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커트러리의 기원과 분류에 대한 연구

        고보형,임효정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7 조형디자인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서양식 공간 연출의 기본 요소인 커트러리(cutlery)의 기원과 분류를 살펴보고 그것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의 커트러리 디자인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출발 하였다. 최근 ‘먹을 거리’가 문화의 아이콘으로 대두되고 있고 그와 함께 테이블 웨어도 변화하고 발전 하였다. 이렇게 테이블 웨어가 관심을 받아오고 있는 반면 테이블 웨어와 같이 제시되어야 할 커트러리는 디자인이 정리되지 않은 채로 잘못 사용 되어지고 있는 일이 허다하다. 커트러리의 기원과 분류가 명확하게 이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트러리를 현대의 문화에 적용 시켰기 때문이다. 그럼으로 본 연구는 커트러리의 이론적 배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본론의 첫 번째 주제를 커트러리의 기원과 분류로 정하였다. 커트러리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 본 후 그것을 토대로 현대의 커트러리 디자인의 올바른 방향을 살펴볼 것이다. 커트러리의 기본적인 조건인 기능과, 테이블 셋팅의 아름다움을 완성 해 줄 미적인 조건이 모두 배합된 커트러리가 바로 커트러리 디자인의 올바른 방향 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국의 금속 공예가 데이비드 멜러(David Mellor)의 작품은 우리가 말하는 커트러리의 올바른 디자인의 견본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커트러리의 이론적 배경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올바른 커트러리 디자인의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 좀 더 우리의 식사를 즐길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램이다.

      • KCI등재

        주물유기 제작기법을 통한 테이블웨어 디자인 연구

        고보형(Koh, Bo-hy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2

        한국은 전통적으로 금속재 식기가 식문화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왔다. 고유의 전통 합금방식(동 78% + 주석 22%)을 따르는 유기는 그중에서도 오랫동안 다양한 용도의 사물로 제작되어 사용되어졌다. 현대에 이르러 다양한 식문화가 소개되고 혼합되어 발전해 나가면서 음식 자체 뿐 만 아니라 이를 위해 사용하는 여러 가지 도구에 대한 관심과 욕구 역시 함께 커졌는데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의 전통식기인 유기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아졌다. 최근 개인의 일상 속의 취향과 미의식의 중요성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데 그간 전통의 산물 또는 관습적인 도구로만 바라보았던 유기를 새롭게 조명하게 된 것도 이러한 맥락 속에서 가능해졌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문화재재단의 주관으로 진행되었던 무형문화재 주물유기 기능보유자인 김수영 장인과의 협업과정 결과물을 통해 변모하는 현대의 식문화를 반영하여 확장 가능한 유기의 쓰임새와 형태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기의 재료적인 특성과 전통제작기법을 고찰하였고, 제작연구에 있어서는 식탁 위에서 사용하는 기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세트로 구성된 한식반상기와는 달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고 자유로운 구성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의 대접과 잔, 숟가락, 데움기, 촛대 등 단품 위주의 식사도구를 제작하였다. 형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다른 식기들과의 조합을 고려하여 가급적 단순한 형태를 취하고자 하였다. 디자인의 전개과정은 본 연구자의 드로잉과 실물 크기의 종이 또는 금속재 모델링 과정을 거쳤으며 이후 김수영 장인의 주물제작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완성이 이루어졌다. 전통적인 금속재 식기인 유기에 현대적인 해석을 더한 이번 연구를 통해 유기의 기능적, 심미적 장점을 알리고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metal tableware has traditionally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Korean food culture. The YUGI(Brass ware) following the inherent traditional alloy method(bronze 78% +tin 22%) has been made and used as the object of various uses for a long time. As various food cultures have been introduced, mixed, and developed in modern times, the concern and desire for different tools used for the food have increase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YUGI are being conducted actively in accordance with this flow. It is very inspiring that the individual taste in everyday life and the importance of the aesthetic consciousness begin to receive attention. It is possible in this context to shed new light on the YUGI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traditional fruit or conventional tool. Hereby, this researcher would suggest the use and form of the expandable YUGI by reflecting the modern food culture that changes through the result of the cooperation process with intangible cultural asset Sooyoung Kim, casting YUGI technician, which was conducted under the sponsor of Korean Cultural Asset Foundation. The ingredient nature and the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 of the YUGI were considered for this and the object used on the table was used for the production study. Unlike the Korean dinner set, the tableware such as various sizes of dishes, spoons, cups, candlestick, and warmer was made for users to choose according to their need and constitute freely. In deciding the shape, the simple form was chosen considering the combination with other tableware. When it comes to the real production process, this researcher’s drawing, life-size paper, and metallic modeling were produced, and then the stuff was finally completed through the casting production process by craftsman Sooyoung Kim. Through this study adding the modern interpretation to the YUGI , the traditional metallic tableware, it is expected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advantage of the YUGI will be informed and more studies and development will be carried out.

