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장품 브랜드의 사회적 상징성, 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애착, 몰입,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강민지 경기대학교 한류문화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consumers value cosmetics brands in order to be attached to them, how they affect their attachment, commitment, and loyalty, and what correlation they actually have.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as a hypothesis, the symbolism and identification of the cosmetics brand would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attachment to the cosmetics brand, and a positive (+) effect on the attachment, commitment, and loyalty to the cosmetics brand. To this end, a total of 200 surveys were conducted for domestic resid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studie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internal consistency using the Kronbaha alpha coefficient to find out the reliability of the cosmetic brand social assumption, identification, attachment, immersion, and loyalty items. In addition,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validity between the cosmetic brand social symbolism, identification, attachment, immersion, and loyalty. Next, the validity of each observed variable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variables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average variance extraction value to verify the discriminant validity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all the average variance extraction values of the discriminant validity were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a separate confidence interval (+,-) was created to confirm that there was no problem with the discriminant validity.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symbolism of the cosmetics brand acts as a sub-factor for consumers to form their attachment to the cosmetics brand, and the social symbolism of the cosmetics brand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attachment to the cosmetics bran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dentification of consumers' cosmetics brands acts as a sub-factor in forming the attachment to cosmetics brands, and that the identification of cosmetics brand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attachment to cosmetics brands. Third, it was found that consumers' attachment to cosmetics brands had a positive (+) effect on cosmetics brand commit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consumers' immersion in the cosmetics brand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loyalty of the cosmetics brand. Fifth, it was found that consumers' attachment to the cosmetics brand did not affect the loyalty of the cosmetics brand. These research results have demonstrate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of loyal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smetics brands and consumers, and I think it will provide a positive strategy for building brand loyalty by understanding consumers' propensity for the brand through the revealed relationship. 이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가 화장품 브랜드에 애착을 갖기 위해 어떤 면에 가치를 두는지, 화장품 브랜드의 애착과 몰입 그리고 충성도에는 어떤 영향이 있고, 실질적으로 어떤 상관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가설로 화장품 브랜드의 상징성, 동일시가 화장품 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화장품 브랜드 애착, 몰입, 충성도에 정(+)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화장품 브랜드 사회적 상징성, 동일시, 애착, 몰입, 충성도 문항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크론바하 알파계수를 이용하여 내적 일관성 확인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화장품 브랜드 사회적 상징성, 동일시, 애착, 몰입, 충성도 사이의 타당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요인 및 신뢰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다음으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각 관측 변인의 타당성 확인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변인들 간의 판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평균분산 추출 값을 측정하여 변인 간의 상관게수를 산출하였다. 다만, 판별 타당도 평균분산 추출 값이 모두 기준값보다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별도의 신뢰구간(+,-)을 만들어 판별 타당도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브랜드의 사회적 상징성이 소비자가 화장품 브랜드 애착을 형성하는 하위 요인으로 작용하며, 화장품 브랜드의 사회적 상징성이 화장품 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소비자의 화장품 브랜드의 동일시가 화장품 브랜드 애착을 형성하는 하위 요인으로 작용하며, 화장품 브랜드 동일시가 화장품 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비자의 화장품 브랜드 애착이 화장품 브랜드 몰입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소비자의 화장품 브랜드 몰입이 화장품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소비자의 화장품 브랜드 애착은 화장품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들을 통해 화장품 브랜드와 소비자의 관계에서 충성도를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들이 입증되었으며, 밝혀진 관계를 통하여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성향을 잘 파악하여 브랜드 충성도 구축에 긍정적인 전략을 제공하리라 생각한다.

      • IGF1R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보인 자궁내 성장지연과 저신장을 가진 환자에 대한 임상상과 분자유전학적 특징

        강민지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Mutations in the IGF1R gene result in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and postnatal growth fail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features of subjects with a mutation in the IGF1R gene and to evaluate the molecular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novel IGF1R mutation. Three children with unexplained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birth weight < -1.5 SD score) and persistent short stature (< - 2.0 SD score) were included in the study. Auxological and endocrinological profiles were measured. All coding regions, including the intron-exon boundaries of the IGF1R gene, were amplified by PCR and directly sequenced. To study the functional effect of the IGF1R gene mutation on IGF-1 signaling, total IGF1R protein expression, and IGF-I-dependent Akt and ERK phosphory-lation were assessed by Western blotting. Two children and their father possessed a novel c.420del (p.A110fs*20) mutation in exon 2 of the IGF1R gene. After recombinant human GH therapy, the growth deficit decreased in these two children. Our data show that IGF-1-induced autophosphorylation of the phosphorylated tyrosine and phosphorylated Akt of IGF1R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did less efficiently in patients. Array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of chromosome 15 identified a heterozygous deletion of 15q26.2 to 15qter in subject 3. The novel heterozygous mutation described in this study reduced IGF1R expression and represents haploinsufficiency of the IGF1R gene. Our results indicate that this mutation in the IGF1R gene leads to abnormalities in the function of IGF1R and also retards intrauterine and subsequent growth in humans.

