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석정 중기시의 시간과 현실 의식

        강희안(Hee-Ahn Kang) 어문연구학회 2008 어문연구 Vol.57 No.-

          The initial Seokjeong"s world of poetry started from the past-oriented lyric poems incisiv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mid of his times and shows the winding awareness of time in the late mythological world orientation. In here time is not a mere symbol or subject, but collected as a drive of actuality awareness aroused by meeting of the poet and the object in the poems. Furthermore, It is not only the principle of generating poem"s inner meaning, but also the frame of total and detail perception involved in subjects. In this paper awareness of time is a measure showing how Seokjeong integrate the ideal with reality and ontological orientation, and it also functions as a drive consisting of Seokjeong"s internal meaning system and the system of imagination.<BR>  When Seokjeong"s middle of the poems glacier(1956), take social historical reality significantly differently from those his initial poems, time is not a simple mechanism, but the implicit theory Seokjeong is oriented and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to integrate the ideals and realities and the guide to the system of the imagination as well. This paper shows that the specification of the Seokjeong"s mid poems" characteristics consist of the horizontal awareness of time. This is revealed as the two-oriented structure, reverse (←) or forward (→).<BR>  First, as a form of reverse(←) Seokjeong"s mid poems borrow the past revealing the attitudes of accepting the stream of time. Memories are the ruminating of yesterday osmosed in the present, one of the recalls scattered in the debris of the past to regain one of the creative recalls. They are also liberated from self-integration confined in the past. Second, in the form of a forward(→), the form of future-oriented present, which is the current time of the act and expressed as the attitude of consciousness in Seokjeong"s poems. The confusion and disorder of the times trying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ego and historical identities are routinely converted into the future by the time switch. This can be done on the premise that they try to get immersed in the time of universe chaos, is self-consecutive time, in here, the continuity of time becomes the parameter of equality which can be proved to be a positive force of the future and awaken the history as well.<BR>  And later verified, two structures of time in Seokjeong"s mid poems as emotion adhered closely to history are the results of his frustration and pain that he had suffered trying to improve things into a new world. But it is the factor of consciousness of history that revealed based on life basis of ego of subjective awareness of self-consciousness. Thus, Seokjeong"s mid poems are the transitional product of poet"s spirit escaping from his initial lyricism, based on the self-consciousness that negative historical reality of repression can not succumb to pressure based on strong historical awareness.

      • KCI등재

        신자도(信字圖)의 주제 표현 방식 연구

        강희안 ( Kang Hee Ahn ),서성 ( Seo Sung ) 한민족문화학회 2022 한민족문화연구 Vol.77 No.-

        본고는 신자도(信字圖)에서 많이 보이는 서사적 기호인 기러기, 청조 [인면조], 잉어 등을 중심으로 선행 연구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려고 작성하였다. 신자도의 주제가 ‘믿음’이라는 사실은 쉽게 상정할 수 있으나, 왜 ‘편지’나 ‘소식’의 의미를 사용했느냐는 점에 대하여, 선행 연구들은 ‘편지는 언약이자 믿음의 상징이다’고 해석하였다. 본고는 신자도를 전면적으로 살펴보고, 신자도가 ‘신’(信)자의 후기 인신의(引伸義)인 ‘편지’를 통해 초기 인신의인 ‘믿음’을 나타내는 방식을 사용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 그동안 잘못 읽은 화제(畵題)를 일부 바로 잡고, 구체적인 문헌을 통해 효기(孝己), 관중과 포숙, 미생(尾生), 상산사호(商山四皓), 소무(蘇武) 등의 고사를 확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인면조의 형상은 조선에서 창의적으로 만들어낸 점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도 인신의를 사용한 표현 방법은 다른 문자도에 없는 것으로, 이를 통해 조선의 민화와 문자도의 추상적 개념 표현 방식을 크게 확장하였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narrative signs often seen in the ‘Sin’ word picture(信字圖), such as swan goose(鴻雁), Cheongjo(靑鳥, human face and bird body), carp(鯉魚), and plum blossom(梅花), and attempts to solve them by looking at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research. They thought "The letter is a covenant and a symbol of faith" in the previous study because they tried to directly combine the ‘letter’(書信) presented by the narrative sign with the Chinese character theme ‘Sin’(信, believe). The fact that the theme of the 'Sin' word picture is 'believe' is easy to grasp, In terms of why it used ‘letter’ or ‘news’, we can see that it used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early extended meaning(引申義) 'believe' through the late extended meaning ‘letter’. The 'Sin' word picture adopted this method because there are few pictures depicting character stories in the 'story picture' type. It chose a detour method because it was quite difficult to express the concept of 'believe'. This paper scrutinize the ‘Sin’ word picture in its entirety, corrects some of the picture titles(畵題) that were read incorrectly, confirms the stories through concrete texts, and in the process, we also confirmed that the image was created by Joseon people creatively imagining Cheongjo. Above all, this paper concluse that the theme of the ‘Sin’ word picture was expressed by extended maining. and we also confirms the fact that the way of expressing the abstract concepts of Folk painting(民畵) and Munjado(文字圖) has been expanded.

