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내자원을 활용한 수강명령 협력집행 활성화 연구 - 서울 S보호관찰소 사례를 중심으로 -

        강방글,문영미,김유진 한국보호관찰학회 2023 보호관찰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강명령 협력집행 활성화 방안의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 하는 것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강명령 협력집행에 관한 문헌연구 고찰, 서울 S보호관찰소를 중심으로 수강명령 대상자의 협력집행 및 장기분할 집행 의 수요 조사, 협력기관 모집・지정・실무자 교육・협력집행 과정 분석, 수강명령 협력집행 대상자 및 실무자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수요 조사 결과 응답자의 64.6%가 협력기관에서 실시하는 장기 분할집행에 참여 의향을 보였다. 둘째, 협력기관 모집공고를 통해 모집된 2개 기관, 재지정 1기관을 포함하여 총 11회차의 수강명령을 진행한 결과, 대상자들은 협력기 관에서 실시하는 수강명령에 만족하였고, 수강 이후 4명의 대상자가 협력기관 프로 그램을 자발적으로 이용하였다. 셋째, 협력기관 미지원 사유 전화 조사 결과, 기관에 서는 강사료 및 예산의 불만족, 민원에 대한 우려, 공간 활용의 한계, 집행 업무에 대 한 부담감, 인력 부족, 가해자 집단상담 경험부족 등을 이유로 협력기관 지원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강명령이행 및 집행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결과, 대 상자들의 수강명령 이행 경험은 ‘상한 감정을 안고 수강명령을 이행하면서, 소통과 공감을 통한 치유 과정을 경험하였고, 삶의 변화를 가져다준 시간’으로 주제를 도출 하였다. 협력기관 실무자의 협력집행 경험은 ‘협력집행의 기대와 포부를 가지고 교육 에 임하였고, 마음열기 과정을 통해 대상자들의 변화를 느끼면서 협력집행의 활성화 방안을 되짚어 봄’으로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내자원을 활용한 수강명령 협력집행 활성화 방안으로 대상자의 수요에 따른 수강명령 협력기관 집행 방식의 다양화 및 적절한 배치, 현실 적인 강사료 책정 및 교육 운영비 지원 등의 예산 확보, 강사의 전문성 향상 및 교육 내용 표준화에 대한 시스템 구축, 사회 내 자원을 관리하는 별도 센터의 설립을 제안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협력집행 활성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협력집행 정책 방 안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foundational data and guidelines for promoting and utilizing private organizations to offer court-ordered treatment programs. We have utilized literary research and conducted a survey to collect data on the demand for private court-ordered program providers as well as intermittent long-term programs for clients at the S Probation and Parole Office located in Seoul. We have also investigated the entire process, starting from partnership request and establishment, staff training, and the delivery of designated programs to clients. Additionally, we have examined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both clients and practitioners throughout this process. We found that 64.6% of court-ordered program clients express a positiv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ntermittent long-term programs provided by private organizations. Clients who participated in 11 treatment sessions, conducted by two newly appointed organizations and one reappointed organization, reported high satisfaction, with four clients choosing to continue treatment voluntarily. Telephone research revealed that organizations hesitant to provide services expressed concerns about compensation, personnel, facilities, and group counseling experience. Additionally, they felt burdened by the responsibility of enforcing the law and receiving complaints from clients. Furthermore, our qualitativ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theme of ‘healing the broken mind and inspiring positive change through empathetic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our clients. In contrast, lawenforcement professionals have explored how ‘witnessing clients open their hearts and undergo positive transformations has instilled hope in building partnerships promoting them’. To further harness community resources and promote partnerships for the facilitation of court-ordered programs, we have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diversifying program methods to better meet the needs of clients, securing a budget to adequately compensate private instructors, standardizing program content, enhancing instructor expertise, and establishing a dedicated office for managing community resources. The significance in this study lies in it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promoting partnerships with private organizations and its provision of a pathway for relevant policy measures.

      • KCI등재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강방글,신혜정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8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mobile phone addiction in adolescence by gender. Data was obtained from the 3th wave of Korea Child and Adolescence Welfare Panel Survey. The subjects consisted of 2,162 junior high school third year students.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s. Firstly, affecting mobile phone addiction were different by gender. Secondly, aggression and peer attachment were identified as common risk factor of mobile phone addiction in both gender. Furthermore, while identified male gender specific risk factors were parental abuse, aberration and adolescence delinquency, identified female gender specific risk factors were aprosexia,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Thirdly, book reading time was identified as a common protective factor in both gender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protective factors showed gender difference in that ego-identity were identified as male gender specific protective factors. Through this study, the factors that influence mobile phone addition by gender were analyzed in detail an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utilized as preliminary data for the planning of prevention or intervention of mobile phone addition.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청소년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조사 3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10년 당시 중학교 1학년 패널의 3차년도(2012년) 대상자 중 휴대전화 소지자 2.162명을 본 연구의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휴대전화 의존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은 남녀 모두 또래 애착, 공격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남학생의 경우 부모 학대, 일탈 및 비행 경험이, 여학생의 경우 주의집중 곤란 및 우울, 사회적 위축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은 독서시간변인이 남녀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분석되었지만 남학생의 경우에서는 자아 정체감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보호요인 역시 남녀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휴대폰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성별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향후 휴대폰 의존의 예방 및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조사관의 감정노동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