      • 이중언어 아동의 이야기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내러티브 중재효과 연구

        강민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외로 다문화-다언어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세계 절반 정도의 아동은 가정 혹은 지역사회에서 이중언어 구사자 혹은 다중언어 구사자로 살아가고 있다(Place & Hoff, 2011). 통계청에서 실시한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체 출생아 중 다문화 출생아 비중은 2009년 4.3%에서 2019년 5.9%로 증가했으며(통계청, 2020), 국내 장기체류 외국인, 귀화자, 외국민주민 자녀를 포괄하는 외국인 주민 현황 추이에서도 다문화 영유아는 2008년 약 5만 8천명에서, 2009년에는 약 10만 8천명으로 급증했다(박은정, 박창현, 조혜주, 2020). 전세계 재외동포의 수는 2020년 기준 약 732만 명으로 다수거주 국가 현황을 살펴보면 미국이 약 263만명, 중국이 약 235만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일본, 캐나다 순으로 그 수가 많았다(외교부, 2021). 또한, 외국에서 거주하다 한국으로 온 중도입국 자녀의 규모는 전체 다문화가정 자녀의 9.1%를 차지하며, 이들 중 외국 거주 경험이 있는 자녀는 전체의 6.5%, 주로 외국에서 성장한 자녀는 전체의 2.6%로 추산되었다(여성가족부, 2021). 이와 같이 다문화-다언어로 살아가는 환경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고 있으며, 언어치료 분야에서도 다문화-다언어 아동을 대상으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중언어 아동은 의사소통이 가장 역동적으로 발달하는 시기에 2개 이상의 지속적으로 노출된 아동으로, 노출시기, 언어환경 등에 따라 아동을 분류한다(Paradis, Genesee, & Cargo, 2011). 아동은 두 언어에 노출된 시기에 따라 동시적 또는 순차적 이중언어 아동으로(McLaughlin, 1978) 분류하며, 아동이 구사하는 두 언어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감가적(subtractive) 또는 부가적(additive) 이중언어 환경으로 구분한다(Lambert, 1977). 부가적 이중환경의 경우, 모국어(L1)와 제2언어(L2)가 비교적 동등하게 발달되고 유지될 수 있지만, 감가적 이중환경에서는 가정에서만 사용하는 언어는 소수언어이기 때문에 사회에서 사용하는 다수언어에 비해 언어능력이 유지되기 어렵다(Wong Filmore, 1991). 국외 거주하는 다수의 이중언어 아동의 경우, 한국어의 지위가 사회언어의 지위보다 낮으므로 소수언어인 한국어의 언어 능력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미국과 캐나다의 경우,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발달 및 언어 서비스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제공되고 있지만(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2004; Canadian Association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 and Audiologists, 1997), 국내에서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국내 실정으로 인해 국내에서도 다문화-다언어 아동을 위한 구체적인 언어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황상심, 2018; 황상심, 강복정, 2016; 박은정, 문무경, 윤지연, 임동선, Weng-Feng, 2021),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며 제2언어를 구사하는 다문화-다언어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 특징(박상희, 2006; 박지윤, 석동일, 2007; 최은정, 윤은미, 이소희, 이은경, 2008; 임동선, 김신영, 한지윤, 강다은, 이수경, 2020), 언어 평가(임동선, 정하은, 한지윤, 백수정, 임나은, 2022; Yim, Yoon, & Lee, 2016; Hong & Yim, 2014) 방법을 확인하는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중언어 아동을 대상으로 중재 효과를 살펴본 국내 연구는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L1)-영어(L2) 이중언어 아동을 대상으로 모국어 내러티브 중재가 아동의 모국어 내러티브 향상뿐 아니라 언어간 전이효과로 인한 제2언어 수행력의 향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5-6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아동(언어발달지연 9명, 정상발달 10명) 총 19명이었다. 아동의 중재 전·후 내러티브 발화를 수집한 후, 이야기 대형구조(macrosturucture)를 이야기 구조(이야기문법)로 살펴보고, 소형구조(micro-structure)를 어휘(다른 낱말수)와 구문(평균낱말길이)으로 나누어 모국어(L1) 중재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재를 실시하지 않은 제2언어(L2)에도 중재효과가 있는지 이야기 구조(이야기 문법), 어휘(다른 낱말수), 그리고 구문(평균낱말길이)으로 분석하여 언어 간 전이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재 전 아동의 어휘력과 중재 전·후 아동의 L1과 L2 내러티브 수행력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아동의 어휘력과 내러티브 수행력 간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를 희망하는 연구대상자의 주양육자를 대상으로 아동의 언어능력과 전반적인 발달사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후, 동작성 지능검사와 L1/L2 언어 검사를 통해 집단을 구분하였다. 둘째, 중재 전 아동의 L1/L2 내러티브 발화를 수집하였으며 8번의 중재 후 아동의 L1/L2 내러티브 발화를 수집하여 각 집단 간 수행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셋째, 각 집단의 한국어 내러티브 수행력, 영어 내러티브 수행력, 그리고 아동의 어휘력과 내러티브 수행력 간 유의한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 간 한국어 내러티브 수행력을 분석한 결과, 중재 전·후 한국어 내러티브 수행력(이야기 문법, 다른 낱말수, 평균낱말길이)의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집단 간 한국어 내러티브 수행력(이야기 문법, 다른 낱말수, 평균낱말길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중재 전·후와 집단 간 이차상호작용도 유의하지 않았다. 즉, 언어발달지연 이중언어 아동 집단과 정상발달 이중언어 아동 집단 모두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 모국어 수행력이 유의하게 증진하였다. 