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흉부 대동맥확장증의 중재적 치료의 적응증과 방법

        강웅철 ( Woong Chol Kang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9 No.4

        Endovascular therapy,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surgery, is considered a therapeutic innovation because of its low degree of invasiveness, allowing for the treatment of high-risk surgical patients and outcomes of limited complications and mortality. The combination of endovascular exclusion with cerebral branch revascularization for the treatment of thoracic aortic aneurysms involving arch has also been attempted. With improved capability to recognize proper anatomy and select clinical candidates, endovascular therapy may offer a strategy to optimize management and improve prognosis for thoracic aortic aneurysm patients. (Korean J Med 2015;89:381-388)

      • KCI등재

        중증하지허혈 모델에서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가 혈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손명주(Myeongjoo Son),강웅철(Woong Chol Kang),변경희(Kyunghee Byun) 대한체질인류학회 2016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9 No.2

        중증하지허혈 (Critical limb ischemia, CLI)은 동맥경화성 말초동맥질환의 가장 심한 임상 양상 중 하나로 혈전에 의해 유발되어 하지혈관을 통한 혈류를 감소시키고 피부궤양이나 조직괴사, 진행 정도에 따라 사지 절단을 초래할 수 있다. 질환 치료를 위해서 경피적 혈관 중재술 (percutaneous peripheral intervention) 등을 시도하고 있으나 이는 혈관을 뚫어줄 뿐 혈관 재협착률을 줄이지 못하며 새로운 혈관 생성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지 절단률과 사망률을 유의하게 줄이지 못하고 있다. 최근 골수유래 줄기세포의 주변분비효능 (paracrine effect)을 통한 허혈성 질환에서의 치료 효과에 대해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증하지허혈 동물 모델에서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치료 및 신혈관 형성 (angiogenesis) 효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람의 골수에서 분리한 중간엽줄기세포의 특성을 유세포분석과 분화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사람제 대정맥혈관내피세포에서 줄기세포의 배양 배지를 처리한 후 혈관 형성 확인을 통해 주변분비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10% Ferric chloride (FeCl3)를 이용하여 흰쥐의 넙다리동맥 내에 혈전을 생성하여 중증하지허혈과 비슷한 조건을 만들었으며, 10만 개의 사람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넙다리동맥의 주행에 따라 다리근육에 주입하였다. 28일 후에 줄기세포의 생착능, 다리혈관의 변화, 다리근육의 상태와 섬유화 등을 비교하여 주입한 줄기세포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줄기세포 배양 배지 처리 후 혈관내피세포의 혈관 형성능이 대조군보다 높았을 뿐만 아니라 주입한 중 간엽줄기세포를 주입한 흰쥐에서의 신생혈관 형성능이 높았다. 다리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 허혈 정도 또한 좋아졌으며, 다리근육 세포의 조직학적 상태와 섬유화 정도에서도 유의미하게 호전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통해 골수에서 분리 배양한 중간엽줄기세포는 중증하지허혈에서의 혈관 형성능뿐만 아니라 섬유화 억제 등의 효과로 중증하지허혈에서 하지 절단을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ritical limb ischemia (CLI) is the most severe peripheral artery disease and caused by thrombus formation in blood vessel. The current strategies for treating CLI does not protect limb amputation and reduction in the risk of mortality. Recently, human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BD-MSC) were reported to have a paracrine effects on angiogenesis in several ischemic diseases. So, we validate to determine whether BD-MSC protect against ferric chloride treated CLI and induce angiogenesis. To characterized human bone marrow derived stem cell, BD-MSC differentiated to osteocytes and adipocytes and validated stemness using flow cytometry. Endothelial cell induced angiogenesis followed by mesenchymal stem cell cultured medium treatment in HUVEC in vitro. We also mimicked CLI patients condition using FeCl3 treated CLI mouse and injected one hundred thousand of BD-MSC along the femoral artery to leg muscle. We validated stem cell survival, blood vessel formation, leg muscle condition and fibrosis compared by saline injected mice 28 days later. In this study, BD-MSC cultured medium treatment increased migration and tube formation of HUVEC and BDMSC injection had an effective blood vessel formation in FeCl3 treated CLI. As well as blood vessel formation, limb salvage rate also improved and fibrosis area statistically decreased in BD-MSC injected mice. In conclusion,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 improved not only blood

      • KCI등재후보

        급성 관동맥증후군에서 예후평가를 위한 NT-proBNP, troponin 1, hs-CRP의 유용성

        오병천 ( Pyung Chun Oh ),한승환 ( Seung Hwan Han ),정욱진 ( Wook Jin Chung ),강웅철 ( Woong Chol Kang ),서일혜 ( Yiel Hea Seo ),엄영실 ( Young Sil Eom ),문찬일 ( Chan Il Moon ),봉정민 ( Jeong Min Bong ),신미승 ( Mi Seung Shin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2