        강방글,김혜미 한국보호관찰학회 2018 보호관찰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 of investigator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 effective countermeasure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investigators' emotional labor experience, the qualitative case study was used, and 10 peopl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 for an in-depth interview. The recorded interview contents were categorized as meaning units, 20 sub-themes, and 5main theme. The themes of the investigator's emotional labor were ‘Emotional labor-Provoking situation: the seed of stir’, ‘The primary response of emotional labor: the shaking of mind’, ‘Cope with Emotional labor: Resolving the tangled thread’, ‘Secondary response of emotional labor: remnants of emotions’ and ‘The meaning of emotional labor: facing emotional labor’.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s emotional labor experience were analyzed and the countermeasures against emotional labor proposed by the investigators were presented in physical, mental, and institution aspects.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직 조사관의 감정노동 경험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조사관의 감정노동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질적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조사전담으로 일한 경험이 있는 보호직 공무원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녹취된 인터뷰 내용은 녹취록으로 전사하여 의미단위, 하위주제, 주제로 범주화하였고 분석결과 5개의 주제와 2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조사관의 감정노동의 주제는 ‘감정노동의 유발 상황 : 파문의 씨앗’, ‘감정노동의 1차적 반응 : 마음이 흔들림’, ‘감정노동의 대처 : 얽힌 실타래 풀기’, ‘감정노동의 2차적 반응: 감정의 찌꺼기’, ‘감정노동의 의미 : 감정노동과 마주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관의 감정노동 특성을 분석하였고, 조사관들이 제안한 감정노동 대응방안을 물리적 측면, 정신건강적인 측면, 제도적인 측면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성폭력 상담사의 대리외상에 대한 주관성 인식 유형 연구

        강방글(Bang Geul Kang),한인영(In Young Han),이현정(Hyun Jung Lee),박정림(Jeong Lim Par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3

        본 연구는 성폭력 상담사들의 대리외상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도출하여 상담사의 상담 후 후유증 및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지지전략과 문제해결에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Q방법론을 적용하여 성폭력 상담사에 대한 심층면접과 대리외상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33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고, 성폭력 상담사 총 25명을 P표본으로 표집하여 분류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상담사의 대리외상에 대한 인식은 4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첫째, 상담과정에 정서적객관성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내담자 정서 과몰입형, 둘째, 개인의 가치관이부정적으로 변화하여 대인관계의 축소를 초래하는 가치관 변화형, 셋째, 상담사례를 통해 개인 및 주변 사람들의 안전을 염려하는 안전 중시형, 마지막으로 상담 후유증이 상담사의 신체와 정서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심신 민감형으로 인식유형의 특성이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성폭력 상담사의 유형화된 대리외상의 특성을 바탕으로 대리외상을 완화하기 위한 서비스 지원과 제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that grouped to subjectivity regarding vicarious traumatization of sexual abuse counselors and suggest basic data to support strategy and problem solving to aftereffects and stress management after consultation of sexual abuse counselor as derive from a characteristic of each group. The study utilizes Q methodology, and selected 33 sample Q from analyzed in-depth interviews with sexual abuse counselors within the literature review. The study also divided P sample into sampling 25 sexual abuse counselors. The analyzed result indicates grouping by following four categories: type of emotional involvement for clients, type of change of identity, type of emphasis on safety, and type of sensitive to the physical and mental. Based on the results, the aforementioned study examined support to relieve vicarious traumatization and arrange a systematic plan according to each group of sexual abuse counselors.