      • KCI등재

        미니멀리즘을 활용한 스테인레스 스틸 테이블웨어 작품

        강희성,고보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3

        산업화 이후 화학과 석유, 식품, 제조분야 등의 발달은 그에 따른 공장과 설비의 발달을 필요로 했고 이에 따라 고강도의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은 시대적으로 유용한 재료로 부각되어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번 연구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재료적 특성과 이해를 바탕으로 그에 적합한 기계 공정을 활용하여 제작 효율을 높이고 심미성을 바탕으로 금속 가공 기법인 판금 기법을 활용하여 양산제품과의 차별성을 지니는 제품을 제작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디자인 전개과정에서는 테이블웨어의 개념을 이해하고 테이블웨어로서의 기능과 스테인레스 스틸이라는 재료가 지니는 특성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또한, 제작에 앞서 이론적 배경이 되는 미니멀리즘의 특성을 표현한 테이블웨어를 제작하고자 했다. 제작에 이용한 주된 기법으로는 판금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특유의 볼륨감과 금속 표면의 시각적 특징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용접, 리벳접합, 연마작업 등의 수공 과정을 거쳤다. 또한 레이저 커팅(Laser cutting)과 스피닝(Spinning), 프레스(Press), 선반(Turning) 등을 사용해서 제작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니멀리즘의 조형적 특징인 단순성과 명료성, 반복성과 환원성 등 미니멀리즘적 속성이 테이블웨어에 표현되도록 의도하였다. The development of the chemistry, petroleum, food, and manufacture after the industrialization needed the following development of the factory and facility, accordingly the high-intensity stainless steel highly resistant to corrosion was highlighted as the useful material and began to be used throughout the industry. This study focused on raising the manufacture efficiency by using the mechanical process appropriate for the material property of the stainless steel and on making the product differentiated from the mass-production products by means of the plate technique, a metal processing technique, based on the aesthetic impressio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focused on the function of the tableware and the property of the stainless steel while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tableware. Also, the tableware expressing the nature of the minimalism that w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made before the production. The plate technique was used as the main technique for the production, and the unique massing and the visual feature of the metal surface were expressed. In the meantime, the manual process such as the welding, riveting, and grinding was carried out. It was possible to raise the manufacture efficiency by means of the laser cutting, spinning, press, and turning. This study intends that minimalistic attributes such as simplicity, clarity, repeatability and reductiveity of minimalism are expressed in tableware.