      • KCI등재

        신석정 후기시의 시간 의식과 현실 인식

        강희안(Kang Hee-Ahn)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40

        신석정의 후기시에 속하는 ?山의 序曲?(1967)과 ?대바람 소리?(1970)는 두 번째 시집 ?빙하?(1956) 이후 20여 년의 창작 과정을 거친다. 이때는 1960년 4·19와 만나면서 신석정 시인의 역사의식이 한결 더 첨예하게 분출되는 시기이다. 따라서 신석정 후기시의 시간 의식은 상상 체계의 질서와 자아 변형 과정, 그리고 시로서 구현되는 현실 인식적 특성과 불가분 관련을 맺고 있다. 환언하면 연대감을 상실한 자아가 비극의 현존성을 인식할때는 일상적 시간에서 벗어나는 초시간적 시간인 신성(神性)의 세계에 접근하지만, 역사 현실을 수용하는 경우에는 현재 속에 침잠하는 방식을 택하여 주체적 의지를 일깨우면서 역사를 직시하는 태도를 취하기 때문이다. 신석정의 후기시의 한 갈래는 현재성의 토대에서 영원성을 지향하는 순환적 시간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4·19 혁명의 좌절로 인한 역사적 시간의 고독과 단절감은 시적 자아가 신화적 시간을 그리워하는 의식지향의 형태로써 구조화된다. 역사적 비운을 체현한 시적 자아가 과거의 신성한 시간은 무한히 반복된다고 믿는 것은 일종의 영원성을 각인하려는 삶의 태도에서 기인하는 셈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간은 죽음으로 향하는 시간의 진행까지도 역시 출생과 재생의 조건이 된다고 파악하기 때문에 가능한 인식이다. 나아가 신석정 후기시의 또 하나의 갈래는 현재의 공간을 구심점으로 과거와 미래를 소거하여 현실을 직시하는 태도를 취하는 형식이다. 이러한 시간 의식은 시적 자아가 현존성을 확인하는 근거로 작용하며, 4·19를 전후하여 가열화된 자유 민주주의의 염원이라는 시대사적 명제를 사랑으로써 내면화하려는 자아의식의 발현이다. 따라서 시적 자아는 과거와 미래를 통합하면서 근원적인 생명의 힘을 가진 우주적 시간으로 동일화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시간 인식 태도는 무엇보다도 자아가 지닌 생에의 본능과 의지를 확대하여 자신이 몸담고 있는 세계를 새롭게 회복하려는 의식적 자각의 결과이다. 신석정의 후기시는 시대사의 흐름과 밀착된 정서로써 새로운 세계로의 개진을 위해 서정적 자아가 겪어야만 했던 좌절과 고통의 결과물로 요약된다. 그러한 의식의 바탕에는 역사 현실에 대한 주체적 자각을 자아의 생명적 근거로 삼은 원초적 시간 의식의 인자가 깔려 있다. 그가 역사 현실에 대항하기 위한 방법으로 신화적 시간을 지향했던 것은, 그것을 통해서만이 현실의 원상회복이 가능하다고 믿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신석정의 후기시는 현존성을 억압하는 역사적 시간의 압력에 훼절되면서도 주체적 의지로써 현실의 질서를 적극적으로 재창조하려는 시간 의식의 산물인 셈이다. It took about 20 years to create ?「산의 서곡(Overture of Mountain)」(1967), ?「대바람 소리(Sound of Bamboo)」(1970) which belong to the later poems of Seokjeong after his second poetry ?「빙하(Ice)」(1956). This is the time when much more acutely conscious of the historical period erupted being met 1960 4·19 revolution. So Seokjeong’s imaginatively systematic reviews at the time of the order of consciousness and self-transformation process is related to the realistic-cognative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when the self who has lost solidarity recognizes the presence of tragedy, he or she can approaches the divine world beyond the real time, but if one is to accept the reality of history, he or she takes an attitude of facing history arousing the subjective willingness. One part of Seokjeong’s later pomes consists of the forms of circular time oriented based on the present. The loneliness of historic time and isolation caused by the failure of 4·19 revolution is structured by the poetic self missing the mythological time of the consciousness-oriented form. The belief of the poetic self who has experienced the historical misfortune that the sacred times in the past repeats infinitely is due to the attitude toward life to recognize a kind of eternity. Therefore, this time progression toward the time of death is a possible recognition that it is understood as a condition of birth and death consciousness-oriented form. In addition, the other part of Seokjeong’s later takes the attitude of facing reality as the focal point of the present space to erase the past and the future. Thus, the poetic self identifies the time of space with the power of basic life integrating the past and the future. As noted in the above discussion, the later poems of Seokjeong closely related with the time flow are the results from the frustration and pain that Seokjeong had to endure the self to advance into the new world. But in reality it is the result of the significant portion of the evidence based on the subjective self-awareness as the basis of life. Therefore, the later poems of Seokjeong are the results from the conscious-awareness of time trying to recreate deserted by the historic time pressure suppressing the reality.

