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어교육에서의 속담 활용방안 연구

        강명구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tudy of Utilization Plans of Saying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Kang Myung-Gu Major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Education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ummary Education in the coming future society will encounter a changed age in which creative and original thinking and humanity-related culture are highly recognized and applied, away from the age focused on one's deduction capacity based on mere memorization of knowledge. The subject matter which perfectly goes in tune with the times of changes would be "sayings." In the sayings or proverbs, there are not only wisdom of life but also lessons and rules of management of life of ancient virtuous people. What expresses the truth and path of life in the most creative and original way is the very sayings. For this reason, the appropriate use of sayings and education of proverbs will surely play a role as a cornerstone for the progress as a competent person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However, saying are exposed to a critical situation in which they are about to become obsolete due to the problems of practicality and usage. In reality, students consider educational sayings a language of the inflexible ancient people, without knowing the true meaning and the way to apply them in life. This means that appropriate usage and teaching of proverbs have not been provid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discuss the plans how to apply saying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rstly, by classifying the concept of sayings into dictionary definition and academic definition, this study synthesized the meaning as "a daily language expressing lesson, wisdom, truth and values of life handed down among people since early times." Secondly,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sayings relevant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to five. Th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ayings consist of metaphoric expressions, they have didactic and satirical meanings based on pragmatism. they give an intellectual and emotional impulse in an instantaneous way for the expression is simple and concise, they reflect the phases of the times of which they were created, and they contribute to smooth communication. Thirdly, based on thes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ce of sayings from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erspectives were studied by dividing them into the aspect of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hat of creative education. Fourthly, by extracting sayings included by all publishers the first-year middle school textbooks, which were newly edited in 2018 in accordance with the amended curriculum of 2015, this study inquired about the current status and analyzed them. Fifthly, based on the three significances of sayings from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vision, this study proposed plans to apply saying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each theme. For utilization plans as a literature education, this study largely proposed storytelling and proverb literature creation. At the same time, regarding utilization plans as a communication education, it proposed different types of learning such as proverb vocabulary learning, proverb expression learning and proverb writing learning. For utilization plans for creative education, it proposed application plans consisting of proverb creation and proverb application. Lastly, by selecting education-purpose proverbs through sorting some educational sayings which are considered insufficient in the first-year middle school textbooks, this study attached them as an appendix. When it comes to proverb education, the necessity and values of sayings are recognized and occasionally appear in the textbooks. However, in reality, proper teaching is not provided due to the limited designation of class hours and degree of importance. Nonetheless, as we can see in the significance of sayings from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vision and the characteristics, proverbs will be the most appropriate and desirable subject matter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ursuit of creative and talented people required for the future society. Considering this, it will be essential that studies on how to teach appropriate saying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w to apply them in reality should continue, and proper proverb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the real education field based on such studies. · Keyword : say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literature educ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creativity education 국어교육에서의 속담 활용방안 연구 강명구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앞으로 다가올 미래사회의 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암기하여 도출해내는 능력을 평가받는 시대에서 벗어나 창의적이고 독특한 사고와 인문학적 소양을 평가받고 활용하는 시대로의 변화를 맞이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시대에 가장 잘 어울리는 국어교육의 소재가 ‘속담’이다. 속담은 옛 선인들의 삶의 지혜, 인생을 살아가는 처세의 교훈이 담겨있다. 그 삶의 진리와 인생의 길을 가장 창의적이고 독창적으로 표현한 것이 바로 속담인 것이다. 그러므로 적절한 속담의 활용과 속담 교육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로의 발전에 주춧돌 역할을 할 것이다. 하지만 속담은 그 실용성과 활용상의 문제로 점점 사어(死語)가 되어가는 세태에 놓여있다. 현장에서의 학생들은 교육 속담에 대해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삶에서 활용하는 방법을 모른 채 고지식한 옛 사람들의 언어로만 치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국어교육에서의 적절한 속담 활용 및 지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고에서는 국어교육에서 속담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속담의 개념을 사전적 정의와 학문적 정의로 나누어 속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져 내려오는 교훈과 지혜, 삶의 진리와 가치를 담아 표현한 일상의 언어’라고 그 의미를 종합하였다. 둘째, 속담의 특성을 국어교육과 관련하여 다섯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속담은 비유 표현으로 되어 있다는 것, 교훈적·풍자적 의미를 화용론적으로 지니고 있다는 것, 단순하고 간결한 표현으로 되어 있어 순간적으로 지적·정적 충동을 줄 수 있다는 것, 생성된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 의사소통을 훨씬 부드럽게 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셋째, 이러한 개념과 특성을 바탕으로 속담의 국어교육적 의의를 문학 교육적 측면과 의사소통 교육적 측면, 창의성 교육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넷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새로 간행된 2018 검·인정 교과서 중학교 1학년 전 출판사의 수록 속담을 발췌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다섯째, 속담의 세 가지 국어교육적 의의를 바탕으로 각 주제에 맞게 국어교육에서 속담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학 교육으로서의 활용방안은 크게 속담 스토리텔링, 속담 문학 창작을 제시하였고, 의사소통 교육으로서의 활용방안은 속담 어휘 학습, 속담 표현 학습, 속담 쓰기 학습으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창의성 교육으로서의 활용방안은 속담 창작하기, 속담 응용하기로 나누어 속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부족한 교육 속담을 나름의 분류를 통하여 교육용 속담으로 선정하여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속담 교육은 그 필요성과 가치가 인정되어 간간이 교과서에 등장하고는 있지만 수업의 시수, 중요도 등에 따라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속담은 그 특성과 국어교육적 의의에서 알 수 있듯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의 모색에 가장 적절하고 바람직한 국어교육의 소재가 될 것이다. 따라서 국어교육에 있어 적절한 속담의 지도 방법과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적절한 속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주제어 : 속담, 국어교육, 문학 교육, 의사소통 교육, 창의성 교육

