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utans streptococci에 대한 polyphosphate의 항균효과

        강계숙,최영철,Kang, Kye-Sook,Choi, Yeong-Chul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1

        치아우식증의 원인균인 S. mutans GS5와 S. sobrinus 6715에 대한 polyP의 효과를 관찰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한 임상적용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첫째, 다양한 사슬길이의 polyP를 첨가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여 MIC를 결정하고, 둘째, 실험균주를 흡광도 $0.3{\sim}0.5$까지 증식시킨 후 MIC 농도의 polyP를 첨가하여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균주증식 후 성장 억제효과를 관찰하였으며, 셋째, 생균수 측정으로 polyP의 항균효과를 평가하였고, 넷째, 핵산유리의 정도로 polyP의 킬레이션 작용여부를 관찰하였으며, 다섯째, polyP의 비수용성 글루칸 합성능력을 관찰하였으며, 여섯째,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세포막과 세포질 내의 구조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polyP의 살균작용이 S. mutans와 S. sobrinus에 대한 성장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늠된다. 이와 같은 성장 억제효과는 polyP의 킬레이션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균주 세포의 구조적, 형태적 변화가 주된 요인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Mutans streptococci, especially S. mutans and S. sobrinus strongly implicated in pathogenesis of dental caries, the major cause of tooth loss in children. Use of an antibacterial agent controlling dental caries has been rationalized.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inorganic polyphosphates (polyP) on S. mutans and S. sobrinus. S. mutans GS5 and S. sobrinus 6715 were grown in brain-heart infusion broth with or without polyP.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polyP for S. mutans GS5 was determined to be 0.08% and that for S. sobrius 6715 was 0.17%. PolyP 15 added to the growing culture of S. mutans GS5 and S. sobrinus 6715 at their exponential phase was as effective in inhibiting the growth of S. mutans GS5 and S. sobrinus 6715 as polyP added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culture. More than 85% of the cells lost their viability determined by viable cell count when polyP 15 was added to the culture of growing S. mutans GS5 at MIC, suggesting that polyP 15 has bacterial effect on the bacterium. And more than 99.9% of the cells lost their viability determined by viable cell count when polyP 15 was added to the culture of growing S. sobrinus 6715 at MIC, suggesting that polyP 15 has bacterial effect on the bacterium. Intracellular nucleotide release from S. mutans CS5 and S. sobrinus 6715 was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polyP 15 for 5h but was not really reversed by the addition of divalent cations like $Ca^{++}\;and\;Mg^{++}$. The majority of the cells appeared to be atypical in their shape, demonstrating accumulation of highly electron-dense granules and ghost cells.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polyP have a strong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S. mutans and S. sobrinus in which lysis in relation to chelation may not play the major role but unknown mechanism that possibly affects the viability of the bacterium may be involved. PolyP may be used as an agent for prevention of dental caries.

      • KCI등재

        김현 시 비평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적 읽기의 특징-1960~70년대 비평을 중심으로-