      • KCI등재

        사회복지 실무자들의 권위주의적 성격과 문화적 역량

        강방글(Kang, Bang-Geul),이영선(Rhee, Young-Su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6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무자의 권위주의적 성격,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 문화적 역량 간의 관계에 대한 모형을 가정하고 검증하기 위한 연구로, 409명의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권위주의적 성격을 독립변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을 매개변수, 문화적 역량을 종속변수로 하여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가설분석을 위해 AMOS 18.0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권위주의적 성격과 문화적 역량 사이에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의 매개효과에 대해 독립변수의 직접경로가 포함되지 않은 완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권위주의적 성격은 문화적 역량에 직접 효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문화적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에 실무자의 자기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근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main and mediating effects which social prejudice against minorities on cultural competence of social service worker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authoritarian personality. The survey was conducted upon 409 social service work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using AMOS 18.0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model fit of full mediation model which is elimination direct path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to cultural competence is better than partial mediation model. Second, only the indirect effect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to cultural competence is statically significant but direct effect. Therefore, social prejudice against minorities was main factor to mediate between authoritarian personality and cultural competence. In conclusion, we could confirm the necessity of the program about social prejudice against minorities to social service workers especially who has authoritarian personality tendency.

      • KCI등재

        유방암 환자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미충족 욕구

        한인영,이영선,문병인,강방글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easure unmet needs and to study factors affecting unmet needs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in Korea. We provided questionnaires to 363 patients through convenient sampling. We us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nivariate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that the unmet needs in the information category ranked highest among the four categories of the needs evaluation questionnaire.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needs regarding information are the age (β=0.119, p=0.036), the education (β=-0.142, p=0.010), recently diagnosed patients (β=-0.166, p=0.004), communication with medical team are the education (β=-0.129, p=0.020), other illnesses (β=0.197, p<0.001), social support (β=-0.108, p=0.044) and on the care and assistant based on income (β=0.122, p=0.024).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medical service information be addressed during each step of treatments for breast cancer patients.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향상을 목적으로 욕구조사를 실시한 연구이다. 환자군은 서울·경기 및 광주의 종합병원 9곳을 대상으로 363명이 편의 표집 되었으며 환자 의료서비스 욕구 측정 도구(the needs evaluation questionnaire: NEQ)를 한국형으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단변량 분석(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NEQ는 환자의 욕구를 정보 욕구, 심리·정서적 욕구, 의료진 관계욕구, 치료·도움 욕구 등으로 구분 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 미충족 욕구 중에서 정보 욕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연령(β=0.119, p=0.036), 교육수준(β=-0.142, p=0.010), 진단 기간(β=-0.166, p=0.004)으로 나타났다. 심리·정서적 욕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β=-0.165, p=0.002)가, 의료진 관계 욕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육수준(β=-0.129, p=0.020), 타 질환 유무(β=0.197, p<0.001), 사회적 지지(β=-0.108, p=0.044)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치료·도움 욕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소득(β=0.122 p=0.024)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의료서비스 욕구에 대해 세분화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라 환자에게 질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지연에 관한 연구

        이영선 ( Rhee Young Sun ),한인영 ( Han In Young ),임정원 ( Lim Jung Won ),강방글 ( Kang Bang Geul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진단 및 치료 지연의 장애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암 예방 및 개입 방안에 새로운 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 지연에 현황 및 원인을 분석하고 인구사회학적, 의학적 요인, 유방암 진단 및 치료 지연 인식 여부, 그리고 사회적 지지체계 등이 진단 및 치료 지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287명의 성인 여성으로, 서울·경기 지역의 8곳, 지방 1곳의 종합병원을 택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환자들이 유방 이상 징후를 경험한 이후 유방암 진단을 받기까지의 평균 기간은 약 2.8개월(SD : 8.4), 유방암 진단을 받은 후 치료 기간까지 걸린 평균 기간은 약 2.4개월(SD : 9.7)로, 진단 및 치료지연 모두 경제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이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동안 지연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평균보다 낮은 환자는 진단 지연이 더 긴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치료지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진단지연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진단 지연 인식 여부였으며, 치료 지연은 정서 정보적 지지가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들의 진단 및 치료지연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연구함으로써 향후 유방암 환자의 진단 및 치료지연의 장애요인을 예방하고 개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identification of barriers to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for breast cancer patients can provide a new framework for cancer prevention and control. This study aims to 1) explor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and 2) investigate how sociodemographic and medic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of delays, and social support influence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for Korean breast cancer patients. A total of 287 adult women were recruited from nine hosptials in Korea.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an time taken from the discovery of an abnormality to obtaining medical care(diagnositic delay) was 2.8 months (SD=8.4), and the mean time taken from obtaining a diagnosis to cancer treatment (therapeutic delay) was 2.4 months (SD=9.7). Patients with financial difficulties were more likely to report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In terms of social support, the low social support group was more likely than the high social support group to delay in obtaining medical care; however, the therapeutic dela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diagnostic delay was perception of diagnositic delay, while emotional and information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therapeutic delay.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reducing barriers to diagnostic and therapeutic delays for breast cancer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