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라질한인 문학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의

        강회진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4 No.-

        Transnationalism recognizes the existence of a nation-state, but emphasizes that it is not an immutable system. In this day and age when the stubborn boundaries of the nation-state have collapsed and transnational movement and migration have become commonplace, the research of identity-based "nationalism" and Korean modern literature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a new epistemological paradigm. It is regrettable that many of the existing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abroad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of "national" or "ethnic," "diaspora," and "identity as a Korean."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propose a transnational perspective from a perspective of Brazilian Korean literature and to examine the transnation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subject revealed in the work. The main subject of the analysis was part of the work included in the Brazilian Korean Literature Selection . Brazilian Koreans, who were voluntary migrants, suffer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and frustrations within the new migration space. In the work, the subject depicts a specific local space living in order to overcome a series of problems experienced in reality as a space of fantasy and full of space where the subject will no longer be hurt. On the other hand, it shows a transnational pattern of trying to establish one's identity across boundaries in the mix of spaces mixed here and there. 트랜스내셔널리즘은 국민국가의 존재를 인정하되 고정불변한 체제가 아님을 강조한다. 민족국가의 완강한 경계선이 무너지고, 초국가적 이동과 이주가 일상화된 현 시대에, 동일성에 기반 한 “민족주의”와 한국 근대문학의 연구는 새로운 인식론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기존 해외 한인문학의 연구는 많은 부분이 ‘국가’ 혹은 ‘민족’ ‘디아스포라’,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의 틀에 맞춰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아쉬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브라질한인 문학을 바라보는 하나의 시각으로 트랜스내셔널한 관점을 제안하고 작품에 드러나는 주체의 트랜스내셔널한 특징 및 의미를 살피고자 하였다. 분석의 주 대상은 브라질 코리안 문학 선집 에 수록된 작품의 일부로 하였다. 자발적 이주 주체였던 브라질한인은 새로운 이주 공간 안에서 내·외적인 갈등과 좌절을 겪는다. 작품 속에서 주체는 현실에서 겪는 일련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거주하고 있는 특정한 로컬 공간을 환상의 공간이자 주체가 더 이상 상처받지 않을 충만한 공간으로 그리고 있다. 한편, 이곳과 저곳이 뒤섞인 공간의 혼재 속에서 경계를 넘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트랜스내셔널한 양상을 보인다.

      • KCI등재

        캐나다한인 시문학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 양상 - 문예잡지 『캐나다문학』을 중심으로

        강회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3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identity and orientation of translocality for Canadian-Korean poetic literature. Existing Canadian-Korean poetic studies are mainly regrettable to stay in the perspective of ethnic, ethnicity, identity as a Korean, immigrant consciousness, and diaspora.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lluminate the transnational aspect and meaning of the poems published in <Canadian Literature>(No. 1-19) published by the Canadian-Korean Writers Association. It was found that the aspect of Canadian-Korean poetic literature is to recognize ‘self-alienation’ and ‘difference between each other’ as ‘Canadian-Koreans’, ‘maintain’, and build a transnational identity. In other words, Canadian-Koreans were struggling between the positions of immigrants who were both Canadian and Korean, showing signs of finding their identity by dreaming of ‘awareness of differences’ and even ‘harmony’. 본 연구에서는 캐나다한인의 시문학을 대상으로 트랜스로컬의 정체성과 지향성을살펴보고자 했다.기존의 캐나다한인의 시문학 연구들은 주로 민족,민족성,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이민자 의식,디아스포라의 관점의 연구에 머무르고 있는 아쉬움이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캐나다한인문인협회에서 발간한 기관지 『캐나다문학』(1-19 호)에 실린 시들을 대상으로,작품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한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캐나다한인 시문학의 양상으로는 ‘캐나다 한국인’으로서의 ‘자기소외 인식’과 ‘서로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를 ‘유지’하며 트랜스내셔널한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함을알 수 있었다.즉 캐나다의 국민이면서 한국인이라는 소수민족(이민자)의 위치 사이에서 길항하면서 ‘차이의 인식’과 나아가 ‘화합’을 꿈꾸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정체성을찾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재일조선인 시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미

