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차별(ageism)의 사회경제적 관련요인과 건강영향

        천희란(Chun, Heeran),김일호(Kim, Il-Ho)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3

        현대사회에 들어서며 전통적으로 공경의 대상이었던 노인은 나이로 인한 부당한 대우 및 차별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고려하여 노인차별경험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차별경험으로 인한 건강 영향을 다각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편의표집으로 추출된 60세-89세 345명을 대상으로 Palmore의 'The Ageism Survey' 도구를 사용하여, 노인차별경험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자의 약 45.8%가 한번 이상의 노인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차별경험은 남자, 무배우자, 수입이 낮은 노인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노인차별경험은 노년기 우울감과 유의미하게 높은 연관성을 보였으나, 주관적 건강수준과 고혈압과의 연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가 있는 경우, 노인차별경험이 크게 증가할수록 우울증상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결과는 한국사회의 노인차별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촉구하고, 사회적 관계를 고려한 노인차별과 건강영향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Korean elders experience ageism, with a focus on the social determinants, and how those experiences relate to their subjec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Data was gathered from a convenient sample of 345 people aged 60-89 via face-to-face interviews. Ageism was measured using a 20 item questionnaire from 'The Ageism Survey' by Palmore. Health outcomes included self-rated health, hypertension, and depressive symptom. Half of the respondents reported having experienced ageism 'more than once' in 20 listed situations. The prevalence of ageism and sub-group characteristics appeared to show a different picture compared to the results in the Palmore's US study in which higher levels of ageism were reported by men (vs. women), people without spouses (vs. with spouses), and people with lower income (vs. higher). Furthermore, the ageism experience increased the risk of having depressive symptoms, with the association still significantly consistent even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OR 1.18 (95%CI 1.09-1.28). The health effect of ageism was not observed in hypertension or self-rated health. Interestingly, for those who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ageism, having social support appeared to increase the risk of depressive symptoms. Ageism and the harmful impact on health need to be better understood in social contex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보건의료관련 학과에서 환자안전 교육에 대한 고찰

        천희란 ( Heeran Chun ),신은희 ( Eunhee Shin ) 대한보건협회 2016 대한보건연구 Vol.42 No.4

        연구목적 : 졸업 후 환자를 바로 접하게 되는 보건의료 전공 학생들은 환자안전에 대한 올바른 개념과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보건의료인 교육과정 내 환자안전 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향후 국내 보건의 료전문직 관련 학과의 환자안전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0년 이후부터 2016년 4월까지 영어 검색용어는 “patient safety” AND “educational, medical” or “educational, nursing” or “educational, dental” or “educational, pharmacy” AND “curriculum management”, 국문 검색용어는 “환자안전” AND “의학 교육” 또는 “간호학 교육” 또는 “치의학교육” 또는 “약학교육” 등으로 6개의 국외 및 5개의 국내 전자문헌 database를 이용하여 체계적 문헌검색을 실시하였다. 검색된 총 12,561건의 논문이 가운데 1, 2차 문헌 선택 / 배제를 통해 본 연구 목적에 적합한 25개의 문헌이 최종적으로 선택되었다. 25건 가운데 10건이 의학, 7건이 간호학, 1건이 약학이고, 이외에 보건의료전문직 간 공동 교육프로그램은 7건이었다. 연구결과 : 문헌검토 결과, 교과과정 내 환자안전 교육방법은 강의, 소그룹토의, 역할극, 시뮬레이션, 문제기반학습 등 다양함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내용도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근본오류분석, 환자안전 사례, 팀협력, 의사소통 등 각 실시기관별로 차이가 있었다. 교육에 대한 평가는 주로 교육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대부분 교육 후 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등이 향상되었음을 보고하였다. 결론 : 국내 보건의료 관련 학과의 환자안전 교육 과정 운영을 위해 우선적으로 실시 현황에 관한 조사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다학제적 접근으로 전공별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방법, 필수적 교육 내용, 평가 방법 등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환자안전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Objective : It is essential for students in the health care professional discipline to get enough education on patient safety regarding its concept, knowledge, and skills, as they are soon to work with patients upon completing graduation. We sought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existing literature on patient safety programs in undergraduate and pre-registration courses, and also to provide evidence for future direction in developing school based curricula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South Korea. Methods : Various online databases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from January 2001 to April 2016 which included 6 international DB sources (Ovid-Medline, Ovid-EMBASE, PubMed, Cochrane, ERIC, and Academic Search Premier) and 5 Korean DB sources (KoreaMed, KMbase, KISS, RISS, KisTi), with keywords of “patient safety” AND “educational, medical” or “educational, nursing” or “educational, dental” or “educational, pharmacy” AND “curriculum management”. For review, 25 papers were finally selected from the initial group of 12,561. Among the final 25 papers selected, 10 were from medical education, 7 were from the nursing area, 1 was from pharmacy education, and the remaining 7 papers were interdisciplinary. Results : We categorized the patient safety programs into methods, contents, and evaluation. Methods varied including lectures, small group discussions, role plays, simulations, and problem based learning(PBL). Contents were also varied including knowledge, medical error theory, root cause analysis, case studies,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etc. Evaluation was usually conducted by pre-post surveys, in which the improvement in knowledge and attitude of students on patient safety issues through the education was revealed. Conclusion : Our review suggests that we should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patient safety courses and develop a national framework for undergraduate/pre-registr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especially through an inter-professional team work approach.