      • KCI등재

        촛대의 역사적 고찰 및 국내 공예가의 조형 사례 연구

        김성수,고보형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9 조형디자인연구 Vol.22 No.4

        고대의 인류는 불을 발견한 뒤 이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법을 터득하였는데, 그중에서도 촛불은 어둠을 밝히는 용도로서 일상생활에 필수품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전기조명의 보급 이후 촛불은 조명의 목적보다 종교적 의식이나 기념, 축하의 의미로 활용되면서 부차적인 기능을 맡게 되었고 이렇게 역할이 변화됨에 따라 초를 받치는 촛대의 모습도 사용되는 장소에 맞는 형태로 변화되었다. 현대에는 공간 분위기 연출을 위한 소품으로 촛대를 활용하고 있는데 이로 인하여 다양한 분야의 공예 작가들이 자신의 미학적 감각을 표현하는 대상으로 제작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거에 사용되었던 촛대의 기본 구조와 분류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공예 작가들이 제작한 촛대를 기능성을 중시한 작품과 조형성을 강조한 작품 그리고 사용된 소재의 특성을 활용한 작품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촛대가 단순히 부차적인 기능의 소품이 아닌 식탁 위의 주요장식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더 많은 공예 작가들에 의해 다양한 작품으로 표현되기를 기대한다. The discovery of the fire provided various convenience for human social activities and increased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various ways to use the fire in our daily life, candlelight was used as a necessity in daily life to light up the darkness. However, as the electric lighting came into wide use, candlelight was used for religious ceremonies, commemorations and celebrations rather than the purpose of lighting and secondary function was given. With this change of the role of candlelight, the shape of candlestick that holds the candle has also developed into a form suitable for the place where it was used. Candlesticks in modern society are used as props to create a space mood, and as a result, craft artists from various fields are creating candlestick to express their aesthetic sense. I also tried to produce decorative candlestick that can affect the space even when there is no candle according to the changed functions of modern candlestick. Before the production, I investigated the basic structure and classification method of candlestick and examined candlesticks of modern artists by dividing them into functions and structures.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the candlestick can be recognized as centerpiece of space rather than just props with secondary function and that they can be expressed as various artworks by more crafts artists.

      • KCI등재

        전통 건축물의 조명등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공상희,고보형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0 조형디자인연구 Vol.23 No.2

        Lighting lamps are a daily necessity indispensable for daily life, and the function to brighten the dark and the features of the appearance coexist. Throughout the production process, lighting lamps reflect the lifestyle and culture of the time as a kind of craft. In particular, our traditional lamps have been developed diversely in their use and forms such as oil lamps, which emitted light using animal or vegetable oils as media, candlesticks that were used with a candle put on them, and paper lanterns and footlights that were brightening night roads during  nighttime movements. As new fuels such as oil, gas, and electricity were introduced in the modern times, the functions of traditional lamps were somewhat reduced, and as housing types and lifestyles chang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imes, the traditional lamps were replaced by Western-style direct and indirect lightings using electricity.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propose lighting designs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uildings and to proceed with the actual production later, and is intended to generally examine the flow of Korean traditional lamps, and review the cases of use of lighting lamps in royal architecture and civil architecture. 조명등은 일상에 꼭 필요한 생활 용구로 어둠을 밝히는 기능과 함께 공예품의 한 종류로 당대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반영한다. 특히 우리의 전통 등은 동·식물의 기름을 매제로 빛을 밝히던 등잔과 초를 꽂아 사용하던 촛대, 야간 이동 시 밤길을 밝히던 제등과 조족등 등 그 쓰임과 형식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하였다. 근대기 석유와 가스, 전기 등 새로운 연료가 전래됨에 따라 전통 등의 기능은 다소 축소되었고,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주거형태와 생활양식이 변화하면서 전통 등은 전기를 사용하는 서양식 직·간접 조명으로 대체되었다. 본 연구는 추후 전통 건축물의 공간 특성을 고려한 조명 디자인 제안 및 실물 제작을 진행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우리나라의 전통 등의 흐름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왕실 건축과 민가 건축의 조명등 사용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현대 제기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박재현,고보형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1