        강회진 어문연구학회 2022 어문연구 Vol.114 No.-

        본 연구는 트랜스내셔널리즘의 관점에서 재일조선인 시문학이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지하다시피 기존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개념의 중심에는 ‘민족’과 ‘국가’가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국가 중심의 연구 틀만으로는 국가의 경계를 넘어 출신지와 거주지 사이를 이동하는 사람들의 다양한 경험을 효율적으로 분석하기는 힘들다. 디아스포라는 하나의 민족·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존재이기 때문에 그들의 문학 역시 한 민족·국가의 문학 경계 안에 머물 수 없다. 따라서 디아스포라를 재현하는 문학에 대한 이해는 초국가적 문화현상의 재현 가능성과 문학 연구의 패러다임 변화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기하는 트랜스내셔널한 관점은 특정한 지역의 범주화를 넘어서는 지역의 재개념화에 있다. 디아스포라인에게 이주 공간과 정주의 공간은 정체성 확립과 긴밀하게 관련될 수밖에 없다. 이런 의미에서 ‘재일조선인’작가들이 작품에서 어떤 공간을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장소가 인간의 삶을, 나아가 자아정체성까지도 형성할 수 있는 요소라 보았을 때 재일조선인의 정체성 역시 장소 경험과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일조선인 시에 나타나는 트랜스내셔널한 특징과 의미를 경계 없음의 공간에서 살아가는 주체와 환상의 장소를 구축하는 주체의 트랜스내셔널로 상정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경계 없음의 공간에서 살아가는 주체들은 자신이 위치한 자리(경계)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으로 오히려 경계를 무화시키고자 한다. 이후 공간이나 장소의 경계를 뛰어넘거나 경계 자체를 없애는 것으로 트랜스내셔널한 정체성을 구축하고자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환상의 장소를 구축하는 주체의 트랜스내셔널한 사유의 경향을 찾아볼 수 있다. 공간과 장소에 대한 환상성을 통해 지리적 공간을 재구성 하는 것이다. 이들은 특정 장소, 공간을 현실에서는 가 닿을 수 없는 환상의 장소이자 현실적 자아가 상처받지 않을 충만한 공간으로 그리고자 하는 양상으로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리정희 소설 연구 -≪레닌기치≫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강회진 동아인문학회 2019 동아인문학 Vol.46 No.-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reflecting the divergences of the numerous works in the newspaper ≪Lenin Gichi≫ among the Central Asia Soviet- Korean Literature Researches, reflecting the literal meanings and discourses of Soviet-Korean Literature. Also, in the novel genre, meaningful studies on male individual writers and works have been accumulated and elaborated in detail, but research on female writers has only been referred to as fragments or only partially. In particular, there is no significant research on Lee Jung-hee, the first female writer who published her works in ≪Lenin Gichi≫, the largest ethnic newspaer in Soviet-Korean of Central Asia. In this study, I reveiwed three aspects of Lee Jung-hee's nine works published in ≪Lenin Gichi≫ as follows. First, it is a narrative method through the speaker of the female focus. In the works of Lee Jung-hee, women are depicted as concrete and realisitic figures, not ideological figures who are inclined to the marcroscopic ideology or liberated from everday life. Lee Jung-hee's female-focused speaker and gaze, which the author has used as a strategy of creation, is different from the way that existing male writers portray women as secondary characters in the periphery, can confirm. Second, the absence of patriarchy. Many of Lee Jung-hee's works show the absence of a patriarch. The main character in the works is depicted as a person who endures the fictitious nature of patriarchy throughout her life and takes the price seriously. However, in the artist's gaze, she is portrayed as a dynamic and concrete person who wants to enjoy subjective happiness as a human being and aspires for freedom. It is possible to embody the figure of the moving subject, which is not stuffed in the stereotype of a mother who is a companion of her husband and a son, as a female, in the heroine called ‘Boksoon’. Third, it is the aspect and meaning of ‘Leaving’- ‘from sakhalin’. Lee Jung-hee's work often depicts the main character leaving Sakhalin. To the characters in the works, the Sakhalin space is symbolized as a place that must inevitably leave in order to seek a new search, not a space for settlement and adherence. In other words, it is depicted as leaving Sakhalin, the hometown, trying to rediscover herself in a new language, new relationship, and new encounter. Sakhalin is a space of pain rather than a space of protection, and Sakhalin must be cut off for a new strat of the protagonist, and it is depicted as a space of negation to separate on the street. 그동안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 연구 중 신문 ≪레닌기치≫에 실린 수많은 작품들의 다양한 편차들에 주목하고, 고려인 문학의 문학사적 의미와 담론들을 반영한 연구들은 많았다. 또한 소설 장르에 있어 남성 개별 작가론과 작품에 대한 의미 있는 연구는 많이 축적되고 자세하게 조명되고 있다. 반면에 여성 작가에 대한 연구는 파편적으로 언급되거나 부분적으로만 거론되고 있을 뿐 거의 없다. 특히 중앙아시아 고려인 최대 민족 신문이었던 ≪레닌기치≫에 작품을 게재한 최초의 여성작가이면서 다수의 작품을 발표한 리정희에 대한 유의미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레닌기치≫에 발표된 리정희 작품 중 9편의 소설 작품의 양상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주제로 살펴보았다. 첫째, 여성 초점화자를 통한 서술 방식이다. 리정희 작품 속 여성상들은 거시적 이념에 포섭되거나 일상과 유리된 관념적인 인물이 아닌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리정희 작가가 창작전략으로 삼은 여성 초점화자와 시선은 기존에 남성작가들이 여성을 주변부에 부수적으로 존재하는 인물로 그려내는 방식과는 달리 여성을 주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작가의 독자성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가부장의 부재 양상이다. 리정희 작품들의 상당수는 가부장이 부재하는 양상을 보인다. 작품 속 주인공은 가부장제의 허구성을 평생 걸쳐 견뎌내고 그 대가를 혹독하게 치루는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작가의 시선 안에서는 한 인간으로서 주체적 행복을 누리고 싶어 하고 자유를 갈망하는 역동적이고 구체적인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남편의 반려이자 아들에게 헌신적인 어머니라는 고정적 관념 안에 박제되어 있지 않은 살아 움직이는 주체의 모습을 여성 ‘복순’이라는 주인공 안에 구현시킨 것은 여성작가의 시선 안에서 가능한 구체화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떠남’-‘사할린으로부터’의 양상과 의미이다. 리정희 작품에는 주인공이 사할린으로부터 떠나는 모습이 자주 그려지고 있다. 작품 속 등장인물들에게 사할린이라는 공간은 정착과 고착의 공간이 아닌 새로운 모색을 도모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떠날 수밖에 없는 장소로 상징된다. 즉, 고향인 사할린을 떠나 새로운 언어, 새로운 관계, 새로운 만남 속에서 자신을 재조명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사할린이라는 고향은 보호의 공간이기 보다는 고통의 공간이며 주체의 새로운 출발을 위해서 사할린은 단절되어야 하는 곳이며 거리를 두고 분리시켜야 할 부정의 공간으로 그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레닌기치』에 수록된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비평 고찰

