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서경험특성,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강다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how emotional experience, counsel activity self-efficacy and job stress affect counselor's burnout. To find result, following questions were examined. First, d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ffect counselors' burnout? Second, what are relative effects of emotional experience(Clarity, Intensity and Attention),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and job stress on counselors' burnout? Third, what is a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xperience on counselors' burnout? For the study, surveyed were 520 counselors who were on the training or have been working in professional counseling agencies,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college's and hospital's counseling centers located Seoul Metropolitan Area with questionnaires via mail or personal visit. In case of visit,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counselors at counseling centers and counseling conferences after aims of survey were explained to a person in charge and cooperation was requested. Of 354 returned ones, 33 were excluded due to their careless or no answers. In short, 32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12.0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two-way ANOVA, Person's correlations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This study led to following findings. First, among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income, license and supervision affected counselors' burnout while gender and education didn't. Second, emotional experience(Clarity, Intensity and Attention),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and job stress affected counselors' burnout. In detail, counselors' burnout was the most influenced by emotional clarity and job, working environment, counseling challeng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followed. By sub factors of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was affected by emotional clarity, session management, counseling challenges and working environment in order of mention as counselors' dehumanization by emotional clarity, interpersonal relations, session management and working environment, and decrease in personal accomplishment by emotional clarity, session management, counseling challenges and emotional attention in order of mention, respectively. Third,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had, in part, mediating effects on counselors' burnout when emotional clarity affected it. The study found its meaning in that it unveiled specific mechanism of counselors' burnout by examining how counselors' socio-demographic factors, emotional experience, counselors' activity self-efficacy and job stress affected their burnout and researching mediating effects of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on their burn ou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경험특성,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정서경험특성(정서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정서경험특성이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에 위치한 전문상담기관, 복지관, 대학 및 병원 내 상담실에서 수련중이거나 현재 상담활동을 하고 있는 상담자 520명을 대상으로 방문 및 우편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직접 방문한 상담센터와 각종 상담학회의 학술대회장에서는 책임 상담원과 행사 주최 측에 연구 취지를 설명하고 사전 협조를 얻어 질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질문지는 총 520부 중에서 354부가 수거되었으며, 그 중에서 누락된 문항이 많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질문지 33부를 제외한 321부를 가지고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이원변량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 회귀 분석 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인구 학 적 특징 중 연령, 월수입, 자격증 소지 여부, 수퍼 비전 유무에 따른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 학력의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경험특성(정서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 상담자 활동 자기 효능 감 및 직무스트레스는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은 정서명확성, 직무관련, 근무환경, 상담난제, 대인관계 순으로 설명되었다. 심리적 소진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볼 때, 상담자의 정서적 소모는 정서명확성, 직무관련, 상담난제, 근무환경 순으로 설명되었으며, 상담자의 비인간화는 정서명확성, 대인관계, 회기관리, 근무환경의 순으로 설명되었고, 상담자의 개인적 성취감 감소는 정서명확성, 회기관리, 상담난제, 정서주의 순으로 설명되었다. 셋째, 정서경험특성 중 정서명확성이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이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자가 상담활동을 하는데 있어 사회 인구 학 적 특성, 정서경험특성, 상담자 활동 자기 효능 감,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정서경험특성이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담자 활동 자기 효능 감 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의 구체적 기제를 밝히는 데 의의가 있다.

      • 융의 인격론을 통한 청소년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강다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 사회에서 청소년들은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 폭력 등에 노출되어 그로 인한 불안, 우울 등의 상처로 불안정하게 살아가고 있다. 최근 발생한 ‘부산여중생 폭행 사건’과 같은 잔인한 청소년 범죄로 이어지는 현실이 청소년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절실하게 대두시키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인성교육은 입시 위주의 현실에서 지식 위주의 이론교육에 그쳤으며, 현 제도권 안에서 인성교육은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다. 이러한 현실에서 연구자는 청소년들의 올바른 인성함양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그 모색의 방향을 찾아가는 지침으로 융의 인격론을 참조하고자 하였다. 먼저 본 논문은 융의 인격론을 개관하면서 인격의 구성 요소와 개성화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 융의 인격론을 청소년 인성교육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융의 인격론은 내면의 자신을 이해하고 무의식을 의식화함으로써 진정한 자신을 찾아가는 과정이므로 자신의 삶을 자율적으로 찾아갈 수 있는 도덕함의 능력을 길러내는 인성교육이 지향하는 목표와 조응한다고 말할 수 있다. 융은 자신의 삶의 목표인 자기실현을 이루기 위해서 의식과 무의식을 균형 있게 통합하는 것이 진정한 인격을 완성하는 길이라고 말한다. 그것은 진정한 자기를 찾아가는 것이며, 페르조나, 아니마와 아니무스, 그림자, 자기의 올바른 인식과 의식화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가능하다. 이와 같은 인격 완성의 길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자신을 긍정적으로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심리적 갈등을 해소하고 인간다운 성품을 기를 수 있는 바탕이 될 것이다. 진정한 자기를 찾아가는 융의 인격론은 바람직한 인성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인성교육과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다. 그것은 본래의 진정한 자기가 되기 위한 과정이며, 이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살피는 것은 물론 타인과 조화롭게 살기 위해 타인에 대한 배려가 함께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이와 같이 융의 인격론은 성숙한 인격을 갖고 사회의 일원으로서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더불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하나의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융의 인격론의 최종 목표인 진정한 자기를 찾아 나가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그림자와 페르조나와의 대면이다. 