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약에 나타난 가족의 가치와 규례 - 공관복음, 바울서신, 베드로전서를 중심으로 -

        강대훈 ( Kang Daehoon ) 한국교회법학회 2021 교회와 법 Vol.8 No.1

        본 논문은 공관복음, 바울서신, 베드로서신에 나타난 가족의 가치와 규례(또는 윤리)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우리는 가정의 규례가 담긴 신약의 본문들을 연구함으로써 하나님이 원하시는 모범적인 가정의 모습을 재구성할 수 있다. 이런 접근을 위해서는 신약이 기록된 당시의 그리스-로마와 유대 문헌을 살피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배경 자료와 신약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통해 우리는 신약 저자들이 강조하는 가족의 모습과 규례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근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관복음의 치유 사건들은 가족 구성원(딸, 아들 등)의 회복을 통해 가족을 위로하고 회복하는 예수의 관심과 긍휼을 묘사한다. 예수께서 실현하신 하나님 나라는 가족을 수단과 도구로 삼는 나라가 아니라 가족을 회복하는 나라다. 둘째, 남편과 아내를 위한 규례는 공관복음과 서신서(예, 고전 7:3-5; 엡 5:22-25; 골 3:18-19; 벧전 3:1-7)에 나타나고 하나 됨과 상호 헌신을 부부의 가치로 여긴다. 셋째, 평등의 부부 생활의 기본 가치다. 부부는 생명의 은혜를 받는 ‘공동상속자’라는 점에서 평등하다(벧전 3:7). 넷째, 상호 헌신과 존중의 정신은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에도 적용된다. 부모를 공경하는 자녀에게는 복이 약속되며, 부모는 자녀를 존중하고 양육하기 위해 헌신해야 한다. 다섯째, 신약은 형제애를 실천한 가족의 구체적 사례를 제시하기 보다는 형제애를 실현하는 교회의 모습에 관심을 둔다. 가족은 교회의 상호 헌신과 존중을 하나님의 가족을 위한 모본으로 삼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호 헌신과 상호 존중은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적용되는 가족 윤리의 본질이다. 그리스-로마 환경에서 기록된 서신에서 바울과 베드로는 가족의 구성원들이 상호 섬김과 존중의 규범 아래 자신들의 위치(예, 남편, 아내, 자녀, 종)에 합당하게 행동하고 책임을 다하도록 권면한다(골 3:12-4:6; 엡 5:21-6:9; 벧전 2:13-3:7; 딤전 2:8-15; 딛 2:2-10). 가족의 회복과 건강함은 하나님 나라 도래와 확장의 증거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idea of family values and the household code in the New Testament, and explores the way biblical traditions are used for construing teachings to members of the family.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Greco-Roman and Jewish backgrounds for understanding the form and content of family codes in the New Testament writings. This study is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healing ministry of Jesus shows that the restoration of family member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Kingdom of God. In his Kingdom Jesus heals and comforts children and parents in especially difficult circumstances. Jesus who upholds family ties makes the household vital to his vision of God’s Kingdom. Second, the New Testament writers emphasize the unity of the one flesh (Matt 19:3-12; cf. Gen 1:1; 1:27) and mutual submission and commitment in marriage (1 Cor 7:3-5; Eph 5:22-25; Col 3:18-19; 1 Pet 3:1-7). Equality is also seen as the basic value of marriage in the Epistles as both husband and wife are co-heirs who will inherit the grace of life (1 Pet 3:7). Third, the mutual commitment is the core household code for parents and children (e.g., Eph 5:3; 6:1-9; cf. Matt 15:6-7; Mark 7:9-13; Rom 1:30; 1 Tim 5:4, 8; 2 Tim 3:2). Fourth, the brotherhood-like nature of the early Christian fellowship (e.g., “mutual commitment”), which was very important in the ancient Jewish and Greco-Roman household codes, provides an ideal model for both Christian and non-Christian brothers and sisters (e.g., Acts chaps. 2-4). Finally, the mutual submission and commitment of believers which is dominant in the Christian community as a whole is applied to all members of the household (e.g., Col 3:12-4:6; Eph 5:21-6:9; 1 Pet 2:13-3:7; 1 Tim 2:8-15; Tit 2:2-10).

