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영재들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모형 탐색

        강충열 韓國英才學會 2007 영재교육연구 Vol.17 No.2

        Since 1992, the sixth national curriculum introduced the policy of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SBCD) and required all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to develop their own curriculum for the gifted children in their schools. However, in spite of the fact that this curriculum policy for the gifted children has the history of 15 years until now, the current state of its implementation seems to be unsatisfactory. The major reason for that seems to be due to the reality that the schools have not ha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t the gifted children. In this vein,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theoretical SBCD model for the gif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model should suit the identity of elementary education, so that the gifted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an be implemented in its own form and adequacy. Based on the identity of elementary education, the model was developed by reformulating three component models of VanTassel-Baska’s ICM: content model, process-product model, and epistemological model. The major feature of the researcher’s model is to adapt and adjust the three component model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ge level from the first to six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model can be used not only as a general model for the talent pool of the school but also as an individual model for a specific gifted child by taking his special needs and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The model is a theoretical one based on the curriculum models for the gifted which were presented by several scholars in the area of G/T education, and it needs to be validated empirically in the future. 1992년 제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도입된 초등학교 학교교육과정개발 정책은 단위학교에서 영재들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교육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연구자는 그 활동을 돕기 위해 초등학교 영재들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본 모형은 VanTassel-Baska의 통합적 교육과정 모델(ICM:Integrated Curriculum Model)을 초등교육의 정체성에 비추어 재구성한 것으로서, ICM의 하위모델인 내용 모델, 과정-산출 모델, 인식론적 모델을 초등학교 1~6학년 아동들의 발달단계에 적절하게 그 적용 비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모형은 초등학교 영재 탤런트 풀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개발의 일반 모형인 동시에, 영재 개개인의 특성과 요구에 따라서도 그 적용 비중이 달라질 수 있는 개인 모델로서도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 통합적 사고성향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강충열,정광순,김현욱,권동택 대한사고개발학회 2010 사고개발 Vol.6 No.1

        The purpose for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Integrated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content validity of 117 items was examined by professional group including 2 professors, doctoral student 2, teacher of elementary school 6. 117 items for test were performed with 882 students of four elementary schools in four provinces, Gyeonggi-do, ChungChong-do, Jeollabuk-do, Gyeongsangnam- do. Item datas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 First, it was found that Integrated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consists of 5 factor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logical disposition', 'adventure', 'continuous problem solving disposition', 'independent flow disposition', 'productive skeptical disposition'. Second, 22 items were involved with 5 factors in ITDI(Integrated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through analysis factors and proving validation proce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Cronbach's ranged from .730 to .872. Third, the model fit, NFI( .916), GFI(.938), CFI(.931), RMR(.075), RMSEA(.066) was satisfied with the standar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conclusion, the newly developed ITDI has acceptable tools and it can be used in high grade student in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문항검증과정과 신뢰도 검증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통합적 사고 성향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문항의 선별과 요인 추출을 위하여 882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논리적 태도, 모험심, 문제해결 지속성, 독립적 몰입, 생산적 회의성의 5개 요인과 22개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또한 고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단계 접근법에 의해 모형을 수정 후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도출된 요인들의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Chronbach's 계수로 .730 에서 .872 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간 상관은 .261에서 .668 사이로 나타났는데, 서로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유기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통합적 사고 성향 측정 도구의 객관화를 위한 시도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주제중심 교수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강충열 한국초등교육학회 1998 초등교육연구 Vol.12 No.1