        강계숙 ( Kang Gye-soo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3

        상호텍스트적 읽기는 김현의 초기 비평부터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이다. 텍스트 간의 연관짓기 및 그 속에서 산출되는 의미작용의 해석은 그의 비평이 풍부한 내적 논리를 갖도록 만드는 또 다른 방법에 해당한다. 작품 간의 명시적인 대화성보다 독자의 입장에서 상호텍스트성을 재구성하는 능동적 읽기는 그의 고유한 독해 방식인바 텍스트 분석 시 상호텍스트성을 적극 고려하는 이러한 독법은 비평 초기의 주제의식인 ‘만남’의 문제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본고는 1960~70년대 시 비평을 중심으로 김현 비평에 나타나는 이러한 방법적 특징을 살피고, 주제의식의 심화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해가는 읽기의 양상을 면밀히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형식주의적 관점이 지배적이던 김현의 초기의 비평은 형식의 동일성에 주목하여 서구시와 한국시의 형태적 유사성을 분석하는 비교문학적 작업에 집중되었다면, 1968년을 기점으로 문학과 사회, 문학과 역사의 관계로 그의 비평적 관심이 이동함에 따라 텍스트 간의 대화적 관계도 서구문학의 역사에 비겨 한국문학의 전통과 특수성을 탐색하는 방향으로 재구축되어간다. 전자의 예로는 한국시의 주된 모티브 중 하나인 ‘꽃’의 이미지를 프랑스 상징주의 시의 ‘바다’ 이미지와 대립시켜 분석한 주제비평이 있다. 후자의 예로는 임춘과 비용의 예를 통해 문화접변기의 문학인에게서 나타나는 ‘찢긴 자아’의 형상을 분석한 「광태 연구」(1970)가 있다. ‘문화사적 광태’로 지칭되는 이들 시에 대한 비교 고찰은 ‘문학의 고고학’을 수행하기 위한 비평적 실천의 하나로 등장하는데, 이들의 ‘저주 받은 자’로서의 자아 형상은 근대적 개인의식을 선취한 문학적 전사(前史)에 해당하며 이들이 토로하는 감정적 자질은 낭만주의 시에 편재하는 ‘여성주의’의 역사적 선구로 평가된다. ‘여성주의’를 개념적으로 확장한 ‘문화사적 광태’의 예를 중세문학에서 찾는 이러한 상호텍스트적 읽기는 텍스트 간의 단순 비교를 넘어 한국문학의 역사적 계보를 확인함으로써 근대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의 기원을 경험적으로 재발견하려는 의도를 품고 있다. 또한 한국문학과 서구문학의 관계가 수직적인 이식의 관계가 아니라 수평적인 문화접변의 관계에 있음을 입증하려는 목적을 띤다. 이후 ‘문화사적 광태’의 상호텍스트성은 한국문학의 역사적 전개 속에서 최치원, 오세재, 김시습, 김립 등에 의해 일련의 계보를 형성하는 정신사의 한 흐름으로 재해석된다. 이렇듯 ‘만남’의 주제로부터 견인되어 텍스트 분석의 유효한 방법으로 비평 초기부터 지속된 상호텍스트적 읽기는 문학사가로서의 김현의 특징적 면모를 예비하는 중요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Intertextuality-based reading is one of the prominent characteristics from Kim Hyun's early criticism. Connecting different texts and interpreting their significance is another way to make his criticism sound logic. He prefers active reading that constitutes intertextuality from the reader's point of view rather than examining the dialogicality between works that are revealed on the outside. His reading, which actively considers intertextuality when analyzing text, is inextricably related to the theme of 'meeting' that has continued since his early critic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s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Kim Hyun's criticism, focusing on poetry criticism in the 1960s and 1970s, and to examine the patterns of his reading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deepening of criticism. Kim Hyun's early criticism, which dominated the formalist perspective, focused on the comparative literature analysis of Western and Korean poems, paying attention to the similarity of form. However, as of 1968, attention began to be pai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literature and history, his intertextuality-based reading also moved toward exploring the tradition and specificity of Korean literature. An example of the former reading is the theme criticism that analyzed the image of “flower,” one of the main motifs of Korean poetry, by comparing it with the image of “sea” of Western poetry. An example of the latter is < a study of madness >(1970), which analyzed the shape of the 'torn self' that appears in literary people during a acculturation perio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oems by Lim Chun and Francois Villon, which can be cited as an example of “cultural and historical madness,” is a critical practice to carry out “archaeology of literature.” Kim Hyun evaluates the poems of those who expressed their self-image as “cursed poets” as pioneering works, and evaluates the their emotions expressed in their poems as a historical precedent for “féminisme” in romantic poems. This intertextuality-based reading, which finds an example of “cultural and historical madness” in medieval literature, intends to empirically rediscover the origin of Korean literature as modern literature by confirming the historical genealogy of Korean literature, and aims to prove that the acculturation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Western literature is not vertical but horizontal. Since then, the intertextuality of “cultural and historical madness” is interpreted as forming the spiritual genealogy of “nomad” by Choi Chi-won, Oh Se-jae, Kim Si-seup, and Kim Lip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 KCI등재

