio ‘A-501’ was created, and Korea developed from a manufacturing country to an electronic industrial country and took lead in progress toward a new industrial country. This study examined through newspapers and records of the time that the newly-designed object ‘Goldstar radio’ was distributed nationwide to bring about lots of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changes as not only bridging the cultural gap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but also being used as public means that promoted and instigated the military government. In particular, the technological and cultural phenomena of social members, which are beyond the boundary of class and gender, the formation of culture of one’s own composition, and the diversification of ‘listening pattern’ were identified in detail. Therefore, this study gives an opportunity to look at the time in the 1960s from various angles by bringing the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phenomena and lifestyles of the time together through the ‘radio’ medium.

      • KCI등재

        근대 재봉틀과 여성의 상품문화 연구

        고선정 ( Ko Sun J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2 No.-

        전근대 여성교육은 가정 안에서 부덕함양과 가정기술의 습득이었다. 그중 바느질과 수놓기는 계층과 상관없이 모든 여성이 배워야 할 필수 사항이자 노동이었다. 이는 여성의 근대 교육에서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 학교에서는 여전히 여성에게 전통적 여성성을 강조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재봉과 수예와 같은 실업 위주의 기술교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재봉틀’이란 사물이 보급되자 여성은 속도가 지배하는 근대사회 속에서 생산과 소비의 새로운 주체자로서 근대화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양재와 미싱자수 등 주부들의 취미생활이 부업으로 발전하며 비로소 여성은 가정경제와 국가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다. 더불어 다양한 상품개발과 홈패션 문화 형성, 옷본 보급과 양장점 등 여성이 이끌어 낸 결과물로 경제성장뿐만 아니라 삶의 질 향상과 대중의 의생활 개선에 많은 변화를 이뤄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봉틀을 중심으로 여성이 어떻게 주체적으로 생활을 개선하고 경제적 독립을 하였는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이 만들어낸 상품문화의 흐름과 상품화된 요소들을 그 당시 신문기사와 광고를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디자인된 사물을 통해 시대적 상황과 사회·문화적 변화를 다각적으로 조명되길 기대해 본다. The pre-modern education of women consisted of cultivating womanly virtues and learning domestic skills. It was imperative that all women, regardless of their class, learned the skills of sewing and embroidery. The modern education of women did not change much in this regard. The school system still emphasizes traditional femininity for women, and based on this, job-oriented technical education such as sewing and handicrafts is provided. However, as the sewing machine gained popularity, women laid the foundation for modernization as subject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a fast-paced society. Dressmaking and sewing machine embroidery developed into side jobs for domestic workers,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the country's economy and home economy.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ducts, the development of a home fashion culture, the development of clothes patterns, and the establishment of tailoring shops greatly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public's clothing lif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how women achieved economic independence and independent living through sewing machines. And from the latter, we examined the flow, design, and commercialized elements of the product culture created by women through newspaper articles of the time. Through the designed objects, we hope to highlight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those time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 KCI등재

        1980~90년대 ‘한국형’ 가전제품의 소비와 물질문화 연구

        고선정 ( Ko Sun-j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5 No.-

        본 연구는 1980년~1990년대 한국 경제성장에 따른 유통시장 개방과 해외여행 자유화, 수입개방 등에 따라 ‘한국형’ 가전제품이 어떻게 개발되고 소비되었는지 물질문화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민주화 운동을 통한 노동자들의 임금인상은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산업자본주의 사회에서 안정된 계층인 ‘중산층’을 폭넓게 확산시켰다. 더불어 개방화와 세계화를 통해 정신적·물질적인 생활양식이 서구화되면서 그들의 소비생활은 꽃을 피웠다. 하지만 내구소비재의 수입과 후발개도국의 저가제품 사이에서 한국의 가전업계는 경쟁력을 잃고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였다. 이때 외국제품의 시장공세에 맞서 경쟁력을 갖추고 차별화할 수 있는 핵심을 업계에서는 ‘한국적인 것’에서 찾았다. 한국 고유의 생활양식과 기호에 맞게 응용된 ‘한국형’ 가전제품 개발은 한국 경제성장을 통해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말을 증명해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0~90년대 ‘한국형’이라는 단어가 나오게 된 배경과 ‘한국형’이라는 문구를 담아 신문광고 한 가전제품을 찾아 어떠한 방식으로 한국인의 정서와 생활양식에 맞게 디자인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단순히 외국제품의 모방이 아닌 한국에 맞게 고안된 한국형 제품으로 당대 사람들의 인식체계와 시대적 상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물질문화 연구가 당대 생산된 디자인된 대상을 통해 한국의 역사와 사람들의 생활양식, 정신사 등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Korean style home appliances were developed and consumed according to distribution market opening, liberalization of trip abroad and import opening by Korean economic growth in the 1980s to 1990s through a study of material culture. A wage increase of employees through pro-democracy movement has improved the quality of people's life and widely spreaded 'middle class', a stable class in industrial capitalism society. In addition, as the spiritual and material lifestyle is westernized through liberalization and globalization, their consumption life became in full bloom. However, Korean home appliances has lost its competitiveness due to the import of consumer durables and low-priced products of least less developed countries, recording trade deficit. At this time, the industry found 'Korean thing' as the core to be competitive and differentiated against market promotion of foreign products. By developing 'Korean style' home appliances using Korea's unique lifestyle and preferences, the phrase of 'the most Korean thing is the most global thing' has been proved through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Therefore, I expect that this study on material culture will be an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history of Korea as well as lifestyle and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n people through deigned objects produced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