      •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의 사출성형에 있어서 웰드부의 섬유배향에 미치는 금형형상의 영향

        강명구 조선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Injection molding is the most widely used process for the industrial forming of plastic articles. During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of composites, the fiber-matrix separation and fiber orientation are caused by the flow of molten polymer/fiber mixture. As a result, the product tends to be nonhomogeneous and anisotropic. Hence, it is very important to clarify the relations between separation orientation and injection molding conditions. So far, there is no research on the measurement of fiber orientation using image processing.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iber content ratio and molding condition on the fiber orientation-angle distributions are studied experimentally. Using the image processing method, the fiber orientation distribution of welding parts in injection-molded products is assessed. And the effects of fiber content and injection mold shapes on the fiber orientation in case of fiber reinforced polymeric composites are studied experimentally.

      • 초등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각화 특성 비교

        강명구 경인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초등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각화 특성 비교 강명구 과학영재교육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화 활동지 결과를 분석하여 초등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시각화 특성을 정성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경기도 H시에 위치한 K초등학교 6학년 중 영재학급 소속 남학생 1명, 여학생 1명과 일반학급 소속 남학생 1명, 여학생 1명으로 총 4명의 학생을 예비 연구 및 사전 면담을 통하여 선발하였다. 학생들의 시각화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활동지는 2009 개정 교육과정 6학년 1학기 과학의 ‘렌즈의 이용’ 단원과 ‘여러 가지 기체’ 단원을 선정하여 개발하였다. 분석틀은 과학영재 창의력 평가틀, 창의적 문제 해결 평가틀, 창의적 표현력 평가항목의 세부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후 과학에서의 시각화 활동을 기준에 따라 10가지로 분류하여 두 집단의 활동지 결과를 정성적으로 살펴보았고 추가적인 이해가 필요한 내용은 심층면접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화 표현 방법의 활동별 결과를 비교했을 때 초등 과학영재학생은 시각화특성의 하위요소 중 독창성, 융통성, 정교성에서 일반학생보다 우수하였다. 둘째, 실험 수업 단계별 활동결과를 비교했을 때 초등 과학영재학생은 시각화특성의 하위요소 중 민감성, 유창성, 융통성, 정교성에서 일반학생보다 우수하였다. 주요어: 시각화 특성, 초등학생, 과학영재, 일반학생 ABSTRACT Comparison of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about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KANG, Myung-Gu Major in Science Gifte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compare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by analyzing visualization activity results.   For this study four 6th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through preliminary study and pre- interviews. The activity area for students' visualization was developed by selecting the 'Use of Lens' and' Various Gases' section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6th Grade, and 1st semester science.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with details of Scientific Gifted Creativity Evaluation Framework, Creative Problem Solving Evaluation Framework and Creative Expression Evaluation. After that, visualization activities in science were classified into 10 categories according to criteria. The results of the activities of the two groups were examined qualitatively. And the contents that need further understanding were confi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visualization methods by activity,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superiority in creativity, flexibility and elaboration among the sub - elements of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Second,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activities of the experimental classes, the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superiority in sensitivity, fluency, flexibility and elaboration among the sub - elements of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Key words: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gifted students, general students