둘째, 중재 전·후에 따른 집단 간 전이효과로 인한 영어 내러티브 수행력을 분석한 결과, 중재 전·후 전이효과로 인한 영어 내러티브 수행력(이야기 문법, 다른 낱말수)의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영어 내러티브 수행력 중 평균낱말길이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집단 간 영어 내러티브 수행력(이야기 문법, 다른 낱말수, 평균낱말길이)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재 전·후와 집단 간 이차상호작용도 유의하지 않았다. 즉, 언어발달지연 이중언어 아동 집단과 정상발달 이중언어 아동 집단 모두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 전이효과로 인한 영어 내러티브 수행력(이야기 문법, 다른 낱말수)이 유의하게 증진하였다. 셋째, 상관분석을 통해 중재 전 아동의 한국어 및 영어 어휘력과 중재 전·후 한국어 및 영어 내러티브 수행의 상관을 확인한 결과, 언어발달지연 집단의 경우 한국어 표현어휘력과 영어 사후평가 내러티브 수행력(이야기 문법, 다른 낱말수, 평균낱말길이) 간 상관이 유의한 반면, 사전평가에서는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한국어 수용어휘와 영어 사후평가 다른 낱말수 간 상관이 유의하였으며, 사전평가에서는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다. 한국어 수용어휘와 영어 이야기 문법 간에는 사전·사후 모두 상관이 유의하였다. 정상발달 집단의 경우, 사전·사후평가 모두에서 영어 표현어휘력과 영어 내러티브 수행력(다른 낱말수, 평균낱말길이) 간 상관이 유의하였다. 전체 대상자의 어휘력과 내러티브 수행력 상관을 확인한 결과, 한국어 사전평가 평균낱말길이 수행력은 한국어 수용·표현 어휘력과 영어 수용·표현 어휘력 모두 상관이 유의하였으나, 사후평가에서는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사후평가에서는 한국어 표현어휘력과 영어 사후평가 내러티브 수행력(이야기문법, 평균낱말길이) 간 상관이 유의하였으며, 영어 표현어휘력과 영어 내러티브 수행력(평균낱말길이) 간 상관이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L1)-영어(L2) 이중언어 아동을 대상으로 한 모국어 언어 중재가 아동의 모국어(L1) 내러티브 수행력(이야기 문법, 다른 낱말수, 평균낱말길이) 증진에 효과적이었으며, 언어 간 전이효과로 인한 제2언어의 내러티브 수행력(이야기 문법, 다른 낱말수)에도 부분적으로 증진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중재 전 아동의 어휘력과 중재 전·후 아동의 내러티브 수행력 간 상관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아동의 모국어(L1) 어휘능력과 중재 후 제2언어(L2) 수행력 간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Bilingual children are defined as those individuals who receive regular input in two or more languages during their development. They need to use both languages for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cultural reasons depending on their purpose and the people who communicate with them. In other words, bilingual children need to master two languages which are used within the home and within society. Bilingual children are affected by many factors including their age of exposure L1/L2, developmental state, L1/L2 social status and typologies when they are learning both languages. Therefore, bi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are more challenged in learning or using two languages due to their limited cognitive-linguistic processing system, but it doesn’t mean they cannot learn or use two languag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effectiveness of the narrative-based intervention o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ith and without language delay. Ninetee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aged 5 to 6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using the Story Champs(ref).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1) language delay bilingual (LD; n=9) and 2) typically developing bilingual children (TD; n=10) by their language performance. They participated in an 8-time (2 times per week) pre/post-test design investigation. All children received the intervention in Korean, which is their first language. Narrative samples were obtained in Korean and in English each from the pre/post-testing examined story grammar,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NDW), and the mean length of utterance-word (MLUw).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both LD and TD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story grammar, NDW, and MLUw in Korean narrative in the language of intervention. In addition, both LD and TD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cross-linguistic increases in story grammar and NDW in English narrativ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Korean and English narratives, and the secondary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narrative was also not significant both in Korean and English. The LD grou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Korean expressive vocabulary and post-English narrative performance (story grammar, NDW, and MLUw) and this correlation was not found in pre-English narrative performance. The TD grou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nglish expressive vocabulary and English narrative performance (story grammar and NDW) both pre-and post-test. In the LD+TD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Korean expressive vocabulary and post-English narrative performance (story grammar and MLUw), and between English expressive vocabulary and post-English narrative performance (MLUw).