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계몽기 인쇄매체를 통해 살핀 `어문 의식`의 형성과 성장 과정에 대한 고찰 - 신문과 학술지를 중심으로 -

        고경민 ( Ko Kyoung-min ) 한말연구학회 2017 한말연구 Vol.- No.44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formation background and growth process of language-literature consciousness, which began to spring up in modern times, based on the articles and editorials of newspaper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s when the national sovereignty fell and the existence of the country was in crisis due to economic and social plunder of Japan, and the unrest of traditional society deepened due to the surging Western culture. In this period, modern educational thought began to be formed and this educational thought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practical learning-centered educational thought stating that the people should be taught about useful learning. Especially, printed media including newspapers and magazine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s a means to convey this modern educational thought, since it was thought that newspapers or magazines were effective in enlightening modern educational thought, or propagating letters and bring people together. So far, various studie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ve been focused on language-literature education and language-literature policy. This study is focused on `modern times` like the existing studies, but reconstructed the expression and growth of language-literature consciousness of those times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based on the newspapers and academic journals that can show the phases of the times explicitly. After building a DB of relevant media, also, a discussion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cognition and view of language to maintain objective information and avoid mechanical data interpretation.

      • KCI등재

        한국어교재의 유형별 분류에 대한 고찰 : 통합 교재의 명칭과 의미를 중심으로

        고경민(Ko Kyoung mi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8 No.2

        이 글은 한국어교재에서 다루는 통합의 개념과 원리를 살펴보고, 이러한 개념과 원리에서 벗어난 교재에 대해 새로운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동안 '통합'이라는 이름으로 수많은 교재가 편찬되었고, 지금도 편찬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통합 교재에 대한 특별한 기준 없이 '통합 교재'로 분류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이 글의 논의는 시작되었다. 또한 2000년 이전에 편찬된 다수의 대학 기관 교재가 엄밀한 의미의 '통합 교재'에 적합하지 않아 이를 분류할 수 있는 근거를 세우고, '통합 교재'에 대한 개념 정립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통합 교재 이전 40여 년에 걸쳐 간행되었던 '통합형 교재'를 '혼합 교재'로 분류하고, '통합 교재'와 차이를 두고자 했다. 현재까지 개발된 통합교재의 '통합'의 의미와 원리는 2장에서 상세히 다룰 것이며, '혼합 교재'의 의미와 개념, 필요성에 대해서는 3장에서 다루기로 한다. '통합 교재'와 '혼합 교재'를 구분하는 일은 단순히 학문적인 접근은 아니다. 이 연구는 연구자의 선행 연구를 통해 살핀 수많은 국외 편찬 교재가 일정한 개념과 원리 없이 '통합 교재'로 편찬되고 있고, 지금도 교재를 개발하고 있을 현장의 교사들에게 학습자를 위한 교재가 개발될 수 있도록 실제 현장으로의 접근을 지향한다. 또한 '통합'의 개념과 원리를 정리하고, '혼합 교재'를 추가하는 과정을 통해 향후 국내와 국외에서 개발될 통합교재가 정확한 '통합'의 의미를 담고 있는 교재가 될 수 있도록 작은 지표가 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integratio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and classify the teaching materials out of this concept and principle into new types.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started from the critical awareness that thus far, numbers of teaching materials have been published under the title of 'integration' and they are being published even now, but they are classified into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with no special standard. Besides, many of university institutional teaching materials published before 2000 are not appropriate as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in the strict sense, so this study is focused on establishing the basis of classification of these teaching materials and the concept. For this study, 'integration-style teaching materials' which had been published for around 40 years before publication of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into 'mixed teaching materials' to differentiate from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In chapter 2, the meaning and principle of 'integration' of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that have been developed so far, are considered in detail, and in chapter 3, the meaning, concept and necessity of 'mixed teaching materials' are considered. It isn't merely an academic approach to differentiate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from 'mixed teaching material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plenty of domestic and foreign teaching materials have been published as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without any regular concept and principle. Therefore, this study is oriented towards the application to the actual field so that teachers can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learners. Furthermore, this study would serve as a small indicator to make domestic and foreign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contain an accurate meaning of 'integration' by considering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integration' and adding 'mixed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