      • 로베르트 무질의 "통카"에 나타난 이성과 신비의 통합

        강명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Die vorliegende Arbeit geht davon aus, daβ die Synthese von Rationalita¨t und Mystik in Musils Dichtung eine groβe Rolle spielt. In seiner Novelle "Tonka" steht besonders dieses Problem im Mittelpunkt. Robert Musil glaubt, daβ der Menschengeist einer Zweiteilung unterzogen ist, die gegenseitigen Einfluβ ausu¨bt. Den einer der beiden Zusta¨nde kennt men als Normalzustand, eine Welt, in der alles von der Rationalita¨t genau bestimmt wird. Der andere ist derjenige Zustand, den man durch die Rationalita¨t nicht begreifen kann, also eine mystische Welt. Musils Meinung nach ist das Verhaltnis von Rationalita¨t und Mystik eigentlich nicht ein so streng getrenntes, sondern ein komplementares. Musil ist der Meinung, daβ sich die Geschichte der Menschheit mit der Wechselwirkung der beiden Bereiche entwickelt. Aber durch die Ent-wicklung der Naturwissenschaft und Industrie wird nur die Rationalita¨t hervorgehoben. Daher geraten Menschen und Gesellschaft in Widerspruch. Musil behauptet, daβ man die widerspruchliche Realita¨t uberwinden kann, insofern sich die beiden Bereiche vereinigen. Also ist das Ziel in der Dichtung Musils eine Suche nach der Synthese von Rationalita¨t und Mystik. In der Novelle "Tonk a" fuhrt Musil seine dichterische Idee aus. In "Tonk a" geht es besonders um den Prozeβ, daβ sich der rationale Held von der einseitigen Wirklichkeit befreit und einer mystischen Welt begegnet. Diese Arbeit bescha¨ftigt sich mit der Analyse der Personen, um diesen Prozeβ zu betrachten. Zuerst geht es um die Betrachtung u¨ber Tonkas Stummheit und Einfachheit, aus denen Tonkas mystische Wesensmerkmale bestehen. Das Resultat daraus ist, daβ Tonkas Stummheit eine Sprache des Ganzen und ihre Einfachheit eine tief geistige Existenz ist. Zweitens geht es um die Betrachtung des Charakters des rationalen Heldes. Er ist Wissenschaftler, der nur die Rationalitat fur die Wahrheit ha¨lt. Er ist gegen Gefu¨hl und alles Nichtrationale. Mit der Erscheinung von Tonka wird er mit dem Konflikt konfrontiert, aber letzten Endes erkennt er die Existenz der mystischen Welt an und es gelingt ihm, die beiden Bereiche zu versohnen. Musil betont also in dieser Novelle nachdruck1ich : nur wenn man in der Vereinigung der beiden Bereiche, Rationalita¨t und Mystik, lebt, kann man die unharmonische Wirklichkeit u¨berwinden und Mo¨glichkeit zu unendlicher Entwicklung finden. Also ist der Versuch Musils nach der Synthese von Rationalita¨t und Mystik ein Produkt seiner Gesinnung, durch die Dichtung eine mystische Welt zu verko¨rpern.

      • MOCVD법에 의한 변형된 다중 양자우물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작 및 특성

        강명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dified Multi-Quantum Well(MMQW) structures have been grown by Metal-Organic Chemical Vaopor Deposition (MOCVD) method and stripe-type MMQW laser diodes have been fabricated.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se laser diode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case of GaAs/AlGaAs superlattice and quantum well growth by MOCVD, the periodicity, interface abruptness. Al compositional uniformity and layer thickness have been confirmed through the shallow angle lapping technique, double crystal x-ray diffractometry (DCXD) and photoluminescence(PL) measurement. Stripe-type MMQW laser diodes have been fabricated using the process technology of photolithography, chemical etching, ohmic contact, back side removing and cleaving. As the result of the electrical and optical measurement of these laser diodes, we have achieved the series resistence of 1Ω~5Ω by current - voltage measurements, the threshold current of 200~300mA by current - light measurements and the lasing wavelength of 8000~8400Å by lasing spectrum measurements.