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L1 narrative intervention not only L1 narrative skills (story grammar, NDW, and MLUw) but also L2 narrative skills (story grammar and NDW).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L1 expressive vocabulary and L2 narrative performance after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also imply the L1 intervention helps the growth of the L2 narrative skills according to the cross-linguistic association in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 모차르트 《Sonata no. 18 in G major K.301》분석 및 연구

        강민지 수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olfgang Amadeus Mozart's《Sonata no. 18 in G major K.301》was analyzed. The work looks simple in scale and technique, but it is important that shows the development process of classical violin sonatas and represents the musical features between piano and violin. Before analyzing the work, this study looks deep into the background of the classical period, the development of violin sonatas and major works, Mozart's lifetime, and analyze this work focusing on form, motive, harmon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iano and violin parts. Mozart's violin sonata is classified as a four-time perio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form. It can be divided into childhood (1762-1766), youth (1772-1781) and maturity (1781-1788). The main feature that can distinguish the period of the work is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in and piano. In childhood, the violin plays an accompaniment, but as it enters the youth, the two musical instruments appear to be in harmony or contra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olin and the piano, and they begin to show an equal position, such as exchanging, doubling and imitating melodies like a partner. Although this piece consists of a two movements, similiar to childhood work, compared to childhood works, the violin part often appears before the piano part by suggesting the main melody. As the violin and the piano exchange this melody, it is often seen imitating each other. (Music examples 1, 2, 5, 12, etc.) the first movement consists of a sonata form. The second movement consists of a lied form. 《Sonata no. 18 in G major K.301》 has equal status in the form of violin and piano, interacting and conversing with each o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struments is treated equally for the first time in Mozart's violin sonata, including the frequent appearance of the imitative section. In this respect, it can be seen as an important work for the beauty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violin sonatas. As Mozart’s compositional techniques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classical violin sonata, I hope this research help the performers of K.301 obtain better understanding.

      • György Ligeti의《Musica Ricercata》중 1, 3, 4, 6, 7번 연구

        강민지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헝가리 태생의 유대인 죄르지 리게티(György Ligeti, 1923-2006)는 20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유럽 작곡가로, 유대인으로서 헝가리에서 받았던 창작의 제약을 피해 1956년에 서유럽으로 망명하면서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적 스타일을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리게티는 헝가리 민속음악, 낭만시대 음악의 복합 리듬, 콘론 낸캐로우(Conlon Nancarrow, 1912-1997)의 자동피아노, 프랙탈 기하학, 아프리카의 폴리포니 음악 등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작곡에 활용하면서 현대 음악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무지카 리체르카타》(Musica Ricercata)는 1951년에서 1953년에 걸쳐 작곡된 그의 초기 피아노 작품으로 총 11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게티는 제 1번에 2개의 음을 사용한 것을 시작으로 다음 작품으로 넘어갈 때마다 음을 하나씩 증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제한된 음을 소재로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 다채로운 음악을 만들어냈다.