      • 여성의 건강리터러시와 건강행동

        천희란 ( Chun Heeran ),박은자 ( Park En-j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보건복지포럼 Vol.321 No.-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부터 노년기 여성 인구를 대상으로 생애주기와 특성에 따른 건강리터러시 수준을 알아보고, 건강리터러시와 8가지 건강행동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단일문항 건강리터러시를 사용한 분석 결과 한국 여성의 24.6%가 건강리터러시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 연령별로 큰 차이가 나타났다. 우리나라 여성의 건강리터러시 위험은 16~64세에 비해 65세 이후 현저하게 높아진다. 75세 이상 후기 고령자의 경우 약 60%에서 건강리터러시 문제가 있다. 건강리터러시가 낮은 그룹은 모든 연령대에서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고, 건강행태가 나쁜 경향을 보인다. 건강리터러시는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현재 및 과거 흡연, 고위험 음주, 신체활동, HPV 예방접종, 자궁경부암 검진, 유방암 검진’ 지표에서 생애주기별 차이가 있다. 건강리터러시의 영향을 고려하여 건강행태와 건강수준을 개선하는 정책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건강형평성과 여성 건강 증진을 위해 다양한 영역에서 건강리터러시 근거가 있어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assess women’s health literacy levels and health literacy characteristics from a life-course perspective,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eight health behaviors. Analysis using a single-item health literacy measure (SILS) revealed that 24.6% of Korean women had ‘limited’ health literacy, with significant variations observed across different age groups. The risk of low health literacy among Korean women notably increased after the age of 65 compared to the 16-64 age group, and among older adults aged 75 and above, approximately 60% experienced health literacy problems. The group with low health literacy showed lower subjective health levels and appeared to engage in poorer health behaviors across all age groups.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literacy and health behaviors varied across different life stages, as evident in indicators such as current and past smoking, binge drinking, physical activity, HPV vaccination, cervical cancer screening, and breast cancer screen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evidence-based health literacy programs in various domains to promote health equity and improve women’s health.