        In today's age of industrialization,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definition and standards of family are changing, which in turn affects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The social perception of death and ancestral rites has also evolved in response to the reduction of family memb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ancestral rites that have changed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o develop a modern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design suitable for it. As for the research method, first, it was reviewed through domestic literature research and precedent research. Second, based on the survey conducted by the researcher, the current status of th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industry, and modernization cases, it was classified into the requirements of the times and the requirements for inheriting traditional culture. A requirement for inheriting traditional culture is to maintain the traditio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The requirements of the times are the simplification of rituals and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requirements, the modern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design concept was established. Modern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is, first, a high-heeled form inheriting tradition. Second, the storage efficiency and stability are good and the package is considered. Third, the material is stainless steel and plastic synthetic resin that are easy to maintain. Fourth, the composition of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is within 10 in total with fiv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excluding basic food. At the same time, computer modeling was proposed based on the modern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design concept. 산업화를 지나 지식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현재, 우리나라는 3대가 모여 살던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가족의 규모가 축소되었으며, 1인 가구의 수 또한 급증하는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가족 구성 및 형태의 변화는 사회·문화 전반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가족 구성원의 축소로 이어진 변화는 그 구성과 형태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사회, 문화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사람들의 죽음과 제사에 대한 인식에 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연구의 목적은 시대적 변화에 달라진 제사 문화를 이해하고 이에 적합한 현대 제기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국내 문헌연구, 선행연구 등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연구자가 수행한 설문조사와 제기 산업 현황, 현대화 사례를 바탕으로 시대적 요구조건과 전통문화 계승 요구조건으로 분류하였다. 전통문화 계승 요구조건으로는 제기의 전통적인 형태적 특징을 유지하는 것이고 시대적 요구조건은 제기의 간소화와 유지관리의 편의성이다. 연구결과 이를 바탕으로 현대 제기 디자인 콘셉트를 정립하였다. 현대 제기는 첫째, 전통을 계승한 굽이 높은 형태이다. 둘째, 보관 시 수납의 효율성과 안정성이 좋고 패키지를 고려한 형태이다. 셋째, 소재는 유지관리가 쉬운 스테인레스 스틸과 플라스틱 합성수지이다. 넷째, 제기의 구성은 기본적인 음식을 제외하고 다섯 개의 제기로 총 10개 이하의 구성이다. 이와 함께 현대 제기 디자인 콘셉트를 기초로 하여 컴퓨터 모델링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전통 가치를 계승하며 현대인의 요구에 적합한 제기의 개발에 기초적 자료로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점의 상징성을 이용한 주얼리 디자인 연구 - 브랜드 ‘에스실’ 제품개발을 중심으로 -

        김영실,고보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4

        우리는 빠르게 문화가 변하고 시대가 바뀌는 흐름 속에 있 다. 주얼리 시장은 유행의 변화와 대중성을 반영하면서, 시대 를 묘사하는 예술과의 접목을 통한 새로운 영역의 확장이 시 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예술적 조형 요소 로서 점, 선, 면의 특성과 상징성,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주얼 리 디자인과의 유기적 상호관계를 통해 다양한 가능성을 모 색하고 셋째, 이를 토대로 에스실 브랜드만의 차별성 있는 디 자인을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점을 조형적 요소로 적용한 순수미술 및 패션디자인의 사례와 금 속제작기법인 그래뉼레이션(Granulation)에 대해 문헌 조사 를 통해 고찰하고, 주얼리 디자인의 사례들은 실증 분석하였 다. 이를 바탕으로 점의 반복을 통한 기하학적 조형성을 이미 지로 탐구하여 패턴화 한 뒤 3D 라이노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물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예술적 조형성을 기반으 로 한 에스실 주얼리 브랜드의 정체성을 형상화 할 수 있었는 데, 이는 기하학적 조형성에서 도출된 창의적인 장신구디자 인을 제안함으로써 상업적인 가능성과 예술적인 가치가 융합 된 다양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People are living in the flow of fast cultural and time changes. Responding to these changes, the jewelry mark et reflects trend changes and popular appeal and makes an attempt at expanding into new domains based on its integration with art depicting the times. The study thus set ou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symbolism, and m eanings of dots, lines, and sides as artistic formative ele ments and explore their diverse possibilities through their organic correlations with jewelry design. It also aimed to develop and propose differentiating designs unique to the S-Sil brand. As for methodology, the investigator examin ed cases of applying dots as formative elements in the fie lds of pure art and fashion design through literature stud y. Cases of jewelry design expressing images of dotes w ere also examined and put to empirical analysis. After in vestigating the geometric formativeness of dot repetition s and turning them into patterns, the investigator made a mock-up with the 3D Rhino program. As a result, the identity of the S-Sil jewelry brand was embodied in jewe lry pieces that applied the formativeness and images of dots. Proposing creative accessory designs based on geo metric formativeness, the study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various directions of development based on the fusion of commercial possibilities and artistic values.