융에 의하면 인간의 인격은 전 생애에 걸쳐 형성되고 발달하는데 특히 청소년기는 무엇보다 그림자와 페르조나와의 만남이 가장 중요시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내 것임에도 불구하고 인지하지 못하거나 거부하고, 혹은 타인에게 투사함으로써 폭력, 학교생활 부적응 등의 사회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은 자신의 그림자나 페르조나와의 잘못된 관계에서 발생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남성적이거나 여성적 특성을 구분 짓는 성 역할의 고정관념과 남녀 차이를 인정하지 못하는 것은 자신의 양성 즉,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인식 부족에서 발생한다 할 수 있다. 자아 발달이 미성숙한 청소년기는 자신이 누구이며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인지하지 못한다. 만약 청소년들이 이러한 시기를 올바르게 보내지 못한다면 그들은 사회가 만들어 놓은 틀에 자신을 맞추고 살아가게 되면서 많은 유혹에 흔들리고 방황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자신의 모습을 직접 대면하고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융의 인격론을 통한 인성교육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내면세계를 이해하고 자신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 자아존중감은 물론 타인과의 올바른 관계가 형성되도록 인도하는 바람직한 삶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융의 인격론의 측면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들이 자신의 정체성과 자존감 향상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융의 인격론은 진정한 자기 자신의 고유성을 인식하는 것 즉, 나라는 존재는 세상에서 유일하고 또한 무한한 가치를 지니는 존엄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더불어 타인의 존엄성을 인정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청소년들이 일으키는 폭행, 왕따 등의 근본적인 문제는 나의 소중함과 타인의 소중함을 모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일들이 비단 청소년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자아가 미성숙한 청소년 시기에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도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을 볼 때 융의 인격론은 청소년 인성교육의 이론적 토대로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In our society, young people are exposed to academic stress and school violence which cause anxiety and depression. As a result, teenagers are living in a unstable manner. The reality that leads to cruel juvenile crimes such as the recent assault in Busan middle school is emerging the necessity of the youth personality education. However, until now, personality education has been limited to knowledge - oriented theory education in the reality since our education is mainly for preparing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As a result, personality education has not been utilized properly in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In this reality, the researcher tries to find ways to cultivate the right personality of the youth, and refer to Jung's personality theory as a guideline for finding the direction. First, this study outlines Jung's personality theory, examines the components of personality and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and examines how Jung's personality theory can be applied to youth personality education. Jung's personality theory is a process to understand his/her self and find true self by turning unconsciousness into consciousness. Therefore it can be correspond with the goal of humanity education that cultivates ability of having sense of morality. Jung says that in order to achieve self-fulfillment which is one's goal of life, a balanced integration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is the way to complete a true personality. That is to find true self and it is possible through having rightful recognition and awareness of, persona, anima and animus, shadow, and oneself. This way of completion of personality can start from looking at the inner side of oneself and understanding oneself positively, and it will be a basis for youth to solve psychological conflict and to raise humanistic character. Jung's personality theory of seeking true self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context as personality education aimed at raising desirable morality. It is a process to become a true self, through which it is not only looking at one's own inner self but also caring for others in order to live harmoniously with others. In this way, Jung's personality theory can be one of a methodology in order to live happily together with others by forming mature personality as well as building friend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 a member of society. The first thing we have to do to find out the true self, the ultimate goal of Jung's personality theory, is the facing Shadow and Persona. According to Jung, human personality is formed and developed throughout his life, especially when he is adolescent, the meeting of Shadow and Persona is most important. It is reasonable to see that it is in his shadow or in a misplaced relationship with Persona that causing social problems such as violence and school maladjustment by not recognizing, rejecting, or projecting to others even those are one's own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having the stereotypes of gender roles and failing to accept gender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is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of their both sexes, anima and animus. Adolescence in which self-development is immature does not know who is he and what kinds of value he has, and what he wants. If young people fail to send these times correctly, they will be shaken and wandered by many temptations as they live their lives in a frame created by society. Therefor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Jung's personality theory,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acing one self and understanding oneself, is a way for young people to have a self-esteem and a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by listening to their own inner self and understand their inner worl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rious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that are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terms of Jung's personality theory, it can be seen that the youth have improved their identity and self-esteem. Jung's personality theory recognizes the true identity of his own self, the uniqueness of oneself and the sole and infinite value of oneself in the world. In addition, it also imply recognizing the dignity of others. The fundamental reasons of the assault, bullying, etc., caused by the youth now, can be said to happen because of unawareness of the value of oneself as well as the preciousness of other's. These problems are not only limited to the teenagers but recognizing other's preciousness as oneself is more important for the teenagers who has immature self. In this respect, Jung's personality theory has enough value in teenager's moral education as a theoretical basis.