      • KCI등재
      • KCI등재

        노년기 남녀의 주관적 건강 수준에 대한 생애과정적 고찰

        천희란(Chun, Heeran),김정석(Kim, Cheong-Seok) 한국인구학회 2016 한국인구학 Vol.39 No.3

        본 연구는 노년기 주관적 건강수준을 생애과정적 관점에서 논의해 보고자 한다.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은 노년기 삶의 질을 대변하는 한편, 노년 사망의 주요 예측치로 알려져 있다. 노년기 건강은 노년기와 그 이전 삶의 단계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차이가 나며, 생애과정에 걸쳐 지속되고 누적되는 성격을 띠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주목하여 현재 노인들의 유년기, 청 · 장년기, 노년기 사회경제적 지위가 갖는 효과를 생애단계별로 구분해보고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노년기의 건강수준에 이를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다. 또한, 건강과 사회경제적 지위를 둘러싼 삶의 궤적은 남녀간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생애단계별 사회경제적 지위의 효과를 성별로 살펴보는 작업이 동시에 요구된다. 경험적 분석을 위해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2007~2009년)를 활용하였다. 이 자료에는 부모의 교육이나 직업 등 유년기 환경과 관련된 지표가 포함되어 있다. 주관적 불건강에 대한 로짓회귀분석 결과, 청·장년기와 노년기 현재의 사회경제적 위치 효과가 유년기의 효과를 대체 혹은 포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유년기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년까지 직접적인 효과를 가지기 보다는 청장년기의 그것으로 이어지고 흡수된 결과로 이해된다. 이 패턴은 대체로 남녀에게 공통적으로 발견되기도 하지만, 여전히 성별에 따라 차별적인 모습도 보인다. 본 논문은 노년기의 건강상태를 현재의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건강행위와 더불어 개인의 삶의 궤적을 통해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재확인시켜준다. This study approached health in old age through a life course perspective. Self-rated health is widely known to reflect one"s general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serve a valid predictor of mortality. Socioeconomic status not only affects health in later life, but the effect persists and accumulates through one"s life. In employing a life course approach, we focus on the effect of one"s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by life stages - early life, adult life, and old age. The socioeconomic impact on health is also determined by gender, so we conducted the analysis by gender separately. We utilized a representative sample of people aged 60 to 79 from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with variables for the early life environment such as parental education and occupation.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early life effect appeared to be associated with adult socioeconomic status, not directly on the effect of health in later life. This also showed gender differential patterns in some associations. Our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one"s life course trajectory, along with gender, to understand one"s health in later life.

      • KCI등재

        고령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 측정도구 타당화

        천희란 ( Heeran Chun ),조성일 ( Sung-il Cho ),김일호 ( Il-ho Kim ) 대한보건협회 2018 대한보건연구 Vol.44 No.4

        연구목적: “건강정보이해능력은 개인이 보건의료 관련 의사결정을 스스로 하는데 충분한 건강정보와 보건의료서비스를 제대로 얻고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고령자는 건강정보이해능력이 특히 취약한 인구집단이다. 이 연구는 Chew 등이 개발한 척도를 적용하여 우리나라 고령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자료는 단면조사로 수집된 2016년 ‘서울 고령자 건강과 기능조사’ 60~79세 725명 응답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를 무작위로 두 표본으로 나누어 표본 A (n=400)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분석에 사용하고, 표본 B (n=325)는 확증적 요인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번역-역번역, 전문가 교차검토 등을 통해 최종 12문항으로 구성하였고, 내적신뢰도 분석을 통해 최종 8문항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8개 설문문항은 2개의 요인 구조를 보였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았다(KMO=.872, Bartlett's χ<sup>2</sup>=2431.248, df= 28, p<.001). 확증적 요인분석은 추출된 이 두 요인 구조(건강정보 “이해” 와 건강정보 “활용”)의 구성타당도가 충족되는 결과를 보였다(χ<sup>2</sup>=53.386/df=19, GFI=.960, CFI=.979, TLI=.969, RMSEA= 0.075). 결론: 본 연구는 이 도구가 고령자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타당도가 있음을 증명한다. Objective : Health literacy (HL) i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individuals have the capacity to obtain, process, and understand basic health information and services needed to make appropriate health decisions.” Being old is one of the main risk factors with limited health literacy. This study aims to adapt Chew’s health literacy scale into the Korean language and validate the scale for the use of the elderly. Methods : Data were drawn from the ‘2016 Seoul Survey on Elderly Health and Functional Assessment, which includes a total of 725 people aged 60 to 79. The sample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of the modified Chew’s scale of 8 items. The Korean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group translation, expert reviews, and forward-backward translatio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assess and valid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Results : Results suggest the two-factor structure (“Understanding” and “Applying” of HL) with 8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of the first sample (n=400) revealed that the internal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high (Cronbach`s α=.904). Principal axis factoring extracted two factors (“Understanding” and “Applying” of HL) and explained 78.3% of total variance (KMO=.872, Bartlett's χ<sup>2</sup>=2431.3, df= 28, p<.001).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econd sample (n=325) was performed and the two-factor model was supported (GFI=.960, CFI=.979, TLI=.969, RMSEA= 0.075). Conclusions :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adequate criterion and validity of the health literacy scale for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