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경제조직 유형별 정체성 분석

        문병기(文丙基) 한국정책과학학회 201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0 No.3

        본 연구는 국내의 각종 사회적 경제 진흥사업이 보여주고 있는 미흡한 성과의 근본 원인은 정체성 혼동에 있다는 시각에서 출발하였다. 사회적 경제조직이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와 국가주의적 복지체계의 양면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실효적 대안임에도 불구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취업복지대책의 하나로 취급하기 때문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국내 각종 사회적 경제조직과 그 관련자들의 정책적 개방성 부족이 만들어낸 결과라고 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수행한 사회적 경제의 연혁과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탐구를 통해서 그 논리적・실천적 뿌리가 시민성 즉, 개방성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사회적 경제조직의 개방성을 세분화한 계층적 개방성, 조직 내적 개방성, 지역공동체에 대한 기여, 원료공급자 및 소비자와의 일치 및 조직별 성과를 분석지표로 하여 진행한 사회적 경제조직 유형별 비교사례연구에서 서로 간에 분명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보다 견실하게 사회적 경제조직들이 국내에서 정착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으로서, 현존 사회적 경제 관련 법제 개정을 통한 획일적 경향의 극복, 사회적 경제 진흥사업 관련자들이 견지하고 있는 인식적 배타성을 극복하기 위한 강연과 세미나 개최, 사회적 경제 개념의 정교화에 따른 조직 유형별 지원전략의 특화 등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started from the viewpoint that the major reason of insufficient outcome of social economy promotion programs in Korea is confusion of identity. In Korea, social economy is considered as one of employment and welfare policy tools for vulnerable social group even though it is a useful policy alternative for the problems of capitalist economy as well as the limits of welfare statism. More specifically, the problem of identity confusion turns into the inadequate level of openness of social enterprises and all the parties concern. At first, this research confirms that the logical and practical root of social economy is citizenship and openness based on the historical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Secondly, this research finds out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openness and performance among the social enterprise types in Korea when openness is broken down into four analytical indicators such as social stratum, intra-organizational democracy, community contribution, and supplier & consumer relationship.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several policy insights for the settlement of social enterprises in Korean society including overcoming conformity through the revision of related laws, education and training to minimize the cognitive exclusivity of all the parties concern, and specialized openness promotion programs by the social enterprise types.

      • KCI등재

        경제적 합리성의 재해석

        문병기(文丙基) 한국지방자치학회 2010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2 No.4

        Concerned with pessimistic evaluation on the social enterprise program of the Korean government, this study argues re-examination of economic rationality and fundamental review of the program. Social enterprises are individual firms practicing social economic activities and social economy is an alternative economic system pursuing the transformation of market economy toward a more social and equitable system. In sum, it is necessary for the social enterprise program of Korean government to focus on the incubating new economic unites which can coordinate market economy and the improvement of civic rights of labor class. To verify the argument, this study perform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ertified social enterprises and economy of communion enterprises.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finds out that economy of communion enterprises generally have better financial independence,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contribution to affiliated community, mutual trust between business owner and employees, ideal motivations playing pivotal role, and unconditional altruistic sharing than certified social enterprises. As a policy alternative, this study suggests involvement of managerial expertise and positive exchanges of experience based on the stage model of Molteni (2002)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ly innovative business.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위험감수성 비교분석

        문병기(文丙基) 한국공공관리학회 2018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2 No.3

        사회적기업은 이윤 추구를 통한 조직 생존과 사회적 기여를 동시에 추구한다는 점에서 태생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취약성을 감내하기로 스스로 선택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사회적기업이라면 마땅히 견지해야 할 의도적 위험감수성의 개념과 이론적 근거에 기초하여 국내 사회적기업의 위험감수성 현황을 파악한 후, 보다 경쟁력 있는 대안적 경제주체로서 사회적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핵심적 선행연구인 Bruni & Tufano(2017)에 기초하여 국내 사회적기업이 보유한 위험감수성과 그 변화유도능력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는 인증 사회적기업 및 EOC기업 각 2개씩을 선별하여 심층 비교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참여관찰 및 관계자 심층면접을 통해 획득한 모든 자료들은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접근법을 통해 정리되었다. 비교분석 대상 4개 사회적기업의 위험감수성은 그 대상 및 내용별로 세분화하여 총 8개의 핵심범주로 구체화되었고, 그 각각에 대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이 압축되었다. 분석결과, 비교분석대상 기업들 간에 위험감수성의 수준에서 범주별로 분명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체적인 노력 대비 외부지원 간의 균형이 필요하고, 사회적기업과 EOC기업 간에도 조직의 태생적인 차이점이 분명히 드러났으며, 위험감수성 실천 노력의 일관성이라는 차원에서는 규모와 역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 등이 부각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각각의 위험감수성 핵심범주별로 향후 더욱 실효적으로 사회적기업 진흥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재정분권화와 지방정부 투명성 수준간의 관계

