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상담 표준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 조사 연구 -개발목적, 목표 내용 요소, 전문상담교사 업무분담을 중심으로-

        강진령 ( Jin Ryung Kang ),유형근 ( Hyung Keun Yu ),손현동 ( Hyun Dong Son ),조용선 ( Hyo Sun Shin ),신효선 ( Yong Sun Ch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교사교육연구 Vol.48 No.3

        본 연구는 학교상담 표준모형 개발에 토대가 될 학교상담 표준모형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 학교상담 표준모형의 개발의 목적, 학교상담 표준모형에 포함되어야 할 목표의 내용적인 요소들, 전문상담교사의 업무분담에 대한 전문가와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국(서울특별시, 6개 광역시, 9개도) 88개 학교 초·중·고등학교 학교행정가, 교사, 상담전공교사 총 39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상담 표준모형은 매우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학교상담 표준모형 개발의 목적에서는 ``학교상담 프로그램의 역할을 정의할 수 있다``와 ``효율적인 학교상담 프로그램 계획을 위한 틀을 마련할 수 있다``라는 것에 가장 동의하였다. 학교상담 표준모형 목표 내용을 3개 영역별(인성·사회성, 학업, 진로)로 중요하다고 반응한 것들을 제시하였다. 누구와 업무를 분담하는 것이 좋을 것인가에 대한 부분에서는 전반적으로 전문상담 순회교사와 역할을 분담해서 수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직무 영역을 불문하고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국가수준의 학교상담 표준모형이 개발되는데 기초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the opinion for the necessities of developing the NSSC, to formulate the rationale for developing NSSC, and to find out with whom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want to share their jobs. The measurement instrument was ``National Standards Developing Questionnaire``. A total of 398 principals, vice principals, teachers, and professionals in 88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s were the participants. 89.4 % of the respondents (96.8% of the professionals) strongly agreed to the needs for developing the NSSC. In rationale for developing the NSSC, all the participants strongly agreed to the statements: ``NSSC can define the role of school counseling program`` and ``NSSC can make the frame for effective school counseling program plan``. The results showed that which objects were important and which were not in three major developmental areas (personal social, academic, career development) of the NSSC. The respondents strongly agreed to share their jobs with circuit school counselors in all the areas.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the NSSC and establishing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system successfully.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교수지지와 학업적 희망,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구조적 관계

        김예지(Ye-Ji Kim),강진령(Jin-Ryung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교수 지지와 학업적 희망, 성취목표지향성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확인하고, 그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및 일반대학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남녀 총 174명이다. 연구의 도구로 교수지지, 학업적 희망, 성취목표지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한 설문 결과는 SPSS 25.0와 AMOS 2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교수지지는 학업적 희망주도, 학업적 희망경로, 성취목표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적 희망주도는 성취목표 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학업적 희망경로는 성취목표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의 교수지지와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희망주도는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의 교수지지와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희망경로는 유의수준하에서 의미 있는 간접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는 외국인 유학생의 교수 지지와 성취목표지향성의 관계에서 학업적 희망주도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현장과 학습환경에서 그들의 구체적인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개입과 해결책을 위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support, academic hop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foreign students, and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174 men and women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The tools of the study were professor support, academic hop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cales, and the collected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4.0 programs. Results First, the social support of graduate students has a positive (+) effect on hope. Second, graduate students' hopes have a positive (+) effect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ird, the social support of graduate students has a positive (+) effect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uate student's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s partially mediated by their hope. Fif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ath of social support, hop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cording to Korean graduate students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Conclusion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graduate students,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education.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장기화에 따른 부정적 정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낙관성의 매개효과