      • KCI등재

        감성공학을 이용한 중국 특색 문화상품의 디자인 연구- 중국 혁도아랍성을 중심으로 -

        유조룡,고보형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3

        Cultural heritage resources are the core elements of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commodities. Based on the historical city of He tu a la in China, this study adopts the kansei engineering analysis method to analyze users' perceptual vocabulary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perceptual elements and cultural commodity design elements. This paper uses the method of perceptual engineering to analyze users' perceptual vocabulary, and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ual elements and cultural commodity design elements. Statistical analysis carries out factor analysis on perceptual vocabulary to determine the design elements of key words that meet the actual product needs of consumers, so that the design of cultural goods can more meet the aesthetic needs of users. According to the overall score of factor analysis, the overall evaluation of consumers tends to be gorgeous, colors tend to be colorful, patterns tend to be complicated curve forms, and the modeling lines are mainly represented by large curved curves, with smooth lines and prominent sense of hierarchy. In this study deeply excavate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resources, transform th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nto product-oriented development, produce new creative design products with traditional charm,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spiritual connotation, and form value industries, so a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undertakings. 문화유산 자원은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의 핵심요소 종 하나이다. 본 연구는 중국의 역사적 고성인 혁도아랍성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감성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감성공학 분석방법으로 사용자의 감성어휘를 분석하여 감성요소와 문화상품 디자인요소의 관계를 탐구한다. 통계분석은 감성어휘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소비자의 실제 제품 욕구에 부합되는 키워드를 도출한 디자인 요소를 확정하여 최종 디자인과 그에 따른 사용자의 심미적인 것과 더욱 부합할 수 있는 문화상품 디자인을 제안 하였다. 본 논문은 감성공학의 관점에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제품 개발 디자인에 도입하고자 한다. 감성공학의 분석 방법을 통해 지역 문화와 자원, 역사 등 문화 요소를 제품에 일치고자 하였다. 이를 통에 소비자의 평가형태는 화려하고, 색채가 다채롭고, 무늬가 복 잡한 곡선 형식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이 제품 디자인의 패션 포지셔닝은 전체적인 형태의 라인이 주로 곡선으로 표현되고 라인이 매끄러운 라인을 돋보이게 한다. 본 연구는 전통문화 유산이라는 자원을 발굴하여 제품 개발을 전환시키며, 전통성 민족의 특색, 정신을 담는 새로운 창의적 디자인 상품을 디자인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육성하며, 이를 통에 경제 사회와 문화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소울’(小郁) 죽 공예품의 디자인 요소에 관한 탐색적 요인분석 연구

        왕명쟈,고보형,김아영,김경원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3 조형디자인연구 Vol.26 No.3