      • 어린이박물관을 활용한 가족 감상프로그램에서 교육적 의사소통

        강민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린이 박물관의 가족 감상교육을 통해 일어나는 교육적 의사소통은 어린이의 학습에 가족이 참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족이 함께하는 상호작용은 부모가 어린이의 이해를 도와 학습에 도움이 되며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린이와 성인이 함께 교육에 참여하게 되어 두 세대 교육이 이루어짐으로써 부모와 자녀 모두에게 도움을 준다. 교육적 의사소통은 박물관을 찾은 가족의 여가활동이나 문화생활을 가족학습이 일어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대화를 통한 감상 활동은 가족 간의 소통과 이해를 증진하며 자녀 학습과 발달에도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어린이 박물관에서는 어린이 스스로가 즐기며 놀이와 체험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전시가 구성되어 있으며 가족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그러나 가족 감상 활동에서 일어나는 교육적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감상 방법에 대한 안내를 통해 부모가 적극적으로 자녀와 소통함으로써 가족 학습을 통해 자녀의 성장을 이끄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박물관에서 가족 감상 속에서 일어나는 교육적 의사소통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어린이 박물관의 가족 감상교육에서 교육적 의사소통의 가치가 무엇인지, 그리고 가족의 교육적 의사소통이 일어나는 감상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교육적 의사소통은 미술 감상과 커뮤니케이션, VTS(시각적 사고전략), 아레나스의 ‘대화’ 중심의 감상을 적용해 가족의 감상 활동을 살펴보았으며 2018년 9월부터 11월까지 4차례에 걸쳐 실시 되였다. 한 가족이 국립중앙박물관의 어린이 박물관 1회, 경주어린이박물관 1회를 방문하여 총 2회를 통해 가족의 상호작용을 살펴보았으며, 감상활동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기 위해 왕관 만들기 수업을 2회에 걸쳐 실행하면서 언어적 상호작용과 맥락적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수업 중에 나타난 대화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 박물관의 가족 감상교육 활동은 개방적이고 열린 공간을 통해 이루어지는 비형식 교육으로 가족의 여가를 학습의 장소로 이용하게 된다. 가족의 여가생활과 동시에 가족의 학습이 일어나는 장소로 다양한 세대가 함께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두 세대의 교육이 일어나는 곳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의 오브제라는 측면에서 만지고 느끼며 대화를 통해 표현하는 감상 활동은 가족 간의 수평적 관계 속에서 창의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며, 어린이의 창조적인 역량의 성장을 끌어낼 수 있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어 가족의 소통이 일어나게 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육적 의사소통을 언어적, 맥락적 상호작용을 통해 알아본 결과 어린이는 가족이 함께 상호작용 할 때 가장 효과적이며, 자녀의 발달을 언어를 통해 문화 속에서 이해할 수 있는 근거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어린이 박물관을 활용한 교육적 의사소통을 가족을 통해 알아보며 감상을 통한 학습에서 부모가 자녀의 발달을 이해해 본다는 점은 의미 있는 시도이다. 또한 어린이박물관에서 대화를 통해 어린이 발달을 이해하고 두 세대의 교육이 일어남을 확인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도 차별화 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앞으로도 어린이 박물관을 활용한 감상 교육에서 가족의 의사소통을 통해 가족 학습을 이해하고, 감상 활동을 자녀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연구를 지속하여야 할 것이다. Educational communication in a family appreciation program of Children’s Museum The main purpose of educational communication in a family appreciation program of children’s museum is to maximize the effect of children’s education by the interaction of family. The interaction of family does not only help the children’s understanding in education but also helps parents to understand their children. One of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s roles is to provide the quality family leisure time which involves a lot of conversations. This appreciation activity helps children’s educational development via communications and understandings of family. Nowadays, children’s museum is exhibited the programs that children can educate themselves by playing and these programs encourage the family to participate.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f the family appreciation program’s effects on educational communication. This research will show the method of appreciation program that encourages the parents to have conversations with their children actively so the children can develop. This study will demonstrate the value of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in family appreciation program and the appreciation program methods in Children’s Museum. This research is the analysis of conversations in appreciation programs using qualitative method such as Art appreciation and communication, VTS (Visual Thinking Strategies) and Amelia Arenas’s art appreciation by interaction to the one family’s appreciation programs experiences. These programs were carried out in children’s museum in National museum of Korea, Gyeongju children’s museum and two lessens of clown making. First, the family appreciation programs were progressed as nonformal education in an open space. In these programs, family’s leisure activities and education lessons happened simultaneously so both children and parents were able to enjoy and learn at the same time. These results showed us that the education occurred in both generations in the appreciation programs. Second, the creative expressions were derived through educational objet (felling, touching, talking) in the programs. These programs were developed the creativity of children and made family to communicate. Finally, it was found that children’s educational communications were the most effective when there was the interaction of family. This result provided more understandings of children’s development via language and culture. This study was very meaningful attempt to understand the children’s development using educational communication in children’s museum. We found out educations were occurred in both generations. This result provides differentiated information to the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on using appreciation programs in children’s education Keywords Children’s Museum, Family Appreciation Program, Educational Communication