        문병기(文丙基),복홍석(卜泓碩) 한국지방자치학회 2009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1 No.1

        This research places its purpose on verifying whether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Fisman & Gatti (2002b), that the transparency level of local government increases when the local government's fiscal decentralization level increases, has relevance to Korean society. To overcome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 of Fisman & Gatti (2002b) model, this research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fiscal decentralization on the financial transparency level of Korean local governments with the panel data analysis methods to figure out the region and time specific effects of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scal decentralization level in Korea appears to have a strong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transparency index of the compilation and the operation of budget, which is enclosed in the local government financial analysis system. This empirical result can be due to the tendency of Korean local governments complying with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rather than resident-oriented correspondences, which is becoming more intensified because of fiscal centralization during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in spite of its superficial decentralization. Therefore, the Fisman & Gatti (2002b) will be said to have relevance as it is even to Korean society from the original inten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sugges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revenue decentralization and the preservation of local competitive powers.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개념규정적 특성 및 성과평가

        문병기(文丙基) 한국지방자치학회 2012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4 No.4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on the social enterpris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practicing community solidarity and realizing economic justice. With this future alternative economic entity, it may be possible to overcome traditional dichotomy between state-leading welfare program and market competition.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programs in recent Korean society are wasting time and resources because they are not deep-rooted on the empirical analyses with the defining features and cultural-ideological background of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defining features of social enterprises based on long list of European-American literature and find out empirical evidence on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B-Corporations in the U.S.A. From the pool of 432 B-Corporations certified by the B-impact assessment system, nonprofit organizations with incomegenerating activities, socially responsible businesses and relatively pure social enterprises are showing respectively different areas of comparative advantages. Founded on this empirical findings, this study urges more elaborat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specialized promotion programs by Kore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which can boost activities of each type of social enterprise according to its comparative advantages.

      • KCI등재

        미래목표,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의 인과적 관계 분석

        문병상(文炳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학습 동기와 학업 수행에서 인기 있는 연구 주제로 등장한 미래 목표를 중심으로 관련되는 변인들의 인과적 관계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즉 미래 목표, 성취목표지향성, 그리고 자기조절학습간의 인과 모형을 설정하고 적합한 인과 관계 모형을 탐색하였다. 대구시내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미래 목표 검사, 성취목표지향성 검사와 자기조절학습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미래 목표, 성취목표지향성, 그리고 자기조절학습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는 수정 모형이 연구 모형보다 더 적합한 모형으로 평가되었다. 미래목표가 성취목표지향성을 매개로 자기조절학습에 주는 직, 간접적인 효과와 전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전체효과가 가장 큰 변인은 수행접근목표이며 그 다음으로 숙달접근목표, 외재적 미래목표, 내재적 미래목표 순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직접효과가 가장 큰 변인은 수행접근목표이며 그 다음으로 숙달접근목표 순이고,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간접효과가 가장 큰 변인은 외재적 미래목표이고 그 다음으로 내재적 미래목표 순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미래 목표는 숙달접근목표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외재적 미래목표는 수행접근목표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내재적 미래 목표는 숙달접근목표를 매개로 하여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외재적 미래 목표도 수행접근 목표를 매개로 하여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 미래 목표와 성취목표지향성이 상호작용하여 자기조절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사의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교육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future goals, achievement goal-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children sampled from elementary school in Taegu. The survey instruments used for the study were future goals inventory, achievement goal-orientation test, and academic self-regulation test.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data analysis was path analysis by AMOS 6.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goodness of fit of the adjusted model was evaluated as higher than that of the original model. Second, a intrinsic future goals did directly affect a mastery-approach goals and an extrinsic future goals did directly affect a performance-approach goals goal-orientation. An mastery-approach goals did directly affect a self-regulated learning and a mastery-approach goals did directly affect a self-regulated learning. Third, intrinsic future goals did indirectly affect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a mastery-approach goal and an extrinsic future goals did indirectly affect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a performance-approach goal. Finally, it was suggested about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future goals, achievement goal-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