        강회진 시학과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0 No.30

        본 논문은 『레닌기치』에 수록된 문학비평을 형성기(1938-1969), 발전기(1970-1984), 성숙기 및 쇠퇴기(1985-1990)로 상정해 각 시기 별 문학비평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고려인 문학의 형성기는 1938년 5월 15일 『레닌기치』창간 이후 1960년대까지로 상정하였다. 이 시기 고려인 문단이 역점을 둔 것은 문학을 통해 사회주의 사상, 그리고 공산주의 세계관을 계몽시키는 것이다. 고려인 비평 문학비평 역시 “당성과 인민성을 강조한 작품이야 말로 좋은 작품”이라는 주장이 주류를 이룬다. 발전기는 카작스탄작가동맹 산하에 조선인 작가 분과가 생긴 1970년 2월부터 뻬레스또로이까(개혁)와 글라스노스트(개방)가 시작되기 전인 1984년까지를 의미한다. 이 시기 문학 비평은 “문학작품의 사상 예술적 수준을 높이자”라는 주장 아래 작품에서 언어의 미학과 문학적 파토스의 강조를 주문하는 비평이 주를 이룬다. 성숙기 및 쇠퇴기는 1985년 고르바쵸프가 소련의 총서기가 된 후 뻬레스또로이까 정책 이후 소련이 해체되고 『레닌기치』가 폐간 된 1990년 말까지를 의미한다. 이 시기는 민족성 또는 민족적 특성을 주제로 작품에 접근하거나 작품의 다양한 소재의 필요성에 대한 문학비평이 전개된다. 1985년 이후 고려인 문학비평은 급변하는 정치, 사회적 변동, 그리고 당의 문예정책과 문학 사조의 변화에 상응하여 새로운 사고방식을 갖고 민족 주체성이나 민족에 대한 이야기 등 주제에 대한 다양화를 추구하고자 했으나 결국 1990년 12월 31일 『레닌기치』 폐간과 함께 고려인 문학 작품은 줄어들고 아울러 문학 비평 역시 쇠퇴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창작의 활발한 주체였던 앞 세대 작가들이 고령화되어 작품 생산이 어려워진 점과 이주의 오랜 세월 동안 고려인의 정체성이 약화되고 한국어로 작품을 창작하는 젊은 세대의 작가들이 거의 사라지고 있는 점이 고려인 비평문학의 쇠퇴로 접어들게 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고려인 문학은 창작과 비평의 면에서 소련이라는 국가를 상정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고려인 문학비평은 소비에트 정치, 사회적 변화 그리고 당의 문예정책에 상응하여 변화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각 시기 고려인 문학비평은 사회 변동 상황에 직면한 고려인 문학의 당면 과제와 지향점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려인 문학비평의 전개 양상과 특성을 살피는 작업은 당대 고려인 문학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 고려인 시문학 속 여성상의 변화 양상 -『레닌기치』를 중심으로

        강회진 시학과언어학회 2014 시학과 언어학 Vol.0 No.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changes of women’s image that is shown on the poetry in the Lenin Gichi literary magazine. The changes of women’s image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the women’s image is claimed for Soviet literature, second, that is claimed for perestroika. Before 1980s, women heroes in a poetry devoted their whole life to construct socialism even though they were in all kinds of difficulties and struggles They didn’t agonize over contradiction between reality and ideals. The author only described and praised their pure behavior, however they never described their inner world. Socialism realistic literature lacks reality in that it blindly follows ideology. But on the other hand, the realities which culture shows may be the people’s hope as well as their real life. Hoping to take root into Soviet ruling class and to be incorporated into main society, in other words, we can understand that it reflect the directivity of soviet-Korean not the worth of others. As distinct from this, new poetry which showed the changes of direction was created by perestroika and glasnost in 1980s. Soviet literature encountered big changes with the policy of perestroika and glasnost. The Women’s Image in Soviet-Korean Poetry showed the changes as well. Surely, ‘Mother’ which they called represents different person, while they called ‘mother’ a labor or a person who concentrated on the construction of soviet community. We can see the differences in symbolizing subjects as well as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