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혁신학교 학생의 긍정적 변화과정 탐색: 근거이론에 기초한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강혜영 ( Kang Hye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교육의 본질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 시작된 혁신학교는 교육적 성과를 인정받아 점차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이와 관련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대부분이 학교문화, 관리자, 교사에 대한 연구로 학생에 대한 연구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혁신학교 운영을 통한 학생의 긍정적 변화과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혁신학교 운영 후 긍정적 변화의 폭이 큰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고 근거이론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혁신학교 운영을 통한 학생의 긍정적 변화과정에 대한 패러다임 모형과 7가지 주제를 탐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학생의 긍정적 변화 단계 모형을 밝히고 관련 교육정책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innovative school, which began to discover the essence of education, has rapidly been expanded in recent years, due to its educational achievement. The studies on innovative school management are quite diverse yet they have mainly focused on school culture, managers, teachers, not on student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positive transformation of students through the management of innovative schools. Methodology and data: To this end, this study interviewed 20 students that had shown considerably positive change from innovative school management, and applied a grounded theory. Find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explored a paradigm model and seven themes. This study found a positive transformation stage model and suggested educational policies..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변경 실행 이유와 어려움 탐색

        강혜영(Kang Hyeyoung),이동혁(Lee Donghyu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변경 실행 이유와 전공변경 실행과정 및 실행 후의 어려움을 탐색하여 전공변경으로 고민하는 학생을 도와야 할 교수와 대학기관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K대학 재학생 중, 입학 당시 소속되었던 전공을 떠나 새로운 전공으로 변경한 학생을 연구참여자로 모집하였으며 참여자 모집은 2019년 5월24일 부터 2019년 10월 1일까지, 총 3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최종적으로 33명의 학생이 참여하였고, 이들의 전공변경 경험을 수정된 합의적 질적연구(CQR-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① 전공변경을 실행한 이유에서는 2개 영역(전적 학과에서 떠나고 싶었던 이유, 현적 학과를 선택한 이유)과 11개 범주, ② 전공변경 실행과정 어려움에서는 3개 영역(의사결정의 어려움, 전적학과에서의 경험이 무의미해지는 것에 대한 걱정, 새로운 학과 적응에 대한 걱정)과 12개 범주, 그리고 ③ 전공변경 실행 후 어려움에서는 3개 영역(현적학과 적응의 어려움, 전공변경 준비 미흡으로 인한 후회와 아쉬움, 전공변경 학생에 대한 지원 부족)과 10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전공변경 실행 이유, 전공변경 실행과정 어려움, 전공변경 실행 후 어려움별로 결과의 시사점을 기술하고, 끝으로 연구의 의의 및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to professors and university institutions who should help students who are suffering from major changes by exploring the reasons for implementing major changes and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m. To this e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mong the students of K University, and the recruitment of participants was conducted three times from May 24, 2019 to October 1, 2019. Finally, 33 students who changed their majors to new ones were analyzed through the CQR-M (Co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① The reasons for the major change were categorized into 2 domains (the reason for leaving previous major, the reason for chosing current major), 11 categories. ②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major change were categorized into 3 domains (the difficulty of decision making, concern about the meaninglessness of experience in the previous major, worries about adaptation to a new major), 12 categories. And ③ Difficulties after major change were 3 domains(the difficulty of adaptation to current major, regret due to insufficient preparation for major change, lack of support for students who changed majors), 10 categorie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escribed, an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시간과 공간 데이터마이닝을 적용한 gCRM 구조

        황정래(JungRae Hwang),강혜영(HyeYoung Kang),이기준(KiJoune Li)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A

        오늘날의 고객들은 실시간으로 자기가 필요로 하는 유용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시각화하여 보기를 원한다. 그리고, 고객들은 자기가 원하는 시간대에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기능이 있기를 원한다. gCRM은 이러한 고객들의 충족을 만족시키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gCRM은 이러한 충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의 gCRM 구조에 시간의 개념과 공간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새로운 gCRM 구조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공간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gCRM에 적용하여 공간 데이터를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적절한 gCRM의 기능에 부합하고자 하였으며, 시간의 개념을 적용시킴으로써 시간대에 따른 효과적인 고객 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 KCI등재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요구분석: G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남상숙(Sangsook Nam),강혜영(Hyeyoung Ka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4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에 종사하는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요구를 분석하여 이들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요구는 어떠한가?하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G공공기관의 온라인 직업상담사이다. 먼저, 문헌연구와 개방형 질문, 그리고 전문가 평정을 통해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의 교육내용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교육내용에 대해 실행도와 중요도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t검정을 실시하였고, Borich 교육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 결과를 중복 확인하여 교육요구의 최우선 순위군과 차우선 순위군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을 위한 온라인 직업상담사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으로는 총 4개 범주와 40개의 세부교육내용이 도출되었다. 교육요구의 최우선 순위군은 ‘비자발적 소극적 내담자에 대한 상담 유도’, ‘비언어적 메시지 파악’, ‘유연하고 개방적인 태도’ 등 10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교육요구의 차우선 순위군은 ‘상담협력관계형성’, ‘내담자의 호소문제 파악’ 등 7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supporting employment for career-interrupted women and to confirm the decision of the education priority. Accordingly, firs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on what educational contents are needed for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to support 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and second, what are the educational needs of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to support 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The sample was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supporting the 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in G-public organiza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subjects, and found out the necessary education for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in G-public organization through open-ended questionnaires. Also, 5 experts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educational contents and survey questionnaires. As statistical analysis, t-test was conducted to screen the tendency of needs. Borich 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were used to decide priority of the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ducational contents required for the online vocational counselors to support employment of career-interrupted women were constructed 40 items in 4 competency groups. The highest priority among needs was 10 items and the second priority was 7 item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some implications.

      • KCI등재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과 초등학령기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하나(Lee, Hana),강혜영(Kang, Hyeyoung),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인간발달학회 2022 人間發達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가족 스트레스 모델을 기반으로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족 스트레스 과정을 통하여 초등학생의 문제적 행동과 연관이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경로에서 주양육자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국아동패널의 8, 9, 10차연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총 1,598가구를 포함하였다.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부정적 양육행동, 그리고 아동의 외현화 및 내재적 행동 간의 순차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부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에서 아동의 행동 발달에 이르기까지의 경로에서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른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감소를 야기하고, 이는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이어졌다. 부정적 양육행동은 결국 아동의 부정적인 행동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부정적 양육행동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낮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다양한 경로에서 그 부정적인 지표의 수준이 유의하게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과 아동의 행동 발달 간의 순차적 관계에서 가족 스트레스의 이론적 모형을 실증적으로 증명했을 뿐만 아니라, 주양육자인 어머니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지지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관계망의 중요성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family economic hardship is associated with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through family stress processes and whether maternal social support would moderate the proposed mediated pathways. Using 8, 9, and 10th waves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1,598 families were includ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bootstrapping procedures was employed to examine whether the associations between family economic hardship and child behavioral problems would be mediated through maternal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Group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vels of maternal social support were also examined in pathways linking family economic hardship to child behaviors. Results showed that family economic hardship was associated with poor parenting efficacy, which in turn impacted negative parenting. Poor parenting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child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Furthermor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were observed. Group differences were also identified in various pathways, suggesting that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in the lower levels of maternal social support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higher levels of negative outcomes. Not only did the findings demonstrate the theoretical pathways proposed by the Family Stress Model, but they also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building maternal social support network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