      • KCI등재

        박봉우 전후시의 현실인식과 자아확립 과정 고찰

        강희안(Kang, Hee-ahn),윤은경(Yoon, Eun-kyung) 한국비평문학회 2016 批評文學 Vol.- No.59

        본 논문에서는 박봉우 전후시에 공간성과 시간성으로 대별된 두 자아가 어떤 격절의 과정을 거쳐 자아의식의 확립에 이르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거대한 6·25전쟁의 소용돌이와 식민지 체험과 연루된 박봉우의 전후시에 나타난 자아의식의 변모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지 체험과 결부된 전쟁의 소용돌이는 박봉우 시인에게 패배주의와 허무주의를 심화시키는 충분조건에 해당한다. 이로 인해 그의 시편에 드러난 자아는 무력한 의식을 노정하게 된다. 이는 그의 시편에서 ‘길’의 공간성을 통해 세계와의 내면적 유폐를 시도하는 의식으로 드러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현실도피일 뿐 근본적으로 분단의 현실을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가 없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각성의 계기로 기능한다. 둘째, 전후 폐허화된 현실과 좌우이데올로기의 대립 아래서 방황하던 박봉우의 자아는 ‘봄’의 시간성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열망하는 신념을 드러낸다. 참혹한 전후의 실상과 이념적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려는 탈이데올로기적인 신생(新生)의 의지인 것이다. 이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서 우주적인 생명을 탐색하는 자아의 모습으로 그 실체를 드러낸다. 이와 같이 박봉우는 전쟁 뒤의 참담한 좌우이데올로기의 반목 상황을 극복하여 사랑으로써 완성하려는 우주적인 생명과 자유의 세계를 보여준다. 이는 새로운 삶을 지향하려는 적극적 태도로서 황폐화된 시대적 고뇌를 스스로 감당하려는 자아의 자유의지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전후 피폐된 질곡의 삶 속에서도 이를 극복하려는 자아의 가열한 의지는 조국애와 인인애를 바탕으로 한 내면적 결단이었던 셈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cess of identity development of two selves divided by the concepts of time and space in Bong-woo Park’s poems after the Korean War. The process of the transformation of self-consciousness in his poems assumes two serious aspects due to the psychic and emotional trauma after the civil war and colonized experience by Japan for 35 years. Above all, Park investigated personal lethargic consciousness caused by the Koreans’ defeatism and nihilism after the War. They confined themselves in the space of inner self and tried to isolated themselves from the world. However, their lethargy and isolation cannot be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ideological and territorial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ir attitudes are nothing but a enervated means of escaping from reality. Secondly, Park had the faith of establishing new country in the chaotic circumstances of being devastated Korea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the extreme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ist ideology and the rightist ideology. He expressed this idea through the concept of time : the advent of sunny spring. Park tried to reveal the miserable reality of the people and to make them get over the extreme confrontation of ideologies. With optimistic activity, he shows his belief to search for the life things of the universe in his poems. After all, Bong-woo Park looked squarely at the pitiable conditions after the war and tried to cope with the sufferings caused by it with love. This is the poet’s fervent and free will of new birth toward a new life in the new era and the will was based on his love of his motherland and humanity.