      • 제17대 국회 e-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 국회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강명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4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고도 정보사회로의 진입은 기존 대의제 민주주의와 정치과정의 문제점들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다양한 기제들을 창출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을 통한 e-정치참여의 활성화 가능성은 초미의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이같은 배경에서 많은 전자민주주의 연구자들은 ICTs가 심의를 촉진하여 민주주의의 수준을 제고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탐문해왔다. 이들의 이러한 문제의식은 단순히 신속하고 충실한 정보의 제공 및 자유로운 토론을 넘어서, 제기되는 의제들에 대하여 시민들이 공공선을 위한 심도 있는 대화와 토론을 통하여 실질적인 의사결정 주체로 거듭날 때 진정한 전자민주주의가 실현될 수 있다고 보는 신념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연구는 제17대 전자국회를 대상으로 e-정치참여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 분석 대상으로는 정보 습득, 토론, 제안, 청원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정보마당, 참여광장, 민원광장의 3가지 주요 메뉴를 선정하였다. 우선 정보제공 측면에 대하여서는 정보의 범위, 양, 질, 방법을 기준으로 정보마당의 법률, 회의, 정책정보 메뉴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의사소통 측면에 대하여서는 의사소통의 범위, 양, 질, 방법을 기준으로 참여광장의 하위 메뉴인 열린게시판, 토론마당, 정책제안, 여론조사, 국회포럼 및 민원광장의 국회민원 메뉴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특히 정보제공기능에 비해 e-정치참여와 본질적인 연관을 가지고 있는 의사소통기능의 분석에 보다 역점을 두었다. 그리고 이 연구는 미국과 스코틀랜드 등 해외 전자국회 사례들을 참조ㆍ비교함으로서 분석의 적실성을 기하였다. 이와 함께 부가적으로 각 장의 소결과 결론에서 전자국회 개선과 활성화 방안을 제언함으로서 e-정치참여를 제도화하는데 실증적으로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두 측면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자국회의 정보제공은 투명성과 개방성을 담보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공급자 중심의 메카니즘이 고착되어 있다. 전자국회의 정보제공은 정보의 축적과 업데이팅 수준에 있어서 대체로 국제의원연맹(Inter-Parliamentary Union)이 제시하는 일반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자국회는 회의록, 의안정보 등에 대한 상세한 내용들을 제공함으로서 개방성과 투명성을 제고시키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정보제공 방법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예컨대, 회의관련 정보제공의 회의록과 국정경과 보고서는 PDF 파일로 모든 내용을 제공되고 있는 반면, 주제별 상임위별 등의 분류가 제공되고 있지 않아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정보 제공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둘째, 전자국회의 의사소통은 민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시민들간 그리고 시민ㆍ국회간에 있어서 대단히 취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의사소통의 범위, 양, 질, 방법을 기준으로 열린 게시판, 정책제안, 여론조사, 토론마당, 국회포럼, 국회민원을 측정하였다. 열린 게시판, 토론마당, 정책제안 등 시민들 간의 의사소통 기능은 기본적으로 의사소통 주체들 간 상호작용적 의사소통이 거의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다. 열린게시판의 경우 다른 메뉴들에 비해 특히 참여자수가 적었으며 비논리적인 의견과 비방과 욕설이 비등하였다. 토론마당의 경우 회원으로 가입한 참여자들이 토론방을 개설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으나, 주제별 토론방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고 분류별 검색기능 또한 제공되어 있지 않다. 정책제안의 경우 전반적으로 시민들 간의 댓글이나 추천 등이 간헐적으로 보이기는 했으나, 시민 의견에 대한 국회의 응답은 전무하였다. 상대적으로 정책제안은 모든 의사소통 메뉴들 중에서 시민참여가 가장 활발한 공간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제안의 내용들을 살펴본 결과, 중복되는 정치적 의제가 상당수였을 뿐만 아니라, 글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비논리적인 찬반을 표출하는 등 이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들(댓글과 추천 등)도 질적으로 저조하였다. 특히 시민들의 정치적 대리인이라 할 수 있는 국회의원들의 경우 전혀 의견을 개진하지 않고 있어 시민ㆍ국회간 실질적인 의사소통 창구로 기능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민원광장은 의사소통 메뉴들 중에서 거의 유일하게 국회에서 시민들의 의견에 반응을 표출하고 있는 메뉴이다. 민원광장에서는 시민의 민원 접수 시 소관위원회나 담당부서로 민원 내용을 송부하고, 처리결과를 게시판을 통해 통지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렇지만 민원을 제기하는 당사자만이 글을 기재하게 함으로 다른 시민들과의 상호작용이 구현되지 못하고 있다. 이 같은 측면들에 기대어보건대, 결국 전자국회를 활용한 시민참여적 정책결정과정은 요원한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eems to contribute to inventing new devices that can possibly solve often-discussed limitation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political process overall.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of the realization of e-political participation has drawn special attention among scholars. Regarding the possibility, many scholars have raised a question of whether ICTs(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an indeed enrich the process and content of deliberation and thus increase the level of democracy. Raising such a question is important because true e-democracy becomes a reality only when citizens are able to excercise substantive decision-making power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and deliberation for the grand goal of public good.