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울시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에서 교통분야의 이슈와 사업 고찰

        강성익,고준호 (사) 한국도시재생학회 2020 도시재생 Vol.6 No.1

        This study examines the connection and importance of transporta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rough the survey of the first phase neighborhoo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eoul. The study is conducted focusing on seven sites in the projects through examining the sites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Plans and field studies. While existing studies have mainly been conducted on individual traffic issues and solutions, such as lack of parking, lack of pedestrian facilities and functional conversion of main streets, this study attempts to comprehensively studies the issues related to transportation and reports what projects are actually planned and implemen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related to transportation are scattered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various projects to solve traffic problems are planned and promoted. Second, major issues related to transportation within the site include physically narrow and hilly roads, pedestrian safety threats, inaccessible parcels and fire safety, and lack of parking lots. Thirdly, such items as road pavement (slip-proof), installation of staircases and railings, installation of CCTVs and street lights, vitalization of main streets, and operation of parking lots are planned and implemented mainly to solve traffic problems. Consequently, the traffic-related issues are judged to be inseparable when implemen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treat physically and economically degraded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emphasizes that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itiatives must be accompanied with appropriate transportation plans.

      • KCI등재

        서울시 자치구의 물리적 육아환경 변화 특성 분석

        강성익,김아름,이주림 육아정책연구소 2019 육아정책연구 Vol.13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resources for improvement of child care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physical environment in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For this purpose, firstly,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related to child care environment were analyzed and evaluated in order to derive an evaluation index that can objectively compare changes in child care environment in the districts. Second, levels of child care environment of 25 districts were evaluated with the latest statistics data of Seoul. Third, this paper compared the past child care environment score with the recent score for each district,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ing environment changes considering the total fertility rate changes. Fourth,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autonomous child care environment were presented. It was found that child care environment improved in Jung-gu, Gangdong-gu, and Gangbuk–gu whereas child care environment worsened in Gangseo-gu, Gwangjin-gu and Mapo–gu. There were small declines in fertility rate and large declines of child care environment levels in Gangseo-gu, Gwangjin-gu, Mapo-gu, Dongjak-gu, Seongdong-gu, Nowon-gu, etc, which require more attention to improvement of child care environment. 본 연구는 서울시 자치구의 물리적 육아환경 변화 특성을 분석하여 육아환경 개선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육아환경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평가지표를 도출한다. 둘째, 최근의 서울시 통계데이터를 활용하여 25개 자치구의 육아환경 수준을 평가한다. 셋째, 자치구별로 과거의 육아환경 점수와 최근의 점수를 비교하고, 출산율 변화를 고려하여 육아환경 변화특성을 분석한다. 연구의 결과, 서울시의 25개 자치구 중 육아환경이 개선된 지역은 중구, 강동구, 강북구 등이며, 육아환경이 하락한 곳은 강서구, 광진구, 마포구 등이다. 출산율 감소폭이 적고 육아환경 하락폭이 큰 자치구는 강서구, 광진구, 마포구, 동작구 등으로, 해당 자치구는 육아환경 개선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서울시 1인 청년가구의 공유주택 입주의사 특성에 관한 연구

        강성익,윤은선,구자훈 SH공사 도시연구원 2022 주택도시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1인 청년가구의 공유주택 입주의사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7년도와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이며, 공유주택 입주의사에 대한 설문항목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이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였고, 서울시민 전체를 대상으로 한 모형과 1인 청년가구를 대상으로 한 모형으로 구분하여 실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주택의 입주의사는 1인 청년가구가 타 가족구성 대비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인 청년가구의 공유주택 입주의사 요인은 고시원 거주, 보증금 없는 월세 거주, 높은 주거 불안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 거주지의 거리 청결에 불만족할수록 공유주택 입주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서울시 공유주택 수요는 1인 청년가구에서 매우 높으므로, 공유주택 정책은 1인 청년가구에 초점을 맞춰서 추진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또한, 1인 청년가구 지원 제도들은 임차비 부담과 주거 불안을 경감해주는 방향으로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공유주택 입주의사는 지역의 거리 청결에 가장 민감하므로 낙후된 지역보다는 청결한 지역에 공유주택이 공급되었을 때 사업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공동생활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1인 청년가구의 공유주택 입주의사에 관한 변화된 인식 검토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