        정윤주(Jeong Yun Ju),강진령(Kang Jin R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중국 우한(武漢)시에서 2019년 12월 최초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장기화되자 많은 사람들이 각종 부정적 정서를 표출하고 있어,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필요함을 느꼈다. 이에 부정적 정서를 표출하는 사람들에 대한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낙관성을 매개하여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함을 느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라 유발된 부정적 정서가 심리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낙관성을 매개효과로 선정하여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소재 20대~60대 412명을 대상으로 부정적 정서와 심리적 안녕감, 개인이 가진 낙관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SPSS Process Macro 25 v3.5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다중공선성 문제 유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분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4번 모델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장기화에 따른 부정적 정서와 낙관성,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장기화로 인한 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장기화에 따른 부정적 정서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낙관성은 부정적 정서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완전하게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장기화에 따른 부정적 정서는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낙관성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장기화에 따른 부정적 정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같은 전염병이 창궐하는 시대를 겪고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정상적인 일상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열망과 함께 심리적 안녕감을 낮추는 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같은 전염병으로 인한 부정적 정서를 완화하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지역 상담센터의 교육 및 상담적 개입,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낙관성 증진 교육 등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As the first COVID-19 in Wuhan, China, was prolonged in December 2019, many peoople expressed various negative emotions, and felt the need foe research on ways to overcome it. Therefore We felt the need for research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is often mentioned in the study of positive psychology. In this study, we wanted to find out how negative emotions induced by the prolonged COVID-19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select Optimism as a mediationg effect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Methods For this study, 412 people in their 20s ~ 60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examined to measure negative Affectiv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degree of Optimisim that individuals have. For the collected data,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25 v3.5 were use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resence or absence of multicollinearity problems by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Finally, model 4 of SPSS Process Macro was applied to analyz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effectivity,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showed that the higher the Negative effectivity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the low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looking at the mediating effect of Optim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llowing the prolonged COVID-19, we can see that Otimism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clusions It means that the Negative Affectivity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not only directl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lso indirectl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the medium of Optimism. Through this, the Negative Affectivity caused by the prolonged COVID-19 played a role in lowering Psychological Well-Being along with the desire to return to normal life fow those suffering from an era of infectious dieases such as COVID-19. It suggested that active attention is needed such as education and counseling intervention of local counseling centers, group counseling programs, and Optimism promotion education to alleviate negative Affectivity caused by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 KCI등재

        학습부진아동의 학습기술 향상을 위한 독서요법 프로그램 개발

        강영옥(Young-ok Kang),강진령(Jin-Ryung Kang),유형근(Hyung-Keun Yu),손현동(Hyun-dong S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7 열린교육연구 Vol.15 No.3

          최근 학습부진아동의 학습 문제를 도와주기 위한 방법으로 학습기술이라는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을 함께 다룰 수 있는 통합적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부진아동의 학습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인 독서요법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우선 선행연구 고찰과 경험적 탐색을 통해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도출했으며, 체계적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독서요법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10회기의 상호작용적 독서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42개의 반응적 독서자료로 구성됐다. 구안된 프로그램을 학습부진아동들에게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학습기술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 연구는 학습기술이라는 인지적 문제를 상담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인지적 문제와 정서적 문제를 통합할 수 있는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In order to help learning underachievement children solve academic related problems, the necessity was recently suggested to develop a integrative program involving both cognitive and emotive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bibliotherapy program systematically for enhancing learning skills of learning underachivement children and to validate the program.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teachers, the factors of the program were extracted. And then bibliotherapy program was constructed through the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Lastly, the program was corrected based on professionals" consultation. The constructed program was consisted of 10 interactional biblio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sessions and 42 responsive reading materials. The results of administering the constructed program to identified 20 learning underachievement children showed that the learning skills of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developed program for learning underachivement children integrated cognitive and emotive aspects using reading materials.

      • KCI등재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김아림(Kim A Rim),강진령(Kang Jin-r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failure in the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articipants included 516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and 472 sample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program. The outcomes we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fear of failur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among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re was partial mediating effect of fear of fail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y-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6개 시·도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51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중 유학생 24부와 불성실하게 응답한 20부를 제외한 총 472부를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실패공포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중 숙달접근 목표지향성, 숙달회피 목표지향성, 수행회피 목표지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적응적인 진로발달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개입방법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성취목표지향성을 지향하도록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것이 아니라, 진로과정에서 높은 실패공포를 보일 경우 이를 먼저 해소할 수 있도록 개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생명과학Ⅰ유전 단원 연계 장애이해교육이 고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이혜리(Hye-Ri Lee),강진령(Jin-Ryung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생명과학Ⅰ 유전 단원 연계 장애이해교육이 고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학급응집력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소재 1개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4개 학급, 총 107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에게는 생명과학Ⅰ 유전 단원 연계 장애이해교육을 매주 2회씩 5주간 총 10회 실시하고, 통제집단에게는 생명과학Ⅰ수업이나 별도의 장애이해교육을 진행하지 않았다. 결과 첫째, 생명과학Ⅰ 유전 단원 연계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장애수용태도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명과학Ⅰ 유전 단원 연계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급응집력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는 생명과학Ⅰ 유전 단원 연계 장애이해교육이 고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학급응집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여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인 교수-학습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nduct the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linked with the chapter of genetics of the subject, Life Science Ⅰ,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o figure out how it affect the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and the class cohesiveness of them. Methods For this study, 107 students from four classes in the second grade of an academic high school at Yeongdeungpo-gu, Seoul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experiment, 51 from two classes for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56 for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was conducted 10 times, twice a week for five weeks, and for the control group, only pre- and post- test was conducted, not given any class of Life Science I and the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Result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linked with the chapter of genetics of in Life ScienceⅠ, showed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ir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linked with the chapter of genetics in Life ScienceⅠ, showed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ir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makes sure that the disability-awareness education linked with the chapter of genetics in Life ScienceⅠ, has an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attitude of disability and the class cohesiv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continuous education for understanding disabilities using subjects.