      • ADDIE 교수설계모형의 적용을 통한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 중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강다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intellectual properties and their exclusive copyrights are expanding its range, there are increasing number of various conflicts. Same goes in the educational industry, leading relevant organizations to perform special education about copy rights. However, there are two main limitations in the copy right educations in Korea. First, there is no consistency in contents since it is performed separately based on grades and semesters in schools. Another one is that there is no appropriate instructional system of copy right for adults after leaving schools. To be specific,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vary substantially depending on professors and their unique curriculums. This research analyzed an educational program regarding copyrights which can be operated through out colleges; and the primary subject is the teachers in their pre-service in middle schools. The reason for this selection is based on 1) the fact that majority of copy right education was performed for just teenagers, 2) 40% of increase in copy right violations by faculties in private schools in 2016, 3) the problems regarding the current educational program for school faculty. For developing the copy right education for middle schools’ teachers in preservice, this research used ADDIE, the basic format of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s, that includes systemic and systematic process. The ADDIE format was utilized as the basic principle due to its beginner-friendly system, specified elaboration through accumulated study and each steps are closely related, thus making it easier to fix on problematic situations. The followings are detail research questions to design a copyright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ADDIE model. First, what are the research results and the teaching design strategy of the copyright educating program for middle-school teachers in their preservice? Second, what are the formative evaluations results of the draft and the final program? Lastly, how effective is the program?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we collected 120 pre-serving teachers with no copyright education of A, B, C colleges and 11 pre-serving teachers who received it; and grasp specific needs for the program after conducting comprehensive survey and interview. According to the interviews, case-oriented teaching and theory-based courses were needed while they also want to know how far they achieved through constant feedbacks from professors. So we formed three different modules based on their needs: ‘the first module with basic principles of copyright’, ‘the second module with the usage of copyright in schools’, and ‘the third module with assessment’. Researcher developed a digital and a paper teaching material after establishing appropriate instructive objectives, evaluation tools, instructive methods, strategy and media. The draft was completed based on these materials of applying ADDIE model on the copyright education, followed by five days (Oct. 31st ~ Nov. 4th) of pilot test on each college. The subjects for the analysis of demand participated on the pilot test, accounting for 108 faculty members in A, B, C colleges who had not experienced any copyright educations. The education plan was finalized after earning ideas for improvement and expertized examinations of the pilot test result. In order to analyze the program’s efficacy, the third module’s outcome of evaluated satisfaction level and the learners’ achieved level.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the copyright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ng middle school teachers was developed on ADDIE model with the following effectiveness. First, the systematic and systemic instructional designing module ADDIE was taken into research base, therefore reflecting actual learners’ practical demands on the program development. Second, materials with systemic analysis and developing process strengthened credi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program conducted evaluations to the learners and experts including professors. Lastly, a follow-up study of expand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can be offered to develop more powerful copyright educational program for pre-serving middle-school teachers. 저작권 산업이 다방면으로 확대됨에 따라 저작권과 관련된 다양한 분쟁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교육산업에서도 저작권 분쟁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관련 기관들은 저작권 교육을 중점적으로 다루지만 국내 저작권 교육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첫 번째 문제점은 학년·학기별로 독립적으로 진행되어 내용이 유기적으로 연관되지 않는다는 것이고, 두 번째 문제점은 성인 이후의 저작권 교육이 적절하게 운영되지 않는 것에 있다. 특히 대학에서 진행되는 대다수의 저작권 교육은 생활 법 교양강좌에서 일부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대학이나 교수자에 따라 그 내용이 사뭇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등예비교사로 연구 대상을 선정하고, 대학에서 운영될 수 있는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내 저작권 교육 연구의 대부분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된 점, 사립학교 교원의 저작권 침해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는 점, 또한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교원 대상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점 등을 분석하여 대상을 위와 같이 한정하였다. 중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연구자는 체제적이고 체계적인 방법과 절차를 가진 교수설계 모형을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교수체제설계의 기본모형인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수행하였다. ADDIE 모형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한 이유는 ADDIE 모형이 다른 교수체제설계 모형에 비해 초보자가 활용하기 쉽고, 오랜 연구를 통해 정교화 되었으며, 각 단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수정이 원활하다는 것에 있다. 따라서 ADDIE 모형을 적용한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연구자가 설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예비교사 대상의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결과 및 설계전략은 무엇인가? 둘째, 중등예비교사 대상의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 초안의 형성평가 결과와 수정 후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셋째, 중등예비교사 대상의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제시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A, B, C대학의 저작권 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중등예비교사 120명과 기존의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중등예비교사 11명을 대상으로 설문 및 면담을 통해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공통된 요구는 사례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 구성, 학습 종료 후 성취 수준이 확인 가능한가로 나타났다. 또한 이론을 통한 실습 및 교수자 피드백의 필요성 등을 학습자의 요구로 도출할 수 있었다. 학습자의 요구에 따라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3가지 모듈로 구성하였으며, 각 모듈은 ‘모듈 1: 저작권 기본이론’, ‘모듈 2: 학교 속 저작권 및 활용’, ‘모듈 3: 저작권 교육 평가’로 정리하였다. 구성된 모듈에 맞게 교수 목표, 평가도구, 교수 방법 및 교수 전략, 교수매체를 설계한 후,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자료와 아날로그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를 토대로 ADDIE 모형을 적용한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의 초안을 작성하였으며, 일정을 세분화하여 각 대학에서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의 파일롯(Pilot)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테스트의 참여자는 요구분석 대상자 중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의 이수 경험이 없는 A, B, C대학 108명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파일롯 테스트의 결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교육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프로그램에서 경험한 개선사항과 교수자, 전문가의 검토를 바탕으로 최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모듈 3’을 통해 진행된 만족도 평가와 내용습득도 평가를 바탕으로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ADDIE 모형을 적용하여 중등예비교사 대상의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본 연구에서 체계적이고 체제적인 ADDIE 교수설계모형을 적용하여 중등에비교사 대상의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에서 반영하지 못했던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둘째, 체계적인 분석 및 설계과정을 통해 개발된 자료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사용할 학습자, 교수자, 전문가에게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므로 유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후속 연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발된 모듈을 바탕으로 연구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여 수행한다면 현장 교사 및 예비교사에게 도움이 되는 저작권 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다.