        칸트 미학에서의 "형식" 개념에 대한 고찰

        강계숙 ( Gye Sook Kang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구 서울대학교 독일학연구소) 2009 독일어문화권연구 Vol.18 No.-

        Kant explained we finally judge the beauty by means of form of the presented object. So, to comprehend the conception of `form` in Kant`s aesthetics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aesthetic judgement. In Kant` aesthetics, the conception of form implicates three meanings. First, the form of the object is defined as a fixed contour or figure, by which materials of the object are obtained a definite organization. According to Kant, on basis of it the subject can sensationally perceive the object and judge the beauty of it. And second, the form is identified with `pure sense` and `a unity of variety of sense`. Kant constantly insisted that the form is different from the material, but in preceding explanation, he recognized the unification of form and matter. On one hand, he emphasized that the aesthetic judgement on the object has nothing to do with concept or purpose. But, like the preceding instance, he recognized the unification of form and concept. And third, the form is given the meanings of an ultimate product made in process of aesthetic perception and a final materialization by the subject`s aesthetic contemplation. Namely, the form of the object is catched when the aesthetic contemplation that relies on simultaneous actions of free imagination and strict understanding and abstracts concepts and purposes from the object is performed in the subject.

      • KCI등재후보

        근대성 창출의 또 다른 길 -초기 잡문을 통해 본 루쉰의 근대적 사유-

        강계숙 ( Gye Sook Ka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6

        본고는 루쉰의 초기 잡문을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본 유학 시기에 쓰인 잡문은 루쉰이 근대(성)에 대한 독자적 관점을 세우기 시작하였음을 보여준다. 흔히 루쉰의 사유는 내적으로 상호 충돌되는 양상을 띤다고 설명된다. 본고는 이러한 ‘모순 구조’가 역사와 현실을 파악하는 고유의 방법론에 해당하며, 전통과 반전통의 다층적 교섭의 형태로 드러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특히 근대적 주체의 상(像)을 확립하고 역사인식을 마련하는 데서 이러한 방법적 사유가 두드러지고 있음을 살폈다. 루쉰은 개성의 존중과 정신의 발양을 통한 ‘입인(立人)’을 주장한다. 이것은 근대적 주체의 정립을 강조한 것으로, ‘입인’의 궁극적 표상은 ‘초인’과 “정신계의 전사”로 수렴된다. 그런데 ‘초인’은 준엄성과 높은 도덕성을 지닌 존재라는 점에서 유가의 ‘성인(聖人)’을 닮았다. 기존 관습에 저항하고 자유의지를 실천하는 ‘초인’은 전통적 ‘성인’ 관념과 결합함으로써 근대적 질서로 편입될 주체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한편 루쉰은 역사의 본질을 “편향”의 운동으로 파악한다. 이것은 사물의 본질을 중용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전통적 사유와 구분된다. 하지만 문명은 “편향”을 제거하고 대립과 부조화를 극복한 ‘중(中)’과 ‘화(和)’의 구현이 될 때 바로 세워진다. 루쉰이 생각한 역사발전의 바람직한 방향은 물질문명과 정신문화가 상호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중용적 가치관의 재전유를 통해 그만의 고유한 역사인식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루쉰의 문명관에 내재된 중용적 사유는 가변성과 상대성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중화 관념과 다르며, 역사의 전개를 편향적 운동의 지속으로 본다는 점에서 유가적 역사인식과 구별된다. 자국의 전통과 문화를 부정하고 이를 다시 재구성.재창출함으로써 루쉰은 서구적 근대의 한계를 조망하기에 이른다. 루쉰의 근대화 이념은 중화주의에서 벗어나 타자를 새롭게 발견하고 인정하는 탈식민적 사유의 선취로서,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을 통해 서구의 맹목적 모방을 거부하는 제3의 ‘동양적 근대’의 가능성을 연역사적 예로 기억될 만하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Lu Xun`` the early proses. The proses written in his studying in Japan contain his own thoughts on modernity. Commonly Lu Xun``s psychological structure is called ‘contradiction structure’. Lu Xun``s contradiction structure functions the intrinsic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historical realities. I pay attention to this structure, which takes the form of layered interplay between tradition and anti-tradition. Lu Xun stresses the practice of ‘liren(立人)’ to develop one``s personality and mind. This is in effect equivalent to development of self-identity as modern subject. A supreme example of ‘liren(立人)’ is a ‘superman’, that is to say a ‘warrior of the mental world’, who has stern attitude and high moral standards. In this respect, Lu Xun`` superman closely resembles a saint of Confucianism. By interconnecting its traditional ideal of saint, thesuperman who defies existing convention and exercise his free will exemplifies a role model of modern subject repeatedly emphasized by Lu Xun. Meanwhile, Lu Xun regards biased motions as the nature of history. This viewpoint on history is very different from traditional Chinese thought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ings on the basis of the golden mean(中庸). But modern civilization is not able to stand upright unless biased motions of history are overcome. Lu Xun seems to think that the desirable direction of historical development is to achieve a balance and harmony between material civilization and moral culture. This thought is formed from re- appropriation of the golden mean. Lu Xun``s reappropriation of the golden mean, however, is dissimilar to conventional Sinocentrism, for the former underlines historical variability and relativity as opposed to the latter. Defying national tradition and his mother culture and recreating and re- constructing them, Lu Xun takes a view of western modernity``s faults and limits. Lu Xun``s ideas that eschews Sinocentrism is worth remembering as the very historical example of giving us insight about the proposal of ‘Eastern modernity’, namely decolonial modernity that sharply criticizes western imperialism and rejects a blind imit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명확성의 원리”로서의 문학어 - 문학의 언어를 둘러싼 임화의 비평적 사유 -

