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성폭력 위기개입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학교에서의 위기개입 방향을 중심으로

        유형근(Yu, Hyung-Keun),박선하(Park, Seon-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 목적은 청소년 성폭력 위기개입에 관한 국내 연구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위기개입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활용하여 총 51편의 연구들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시기, 대상, 방법, 내용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에 따라 주제와 개입방법이 점차 다양해졌다. 둘째, 연구 대상은 학생, 성폭력 피해 청소년, 성별 구성이 혼성인 연구들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 문헌 연구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 내용을 개입 목적에 따라 예방적 개입과 치료적 개입으로 분류한 결과, 치료적 개입 연구가 예방적 개입 연구보다 더 많이 수행되었다. 위기개입 방법으로서 심리치료, 교육, 기타, 교육 및 심리치료, 활동 순으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주요 개입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에서의 청소년 성폭력에 대한 위기개입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crisis interven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cenes by comprehensively exploring the research trends and contents of adolescent sexual violence crisis interventions and analyzing them with a focus on the main intervention factors and effectiveness factors of crisis interventions. For this purpose, relevant literature was collected u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a total of 51 studies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 period, subjects,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intervention gradually vary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Second, the study targets were mostly students, teenagers affected by sexual violence, and mixed gender studies. Third, research methods were found to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Fourth, as a result of classifying research contents as preventive interven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risis intervention, therapeutic intervention research was carried out more than preventive intervention research.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treatment, education, other, education and psychological treatment, and activities as methods of crisis interven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in intervention factors and effectiveness factors of each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crisis intervention for sexual violence in schools.

      • KCI등재

        고위기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힐링승마 프로그램 개발

        유형근(Yu, Hyung-Keun),김소아(Kim, So-A),전인식(Jeon, In-Sik),박선하(Park, Seon-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위기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힐링승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고위기 학교부적응 청소년 22명은 실험집단으로, 22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7회기를 구안하여, 주 2회씩 실시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검사 도구는 Gresham과 Elliott(1990)의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SSRS)를 문성원(2003)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혼합변 량분석으로 처리하여 통계 결과를 분석하였고,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강습생의 경험보고서와 지도자의 관찰 내용, 인솔교사의 면담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고위기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힐링승마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사회적 기술은 통제집단의 사회적 기술 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인 자기조절을 제외한 협동성, 주장성, 공감능력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강습생의 경험보고서와 지도자의 관찰, 인솔교사의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 램이 사회적 기술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위기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해 집단상담과 승마를 통합한 힐링승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회적 기술 향상의 도구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healing riding program to improve the social skill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chool maladjustment adolescents and 22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22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of Park(1995), the program was conducted seven times, twice a week. In ord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test,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SSRS) developed by Gresham and Elliott(1990) was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ata were analyzed by mixed ANOVA.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experiences reports of the group members, the observations of the leaders,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of the teacher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kills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healing rid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control group social skills. Second, according to sub factors of social skill,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operative, assertiveness and empathy ability except self–control.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s reports of the group members, the observations of the leaders,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conducted by the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helped improve the social skills of the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the healing riding program which integrates the advantages of group counseling and horse riding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skill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저소득가정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재형 ( Jae Hyung Han ),유형근 ( Hyeong Keun Yu ),정연홍 ( Yean Hong Je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저소득가정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과 관련된 선행연구 분석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 프로그램을 구안한 후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으로 완성하였다. 12회기로 구안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중 저소득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전·사후검사 변화는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험보고서 분석과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가정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academic self-efficacy for senio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from low-income families and test its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Main objectives are as follows : First, how will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be constructed to enhance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whe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academic self-efficacy is administered, what its effects on academic self-effica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For this research, the 13 students in grade 5-6 grades of A elementary school from low-income famil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13 students in grade 5-6 grades of B elementary school from low-income families with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located near were constructed in the control group. This implementation of program was designed for a total of twelve sessions and was conducted during after school basis two times per week. To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reliability in quantitative study, the experience report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and the observational data from the counselor were also analyzed and their result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the 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matur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urvey to develop a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의 용서수준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김유정(Kim Yu Jeong),유형근(Yu Hyung Keun),정연홍(Jung Yeon 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의 용서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를 초등학교 고학년의 용서수준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구안, 사례적용·분석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 분석, 잠정적 프로그램 구안, 타당화 작업, 최종 확정, 사례 적용, 효과 분석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선행연구와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잠정적 프로그램을 구안하였으며.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수정·보완 과정을 거쳤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용서반응과 용서신념 영역에서 용서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이 포함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며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통계적 효과성 검증 및 경험보고서, 관찰 내용을 토대로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용서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용서반응 영역과 용서신념 영역에서 개입을 하는 상담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egree of impact on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willingness to forgive by the group counseling programs designed toward elevating the students’ level of forgiveness.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such research objective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o devis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forgiveness level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forgiveness level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to compose of 29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for second grade of A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cated in Gyeonggi-do. This study was to execute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rough six weeks for 40 minutes twice a week by devising it as total 12 session. The interpersonal trait forgiveness scale developed by Young Hui Oh (2013) was used for both pre- and post-tests. Both pre- and post-test data points were analyzed using the mixed ANOVA method in SPSS 20.0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statistical analysis, experience reports and observations by counsellors were referenced in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rograms for subarea.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below: First, the level of forgivenes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among the subarea evaluated, reaction to forgiveness and positive belief on forgiveness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he control group. In contrast, negative belief on forgiven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experience reports and observations by counsellors indicated that the counselling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evel of forgiveness on the 6th graders.