        전통공예는 형태, 장식, 기법, 재료, 문화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포함한다.  디자이너들은 전통공예를 활성화할 때 주로 특정한 요소나 특징을 기반으로 새로운 공예품을 개발한다. 그러나 특정 요소에만 집중하는 것은 공예품의 문화적이고 친환경적인 가치 등을 간과할 수 있어 공예의 지속적인 발전에 저해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공예품의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울’ 죽 공예품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선행 연구를 통해 관련 디자인 요소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활용하여 기능적, 외관적, 재료적, 무형적, 그리고 지역적 특색을 포함한  5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분산된 디자인 요소들 보다 공예품의 다양한 요소를 포괄하며, 앞으로 디자이너와 장인의 협업 및 ‘소울’ 죽 공예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인 시각과 객관적인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죽 공예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 현황과 요구를 파악하여 새로운 공예품이 소비자의 취향에 부합될 것이다. Traditional handicraft is a comprehensive system that encompass a range of elements, including form, pattern, technique, material, and culture. To revitalize handicrafts, designers often create new products based on specific elements. However, focusing on particular elements may overlook the cultural and environmental significance of handicrafts, potentially harming their sustainable development. Therefore, it is crucial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elements of handicraf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sign elements of "Xiaoyu" bamboo handicraf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ing in five design factors: functionality, intangible, regional distinctiveness, aesthetic, and material. These factors provide a more holistic perspective on crafts compared to isolated design elements and can serve as a comprehensive and objective reference for future collaborations between designers and craftsmen, as well a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rafts.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urchasing status and consumer demands regarding bamboo craft products through a survey to better align new craft products with consumers' needs.

      • KCI등재

        폴리에스터 메시를 이용한 장신구 연구

        정호연,고보형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0 조형디자인연구 Vol.23 No.4

        In the production of art ornaments expressing the Artist's thoughts the adopting of material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xpression of the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expressions and techniques for applying the interpretation of time to jewelry work using polyester mesh through the researcher's jewelry 'Time' series. To this end the author's case study which applied the characteristics of polyester mesh and mesh shape to jewelry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plastic forming using the gap between projection and mesh and the weaving of mesh that can be made by hand work. The "Time" series organizes the interpretation of time into images, memories and repetitions and first the image focuses on colors expressed by the junction of polyester mesh and organza. The expression of the second image used thermoplasticity of polyester to study the three-dimensional forming method using urinary iron and the projection of polyester mesh was utilized. Repetition was a feature of the light weight of polyester which showed that it was free to repeat and possible to form space between objects. Through the expression study of polyester mesh for expression of time, we have learned the possibility of superposition using wearing lightness and projection, color concentration expression and stereoscopic formation and hope that polyester mesh can be applied to jewelry work through this study. 재료의 대입은 작가의 생각을 표현하는 예술 장신구 제작에서 주제의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장신구 ‘시간(時間)’ 시리즈를 통하여 폴리에스터 메시를 이용하여 시간의 해석을 장신구 작업에 적용하기 위한 표현과 기법의 연구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폴리에스터 메시의 특징과 메시 형태를 장신구에 적용한 작가 사례연구를 통해 투영성과 메시의 간격을 이용한 성형의 특징, 수공작업으로 만들 수 있는 메시의 짜임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의 장신구 ‘시간(時間)’ 시리즈는 시간의 해석을 이미지, 기억, 반복으로 정리하고 먼저 이미지는 폴리에스터 메시와 오간자의 접합으로 표현되는 색상에 중점을 두었다. 두 번째 이미지의 표현은 폴리에스터의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요철을 이용한 입체성형 방법을 연구하였고 폴리에스터 메시의 투영성을 활용하였다. 반복의 표현은 폴리에스터의 가벼운 중량의 특징으로 반복적 표현이 자유로우며 개체 사이의 공간 형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시간의 표현을 위한 폴리에스터 메시의 표현연구를 통해 착용상의 가벼움과 투영성을 이용한 중첩의 표현, 색채의 표현, 입체성형의 가능성을 알게 되었으며 본 연구의 표현기법을 통해 폴리에스터 메시가 장신구 작업에 응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