      • Dick & Carey의 교수설계모형을 적용한 초등 방과 후 학교 바이올린 지도방안

        강민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방과 후 학교’란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와 선택을 반영하여 수익자 부담 또는 재정 지원으로 이루어지는 정규 수업 이외의 교육 및 돌봄 활동으로, 학교 계획에 따라 일정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학교 교육활동이다. 방과 후 학교는 1995년 5.31 교육개혁의 과제로 ‘방과 후 교육활동’을 선정하면서부터 국가의 개입이 본격화 되었고 그 이후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교육의 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다. 이는 시대적 변화에 기인하는데 현재 4차 산업혁명의 시기를 맞이하여 사회는 계속적으로 다양해지고 이러한 사회 변화에 발맞추어 교과교육을 뛰어넘는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교과교육 외 교육의 필요성은 늘어나는데, 현실적으로 교과교육이 이를 모두 수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기에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방과 후 학교는 공교육 보완의 한 가지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다양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중에서 초등 방과 후 학교 바이올린 프로그램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이를 교육 공학의 관점에 기반하여 체제적 교수 설계(Instructional System Design)에 따라 지도 방안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자가 다양한 체제적 교수 설계의 모형 중 딕과 케리(Dick & Carey) 모형을 적용하여 지도 방안을 제시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딕과 케리 모형은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융통성 있게 재구성 할 수 있는 모형이다. 둘째, 딕과 케리 모형은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에도 반복하여 수정 ․ 보완이 가능한 모형이기 때문이다.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은 아직 법적 근거나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학습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소 들이 어떠한 방향으로 변동될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한 차시만 사용하기 위하여 설계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많은 횟수로 사용할 수 있는 모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므로 이러한 모형을 적용하여 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그러므로 딕과 케리 (Dick & Carey)의 교수 설계 모형을 적용한 초등 방과 후 학교 바이올린 지도방안의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방과 후 학교 바이올린 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학생들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지를 제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현재 방과 후 바이올린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본으로 파악된 교본의 악곡을 군집 분석하여 하위기능을 계열화하였다. 셋째, 설문 조사와 교본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목표와 연계성 있는 평가 도구와 수업전략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점검하기 위해 전문가 평가 및 소집단 평가를 실시하여 지도방안을 수정·보완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총 28개의 응답을 받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방과 후 학교 바이올린 프로그램의 장점 ( 저렴한 가격, 친구들과의 상호작용, 이동시간의 절약 ) 및 개선사항 ( 학생 수 조정, 교사의 수업 방식의 개선, 수업환경의 개선 및 지원 ) 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해 방과 후 학교 바이올린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로 파악된 스즈키, 시노자키, 어린이 호만, 신나는 바이올린 교본 1,2권의 악곡과 악곡의 조성을 군집 분석(Cluster analysis)한 결과 특히 C Major, A Major, D Major, G Major, F Major 조성의 악곡들을 중점적으로 수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네 개의 교본에 반복적으로 실려 있는 곡은 바흐 미뉴에트 G Major, 모차르트의 ‘작은 별’, 독일 민요 ‘봄바람’, 베일리의 ‘그 옛날에’, 헨델의 ‘개선의 합창’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Gagne의 5가지 학습 영역 분류에서 제시한 분석 기법 에 따라 독보 (인지기능), 운궁법(오른손 운동 기능), 운지법(왼손 운동 기능)으로 영역을 분류하여 4단계의 하위기능 단계를 절차적·위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8명의 학생을 편의 표집하여 소집단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를 진행한 결과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앙상블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었고, 사후 활동을 통해 반성적 태도의 촉진 이라는 긍정적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현재의 열악한 환경에 맞추어 궁여지책(窮餘之策)으로 그에 적합한 수업을 설계한 것이라는 한계점을 가진다. 방과 후 학교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도 환경적인 면이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 연구될 방과 후 바이올린 프로그램에 대한 후속연구에서는 지도방안의 개발 외에도 방과 후 학교 업체 선정 방식에 대한 철저한 검증 및 선정 기준에 대한 부분 , 방과 후 학교 운영에 대한 법적 근거나 제도적 기반에 관한 부분 등에 대한 고찰에 관한 연구가 나오기를 바란다. 또한 지도 방안의 수정·보완 뿐만 아니라 방과 후 학교의 환경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이 포함된 연구가 하루 빨리 나와서 방과 후 학교의 강사와 학생들이 마음껏 교육하고 또 교육 받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날을 오기를 기대해 본다.