        강계숙 ( Kang Gye-soo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본고는 임화의 언어론 중 문학어와 관련된 내용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그의 언어론은 복합적인 형성 배경을 바탕에 두고 있다. 첫째 마르크스주의 언어학인 마르주의의 수용, 둘째 형상 개념의 이론적 정립 및 비평적 전유, 셋째 복고주의와 기교주의 문학에 대한 지속적인 비판, 넷째 ‘문학어로서의 조선어의 완미한 개화’에의 요구, 다섯째 기교주의 논쟁의 영향 및 카프시에 대한 자기반성이 그것이다. 임화는 ‘형상의 구체성’을 문학의 예술적 특수성으로 인식하였는바 ‘문학어=형상적 언어’로 정의한다. ‘형상적 언어’는 구체적인 의미전달에 충실한 언어로서 일상생활에서의 인간적인 느낌, 감정, 의식 등을 직접 이야기하는 형식의 언어를 가리킨다. 그는 이러한 언어는 ‘생생한 생활의 말’을 통해 구현된다고 보았다. 그가 일상어를 문학어의 좋은 소재(素材/所在)로 지목한 까닭은 복고주의 문학의 언어적 퇴행 현상을 조선어의 발전에 큰 장애요인으로 보고 이를 ‘조선어의 완미한 문학적 개화’를 통해 극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기교주의 논쟁을 거치며 임화는 문학어를 대상의 형상화에 정합적으로 일치하는 언어로 재정리하고 이를 ‘명확한 언어’라고 지칭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학어는 ‘언어의 명확성의 원리’에 따라 실현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주목할 것은 이러한 원리가 일상어를 통해서만 실현 된다고 전제하였다는 점이다. 그는 일상어의 합리적 기능과 실행을 가리켜 ‘완전한 현실성의 표상’이라 표현하며, 이를 언어의 기본성질이자 언어의 소박한 상태로 꼽고, 이러한 언어가 바로 예술의 소재가 되는 언어라고 부연한다. 중요한 것은 그가 일상어의 문학적 가치를 중시한 것과는 별개로 문학어와 일상어를 엄밀히 구별하였다는 점이다. 그는 문학어란 일상어가 예술적 구축에 요구되는 ‘선택과 정련의 과정’을 거쳐 미적으로 재탄생한 언어이며, 이는 장르를 불문하고 모든 문학어에 해당하는 것으로 문학어는 그 외형에서만 일상어와 유사할 뿐 실은 별개의 언어임을 분명히 한다. 요컨대 문학어는 예술적 선택과 정련의 과정을 통과한 ‘일상어의 현실성의 에센스’인 것이다. 임화는 이러한 문학어의 특징이 가장 현저하게 구현되는 영역으로 시를 꼽았고, 훌륭한 시적 언어는 시의 고유한 창조 가운데 일상어를 내용상 형태상 재구성하여 전혀 다른 언어로 만들고, 그 과정에서 언어적 미감과 사실적 내용은 잊히지 않는 아름다움이 되어 강한 정신적 충동을 남긴다고 설명한다. This study intensively analyzes the content of a literary language among lm-Hwa's linguistic theories. His linguistic theory was shaped by complex backgrounds. His linguistic theory was influenced by the linguistics of Marxism, closely related to the theory of shape, contained criticism of retroism and mannerism, and called for the completion of the Korean language as a literary language. lm-Hwa defines literary language as 'the shaping language' because he recognizes 'concrete shape' as a speciality of literature. 'The shaping language' is a language that conveys meaning specifically and expresses human feelings, emotions and consciousness directly. He thinks that everyday language performs these verbal functions. The reason why he thinks everyday language is a good source of literature comes from his negative assessment of the literary language of retroism. Meanwhile, lm-Hwa's perception of the language of literature gradually deepens as he goes through mannerism argument. He redefines literary language as 'clear language' and explains that everyday language becomes literary language by 'principle of clarity', which means that language is written entirely to suit the literary expression of the subject. He refers to this basic quality of everyday language as an "expression of complete realism." He regards this as the basic nature of language and explains that a language with these characteristics can become a language of literature. What should be noted is that despite his emphasis on the literary value of everyday language, lm-Hwa has made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literary language and everyday language. The language of literature is a language in which everyday language has been reborn through a special artistic process, namely 'a process of choice and chastity'. The former and the latter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with only the appearance being similar. In short, literary language is the essence of everyday language that has been honed artistically. He says poetry is the most pronounced area of literary language. A good poetic language reconstructs the everyday language in the unique creative process of poetry and makes it a completely different language. Through the amazing changes of language, the beauty of the literary language and its realistic contents become leaving a strong mental impression.