      • 민간분양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활성화를 위한 계획방향 설정 연구 : 대전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강다연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통해 도시로 인구가 몰리면서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주택이 등장하였고, 시대가 변화하며 오늘날의 대표적인 주거형태로 자리잡게 되었다. 건설사업자들은 경쟁적으로 분양시장의 우위를 점하기 위하여 입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커뮤니티시설을 설치하였다. 공동주택의 커뮤니티시설은 단지 주변의 미흡한 시설들을 보완하고, 주민들의 여가생활을 향상시켰으나, 공동주택의 브랜드화, 상품화 전략으로 과잉공급이 나타나 입주민들의 저조한 이용으로 시설운영의 미흡, 시설유지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입주민들의 마찰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개념과 역할에 집중하여 커뮤니티시설의 설치현황과 공동주택 거주자들의 설문조사,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민간 분양 공동주택의 커뮤니티시설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계획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커뮤니티시설의 법적 기준과 대상시설 등을 조사하고 선행연구의 분석으로 연구 분석에 따른 시설의 분류와 개념 등을 정립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대전광역시를 사례대상지로 선정하여 연구 분석 시 선정 기준에 따라 분석 대상지를 선정, 그에 따른 면적과 배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대전광역시의 공동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커뮤니티시설의 이용도와 만족도, 선호도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업무경험이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분석 결과 일반적 관점과 건축적 관점으로 분류하여 계획 방향을 설정하였다. 일반적 관점으로는 이용자들의 활발한 교류와 소통을 위하여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고, 커뮤니티시설의 체계적인 운영과 시설의 유휴공간에 대하여 시설 용도를 변경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건축적 관점으로는 단지의 특성을 고려한 커뮤니티시설의 설치가 있으며, 시설 분류에 따른 커뮤니티시설의 배치이다. 그리고 커뮤니티시설의 설치기준을 추후 사회변화 및 입주민의 요구에 대응하여 변경 및 확대 할 수 있도록 법 제도 안에서 유연성을 확보하고 완화된 설치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miR-29a-3p의 발현이 인간중간엽줄기세포의 이동성 촉진에 미치는 영향

        강다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hMSCs) are multipotent cells with the capacity to promote tissue regeneration of injured sites. MSCs can improve the microenvironment of damaged tissue by migrating to the injured location by homing effect. MSCs then replace cells at the injury site and/or modulate inflammatory environments. For this reason, hMSCs have significant potential for clinical application. The homing ability and engraftment in the injury site of administered MSC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therapeutic efficacy of stem cell therapy. Therefore, understanding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migratory ability of MSCs to target sites is crucial in this field. MicroRNAs (miRNAs) are small non-coding RNAs (~22 nucleotides long) repressing target mRNAs at the post-transcriptional level. Because miRNAs can target numerous target mRNAs stimultaneously, they can influence a variety of cellular activities in a coordinated integrated manner. In this study, we discovered a miRNA that promotes migration of hMSCs. To understand the role of microRNAs (miRNAs) during hMSCs migration, we depleted DiGeorge syndrome critical region 8 (DGCR8), an essential gene for miRNA biogenesis. Specifically, miR-29a-3p overexpression rescued the migration defects observed in DGCR8 knockdown hMSCs. We also found that the protein phosphatase receptor-lik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kappa (PTPRK) and Phosphatase and tensin homolog (PTEN) that control hMSCs migration were directly inhibited by miR-29a-3p. Cell migration is an integrated multistep process including polarization, adhsion, and contraction. We found that miR-29a-3p directly and/or indirectly regulated in almost every stage of the migratory processes. Compared with DGCR8 deficient hMSCs, miR-29a-3p overexpressed hMSCs rescued defects observed in cell polarization, adhsion, and contraction. Moreover, we showed that miR-29a-3p overexpression promotes hMSCs migration in vivo toward matrigel plugs that release SDF-1a in immunocompromised mice. Overall,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miR-29a-3p promotes hMSCs migration by regulating nearly every stage of cellular migratory processes both in vitro and in vivo. 세포치료제는 특정 환경에서 배양 및 조작하여 환자에게 다시 주입하거나, 세포를 인체조직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신개념 의약품을 말한다. 치료목적으로 주입된 성체줄기세포는 혈관을 따라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치료효과를 나타내게 되므로 성체줄기세포에서의 이동성 조절 연구는 줄기세포의 작용기전에 대한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세포치료제의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상업적으로 효용가치가 높다. 마이크로RNA는 약 22개의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짧은 길이의 RNA로서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중요한 조절인자이다. 하나의 miRNA는 수백 여 개의 표적유전자 및 신호전달체계를 동시다발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고 알려지면서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세포운명 결정의 핵심 조절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줄기세포치료제로 주로 사용되는 성체줄기세포의 이동을 조절하는 miRNA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miRNA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인 DGCR8를 억제시켜 miRNA의 발현이 전반적으로 저하된 세포와 대조군 세포의 mRNA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및 trans-well assay를 수행하였다. 이때 miRNA가 성체줄기세포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체줄기세포에서 miR-29a-3p의 표적유전자를 찾고 이를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 웨스턴블롯, 루시페라아제 실험법으로 확인하였다. 이때 확인된 표적유전자인 PTPRK와 PTEN이 성체줄기세포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을 trans-well assay로 확인하였다. 세포의 이동은 세포의 극성화, 접착의 생성, 견인력의 생성이라는 단계를 거쳐 일어난다. 각 단계에서의 miR-29a-3p의 역할을 면역형광염색법 또는 traction force microscopy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세포의 이동 각 단계에서 miR-29a-3p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생체내 세포 이동 평가를 위해 손상부위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진 케모카인인 SDF-1a를 이용하여 체내 화학적 차이를 수행한 결과, miR-29a-3p를 과발현한 성체줄기세포가 대조군 세포에 비해서 SDF-1a 방향으로 더 많이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miR-29a-3p가 성체줄기세포에서 세포이동의 다양한 단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이동을 촉진하는 것을 생체외 및 생채내 실험에서 모두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간엽줄기세포의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줄기세포치료제의 효능을 높이는 전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행동 지향 과학교육 관점에서 탐색한 청소년 기후행동가들의 정체성 발달