        Background/Aims: Elevated levels of 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troponin I,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are each associated with higher rates of death and recurrent myocardial ischemia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CS). We evaluated the prognostic value of NT-proBNP and a multi-marker risk approach with the simultaneous assessment of NT-proBNP, troponin I, and hs-CRP in patients with ACS. Methods: We included 277 patients who were admitted for ACS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06. We measured NT-proBNP, troponin I, and hs-CRP within 24 hours of the onset of symptoms. Patients were followed for a an of 559 days for cardiovascular events, including death, new myocardial infarction, heart failure, or rehospitalization for ACS. Results: NT-proBNP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clinical outcome among the biomarkers (HR 3.65, 95% CI 2.11-6.30), followed by the peak troponin I and hs-CRP (HR 2.08, 95% CI 1.12-3.87; HR 1.99, 95% CI 1.18-3.37, respectively), but not the baseline troponin I. A multi-marker risk approach with the simultaneous assessment of NT-proBNP, hs-CRP, and peak troponin I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events, especially the presence of three positive biomarkers (adjusted HR 4.20, 95% CI 1.39-12.67). Conclusions: NT-proBNP is the most powerful, independent predictor of clinical outcome among the cardiac biomarkers. Since the peak troponin I level provides more prognostic information than the baseline level, follow-up measurement of troponin I may be warranted for risk stratification. The multi-marker risk approach appears to have better prognostic performance than any marker in isolation. (Korean J 77:200-210, 2009)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관동맥우회술 후 발생한 급성 장간막경색 1예

        문용화,김지현,강웅철,박병은,고영국,최동훈,유경종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3

        관동맥우회술을 포함한 심장수술 후에 생기는 급성 장간막경색은 매우 드물지만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발생률은 비교적 낮으나 사망률은 매우 높게 보고 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55세 여자 환자가 관동맥우회술을 시행받고 수술 후 1일째에 발생한 복부통증에 대해서 장간막경색증을 의심하지 못하고 수술과 연관된 비특이적 증상으로 판단하였으나 그 후 환자의 증상이 악화되면서 상장간막동맥 혈전 색전증에 의한 광범위한 급성 장괴사로 판명되었다. 관독맥우회술 후 상장간막 동맥에 생긴 혈전색전증에 의해 발생한 급성 장간막경색의 증례는 국내에 보고된 바 없고 본 증례를 통해 교육적인 경험을 하였기에 저자들은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심폐우회술을 요하는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 중 특히 급성 장간막허혈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 대해서는 급성 장간막허혈이 생길 수 있다는 세심한 관찰이 진단이 늦어지지 않게 하는 방법이며 장간막허혈이 의심되면 즉시 적극적인 진단 및 치료적인 접근을 시도해야 하겠다. Acute mesenteric ischemia leading to massive bowel infarction following cardiac surgery particularly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is reported to be a very rare but serious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In this case, a 55-year-old female underwent CABG and complained of abdominal pain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which was thought to be nonspecifically related to the operation wound, In the further hospital course, the patient was found to have extensive acute mesenteric infarction due to thromboembolism of superior mesenteric artery. This is a valuable educational case, since only high index of suspicion does not delay making a diagnosis especially in the patients with risk factors of acute mesenteric ischemia after cardiac surgery requiring cardiopulmonary bypass. On suspicion of acute mesenteric ischemia, an aggressive diagnostic and therapeutic approach should be performed immediately.(Korean J Med 66:317-320, 2004)

      • 톡소플라즈마 림프절염 1예

        이두희,고원기,염준섭,김창오,강웅철,최영화,정소영,송영구,한지숙,김준명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5

        톡소플라즈마 림프절염은 외국의 경우 비교적 흔하여 경부 림프절 종대와 양성 비후의 소견을 톡소플라즈마에 의한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는 항체양성율이 외국에 비해 낮아 실제 증례도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며 보고된 경우도 드물다. 그러나 외국인과의 접촉이 빈번해진 최근에는 예전에 비해 드물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경부에 림프절이 양성 비후와 특징적인 병리 소견을 보인다면 톡소플라즈마 림프절염의 가능성을 생각해 보는 것이 좋겠다. 이에 저자 등은 면역기능이 정상인 사람에서 톡소플라즈마 림프절염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oxoplasma lymphadenitis is the most common clinical manifestation of toxoplasmosis in an immunocpmpetent host. In foreign countries, it is a relatively common etiology of reactive hyperplasia of lymph nodes, but it is still rare in Korea. The cervical lymph nodes are most commonly involved, whereas systemic manifestations are rare. We are reporting a case of toxoplasma lymphadenitis in an immunocompetent host. A 31-year-old man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because of submandibular lymph node enlargement for 3 months. Toxoplasma lymphadenitis was diagnosed by positive IgG and IgM toxoplasma antibody titer and specific pathologic findings of submandibular lymph node, such as reactive follicular hyperplasia, epitheioid histiocytes in the interfollicular area, and infiltrations of subcapsular monocytoid B lymphocytes. In Korea, travels to and from other countries and contacts with foreigners are increasing, possibly increasing the incidence of toxoplasma lymphadeniti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lymphadenit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