      • KCI등재

        중국유학생의 재학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진 흠(CHEN XIN),강진령(Kang, Jin-R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5

        국제화 유학열풍으로 인하여 한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유학생들은 한국 대학 교육 환경에서 종합적인 지원 서비스를 받지 못하여 한국유학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유학생들은 다양한 문화적응 스트 레스로 인하여 유학생활에서 부적응 현상을 겪고 있으며, 유학유형에 따라 다양한 심리문제를 겪으면서 직면한 어려움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재학유형에 따라 중국유학생들의 심리적인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자기효능 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015년 1월부터 2월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세 개 대학의 중국유학생 3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에는 자기효능감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고, 회수된 자료는 SPSS ver. 21.0을 통해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자기효능감은 학부 학생이 가장 높았고 뒤이어 어학당 학생, 대학원 학생 순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학당 학생 및 학부 학생이 주로 문제중심적 대처를 선호하였다면, 대학원 학생은 사회적 지지 대처를 선호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 가운데 적극적인 대처방식은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소극적인 대처방식은 대학생활 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재학유형에 따라 중국유학생의 집단별 차이를 파악하고, 그러한 집단적 특성에 적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 발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Due to the influence of studying abroad, the preference for studying in Korea has fallen due to the lack of comprehensive support services for Chinese students who have the largest analogy in Korea, Internationa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maladjustment than their satisfying life in the face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The longer the period of studying in Korea, the more stressful the students experience in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international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y, and to examine the changes of their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style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327 international students in Seoul city from January to February 201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 ver. 21.0 statistical analysis using self-efficacy scale, stress coping scale, and college life adjustment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of Chinese students, the better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but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according to type of study. Depending on the type of study abroad, the choice of how to deal with stress is different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The positive coping styl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but the passive coping style had no significant eff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group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y abroad and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 KCI등재

        인성교육을 위한 개인협력그림요소와 협력적 학습유형간의 관계

        박주령(Park Joo ryung),강진령(Kang Jin ryung),이근매(Lee Keun m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을 위한 6인협력그림검사를 소개하고 이 활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개인협력그림요소와 협력적 학습유형간의 관계에서 제목정하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충남지역 소재 대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6인협력그림검사와 GRSLSS의 협력적 학습유형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3프로그램, AMOS19프로그램,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경로분석을 통해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협력그림요소와 협력적 학습유형 간의 유의한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둘째, 개인협력 그림요소가 협력적 학습유형에 미치는 영향에서 제목정하기가 부분매개 효과로 나타났다. 즉, 개인협력그림요소가 협력적 학습유형에 유의한 직접효과의 영향보다 개인협력그림요소가 제목정하기를 매개로 하여 협력적 학습유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더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6인협력그림검사를 실시할 때 개인협력그림요소에서 높은 점수를 얻고 성공적인 제목정하기의 수행한 학생이 협력적 학습유형이 높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6인협력그림검사의 활용방안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ix-member collaborative drawing test (S-CDT) for character education and to examine whether individual collaborative art element scale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were mediated through titling artwork. A total of 114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Chungnam participated in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nd group drawing. The path analysis was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collaborative art elements,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and titling artwork analyzed by using SPSS 23.0, AMOS 19.0, and PROCESS macro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Firstly, individual collaborative art element scale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were significantly related. Secondly, individual collaborative art element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through partially mediating titling artwork. The results indicated titling artwork is important to predict participant’s collaborative tendency after collaborative team work. For the future research of this study would need to be tested for size of group members of diverse population.

      • KCI등재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정서조절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진 흠(CHEN XIN),강진령(Kang, Jin-R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이 연구에서는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정서조절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018년 3월부터 4월까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206명 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3.0과 Macro 프로그램을 통해 변인간 관련성과 영향력을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 성취목표지향성, 학업 성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검증되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정서조절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 지향성의 4가지 유형들의 매개효과를 검증결과, 숙달접근 목표 지향성과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반면, 숙달회피 목표지향성 이나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학업 성취 증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Korean university, and to examine whethe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206 Chinese student’s survey results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April 2018, whom studying at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23.0 and Macro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emotion regulati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l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four type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were examin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were verified. On the other hand, mediating effects of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ccess goal orientation were not verified. Based on these results, how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study in Korea was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