      • KCI등재

        교권침해를 경험한 교사의 심리적 치유를 위한 예방 및 개입 방향 탐색

        정연홍(Jeong Yean Hong),유형근(Yu Hyung K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이 연구는 교권침해를 경험한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 및 치유하고 재발을 방 지하기 위한 개입 방향을 탐색하여 예방 및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권침해의 개념과 실태 및 그들이 겪는 교사들의 어려움 등에 대해 살펴보았고 교권침해의 발생 원인변인과 심리적 소진의 관련변인들을 고찰하였다. 교권침해 사건의 발생을 예방하고 교권침해 사건이 발생 하였을 때 피해의 최소화와 심리적 소진의 치유 및 회복, 교권침해 사건의 재발방지 등을 위한 개입 방향에 대하여 개인적 변인, 환경적 변인, 정책적 변인으로 나누어 고찰하였고 이 중에서 교사들을 대상으로 직접 개입이 가능하고 비교적 단기적인 개입으로 변화가 가능한 교사의 개인적 변인들을 중심으로 예방 및 개입 방향을 내 용적인 측면과 과정 및 방법적인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교사들의 교권침 해와 그로 인한 심리적 소진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유하며 재발을 방지하기 위 한 교육 및 개입 프로그램의 구안과 개발에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eacher burnout can occur when they experience the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for teachers experiencing this psychological burnout. We discussed the concept and actual condition of the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s and reviewed teachers’ difficulties. Then, we discussed personal, environmental, and policy variables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s. To do so, we expec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s when any infringement cases take place, to minimize, heal and recover the damage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the infringement cases of teacher rights. We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personal variables of the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s because they can be easily changed in a short time.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the educational and intervention program which can prevent and heal the psychological burnout caused by the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s.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 수퍼비전 모형 개발 기초연구

        남순임(Nam Soon Im),유형근(Yu Hyung K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수퍼비전 모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퍼비전 모형의 핵심 구성요소인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와 수퍼비전 내용을 도출하기 위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문상담교사 대상 온 오프라인 수퍼비전을 진행하고 있고 학교상담의 특수성과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수퍼바이저 2인과 전문상담교사 실무경력 6년 이상, 석사과정이상의 교육경력, 수퍼비전 경험 15회 이상인 전문상담교사 7인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전문상담교사의 발달단계는 전문상담교사 실무경력, 교육경험, 수퍼비전 경험 등의 주요기준과 부가기준인 자격증 취득을 기준으로 형성기, 성장기, 숙련기 3단계로 구분되었다. 전문상담교사의 수퍼비전 내용은 ‘상담활동’, ‘자문 및 교육’, ‘연계’, ‘기획 및 행정’, ‘전문성 증진활동’ 등의 직무에 대하여 14개 영역, 52개 내용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 검토하고 의의를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the basic research to develop the supervision model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s a supervision study for building the job competency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For the object, the interview with focus group was conducted to deduce the development stage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the supervision content that are the essential ingredients constituting the supervision model.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two supervisors and seve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For supervisors, they are the ones supervising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on/offline and have enough understanding of uniqueness in school counseling and duty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y are who have more than 6 years experience as a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the degree more than master, and more than 15 times in supervision. As a result, the development stag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which are formative, growth, and experienced stage, on the basis of professional, educational, supervision experience as a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In the content of supervision that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52 supervision contents in 14 areas were drawn about the duty such as counseling activity , consultation and education , planning and administration , and expertise promotional activity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cross-checked with preliminary research, and the meaning and applic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addition, a follow-up study was suggested.