      • KCI등재

        마태복음의 우주론

        강대훈(Daehoon Kang)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4 Canon&Culture Vol.8 No.2

        본 논문은 우주론이 마태복음의 신학적 주제를 위해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하늘 표상과 상징성을 사용한 것에 제한해서 연구한 것이다. 필자는 마태복음의 하늘 이해에 기여한 페닝톤과 거트너와 심이 배경연구에서 간과한 부분을 광범위하게 연구했으며, 이들이 일부분에 적용한 하늘의 기능을 마태복음을 ‘전체로’ 읽으면서 일곱 내러티브 단락의 각 주제와 연결해서 분석했다. 필자는 하늘이 마태와 독자의 공동언어라는 전제 아래 구약과 제2성전기 유대교의 하늘에 대해 연구했다. 하늘은 하늘의회가 모이는 곳이며, 성전은 소우주이며, 대제사장은 보이지 않는 하늘을 상징하는 지성소에 들어가는 것으로 권위를 부여 받는다. 제2성전기 유대 묵시문헌과 사해문서는 구약과 달리 하늘 세계와 인생의 운명에 지대한 관심을 보인다. 유대 문헌의 시기에 따라 하늘에 대한 인식의 다양성이 발견되지만, 전반적으로 상을 받는 장소(주로 하늘)와 형벌의 장소가 대립적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인생의 이중 운명을 강조하기 위함인데, 이 점은 마태복음의 우주론과 주제를 이해하는 데 핵심 배경이다. 필자는 내러티브 접근을 마태복음 본문을 읽는 방법론으로 선택하고 하늘에 대한 배경 연구 결과를 적용했다. 내러티브 관점에서, 마태복음에서 하늘은 사건이 벌어지고, 주인공들의 신분을 계시하고, 하늘의 관점을 전해주는 공간적 영역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마태복음은 하늘 표상과 상징성을 각 내러티브의 주제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태복음 구조의 핵심이 되는 다섯 강화는 각각 최후 심판을 주제로 끝을 맺으며, 이 주제는 하늘법정의 표상과 연결되고, 양과 염소의 비유(25:31-46)에서 절정을 이룬다.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function of cosmology in Mathtew’s Gospel, focusing on Matthew’s use of heavenly imagery and symbolism. I seek to establish the argument that Matthew’s language of heaven is not merely a circumlocution for God but that it draws on a Jewish apocalyptic milieu which would have been common-place in Second Temple Judaism, so that it is possible to interpret Matthew’s use of the word “heaven” against a background of heaven as a spatial reality in which there is a heavenly court and in which heaven is seen 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stiny of the righteous. Historical background and narrative approach are my main methods because the Old Testament and Second Temple Jewish texts form historical backgrounds for the understanding of Matthew’s heaven (e.g., the heavenly council; the heavenly symbolism of the temple; the juxtaposition of the heavenly realm and the destiny of the righteous; the motif of heaven being opened; the interaction between heaven and earth; the phrase “before God” in heaven) and because Matthew uses heavenly imagery and symbolism to highlight his main themes in the entire Gospel.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Matthew’s distinctive texts and important texts having to do with heaven, exploring their meaning and establishing their role in each narrative section. Matthew uses heavenly imagery and symbolism to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his implied readers and describes heaven as a spatial setting for events to reveal God’s plan of salvation, the identity of main characters, and the heavenly mysteries like the destiny of humanity. Heaven has a prominent role with special imagery and is associated with such key matters as revelation and judgment; each of Matthew’s five discourses ends with the theme of last judgment, which is related to the imagery of the heavenly court which announces the destiny of humanity, and which anticipates the eschatological and paradoxical separation between the sinners and the righteous, culminating in the parable of the sheep and the goats (Matt. 25:31-46).