      • KCI등재

        김수영 문학에서 ‘이중언어’의 문제와 ‘자코메티적 발견’의 중요성

        강계숙(Kang, Gye Sook) 한국근대문학회 2013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4 No.1

        본고는 김수영의 문학 연구와 관련하여 2000년대 이후 새롭게 대두된 연구 방법의 특징을 살피고, 그와 관련한 주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특히 탈식민주의적 시각과 번역론의 관점이 간과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밝히고, 앞으로 김수영 문학에서 주목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의 기틀이 되는 방법론들이 상호 통합되었을 때 도출될 수 있는 새로운 내용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 본고의 핵심 내용이다. 우선, 그간 ‘전후세대’로 통칭되었던 세대적 명명에 숨은 이데올로기의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고, 김수영의 세대적 특징을 ‘한국어-일본어’의 이중언어 체계에서 파악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를 전제할 때, 비로소 김수영의 ‘일본어 글쓰기’에 내포된 중층적 의미가 해명될 수 있음을 그의 「시작노트 6」을 통해 설명하였다. 무엇보다 이상(李箱)의 일문시 번역과 일본어 시작 노트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였고, 김수영의 시작(詩作)과 번역체험의 관계, 실제 번역과정에서 도출된 시의 리얼리티에 대한 새로운 관념과 방법론으로서 ‘자코메티적 발견’의 중요성을 짚어 보았다. 아울러 최근의 연구 성과 중 이러한 김수영 문학의 탈식민성과 번역체험, 그에 대한 메타 의식과 후기 시의 스타일의 변모가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밝힌 예를 소개하였다. 김수영에게 ‘번역’은 ‘시’의 또 다른 번역어였음을 상기할 때, 그의 이중 언어자로서의 언어적 정체성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검토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탈식민성―번역―스타일의 변모’는 통합적 관점에서 동시적으로 궁구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김수영의 후기 시에 대한 연구는 새로운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김종삼의 후기 시 다시읽기 ―"죄의식"의 정동과 심리적 구조를 중심으로―