        강다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21st century, we will likely face unprecedented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uncertainties. Accordingly, many education researchers have argued that education in society in the future should expose uncertainties to raise students as citizens who can participate in public debate to solve problems based on their knowledge and values. These discussions have recently led to a movement to expand the orientation of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to include critical scientific literacy. In order to thrive in a future society full of uncertainty,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critically understand science-related issues, make informed decisions, and carry out sociopolitical action. To accomplish this, action-oriented science education examining socioscientific issues (SSIs) such as climate change,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genetic manipulation can be a major context for cultivating critical scientific literacy. However, many studies have argued that science education encounters many structural challenges when orienting students’ SSI-related actions due to a gap between the recently expanded orientation of science education and societal perceptions. Thus it is necessary to explore how Korean youth develop their identities as activists for SSI-related actions in the context of their interaction with Korean society. This research involved conducting a qualitative case study about Youth 4 Climate Action, an organization leading youth climate action in Korea. Youth 4 Climate Action was organized in August 2018 by youth who recognized the crisi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has continued enacting various actions such as school strikes, climate constitutional appeals, and political campaigns. In order to explore the process of developing identities as climate activists while participating in Youth 4 Climate Action, this study used Holland et al.’s (1998) theory as an interpretive framework. Holland et al. argued that identity is not a fixed form and develops heuristically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with the external world: The self is authored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generating and performing practices based on the social and cultural structure of the world to which the self belongs. This process sometimes leads to the manifestation of agency that reconstructs the society in which the self develops its own identity. This study draws on Holland et al.’s theory in order to explore the positionality that Korean society projects on youth and to interpret the process of the Youth 4 Climate Action members developing their identities as climate activists and working to change society.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rocess of the youths’ development of identity as climate activists from August 2018, when Youth 4 Climate Action was organized, to March 2022. The researcher analyzed one-time interviews conducted with six organization members. In addition, 78 cases of media materials that include public statements made by Youth 4 Climate Action members, such as media interviews, contributions, news articles, and documentar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News articles dealing with their activities and materials published on the organization’s official website and social media were also used as supplementary materials. In addition, 618 online news article comments on climate action carried out by Korean youth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the social discourse represented in Korean societ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and repeatedl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o secure validity and reliability, various data sources were triangulated and member checking and peer debriefing with science education experts were also conducted. The research finding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th in this study came to regard themselves as parties to climate change and responded by adjusting their positionality through social action. Youth who experienced and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explored scientific, social, ethical and political aspects of climate change as an SSI topic through various data sources. As a result, youth recognized that climate change is a problem directly related to their future and thought that their generation needed to participate as the main agent in the social deliberation process for solving the issue. They aimed to stand for social change by rejecting their marginalized positionality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The youth organized Youth 4 Climate Action and began to author themselves as climate activists through school strikes. They developed action strategies while enacting and reflecting on protests on March 15 and May 24, 2019, and in the end made a full-fledged change through the school strike on September 27. Youth actively improvised cultural artifacts (field day, report cards, awards, etc.) that are symbols of roles, expectations, and constraints that society had projected onto youth or students. About 700 youths participated in the protest on September 27, gathered in Gwanghwamun Square (the symbol of the rally and protest), and marched