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political participation of the 17th National Assembly appeared on its internet homepage on line. For this purpose, it focuses on three important boards of the homepage - 'the information board (jeongbo madang)', 'the participation board (chamyeo kwangjang)', 'the civil petition board (minwon kwangjang)' - which have been designed to provide cyber spaces for information gathering, discussion, proposal, and petition. As measures for the analysis, two aspects - information service and communication - are primarily considered. Information service concerns the scope, quantity, quality, and method of information used to analyze the sub-categories of 'the information board,' such as legal, seminar, and policy information.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concerns the scope, quantity, quality, and method of communication used to analyze the sub-categories of both 'the participation board,' such as the open bulletin board, the chatting room, policy suggestion, the public opinion survey, and the National Assembly forum and 'civil petition board,' such as the opera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civil petition. The thesis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communication measure (compared to information service measure) since analyzing communication level is closely related to the essential feature of e-political participation. In addition, this thesis further researches on the status of the electronic National Assemblies in the United States and Scotland. The comparative case study would be helpful to enrich ou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ase. Also in the conclusion chapter and the conclusion section of each chapter, I ad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electronic National Assembly and the activation plan, which would contribute to institutionalizing e-political participation in real life. Two significant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electronic National Assembly provides transparent and open information, its operation mainly depends on a supplier-centered mechanism. The electronic National Assembly meets the general standards of the International Parliamentary Union concerning the accumulation and updating of information. Further it increases the levels of transparency and openness by disclosing the detailed contents of assembly records and proposed bills. It, however, exposes some problems in its method for the information service. For example, since provided information is not well categorized into subjects or committees, citizens who would like to search for a specific sort of informations feel inconvenience. Second, with exception to the civil petition, the communication level among citizens and between citizens and the assembly is generally low. In the analysis of the sub-categories of 'the participation board' (including the open bulletin board, the chatting room, and policy suggestion), it finds that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level among citizens is particularly low. As for the open bulletin board, for example, the number of participants are relatively small and, further more, libels and curse words are frequently found on the board. In the case of the chatting room, although it allows participants to have rights to create their own chatting rooms, it does not provide a keyword-based search system and a subject-based chatting room. Concerning policy suggestion, there are cases where citizens voluntarily propose their policy suggestions on the board, but the cases where the National Assembly response to citizens' suggestions are rarely found. That is, although citizen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olicy suggestion board, their participation itself is not sufficient to reach the level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and among citizens and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t seems that 'the civil petition board' is the only board where the National Assembly officially response to citizen's opinions on the board. However, when the Assembly received citizen's petitions, it directly pass over it to a relevant department or subcommittee who takes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delivering a procedural notice of the petition received to the citizen. Since the person who proposed the civil petition only receives the notice, interactive communication among other citizens fails to take place on the board. To conclude, given above-mentioned weaknesse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ough the electronic National Assembly would seem to be far from reality at least for now in Korea.