        국외 한국어 교재의 변천사 연구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고경민 ( Kyoung Min Ko ) 한말연구학회 2013 한말연구 Vol.- No.3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changing histor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ve been published overseas, so far.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in China and Japan in the 1990s to compare with those published in Korea. Since the 1990s, function-integrated textbooks have appeared in Korea to learn reading, speaking, writing and listening all together, and they`ve been published by university organizations, mainly. This study compared features of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and Japan during this period with those compiled in Korea, and classified them into ``learning contents and purposes`` and ``levels of learners and textbooks``. Moreover, the reasons for transitions and aspects before and after the 1990s were examined, from the diachronic point of view, and they were descried along with the problems of textbooks. In chapter 2, textbooks for analysis and analysis methods were described, and in chapter 3, the backgrounds for publication,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of published textbooks in individual countries were reviewed. In this process, ``synthetic textbooks`` and ``integrated textbooks``, characters of ``introductions`` and ``grades of textbooks`` were also discussed together.

      • KCI등재

        한국어교재의 편찬 동향 분석

        고경민 ( Ko Kyoung-min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71

        이 연구는 2000년 이후에 편찬된 1600여권의 한국어교재를 분석하여 한국어교재의 편찬 동향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교재의 변화는 지난200년보다 최근의 20년에서 그 변화의 모습을 더 쉽게 포착할 수 있다. 최근의 20년 동안 한국어교재는 수적인 증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수법의 반영, 교육과정 및 커리큘럼의 구체화, 학습자의 수요조사 반영 등 다채로운 변화와 발전의 단계를 거쳐 왔다. 이러한 괄목할만한 성장과 변화의 뒤에는 한국어교육분야의 전체적인 성장과 안정적인 제도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며,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한국어` 자체에 대한 관심과 기대의 증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이렇게 변화된 교재의 모습을 포착하고, 앞으로의 교재 개발에 반영하고자 2000년부터 2016년 5월까지 간행된 교재를 교재의 유형과 수준, 언어를 중심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계량화하였다. 한국어교재는 근대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교재로서의 역할과 가치를 확보할 수 있었고, 80년대와 90년대를 거치면서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담고 있는 기관 학습용 교재로 성장·발전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이 되는 2000년 이후는 한국어교재가 처음 개발된 시점부터 2000년 이전을 합친 것 이상의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으며, 교재의 목적, 유형, 내용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 완성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정확한 교재의 편찬 상황과 편찬 유형을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 논의의 결과는 향후 교재 선정과 개발에 있어서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publication trends by analyzing nearly 1,600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The chang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more easily found in the last 20 years than in the past 200 years. For the last 20 years, Korean language textbooks have went through diverse changes and developments like reflection of various teaching methods, materialization of educational courses and curriculums and reflection of research on learners` demands, in addition to the numerical increase. It is supposed that this eye-opening progress and transition has been influenced by the overall growth and stable syst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from a more macroscopic perspective, it`s been caused by the increase of interest in and expectation for `Korean language`. This study classified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by May 2016 from 2000 into some categories and quantified them in order to catch the changes of textbooks and apply the progress to future textbooks. The analysis is focused on the types and levels of textbooks, targets and language and the researcher`s view on textbook publication and improvement is suggested along with the analysis result. It is anticipated that analyzing the textbook publication trend would help learners and teachers select and develop better textbooks.

      • KCI등재후보

        재생산과 재매개 도구로서의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고경민(Ko, Kyoung-mi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2 No.-