      • TV 음식 프로그램 시청자의 시청동기가 시청태도,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먹방' 시청자를 중심으로

        강민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TV는 하루 종일 ‘먹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현재 방송은 음식 프로그램의 편재 되어있다. 뿐만 방송을 통해 소개된 해당 업체에 찾아가 SNS나 블로그에 후기를 남기는 새로운 트렌드가 생겨나는 등 먹방이 주요 콘텐츠로 자리를 굳히고 있다. 또한 외로운 1인 가구 시대에 함께 먹는 느낌을 제공해주고, 음식에 대한 욕구를 대리만족 시켜주는 도구이자 힐링 콘텐츠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먹방’시청자들을 대상으로 TV 음식 프로그램 시청동기가 시청태도,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구조적 관계의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 분석을 통하여 연구 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TV 음식 프로그램 중 ‘먹방’프로그램을 최근 6개월 이내에 시청한 경험이 있는 시청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고 총 273부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및 타당성, 그리고 적합도를 검토하여 총 7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청동기가 시청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시청동기 요소 중 오락과 대리 만족에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청태도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성을 검증한 결과, 시청태도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행동 의도 요소인 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존에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던 음식 프로그램 시청동기에 따른 태도 및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하여 새로운 논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먹방’을 시청한 시청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 시청자들로부터 방영되는 음식 또는 해당 외식 업체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 내어 국내 외식 수준을 다채롭게 함과 동시에 외식 문화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에 음식 프로그램은 오락을 가미한 재미있는 프로그램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기획하여야 하며 보다 다양한 외식 업체들과 진정성 있는 정보를 제공해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외롭고 여유를 느끼지 못하는 현대 사회에서의 음식 프로그램 시청은 대리 만족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음식프로그램을 통해 외식업체의 방문이나 메뉴를 구입하는데 호의적인 감정을 갖는 시청자들은 외식 소비자가 되어 방문의도를 증가시키게 되어 외식 소비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점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점은 있지만, 본 연구는 음식 프로그램을 통해 음식 소비문화의 발전을 조명하며, 음식 프로그램의 시청동기, 시청태도, 만족도 그리고 행동의도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과 음식 프로그램의 외식 문화의 수준을 향상시킴으로 국내 소비자뿐 아니라, 국내에 유입되는 외국 관광객에게도 좋은 이미지를 심어줌으로 국가 경쟁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V food program audience motivation on attitude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73 customers who viewers for 'eating show'. This study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SPSS 18.0. Also, this study reviewed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examined the total of 7 hypotheses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ulti group analysis using AMOS 18.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Watching motivation on the Watching attitude, the Watching motivation affects the Watching attitude positively(+).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Watching attitude on the Satisfaction, the Watching attitude affects the Satisfaction positively(+). Fin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the Satisfaction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he Satisfaction affects the behavioral intention positively(+). The findings suggested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to food and beverage business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recommendation of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현대발레에 나타난 안무 특성에 관한 연구 : 1980년 이후 유럽의 안무가를 중심으로

        강민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오늘날 새로운 형식과 다양한 변화를 보이는 현대발레의 예술사적 흐름에 따른 그 특징을 파악하고 20세기 이후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는 대표적인 안무가 지리 킬리안(Jiri Kylian), 마츠 에크(Mats Ek), 보리스 에이프만(Boris Eifman)의 작품을 분석·정리해 봄으로서 현재 발레 예술의 특성을 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전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레 예술사를 시대 흐름에 따라 살펴보면, 낭만발레(Romanticism)는 19세기 프랑스에서 그 절정을 맞았고 초현실의 환상적 주제와 포인트 기법(pointe technique), 백색의상 등이 어우러져 창조된 것으로 현재 발레의 모습을 규정 짓는 중요한 테크닉상의 발전이 있었다. 그러다 19세기 중반 무렵 남성 무용수의 부재(不在)와 기교에만 치중한 표현형식은 프랑스 사회에서 발레의 지위 약화로 이어졌고 당시 황실의 적극적인 장려책으로 대중들과 귀족 사회의 예술로서 상승하고 있던 러시아의 상황과는 대조를 이루었다. 19세기 후반 러시아의 발레예술은 장대한 형식적 발레를 발전시키며 화려한 2인무(Grand pas de deux)와 빠른 회전등으로 짧은치마인 클래식 뛰뛰(Classic Tutu)의 등장에 영향을 주었다. 그 뒤를 이어 나타난 미하일 포킨(Mikhail Fokine)과 발레 뤼스의 예술활동은 새로운 안무 방식의 실험과 접근으로 무용 계에 새로운 기회와 생명력을 불어넣음으로서 신고전주의(Neo-Classicism)발레를 출현하게 했다. 그러면서 20세기 초 무용 계에 새로운 무용 이념을 지닌 현대무용의 등장은 결국 발레의 현대화를 재촉하게 되었다. 현대발레는 1960년대를 지나면서 예술 본연의 특징으로 볼 수 있는 새롭고 다양한 형태의 무용을 찾고자 타 장르와의 결합을 확대하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일부 발레안무가들에 의한 광범위한 춤 영역의 확산과 과감한 실험적 시도는 그 형태를 예측할 수 없게 나타났고, 한 작품에서 여러 장르를 보여줄 수 있는 총체적인 작품의 스타일을 만들어냈다. 