      • KCI등재

        주관적 안녕감이 낮은 고등학생의 안녕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손은주(Son, Eun-Ju),유형근(Yu, Hyung-Keun),남순임(Nam, Soon-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안녕감이 낮은 고등학생의 안녕감 증진을 위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생이다.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고등학생 22명을 선정하여 각 11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3회기를 구안하여, 주 3회씩 회기 당 120분간 실시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검사 도구는 박병기와 송정화(2007)가 개발한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 으로 처리하여 통계 결과를 분석하였고,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집단원 의 경험보고서와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주관적 안녕감이 낮은 고등학생의 안녕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주관적 안녕감이 통제집단의 주관적 안녕감 보다 유의미 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별(효능안녕, 정서안녕, 관계안녕) 분석 결과,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한 증진을 보였다. 셋째, 집단원들의 경험보고서와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이 주관적 안녕감 증진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b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omote well-being as an object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low subjective well-being.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Jeju-do. For this research, 22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 11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1 in the control group. This program is based on consult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Park In-Woo(1995). This implementation of program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3 sessions. And this study was to make progress for 120 minutes each by session by using after school hours by 3 sessions a week. The pre·post-test instrument used the subjective well-being scale developed by Byung-Gee Bak and Jeong-Hwa Song(2007). The data processing analyzed the result of statistics quantitatively by using the Mixed ANOVA in the SPSS/Windows V20. To supplement the limits of reliability which the quantitative result had,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group members experience report and counselor s contents of observation in order to improve its reliability. The result from this research has shown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well-being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promote subjective well-being,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alysis result by sub-elemen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subjective well-being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ose who did not. Secon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sub-scales, all fact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ird,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experience reports and the counselor’s observations, it can be stated that this program had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of the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사범계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김은정(Kim Eun Jung),유형근(Yu Hyung Keun),남순임(Nam Soon 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계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북도에 소재한 사범계열 대학생이다.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사범계 대학생 20명을 선정하여 각 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 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0회기를 구안하여, 주 2회씩 실시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검사 도구는 김신정, 김성회(2012)가 개발한 대학생용 진로정체감 척도 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처리하여 통계 결과를 분석하였고,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연구자의 관 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사범계 대학생 의 진로정체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진로정체감은 통제집단의 진로정체감 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진로정체감의 하위요인 별(인지, 정서, 행동) 분석 결과, 모든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한 증진을 보였다. 셋째, 집단원들의 경험보고서와 연구자의 관찰 내용을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이 진로정체감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career identity for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and test its effect on their career identity. For this research, 20 Students of College of Education located in Choongcheongbuk-do who wanted to participated in th program were chosen. They were devided into two group; 10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0 in the control group. This program is based on consult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Park In-U(1995). This implementation of program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0 sessions, two times per week. In the program evaluation The Career Identity Scale for College Students(Kim & Kim, 2012)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to test the effects of the this program. To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reliability in quantitative study, the experience report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and the observational data from the counselor were also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the career identity between the expo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ose who did not. Secon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sub-scales(career-identity cognition, career-identity emotion, career-identity behavior), all factors of the expo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ird,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experience reports and the counselor’s observations, it can be stated that this program had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of the career identity.

      • KCI등재

        초등학생의 공격성 유형에 따른 대인관계성향과 대인문제해결사고의 차이 분석

        심주한(Ju-Han Sim),유형근(Hyung-Keun Yu),손현동(Hyun-dong S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외현화된 공격성 유형 집단과 관계 공격성 유형 집단에 따라 대인관계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성향과 또래관계 문제해결 사고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 4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래거명에 의한 방법으로 공격성을 보이는 아동들을 외현화와 관계 공격성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그런 후 집단간의 대인관계성향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대인문제 해결사고의 집단간 차이와 응답의 질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교-우호’, ’반항-불신’ 성향이 외현화 공격성과 관계 공격성 집단을 유의하게 구별해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격성 유형별로 나타난 대인문제해결 사고의 특징은 관계 공격성집단이 문제해결 대안을 양적으로 가장 많이 산출하였으며, 대인문제의 원인을 물건보다는 사람에게 더 많이 귀인하였다. 이에 반해 외현화 공격성 집단은 모든 하위사고에서 일관되게 관계 공격성 집단보다 대안의 수가 적었고, 문제의 원인을 물건에 더 많이 귀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공격성 아동들의 대인관계성향과 문제해결사고의 특징을 의현화공격성 아동과 일반아동과 비교함으로써 그 특성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information of relational aggression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ing the overt agg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strategies among the types of aggression. Participants were 428 6th graders in 4 elementary schools. They were classified into Overt Aggression group and Relational Aggression group, and General group by peer nomination. The scale of Interpersonal Relation Dispositions(IRD) and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Strategies(ICPSS) were used to analyz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Tukey test, percent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aggression types in IRD which were "social - friendly" and "resist - distrust". And as for the characteristics in ICPSS, the relational aggression groups produced more problem solving alternatives than other groups, and attributed a cause for interpersonal problem to a person more than to an object. Contrary to this, the Overt Aggression group consistently had the fewer number of responses than the Relational Aggression group in all subcategories, and attributed to the thing-to-thing aspect.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strategies of relational aggressive children are revealed comparing with Relational Aggressive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