        이 글은 최근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은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와 이를 활용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해 살핀 연구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 가운데 재생산, 재매개 도구로서의 기능에 중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은 미디어 간 자유로운 전환과 더불어 각각의 이야기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서로가 유기적인 결합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고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관련한 특징 가운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사례를 현재 유튜브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채널을 중심으로 제시하였고, 이러한 콘텐츠의 사례로 ‘마블 스튜디오’의 영화와 세계관을 살펴보았다. 본론은 재생산, 재매개 도구로서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기존 콘텐츠의 낯설게 하기’, ‘이용자의 브리콜라주 체험’, ‘소비자에서 재생산자로의 전환’, ‘재생산과 재매개 콘텐츠로서의 한계’로 논의를 구성하였으며, 이를 각각의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considered ‘trans media contents’,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a cultural phenomenon and ‘trans media storytelling’ using this, focusing on characteristics of trans media story telling as a tool of reproduction and remediation. Trans media storytelling facilitates free switching among media, independent story production and organic combination of media. This study is focused on an active Youtube channel as a case of trans media storytelling and the films and the world view of Marvel Studios were analyzed as a relevant contents case. For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rans media storytelling as a tool of reproduction and remediation, a discussion on ‘defamiliarization of existing contents’, ‘user’s bricolage experience’, ‘a switch to a reproducer from a consumer’ and ‘limitations of reproduction and remediation contents’ was carried out and each case was presented specifically.

      • 관형화 구성에서의 “-오-”의 변천과 소멸

        고경민 ( Kyoung Min Ko ) 시학과 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30 No.-

        이 연구는 관형화 구성에서 중세국어 시기까지 실현되었던 ‘-오-’가 17세기 이후 거의 소멸하게 된 과정과 변천의 이유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에서는 명사구내포문의 표지로서 동명사형 어미 ‘-ㄴ’, ‘ㄹ’, ‘ㅁ’ 앞에서 실현되었던 ‘-오-’의 소멸 이유를 ‘명사성의 약화’에서 찾고자 한다. 특히 관형화 구성에서는 피수식어가 자립명사 구문일 때보다 의존명사 구문일 때 더 빠르게 소멸되었으며, 관계화(relativization) 구성보다 보문화(complementation) 구성에서 소멸의 양상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관형화 구성에서의 ‘-오’의 변천과 소멸 역시 일반적인 언어 현상과 마찬가지로 점진적인 변화 과정을 겪었으며, 그 변화의 핵심에 ‘명사성의 약화’가 있다는 결과를 변천 과정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소멸 이후의 과정에서 그 자리를 대체하는 세 가지 유형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결과적으로 ‘명사성의 약화’로 설명할 수 있는 요인들의 총체적인 결합이 오랜 시기 넓게 분포했던 관형화 구성에서의 ‘-오-’의 변천과 소멸을 이끌어냈다는 사실을 논의 과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extinction process of ‘-O-’ in relativization which was used by up to the middle Korean age after the 17th century and the reasons for its transition. In this paper, it was thought that the extinction of ‘-O-’ that was used in front of gerundial endings; ‘-ㄴ’, ‘ㄹ’, and ‘ㅁ’, as an indicator of NP-embedded sentences, resulted from the ‘weakening of nominality’. In particular, -O- became extinct more quickly when a modificand was a construction consisting of dependent nouns in adnominal composition rather than a construction consisting of independent nouns, and the extinction aspect was more directly found in complementation rather than in relativization. Like general linguistic phenomena, the transition and extinction of ‘-O-’ in adnominal composition went through progressive changes, and the transition process revealed that the ‘weakening of nominality’ was at the heart of the changes. Also, three types which replaced it after the extinction, were considered. As the result, the discussion process showed that the overall coupling of the factors which are explainable as the ‘weakening of nominality’, led to the transition and extinction of ‘-O-’ in adnominal composition, an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examining these processes, diachronically.