        통합교육의 주제중심 교수모델의 단계를 설정하고,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자연학급에서 그 효과를 실험·검증하였다. 교수모델은 주제선정, 소주제 및 학습내용 선정, 주제망 작성, 주제학습의 목표설정, 주제학습 계획, 주제학습 실행, 평가의 7단계로 구성되었고 각 단계별 구체적 방법론과 부대적 관점이 기술되었다. 교수모델은 4개의 실험군에서 실험·검증되었다. 인지적 영역에서 학업성취도, 문제해결력(교과문제해결력, 실생활문제해결력), 초인지의 4개 종속변인과 정의적 영역에서 자아효능감, 학습흥미도, 사회성, 학습참여도, 협동심의 5개 종속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종속변인별로 실험군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기는 하였으나 종합적으로 볼때 주제중심 교수모델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분과적 통합교과 수업을 운영한 비교집단보다 우수한 성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urports to theoretically establish a theme-based instructional model and to provide empirical data for the model by experimenting the effects of the model in natural elementary school settings. Th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was defined as a process in which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based on children's interests, socital needs, and subjects were selected and organized around a theme, children initiated the organized learning activities, and thus children helped their own wholistic development. The theme-based instructional model was composed of seven phases: selecting a theme, selecting subthemes and learning contents, organizing thematic network, establishing learning outcomes, planning learning activities, implementing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The model as a whole is characterized with a flexible time schedule management as a unit of theme block, integrating cross-subject contents, skills, and attitudes, emphasizing children's interests and needs, connecting with real-life problems or issuses, encouraging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in constructing thematic curriculum, plannig and initiating learning activities, utilizing personnel and material resources, assigning learning a ctivities in the consideration of each child's interest and ability, employing various group organizations, and finally implementing developmental evaluation. The effects of the model were examined in natural classroom settings. Dependent variables examined in cognitive domain were academic achievement, problem solving, and metacognition; dependent variables in affective domain were self-efficacy, academic interests, partication in learning, sociability, and cooperation. In general, the thematic instructional model turned out to be effective with the results favoring the experimental groups in which children received instruction under the theme-based instructional model.

      •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성격과 2007년 개정 교과용 도서 개발 방향

        강충열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7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 No.1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since the revision of the fourth national curriculum. However, although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has accomplished some positive changes during the past 25 year of the history of the introduction, it has exposed many limitations due to the epistemological approach, that is, the integrative approach based on the subjects which has been the foundation of designing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and is considered inappropriate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 children. One of the representative limitations is that although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fragmentation caused by the subjects, it is reproduced as a form of another subject; as a result, it produces an irony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in fragmented form. In this vein, the author argued in order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that the found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children should be changed into the psychological approach that bases the integration on the experience of the children. And the author explained how the psychological approach can be embodied in the children's textbook and teacher's guidebook for the 2007 revised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한 통합교육과정은 제 4차 교육과정에서 본격적으로 도입된 후, 약 25년에 걸쳐 계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그러나, 초등 통합교육과정은 그 적지 않은 역사 속에서 어느 정도 긍정적인 질적 변화를 이루었으나, 근본적으로 초등학교 1-2학년 아동들의 발달 수준에 적절하지 않은 인식론적 접근, 즉 교과의 경험 세계에 기초를 두고 통합을 도모하려는 접근을 펼쳐 온 까닭에 그 발전의 한계를 계속 노정시켜 왔다. 그 대표적 한계가 교과의 분절적 성격을 극복하기 위해 통합을 이루었으나, 그 통합은 다시 교과로 재생산 되어, 통합교육과정이 분과적으로 운영되는 모순을 낳게 한 것이다. 연구자는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아동들의 경험 세계에 기초를 둔 심리적 통합으로 그 접근의 근본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논의하였고, 그 심리적 접근이 구체적으로 2007년 개정 초등 통합교육과정 교과용 도서에 어떤 방향으로 구현될 것인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대학원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 미국과 유럽 표준에 비추어본 한국 대학원 교육과정의 교과목 분석