to the Blue House (the main agent of climate policy enactment). This enabled what Holland referred to as a carnival, a space of liberation where youth could take sociopolitical action and have an authoritative voice on climate change issues. Second, social discourses affecting the identity development of youth climate activists were identified through analyzing comments on online news articles about youth climate action. Youth climate action was reported on intensively in the media and resulted in a chance to represent the figured world that constrains or supports the youths’ climate action in the form of discourses. The findings from online news article comments showed that the public perceived that the youths were too immature to take social action because they lacked expertise in climate change and did not have the competence to act independently. The public also positioned youth as students rather than climate activists by forcing them on their duty as students and questioning the authenticity of their actions. In addition, they argued that youth should be impeccable as climate activists, which became a basis for stating that youth were also responsible for climate change or criticizing youth’s actions and strategies. On the other hand, the public who supported youth climate action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change their actions, and the more they felt themselves a party to climate change, the more they wanted to act. In addition, they recognized that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was important enough to cause youth to take action and raised their voices advocating for and being in solidarity with youth climate action. Third, youth climate activists demonstrated their agency by authoring themselves by reflecting on these social discourses and making a world for their climate action through Youth 4 Climate Action. They aimed to reinforce their message by using objective and credible scientific data. They also jointly analyzed the reliability, interpreted and restructured the data, and continued training for media response. This resulted in youth climate activists cultivating critical scientific literacy based on data literacy. In addition, they worked toward acquiring a new positionality by rejecting stereotypes about students, continuing climate action, and proving that youth can dream of various career paths. They also revised their prior message that separated the youth and older generations on the responsibility and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stated that anyone can participate in climate action. Youth climate activists finally demonstrated their agency in making a world for youth climate action by publicizing Youth 4 Climate Action. They strengthened their stability and expertise through recruitment of members and reorganization and produced climate change-related materials for other youth. They also expanded their sociopolitical influence by collaborating with youth climate action groups in other countries. More than that, they requested changes in societal perception and education and, in particular, suggested changes to the curriculum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allow more youth to join in climate action. Their requests led to practical changes in education policy and became a basis for world climate action for the present and next generation of youth. This study explored how youth develop their identity as climate activists and enact their agency to change themselves and society. As the development of identity is an unfinished and continuing process, youth climate activists are still authoring themselves as climate change experts and activists and have made changes in social, political, and educational policies. The Youth 4 Climate Action case became evidence for expanding the orientation of science education by showing that youth can enact sociopolitical actions and make changes in relation to SSIs. It also showed that the ability to understand, interpret, and communicate scientific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SSI-related action.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skills, and values in order to deal with the risks and uncertainties we will face in society in the future, and action can be the final stage. In particular, as the recent curriculum emphasizes social particip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cience education curriculums can clearly set achievement goals and suggest practical support including building community infrastructure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in areas such as data inquiry so that scientific knowledge and inquiry can be applied to real issues in society and science teachers can be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action-oriented SSI classes in their training process.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provide science teachers more comprehensive support in action-oriented SSI teaching. 21세기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우리가 일찍이 경험해보지 못한 인식론적·존재론적 불확실성을 수반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많은 교육학자들은 미래사회의 교육이 불확실성을 노출하고, 학생들을 지식과 가치를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공공의 토론에 참여하는 시민으로 성장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논의에 힘입어 과학교육 분야에서도 비판적 과학적 소양(critical scientific literacy)을 중심으로 지향을 확장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불확실성으로 가득 찬 미래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는 과학 관련 문제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정보에 입각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에서 더 나아가 사회-정치적으로 행동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행동 지향 과학교육은 기후변화, 원자력 발전, 유전자 조작 등과 같이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socio-scientific issues, 이후 SSI)을 비판적 과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주요한 맥락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많은 연구는 과학교육이 학생들의 SSI 행동을 지향할 때 많은 구조적 어려움에 봉착한다고 보고한다. 