      • KCI등재

        ‘난민’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 및 교재 개발 연구

        고경민(Ko, Kyoung-mi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5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교육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던 ‘난민’(난민신청자)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과정과 교재개발을 위한 기초적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난민신청자’는 난민의 지위를 받기 이전에 제한된 기간 동안 한국어와 한국사회 전반을 정해진 기관에서 배우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그동안 결혼이주여성이나 학문목적 학습자에 대한 연구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지만 아직까지 난민신청자의 한국어교육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특히 난민신청자들의 한국어교육을 위해 가장 먼저 마련되어야 할 한국어교육과정과 교재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난민(난민신청자)을 위한 한국어교육과정과 교재 개발 연구에 앞서 본고에서는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원리와 목표, 교육과정의 설계 과정, 교수 요목 설계, 교재 개발 과정 등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을 위해 선행되어야할 기초적 논의를 다루고자 한다. 특히 교육과정 설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인 ‘상황분석’, ‘요구분석’, ‘목적과 목표의 구체화’, ‘교수요목의 설계’, ‘교과서와 교수자료의 선정’, ‘교육과정 평가’ 항목을 교육 대상을 참작하여 제시하였고, 현실적인 교육 과정 설계를 위해 현재 난민신청자들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과 교사의 인터뷰 내용을 반영하였다. 논의순서는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의 기초적 논의라는 연구의 목적을 위해 문제제기, 현재까지 이루어진 난민 대상의 교육 내용과 연구 현황, 난민대상 교육과정 설계 및 교재 설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난민 대상의 교육과정 설계와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s aimed at a fundamental discussion for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for 'refugees'(refugee applicants), who have not received the benefi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far. 'Refugee applicants' refer to those, who learn Korean language and general aspects of Korean society in an appointed organization for a limited period before getting a refugee status. Thus far, the studies on married female immigrants or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have achieved remarkable results, but still, there is a shortage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refugee applicants and especially, there is an absence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which are most requir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refugee applicants. Prior to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for refugees(refugee applicants), in this study, a fundamental discussion on curriculum design principle and purpose, curriculum design process, syllabus design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process for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was conducted. In particular, 'situation analysis', 'needs analysis', 'materialization of purpose and goal', 'syllabus design', 'selection of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and 'curriculum evaluation' were suggested as considerations in curriculum design and for practical curriculum design, an interview with institutions and teachers, who educate refugee applicants, was carried out.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an active study on curriculum design and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for refugees.

      • KCI등재

        아시아 전래동화의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교육-다문화가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고경민 ( Kyoung Min Ko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2 동화와 번역 Vol.24 No.-

        지금까지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이 한국 전래동화의 활용에 중점을 두고 있어 ‘여성결혼이민자’가 무조건 받아들 이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한국의 전래동화가 지니는 가치와 교육적 활용은 이미 여러 연구에서 입증되었지만 이제 막 한국인으로서의 삶을 시작한 ‘여성결혼이민 자’와 ‘다문화가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교육에 활용하기에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출신국에 따라 한국의 전래동화와 비교할 수 있는 전래동화를 선별하고, 공통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문화 요소를 찾 아 활용하고자 했다. 특히 아시아 전래동화와 한국의 전래동화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가치관’, ‘일상생활’, ‘전통 사상’, ‘제도’라는 공통의 문화 요소를 추출했고, 이렇게 추출한 공통의 문화 요소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교육에 활용하고자 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다문화가정 구성원이 함께할 수 있는 문화교육 활동을 추가하 여 언어와 문화를 함께 학습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여성결혼이민자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였지만 정 작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교육은 언어교육에 비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글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교육의 한 방편으로 공통의 문화 요소가 필요 하다는 논의와 함께 한국 전래동화의 새로운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ough it is not that there has never been no Korean education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so far, they mostly focus on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and it gives ‘female married immigrants’ a lot of difficulties to understand and accept them unconditionally. Values and effects of educational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have already been proven by several researches, but there are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applying them to education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and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just began to live their lives as Koreans. Accordingly, this paper is intended to select traditional fairy tales which are comparable to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from countries where ‘female married immigrants’ came from, and to use common cultural elements to b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common cultural elements such as ‘Value’, ‘Ordinary Life’, ‘Traditional Thought’ and ‘System’ were extracted, by comparing Asian traditional fairy tales with Koreans, and they were used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Moreover, activities of culture education that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can join in together, were added to this process, in order to map out plans for learning language and culture together. Although the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and the concern about female married immigrants have rapidly increased, culture eduction for them isn`t under active progress, compared to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discussion on the necessity of common cultural elements as an expedient of culture education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this paper considered a way of newly using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in education.