이와 같이 시대흐름에 따라 변화해온 발레 예술에서 현대발레의 안무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지리 킬리안, 마츠 에크, 보리스 에이프만의 작품을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다. 지리 킬리안을 통해서는 혼합과 절충으로 이루어진 실험적 무대가 만들어졌다. 발레와 타 장르를 조화롭게 혼합하고 현대무용뿐 아니라 세계의 민속무용부터 댄스 스포츠, 재즈, 서커스, 심지어 일상적인 동작까지 절충하는 실험적인 무대로 움직임 영역의 확대를 가져왔다. 마츠 에크를 통해서는 독창적인 재해석의 패러디 작업이 이루어졌다. 기존의 클래식발레 작품에 독창적인 안무가의 지식, 상상력, 감수성을 요구하는 재해석 작업은 관객들에게 현 시대의 이슈를 주제로 새로움과 흥미를 유발시키고 주제와 소재의 영역을 확대시켰다. 보리스 에이프만을 통해서는 극장무대 기술의 발달로 총체적 종합 발레를 보여주었다. 현대사회의 발달된 문명으로 인해 발레가 지니고 있는 종합예술(Total Art)의 측면에 멀티화·거대화로 영향을 주었고, 이것은 발레의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이상과 같이 세 사람의 안무성향을 종합해 본 결과 현대발레는, 다양한 주제와 소재에 의한 춤의 영역 확대로 인해 새로운 움직임 언어를 발견하였고 여러 장르의 영향으로 예측할 수 없는 상황으로 확대, 발전하고 있다. 이는 현대무용뿐 아니라 음악에도 영향을 받아 보는 춤이 아닌 듣는 춤으로 그 특징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 발전하는 극장기술의 영향으로 한편의영화와 같은 스펙타클한 발레 작품들이 창작되고 이런 작업들은 관객의 관심을 유발하여 대중화에 기여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이러한 현대발레의 다양한 안무자들의 안무 특성에 관한 다각적인 관점과 방향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향후, 21세기의 첨단 테크놀로지의 영향이 현대발레 예술과 접목되어 어떤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졌는지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Modern Ballet art history showing new formalities and various diversions, find out the specialties of modern ballet and look out on the future prospect through assessing productions of Jiri Kylian, Mats Ek, Boris Eifman who are leading dance composers of the 20th century. Looking at the ballet history chronologically, romantic ballet saw it's climax in the 19th century, France, a creation of surrealistic fantasy themes, Pointe technique and white costumes mixed together yielding important technical development regulating current form of ballet. Then around the mid 1900's, owing to the lack of male performers and restricted form of expression biased on only the technical skills brought about the decline of the position of ballet within the French society. This was quite contrary to the situation in Russia where ballet art kept on improving, supported greatly by the royal policy encouraging ballet, becoming the art of the people and the aristocracy. The Russian ballet of the late 1900's shows great improvement. The results are introduction of short skirt called classic tutu affected by splendid 'Grand pas de deux', and quick turns. After that, productions of Mikhail Forkine and Ballet Russes breathed in new liveliness and provided alternatives with experiments and approaches of new ways in dance composition giving rise to Neo-Classicism ballet. After that, the emergence of Modern Ballet carrying new dancing idea in the 20th century promoted the modernization of ballet. Modern Ballet after the 1960's have been showing a tendency of forming connections with other genre looking for new varieties of dance. And by the late 20th century, some ballet dance composers expanded the area of ballet dance and made resolute experimental attempts which were hard to estimate it's form creating a synthetic style production which can show various genre in one piece. The features of Modern Ballet developed as shown above, is as follows. First, Jiri Kylian formed an experimental stage with mixture and compromise. Ballet and other genre have been mixed harmoniously with other genre and not only Modern Dance but from world Folk Dance, Dnace Sports, Jazz, to even daily life movements are used as functions adapted in experimental stages. Second, Mats Ek accomplished creative sarcastic reorganizing. Reorganizing existing Classical Ballet pieces requires knowledge, imagination and emotional sensibility of a creative mind and so gave rise to new interest amongst the audience with themes dealing ideas and issues of current times. Third, Boris Eifman improved theater stage technique giving out synthetic ballet. The advanced civilization of modern society provided ballet with a new character of multi functioning and enormous size adding to the aspect of Total Art, and this contributed to ballet's gaining popularity. As mentioned above, Modern Ballet has found a new language of movement because of the expansion of dancing sphere introducing many various themes and subjects. Also it is developing in a unpredictable situation expanding and improving, even is affected by music and not just Modern Dance recognized as 'listening dance' not just 'watching dance'. Again, improvements in theater techniques made possible the movie-like spectacular ballet pieces and it contributed to the popularity of ballet. Therefore here after there should be studies in various aspects and directions on specialties in the productions of various Modern Ballet composers and thorough examinations on what kind of continuous development took place on Modern Ballet with the impact of advanced technology of the 21st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