최근 확장되고 있는 과학교육의 지향과 실제 사회의 인식 사이에 괴리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SSI 행동을 실행하며 행동가로서 성장하는 과정을 우리나라 사회와의 상호작용 하에서 규명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청소년들의 기후행동을 주도하고 있는 단체인 ‘청소년기후행동’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청소년 기후행동’은 2018년 8월 기후변화로 인한 위기를 인식한 청소년들이 모여 결성된 이래로, 현재까지 결석시위, 기후소송, 정치 캠페인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청소년 기후행동’에 참여하면서 기후행동가로서의 정체성을 발달해가는 과정을 해석하기 위한 틀로 Holland 등(1998)의 이론을 도입하였다. Holland 등(1998)은 정체성이 고정된 형태가 아니며 외부와의 지속적인 소통 과정에서 경험적으로 발달한다고 주장한다. 소속된 세계의 사회적· 문화적 구조를 바탕으로 끊임없이 실행을 구성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아가 저술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자아가 정체성을 발달하는 것을 넘어, 자신이 소속된 세계를 재구성하는 행위력을 발휘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이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사회가 청소년들에게 부여하는 위치성을 탐색하고, ‘청소년기후행동’ 소속의 청소년들이 스스로와 사회를 변화시켜 가는 과정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후행동’이 결성된 2018년 8월부터 2022년 3월을 대상으로 청소년 기후행동가들의 정체성 발달 과정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기후행동’ 소속 청소년 6명과 1차례씩 수행한 인터뷰 내용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언론 인터뷰, 기고문, 뉴스 기사, 다큐멘터리 등 ‘청소년기후행동’이 각종 매체에서 공개적으로 발언한 자료 78건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들의 활동을 다루는 뉴스 기사와 ‘청소년기후행동’의 공식 웹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에 공개된 자료 역시 보조적으로 활용되었다. 이에 더하여 청소년들의 기후행동에 대한 사회의 담론을 이해하기 위해, 관련 온라인 뉴스 기사로부터 618건의 댓글을 추출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동시 순환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자료원의 교차 검증과 참여자 확인, 동료 검토 등을 통해 연구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은 자신들을 기후변화 문제의 당사자로 인식하고, 대응을 위한 사회적 행동을 구성하고 실행하며 위치성을 조정하였다. 청소년들은 기후변화로 초래되는 영향을 경험하고 심각성을 인식하면서, SSI 주제로서 기후변화의 과학적·사회적·윤리적·정치적 측면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들은 기후변화가 자신들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라는 것을 인식하였고, 당사자인 청소년 세대가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적 숙의 과정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기후변화 대응에서 소외되었던 위치성을 거부하고 스스로 사회 변화의 주체가 되고자 한 것이다. 청소년들은 ‘청소년기후행동’을 결성하고, 결석시위를 통해 기후행동가로서의 자아를 저술하기 시작하였다. 2019년 3월 15일과 5월 24일 시위 경험을 통해 행동 전략을 발전시켰고, 마침내 9월 27일 시위를 통해 본격적인 변화를 만들어 내었다. 청소년들은 자신들에게 투사되는 역할과 기대, 제약의 상징인 문화적 인공물(운동회, 성적표, 상장 등)을 적극적으로 변용하였다. 해당 시위에는 약 700여 명의 청소년들이 참여하였으며, 집회시위의 상징인 광화문 광장에 집결하여 기후정책 제정 주체를 의미하는 청와대로 행진하였다. 이는 청소년들이 기후변화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행동할 수 있는 해방의 공간, 즉 Holland 등(1998)의 이론에서 말하는 카니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의 기후행동에 대한 온라인 뉴스 기사 댓글 분석을 통해, 청소년 기후행동가들의 정체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사회의 담론들을 규명하였다. 청소년들의 기후행동은 언론에 집중적으로 보도되었으며, 이는 청소년들의 기후행동을 제약하거나 지지하는 형상화된 세계가 담론의 형태로 표상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온라인 뉴스 기사 댓글을 분석한 결과, 대중들은 청소년들은 사회적 행동을 하기에 미숙한 존재이며 기후변화에 대한 전문성과 독자적으로 행동할 역량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청소년들에게 기후행동가보다는 학생으로서의 위치성을 부여함으로써, 학생의 의무에 충실할 것을 강조하거나 행동의 진정성을 의심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이 기후행동가로서 완전무결해야 한다고 요구했는데, 이는 청소년 기후행동가들이 기후행동을 할 자격이 없다고 규정하고 행동방법을 비판하는 근거가 되었다. 반면 청소년들의 기후행동을 지지하는 이들은 행동 변화 의지를 표명하였으며, 스스로를 기후변화 당사자라고 느낄수록 적극적으로 행동하고자 하였다. 또한 ‘청소년들’이 나서서 행동할 정도로 기후변화 대응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청소년들의 기후행동을 옹호하고 연대하는 목소리를 내기도 하였다. 셋째, 청소년 기후행동가들은 사회의 담론을 반영하여 자아를 저술하고, ‘청소년기후행동’이라는 청소년들의 기후행동을 위한 세계를 구성하는 행위력을 발휘하였다. 이들은 객관적이고 공신력 있는 과학적 자료를 통해 메시지를 강화하고자 했으며, 공동으로 자료의 신뢰성을 판단하고 해석하며 재구성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미디어 대응을 위한 훈련을 계속하였다. 이는 청소년 기후행동가들이 데이터 리터러시를 바탕으로 비판적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또한 학생에 대한 고정관념을 거부하고, 기후행동을 지속하고 다양한 진로를 꿈꾸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새로운 위치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이외에도 기후변화의 책임과 영향에 있어 청소년 세대와 기성세대를 분리했던 기존 메시지를 수정하고, 완벽하지 않더라도 누구나 기후행동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기도 하였다. 청소년 기후행동가들은 ‘청소년기후행동’을 강화하고 공공화하면서, 청소년들의 기후행동을 위한 세계를 구성하는 행위력 역시 나타내었다. 청소년 기후행동가들은 ‘청소년기후행동’의 구성원을 모집하고 조직을 재정비하며 안정성과 전문성을 강화하였으며, 다른 청소년들을 위해 기후변화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제작하였다. 또한 국외 청소년 기후행동 단체와 협업하면서 사회-정치적 영향력을 확장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사회의 인식과 교육 전반의 변화를 요청하였으며, 특히 청소년들의 행동 동참을 위해 교육과정 변화와 제도적 지원을 제안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요청은 실제 교육 정책의 변화로 이어졌으며, 현재와 다음 세대 청소년들의 기후행동을 위한 세계가 공고해지는 기틀이 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기후행동가로서 정체성을 발달하고, 스스로와 사회를 변화시키는 행위력을 발휘하는 모습을 탐색하였다. 정체성의 발달은 종결되지 않고 계속 이어지기에, 청소년 기후행동가들은 현재도 기후변화 전문가이자 행동가로서 사회·정치·교육에 관한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다. ‘청소년기후행동’의 사례는 청소년들이 SSI와 관련하여 사회-정치적으로 행동하고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과학교육의 지향을 확장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또한 SSI 행동을 위해서 과학적 정보를 이해하고 판단하고 소통하는 능력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의 위험과 불확실성을 다루기 위해서는 과학 지식과 기능, 가치에 근거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이 필요하며, 그 과정의 끝에는 행동이 포함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특히, 최근 교육과정에서 사회 참여가 강조되고 있는 만큼, 과학교육에서도 관련 성취 기대를 명확히 설정하고 지역 사회 인프라 구축 및 교사 연수 등 현장 적용을 위한 방법이 제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과학 지식과 탐구를 실제 사회 문제에 접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탐구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과학교사들이 행동 지향 SSI 수업을 교원 양성과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과학교사들의 행동 지향 SSI 교수 실행을 지원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역시 필요할 것이다.