      • KCI등재

        김영석 시의 심층생태학적 윤리 의식 연구

        강희안(Kang, Hee-ahn)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7

        서구 철학의 핵심 키워드였던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의 세계관에 의해 침윤된 결과 인류는 생태계 파괴라는 자연의 재앙과 직면한다. 따라서 인간과 자연이 상생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가 인류 초미의 관심사가 된다. 김영석의 시에는 서구 탈인간중심주의(anthrodecentrism) 철학의 요체였던 동물, 식물, 나아가서는 자연의 무기물에 이르기까지 생명공동체로서 인간과 자연의 평등에 관한 세 가지 관점이 제시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감정 중심적 관점, 생명 중심적 관점, 생태 중심적 관점 등으로 세분하여 김영석 시가 드러낸 새로운 관계의 윤리에 대해 면밀히 분석해 보았다. 2장에서 다룬 ‘감정 중심적 동물화’에는 화자가 자연의 동물들을 인격으로 파악하여 개변시키려 하는 의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3장의 ‘생명 중심적 식물화’에는 식물까지 포함된 생명체의 견지에서 모든 종이 평등하다는 생명 중심의 다원론이 등장한다. 나아가 4장의 ‘생태 중심적 유기화’에는 자기 항상성을 유지하는 자연의 무기물까지 생명체의 범주에 포함시켜 인간과 자연의 긴밀한 관계의 연대를 조성한다. 이와 같은 탈인간중심주의적 시각에는 인간 이외의 자연 대상(존재자)의 이익도 중요하다는 참다운 명제가 생긴 셈이다. 김영석의 생태주의 시는 범우주적인 차원에서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상생의 질서로써 재편되어야 한다는 새로운 형태의 생태윤리학(ecological ethics)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의식의 기저에는 이성 중심적 무기질 세계의 반대편에서 지구 자체를 생명체의 관계망으로 재구성하려는 문명 비판적 사유가 짙게 표백되어 있다. 나아가 인간의 이성적인 질서와 도덕, 과학 대신 인간과 자연을 동등한 생명의 관점에서 파악했다는 점에서 동양의 도가 사상의 맥락과 일치한다. 이는 그간의 인문학적 연구 성과를 면밀히 검토해본 결과 심층생태주의(deep ecology)에 해당한다. 여기에는 탈인간중심주의를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이 동등하게 길항하는 생태 의식과 우주공동체로서 긴밀한 연대감으로 이어지는 휴머니즘 의식까지 포괄하는 인문학적 비전이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As they place more emphasis on the highly material civilization in the modern anthropocentric world, human beings are sure to come up against the natural disaster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system destruction. poems of Kim Young Seok, suggests the equ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in three different ways. In his nature and human friendly poems, Kim stresses the importance of seeing them as a group of sharing a common destiny. He suggests that the human relationship with nature should be reinterpre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going together. Viewed in this light, can be placed under the category of ecological poetry. Actually, Kim asks us to accept the philosophy of deep ecology anthrodecentrism beyond anthropocentrism in that our destiny is closely connected with that of nature. Therefore, in this article, I try to analyze the ethics of relationship, the coexistence between humanism beings and nature, in three different point of view, emotional, life-centered, and ecological. This analysis leads us to conclude that Kim"s ecological poems come up with ecological ethics much similar to Taoism of East Asian cultural imagination.