      • KCI등재후보

        풍속화 이미지텔링의 문화교육적 접근

        고경민(Ko, Kyoung-mi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5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0 No.-

        이 연구는 평범한 일상생활과 해학을 통해 시대를 표현했던 풍속화의 이미지텔링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풍속화를 이미지텔링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적 행위가 반영된 풍속화의 수수한 모습들이 현재의 한국과 한국인의 가치관을 이해하는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의 전통문화를 이해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문화체험과 같은 경험 중심의 방법이나 단편적인 문화 지식 내용을 교재를 통해 살펴보는 방법이 전부였다. 본고에서는 풍속화가 지닌 교육적 가치에 주목하고, 이를 이미지텔링을 통해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 글은 풍속화를 단순히 보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이야기를 이해하고, 스스로 풍속화의 주인공이 되어 당시의 한국 사회와 오늘날의 한국 사회를 연결지어 이해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먼저 풍속화의 개념과 특성, 교육적 가치에 대해 살펴볼 것이며, Ⅲ장에서는 이미지텔링의 방법으로 학습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간략한 교수·학습내용을 소개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image-telling of genre paintings, which expressed the times by describing normal ordinary lives and using humors. Especially,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foreign learners to learn Korean traditional culture naturally by considering genre paintings from the standpoint of image-telling, since it is thought that the simple aspects of genre paintings reflecting ordinary acts of normal people have considerable influences on the understanding of Korea and Korean value at the present time. For foreign learners, experience-centered methods like cultural experience or acquiring fragmentary cultural knowledge from teaching materials has been the most universal way of understand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so far. This study emphasizes educational values of genre painting and is focusing on delivering those educational values naturally using image-telling. Ultimately, this study is to enable foreign learners to understand stories contained in genre paintings and to associate Korean society of those times with Korean society of the present time as main characters of genre paintings. For achieving this purpose, Chapter Ⅱ considers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s of genre painting and Chapter Ⅲ introduces the methods and contents of image-telling for foreign learners.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텍스트 선정과 활용에 대한 고찰 -단편소설을 활용한 가치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고경민 ( Kyoung Min Ko ),김세준 ( Se Jun Kim ) 겨레어문학회 2015 겨레어문학 Vol.54 No.-

        이 글은 한국어교육에서 외국인 고급 학습자들의 문화교육을 위한 문학작품 선정과 작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문화요소 가운데 핵심문화라고 할 수 있는 ‘가치문화’ 중 ‘가족주의’와 ‘저항의식’이라는 주제의식을 다루고 있는 작품을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했다. 특히 작품의 일부 장면을 문화교육을 위한 도구로 제시하기보다는 여러 작품의 공통적인 주제의식을 묶은 ‘서사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문학텍스트의 한국문화교육으로서의 가치와 문화요소, 가치문화에 대한 제반 사항을 고찰하고, 선정 원리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이렇게 선정된 7개의 작품을 두 개의 군으로 묶어 각각의 작품이 갖는 내재적 의미와 이를 하나의 작품군으로 묶어 감상했을 때의 서사적 맥락을 제시하고자 했다. 작품 분석은 가치문화의 뼈대 위에 역사철학적인 관점을 더해 이루어졌으며, 작품의 주관적인 평가보다는 교육 목적을 위한 객관적 사실을 찾는 것에 무게를 두었다. 이러한 제안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고급 학습자와 한국 문화를 가르쳐야 하는 한국어교사에게 가치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바탕과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properly understand literary work selection and literary works for culture education of foreign advanced learn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works which contain thematic consciousness, ``familism`` and ``resistance consciousness`` of value culture which is the core culture among Korean cultural elements. Especially,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a ``narrative frame`` that combines common thematic consciousness of various works, rather than offering some scenes of works as tools for culture education. In chapter 2, the value of literary text as Korean culture education, cultural elements and all the contents of value culture were considered and the selection principle was analyzed. In chapter 3, the selected 7 work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hen the intrinsic meaning of each work and the narrative context when they were appreciated as a group, were presented. The work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philosophy on the frame of value culture and this study put weight on finding the objective fact for educational purposes, rather than leaning towards the subjective evaluation. This suggestion can be a foundation and an opportunity to deeply understand value culture for advanced learners who learn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that should teach Korea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