      • 결절의 연속개념을 적용한 잉여순환 광장 디자인

        강다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각기 다른 시대와 문화에서 도시는 다양한 방향으로 성장해 왔으며, 오늘날에는 건축가, 조경디자이너, 실내디자이너 등 공간 디자이너들의 계획과 이론철학으로 도시를 디자인하고 그 과정에서 공간을 해석하는 실마리를 전해주며 수백 년간 발전해온 도시를 끊임없이 발전시키려는 노력을 한다. 그러나 도시라는 공간은 디자이너의 개인성이나 고유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그 시대와 문화의 공간 개념의 패러다임에 따라 서서히 변화해 온 것이며, 디자이너 또한 시대의 공간 인식을 통해 디자인해왔다. 특히 도시공간은 다양한 공간을 공유하는 결절의 집합인 동시에 하나의 공간이며 그 자체가 결절이 될 수 있는 공간이다. 도시의 다양한 공간들의 네트워크의 중심인 결절은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고 구분하는 역할을 하며 네트워크의 순환을 돕는 순환의 공간인 것이다. 정보화에 의한 도시 환경의 개념과 요소의 변화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어 같이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곳곳에는 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방법과 계획으로 도시의 공간을 쓰지 못하게 만든다. 현대사회가 변함에 따라 그 개념과 요소의 정의도 바뀌어야 하며, 현대 도시 공간에서 시공간성을 가지며 발생하는 많은 정보 데이터를 통해 재정의 해야 한다. 결절은 광장이라는 장소를 가지고 있는데 광장의 공공성과 쾌적성이 견인력을 가지며 인간과 함께 하는 공간이다. 서양 중심으로 발달한 광장 문화는 사실 우리나라와는 의미가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광장이 상황의 공간이며, 가변적인 공간이다. 도시에서의 광장이라는 공공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고 도시 - 사람의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광장이라는 공간이 새로운 도시 공간 인식 변화에 따라 변화하지만 개인적 주체성만을 강조하는 정보 시대 흐름에만 따라가지 않고 도시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이 포화되어 결국에는 Dead State상태에 가지 않도록, 다양한 정보의 잉여가 자생적으로 순환하고 성장하게끔 하는 인간의 잉여 쾌락으로 인한 순환을 가지도록 인간의 상호작용 활동의 공간으로 거듭나야 한다. The influence of media made an inroad into our life is considered with new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and makes another environment which differs from the past. So, modern society overcame physical limits, and existing time and space were needed to get a new definition An existing definition for human change and vary. Urban space have the same interest with social waves and the structure have to evolve. In urban space, a node, a square plays very important role in space structure. A square have to play not only existing roles, but also the core role for social varieties. To have a enjoyment not only in shape, but also in the meaning of space, it is required to have the space which can recognize time and space. Thus, through this study, I intend to create a square, playing important role in the structure of a city, into the new and diversified space, which introduces the concepts of time and space, has a chance for looking back in the past, and connects freely with other genres. Environment, Information Society has much of redundancy, while having non-circulate structure. These non-circulate structure applying to a Lacan's human desire theory can circulate information. The city, Seoul has a character what space is formed by conditions, and especially square space is that way. In this thesis, according to Information Society‘s characters, when nodes have the sequential concept with deconstruct nodes and city structure, the square will play a prototype role in space what can cycle redundancy.

      • 패스워드 선택이 보안효과에 미치는 영향

        강다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정보시스템의 개방성과 접근성의 확대로 인해 조직 내ㆍ외부로부터 보안위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대중화로 생활의 편리함을 누릴 수 있으며, 경제적으로 빠른 성장을 하였으나 컴퓨터의 해킹, 악의적인 프로그램 유포, 정보보안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해 정보시스템의 비밀성, 무결성, 보안성이 손상되어 개인 및 기업에게 경제적 손실을 가져다주는 정보화의 역효과가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다. 더욱이 정보시스템 내 정보자산에 대한 비인가된 접근과 고의적인 노출은 사용자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정보보안의 차원에서 패스워드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제고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적절한 패스워드의 선택과 활용은 정보시스템의 오ㆍ남용, 손실 등으로부터 보안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시스템 사용자의 보안의식에 따른 패스워드 선택이 보안효과성을 가져다주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모형에서 사용자의 패스워드 노출에 따른 위험인지를 위험분석방법론의 자산, 위협, 취약성 요인을 통해 평가하도록 하도록 하였으며, 보안의식에 따른 패스워드선택이 보안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영대학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실증분석결과, 위협을 제외한 정보자산, 취약성은 정보유출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보안의식, 패스워드 선택, 보안효과 간의 관련성도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Nowadays, openness and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system are raising security threats from in and out of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rapidly grown information technology and popular use the personal computer, we have been enjoyed various conveniences in our life due to the developed economies. But this also provoked a series of problems, which are hacking, malicious program distribution, illegal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etc. Nevertheless, we are getting unconscious of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Appropriate password is supposed to bring out security effects such as preventing misuses and banning illegal us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analyze that password selection caused by user's security awareness affects security effectiveness. To analyze this, we use the concept of risk based on risk analysis as the core element affecting the selection of user's appropriate password. Risk is a main factor which influences to the attitude of password security, security awareness of users, and intention of security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while threat is not related to the risk, information asset and vulnerable are related to the user's awareness of risk.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isk, users security awareness, password selection and security effectiveness are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