      • KCI등재

        손창섭 전후소설의 초점화 양상 고찰

        강희안(Kang Hee-ahn) 어문연구학회 2017 어문연구 Vol.93 No.-

        본고는손창섭의단편인전후소설중일인칭시점인<유실몽>과삼인칭시점인<치몽>의 서술 방식과 결부된 초점화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그의 소설에서 초점화에 주목한 것은 발신자인 내포작가가 수신자인 내포독자를 상정하여 전후의 시대 현실을 환기하는 서사적 담화 체계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그의 단편 중 일인칭 초점화자와 삼인칭 초점인물로 대별된 두 작품을 통해 내포작가가 내포독자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통제하고 조정하는가에 대한 결과물에 해당한다. 우선일인칭시점인<유실몽>의 초점화자‘나’는병적 탐색의 정신에 바탕을 둔주동적 행위자이자 작중인물과 세계를 관찰하는 수동적 행위자이기도 하다. 따라서 서술 주체인 ‘나’의자의식을초점화하면서도작중인물들에대해서는객관적서술태도를견지한다, 그로 인해 내포작가와내포독자와 소통하는 모종의 간접화의 맥락(context)이 형성된다. 이같은 초점화자의 이중적 서술 태도에는 내포작가와 내포독자가 교감하면서 자연스럽게 전후의 현실을 환기하는 특질이 내포된다. 이에 반해 삼인칭 시점인 <치몽>에서 서술자는 ‘초점인물’을 객관적 거리에서 관찰하다가도 극화된 상황일 때에는 내부 시점에서 발화하는 ‘가변 초점화’라는 서술 방식을 선택한다. 이 경우 삼인칭 서술자는 초점인물의 우울한 자의식을 내면화하므로 내포독자들을 텍스트 내부로 편입시키는 지위를 떠맡는다. 이 같은 거리 조정은 내포독자가 텍스트내의 인물 편이 되게끔 잠재적 영향력을 끼치기도 하지만, 내포작가의 주관적 의식을 통제하는 수단으로도 효과적으로 기능한다. 이상의 논의대로 손창섭은 <유실몽>과 <치몽>에서 서술상의 대립적인 기법을 통하여 주관과 객관을 넘나드는 거리 조정을 통해 긴장을 일으키는 서술 방식을 구사한다. 이러한 기법의 이중적 원리는 담화의 관점에서 수화자인 내포독자가 텍스트에 참여하는 해석의장을마련해준다. 그결과본고에서는그가선택한초점화방식이란전후의현실과인간상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동시에 내포독자와의 미학적 거리를 조정하는 서사 미학적 장치였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Final announcement of the Sonchangseop Yusilmong and descriptions of the Chimong focused aspects of the purpose is to consider. After war is steadily until the late 1970s his work at his appearance on the seen works known as a writer. In this manuscript Sonchangseop from fiction to note the focused, that is an extensive system in the story as well as the narrator s voice and an epic level that make up. Complex was due to the belief that a novel. In this manuscript Jeunetteu s epic, g in discourse theory, ‘focused’ the analysis applying within the framework of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first person Yusilmong ‘me’ uniformly strong curiosity and author of the pathological quest, mental paranoia that is based on symptoms that characteristics to determine how long. It was here. i.e. description players such as ‘me’ the pathologic sequence of events and incarceration a self -consciousness, it away by the whole text within the times of objective observations of the situation of some sort of aesthetic distance. Was building. This implicit writer s description of the first person focalizer narrator of his short novel attitude is own connection between readers and found that people have in shaping the properties. On the contrary, they were at the third person focalized point, Chimong incompetent and pure ‘focal person’ and perform the narration, by looking at a distance by selecting the objective. In this case, the narrator is left out no choice but to a refracting process of the focus figures show that gaze at the grim reality of despair at the same time also function as a wake-up call. This internal adjustment allows readers to the streets of the same text, potential influence ceases to be on the side of fictional characters a reader s sympathy, but to controlling Sudan also effective. Up to the discussion of its more than Sonchangseop Yusilmong and Chimong through confrontational on narrative techniques in the street narrative that cause tensions through the coordination through the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Perform the way and. Listener, in principle making the point of view of the statement from the viewpoint of these techniques, provided a forum for various interpretations to the reader. As a result, this manuscript subjective the choice of narrator and objective figures in postwar reality, with facts graphically showing at the same time, his literary level who improve. In fact, they were formal device can draw.