        강충열 韓國英才學會 2008 영재교육연구 Vol.18 No.3

        영재교육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영재교육 전문가의 수와 질적 수준이다. 영재교육 전문가란 학급에서 영재를 직접 지도하는 학급교사에서, 보다 넓은 수준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조정하는 코디네이터와 영재교육 담당교사 또는 일반교육 담당교사들에게 전문적 조언을 해줄 자문가 등 그 역할에 따라 다양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영재교육진흥법 제정이후, 현직연수를 통해 영재교육 담당 교사들의 수는 많아 졌으나, 앞으로는 대학원 수준에서의 영재교육 전문가 양성을 통해 보다 질 높은 전문성을 지닌 영재교육 전문가들을 다수 양성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에서도 대학원 수준에서의 영재교육 전공 과정을 개설하는 대학들이 늘어났다. 그런데 문제는 과연 이 전공 과정들의 교육과정은 양성되는 영재교육 전문가들의 질적 수준을 담보할 수 있을 정도로 잘 구성되어 있는가이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 의식에 기초해서, 한국의 8개 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대학원 영재교육 전공 과정의 교육과정을 미국과 유럽의 대학원 수준에서의 영재교육 전문가 양성 표준에 비추어 분석하고,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한 한국의 8개 대학들은 대체적으로 미국과 유럽 표준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역인 “영재성의 개념 및 발달”, “영재교육과정 개발”, “영재 교수법”에 교과목들을 주로 개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수가 달라 이 표준들을 만족시키는데 있어 학교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그 외의 표준들을 만족시키는데 있어서도 학교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이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의 대학원 수준에서의 영재교육 전공의 발전을 위해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improvement of G/T education is the number and the level of quality of the professionals who are working for the gifted. The professionals vary depending on the role they play for the gifted from the classroom teacher, coordinator, to consultant. Since the legislation of the law for the enhancement of the gifted education in Korea, the in-service training for the classroom teacher has been expanded in number throughout the country. Nowadays, the gifted education is about to be expanded into the general school population, and it becomes more necessary that the training at the level of university graduate program be expanded beyond the short-term in-service training so far. In this vein, the number of universities in Korea that offer the staff development for the gifted education at the graduate level has been increased. However, the problem is whether those programs meet the need to produce the quality professionals. Based on this problem awareness, the study analyzed the graduate programs of 8 universities in Korea by comparing their course descriptions with the graduate-level training program standards of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universities fulfilled the areas that both standards commonly consider import, such as “concept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gifted”, “teaching methods for the gifted.” However, the number of the offered subjects was different among the universities, which indicates that it is suspicious that the universities equally satisfy the areas both standards require. Furthermore, it was also found that the universities differ in satisfying the other standards. From these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graduate programs in Korea.

      • KCI등재

        혁신 지향적 초·중등학교 학교 문화 창조 모델 탐색

        강충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S

        School innovation is a bottom-up activity that is more influenced by school culture than law, mandates, and institutions of the nation. Regarding school culture as the major intervening variable that determines the success of school innovation, the author explored the school culture model that positively influence school innovation. It was proposed that the school should have four conceptual elements: creation and sharing of school vision, professional management, democratic participative community, and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three supportive systems were proposed to be provided: humanistic and intellectual equipment, organic teacher deployment, and empowerment. And three interaction principles were proposed to be vitalized: moral and personal interaction, mutual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the superordinate and subordinates, and open expertise. It is supposed that when the four conceptual elements exist under the three supportive systems and the three interaction principles,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school innovation will be increased. School culture can not be 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the cognizance change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nd administrational and financial supports are consistently needed. 학교혁신은 학교가 주도적으로 변화와 진보를 도모하는 ‘아래서 위로의’활동으로 국가의 법, 명령, 제도보다는 학교의 문화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학교 문화를 학교혁신의 중요 매개 변인으로 보고, 초·중등학교 의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혁신 지향적 학교 문화를 창조하는 모델을 탐색하였다. 혁신 지향적 학교 문화는 학교비전 창조와 공유, 전문적 경영, 민주적 참여공동체, 학습공동체라는 네 가지 개념 요소가 존재하고, 인간적·지적 시설, 유기적 조직, 임파워먼트라는 세 가지 지원 체제 하에서, 인격적 상호작용, 동반자적 상하관계, 열린 전문성이라는 세 가지 상호작용의 원리가 통합적으로 활성화될 때 창조될 수 있다고 보았다. 혁신지향적 학교 문화는 단시일 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학교 관리자들을 비롯하여 교사들의 인식 변화와 학교에 대한 지속적인 행·재정적 지원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