      • KCI등재

        마태의 탄생기사(1-2장)에 나타난 유대 묵시언어(꿈, 천사, 별)의 기능

        강대훈(Kang, Daehoon) 한국신약학회 2015 신약논단 Vol.22 No.1

        본 논문은 마태의 탄생 내러티브에서 유대 묵시 언어의 역할을 꿈, 주의 천사, 별에 초점을 맞추어 탐구한 것이다. 유대 묵시 전통에서 하늘의 비밀은 하나님의 중개자 또는 매개체나 하늘로 초대 받은 묵시자들을 통해 땅의 영역으로 전달된다. 유대 묵시적 배경에서 보면, 하늘은 계시가 보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가장 권위 있는 영역이었고, 하늘과 관련이 있는 꿈과 천사와 별은 하늘의 비밀을 땅에 전달하는 점에서 신뢰할만한 매체였다. 이러한 배경에 기초해서 마태복음은 유대 묵시 전통을 공동의 언어로 공유하던 독자들을 위해 꿈과 천사와 별을 하나님의 뜻 또는 구속사의 계획을 전달하는 매체로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마태는 하나님의 계획을 계시하기 위해 꿈의 신적인 특징을 주의 천사와 연결해서 사용한다. 또한 별은 하늘에서 온 중개자로 동방의 박사들에게 보내져서 이들이 유대인의 왕인 아기 예수를 경배하도록 이끈다. 꿈, 주의 천사, 별의 중개자 역할은 하늘에 계시는 하나님이 자기 백성과 함께 거하기 위해 오셨다는 사실이며(1:23; 28:20), 하늘의 영역이 선택 받은 자들을 보호하고 인도하기 위해 땅의 영역으로 보냄 받은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마태는 유대 묵시적 언어를 탄생 내러티브에 사용함으로써 유대의 묵시적 세계관을 공유했을 독자들이 예수의 탄생 소식이 하늘에 있던 하나님의 계획임을 믿고 탄생 내러티브에 나타난 하나님의 뜻을 이해하고 따르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aimed at investigating Matthew’s purpose of employing Jewish apocalyptic imagery in his infancy narrative, focusing on dreams, the angel of the Lord, and a star from heaven. In the Jewish apocalyptic tradition, the heavenly secrets, which were once hidden, have been revealed by God’s agents and the seers. Against these backgrounds, in his first narrative Matthew uses the divine nature of “dreams” in combination with “the angel of the Lord” to reveal God’s hidden plan and the divine identity of the infant Jesus who refers to the core of God’s plan of salvation. Matthew also employs “a star” as a heavenly intermediary guiding the magi to worship the infant Jesus as the king of the Jews. Matthew expects the implied readers, who know the revelatory function of these apocalyptic images, to realize the identity of Jesus. From a narrative perspective, the events in 1:18-2:23 have a pattern: an earthly situation → a supernatural guidance → a human response. Joseph resolves to divorce Mary quietly (1:18-19), and is faced with Herod’s secret plan to kill the male children in Bethlehem and the whole region (2:1-8, 16). The angel of the Lord, however, reveals God’s will through dreams (1:20-23; 2:13, 19-20, 22); a star guides the magi (2:2, 9). Joseph obeys (1:24-25; 2:14-15, 21; 22) what the angel of the Lord commands (1:20-23; 2:13, 19-20, 22); the magi follow the direction of the star. Therefore, the divine revelation is that the birth of Jesus means the fact that God is with his people (1:23; 28:19).

      • KCI등재

        유다서의 우주론

        강대훈(Daehoon Kang)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13 신약연구 Vol.12 No.4

        The Epistle of Jude is among the most neglected books of the New Testament. However, Jude is important t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false teachers and the eschatological mission of the chu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function of cosmology presented in Jude in order to appreciate its literary and theological strategy. In terms of how cosmology functions in Jude, I attempt to read the epistle as a whole and consider the Old Testament and Jewish apocalyptic traditions of cosmology (e.g., the heavenly world, the heavenly courtroom, and the places of punishment and mercy). A close reading of Jude's cosmological language and how it functions in his narrative reveals first of all the problem and fate of the false teachers whose ethical libertinism is expressed as transgressed their proper places or overstepping their bounds (v. 6; cf. 1 En. 10:4-6). These false teachers, as dreamers, justified their lifestyle, by boasting that they received the divine revelation in the heavenly realm (vv. 8, 16, 18). It means that they blasphemed the glorious ones (the angels) in heaven, who functioned as the guardians of God's law and the created order (vv. 8-10). The problem of the false teachers is seen by the distinction between their behavior and Michael who kept his proper position in the heavenly courtroom and who did not bring the verdict, God's prerogative (v. 9). Like the fallen angels who are imprisoned in the place of darkness, the false teachers will be sent to the place of punishment which is represented by the images of darkness and fire (vv. 6, 13, 23). The author implies the heavenly courtroom at the last judgement when the Lord comes with a myriad of angels (vv. 14b-15; cf. 1 En. 1:9; Dan 7:9-14; Matt 16:27). In contrast to the destiny of the false teachers and those who are influenced by them, those who wait for the mercy of the Lord will stand before his glorious presence with great joy which will be experienced in the heavenly court or throne room (v. 24). The eschatological mission of the readers is to snatch some from the place of punishment to the realm of great joy (vv. 23-24). The author thus repeatedly highlights the problem and fate of the false teachers and the eschatological mission of the church by using the structure of the cosmos as the spatial setting for his narrative plot and theology (e.g., eschatology and salvation history). Jude's use of cosmology for eschatology and soteriology manifests his Jewish apocalyptic world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