      • KCI등재

        한국 현대시의 원형상징과 현실 대응의 무의식

        강희안(Kang, Hee-Ahn)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7 No.-

        This paper was to explain the reality consciousness of the archetypal symbol 'water', 'sky', and 'bird' and the structural order related with it. To reveal reality-oriented consciousness related with the symbols in contemporary poems coincides with examining in what kind of perceptual way the symbols poets have chosen are reveled. Especially, the prototype of Korean contemporary poems is revealed as characteristics commonly perceived depending on the directions of moving upward and downward and the place of objects. This is because the prototype borrowed in comtemporary poems is the conscious mechanism of self-unconsciousness trying to cope with the reality. 'Water', the source of imagination in Korean poems acts as inner dynamic of poets which strokes the dark reality with bright and smooth attributes. It is the point where reflective perception is made in an attitude of self-disruption related with tragic reality in the 'imagination of flow'. In contrast, 'static imagination' exists as an unconscious reality trying to sink deeply away from earthly existence. Like this, 'water' functions as the story mechanism inspires the energy into the detached self from reality. In contrast, 'sky' is the prototype of an ideal world where the poetic self stares at the world in impoverished reality. The poetic self perceiving the lack and absence oppressed by the reality considers the life of sky as his or her inner source. Sky is an ideal world of the poetic self regressed from the earthly limit and the place which embodies the dream world of fairy and the fulfillment of wishes. This imagination of 'sky' shows the inner order of power trying to reach the life of Korean contemporary poems and the prototype of revival. Further, it was 'bird' which is revealed as the hope for freedom of Korean contemporary poets. The image of 'bird' in lyric poetry appears as the symbol of freedom which moves from 'sky' and 'earth'. And the life excluding the something artificial is the world pursued by the contemporary lyric poets. Therfore, 'bird' destroys the confronting structure of the stubborn ideal world and reveals the reality of 'sky'. Studies as above, the prototype of Korean contemporary poems is the product of intellectual consciousness rivaling the poor reality which realizes the metaphysic alaesthetics. The consciousness of the Korean contemporary poets putting all the symbolic mechanisms have the depth and the width which covers the surface and the depth at the same time in the revealing the power into the new life and the new world, not the escape or the regression from the reality. The prototype they have chosen underlies the expression of the individual emotions but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revelation of the outer response of the self-unconsciousness trying to confront the reality of human t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