      • 비정규성 데이터에 대한 단일 관리도의 비교

        강명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비정규성 데이터에 대한 단일 관리도의 비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정보통계학과 정보통계학전공 강 명 구 지도교수: 이 장 택 제조·품질 및 여러 분야에서는 숫자로 측정된 다양한 품질 특성치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는 이를 위해 품질 특성치를 이용하여 그들의 공정을 이해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시된 관리도는 공정의 이상 유무를 탐지하기 위해 1926년 Shewhart가 고안을 하였으며, 1990년대 후반에는 Shewhart 관리도보다 계산이 편하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일 관리도(Single Chart)가 제시되었다. 단일 관리도는 품질특성치의 중심과 산포를 하나의 통계량으로 관리하며 반원관리도(Semicircle Control Chart), 최대관리도(Max Chart), 최소제곱오차관리도(MSE Chart) 등이 이에 해당한다. 단일 관리도는 Shewhart 관리도와 동일하게 품질특성치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만 실제 현장의 품질 특성치 데이터들은 오른쪽으로 꼬리가 긴 분포를 따르거나, 좌우대칭이지만 양쪽 꼬리가 두터운 형태의 분포를 따르는 경향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품질 특성치가 정규분포, 자유도가 3, 5, 10인 카이제곱분포, 자유도가 5, 10, 30인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고 부분군의 크기 변화, 품질특성치의 중심 변화에 따른 가짜 알람률(False Alarm Rate, FAR) 측정을 통해 단일 관리도가 비정규 분포에서 얼마만큼의 성능을 나타내는지 비교평가 하였다. 분석결과 공정이 안정 상태를 가정했을 때, 정규분포에서는 관리도의 성능차이가 대동소이했으며, 카이제곱분포에서는 자유도와 상관없이 최대관리도의 성능이 좋고, -분포에서는 자유도가 클수록 최대 관리도의 강건성이 높았다. 반대로 공정이 불안정상태 일 때를 가정했을 때, 정규분포에서는 최소제곱오차 관리도, 카이제곱분포에서는 자유도와 부분군 크기 이 증가할수록 최대 관리도가 우수했으며 분포에서는 자유도가 증가할수록 최소제곱오차 관리도의 공정이탈 감지가 빨랐다. 또한 정규분포에서는 반원관리도, 카이제곱분포에서는 최소제곱오차 관리도가 제 1종 오류 에 대해 편의가 큰 것을 확인하였으며 부분군의 크기 이 증가할수록 중심이동이 동일할 때 빠르게 공정이탈을 탐지하였다.

      • RUUS(Radial Underwater Ultrasonic Sensor)를 이용한 수중 장애물 검출

        강명구 관동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수중 로봇의 자율주행을 위해 RUUS를 이용하여 수중 장애물의 형태를 검출하고 위험거리를 판단하는 장애물 형태 검출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중 로봇의 자율 주행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첫 번째로 RUUS에 의해 수중 장애물의 형태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수중 장애물의 형태 형태를 검출하기 위해 x축 서보모터와 y축 서보모터 그리고 수중용 초음파 센서를 결합한 RUUS를 이용하여 수중 장애물의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형태를 검출하게 되고, 검출된 거리 중 가장 가까운 거리를 위험거리로 판단하며, 삼각함수의 제2 코싸인 법칙을 이용하여 검출된 장애물의 폭(width)을 예측할 수 있다. 수중 로봇과 장애물의 거리에 따라 장애물 형태 검출 시 필요한 각도는 7m 거리에서는 0.43도, 5m 거리에서는 0.63도, 3m 거리에서는 1도 간격으로 장애물을 검출할 때 실물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검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인터넷이 정치참여 변화에 미친 영향 : 15대, 16대 대선의 비교

        강명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contradict to general opinion about the role of Internet to political participation. Many scholars say that the spread of Internet use makes grow political participation. They verify with various way but that have some mistakes. So this thesis try different way to analyze the influence of Internet. It is hard to find out causal relation between Internet and political participation directly. with this reason, this thesis compare a difference of the feel efficacy, fairness and interest at the 16th with 15th presidential election by T-Test with SPSS. As the analysis result, the feel of efficacy, fairness and interest of 16th electors are lower than 15th. With this result, I cannot trust the existing general opinion. Then, Why using Internet cannot make enlarge the political participation even though it has many advantages? The cause is that most of the Internet users don't use Internet for political purpose. In addition, the people who obtained political information from Internet have been interested in political affairs. In conclusion, the spread of Internet use does not make enlarge the political participation. It just make deeper one's interest who has interest in political affairs alrea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