        강계숙 ( Gye Sook Ka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5 No.-

        김종삼의 후기 시에 두드러지는 죄의식의 정동은 주체의 자기정립 과정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본고는 텍스트에 내재된 가족 로망스적 상상과 세대적 무의식을 분석함으로써 김종삼 시에 나타나는 정체성 표상의 시대적 의미를 살핀다. 무능한 아버지의 상징인 ``장님 아비``는 주체가 스스로를 아버지로서 (무)의식할 때의 자기표상에 속한다. 그러나 김종삼의 시적 주체는 이를 용인하고 수락하지 않는 자기모순 속에 있다. 이러한 모순의 심화는 ``아버지의-이름``의 폐제를 시 전체에 걸쳐 구조화한다. ``성년-남성``이 부재하는 세계, 모성적 예수와의 동일시, ``예술가-공동체``라는 환상의 구축은 부권적 은유의 결여에서 비롯된 것으로 폐제된 것의 자리를 채우는 상징적 보충에 해당한다. 하지만 전(前)-외디푸스적 관계로의 퇴행은 죄의식의 심화를 해결하지 못하며, 후기로 갈수록 자기파괴적인 징벌 욕구와 강렬한 죽음충동이 시 전체를 지배하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심리 구조가 ``장님 아비``가 아닌, 그것의 역상(逆像)인 새로운 ``아버지``가 되고자 하는 무의식적 욕망이 싹튼 데서 비롯한다고 보았다. 김종삼 시의 죄의식은 아버지-되기의 욕망이 작동하는 것에 대한 무의식적 신호라 할 수 있다. 이 신호에 의해 주체는 새로운 아버지가 되고자 하는 욕망을 포기하지만, 욕망의 포기는 죄의식을 오히려 강화한다. 김종삼에게서 아버지-되기의 욕망은 철저히 억압된다. 새로운 아버지-되기란 현존하는 아버지도, 부도덕한 상징적 아버지도 아닌, 그들 모두를 몰아내는 원초적 아버지가 되는 일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욕망을 품고 있다는 것에 대해 초자아의 판결은 훨씬 가혹해진다. 자아는 혹독한 처벌을 받아야하며, 자기의 죽음을 징벌의 형식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죄의식은 죽음충동으로 점차 심화된다. 후기로 갈수록 김종삼은 자신을 죽음을 원하는 자로 정체화한다. 이러한 주체에게 삶은 스스로를 벌하는 충동과 바닥모를 죄의식의 심연이 한묶음으로 주어지는 것과 같다. 삶이란 쾌락을 택하면 죽음을 원하는 자기파괴가 뒤따르고, 그러한 고통을 덜고자 죽음의 쾌락을 택하면 삶의 상실이라는 괴로움이 잇따르는 것은 주이상스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후기에 이르러 김종삼의 시적 주체는 주이상스의 주체로 현현한다. 한국시에 이러한 주체의 형상이 드물다는 것은 김종삼의 시를 고유한 것으로 만든다. 죽음을 수용하는 한에서만 주체는 윤리적 주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욕망의 주체-되기가 포기되는 상황은 한 개인의 욕망과 심성, 무의식의 체계와 마음의 구조, 삶의 태도에 대한 문화적 억압의 정도를 시사한다. 욕망의 추구가 자유의 문제와 직결되는 한, 욕망을 포기한 죄의식의 주체는 그가 속한 세계의 ``자유의 부재``를 상기시킨다. 그런 점에서 김종삼의 후기 시는 욕망의 추구를 구속하고 그것의 포기를 강제하는 현실이, 그 같은 사회적 억압과 불합리성이 전후 한국적 모더니티가 구축해온 역사의 ``이면``이었다는 사실을 환기한다. The sense of guilty in Kim Jong-Sam`s later poetry is closely connected with reestablishing the subject.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historical meanings of self-representation in Kim`s poetry by analyzing generational unconscious and family romance within its. For example, Kim`s poetic subject identifies himself ``a blind father`` as a symbol of incompetent father. ``A blind father`` is the only self-image as a existent father in Kim`s poetry. But ironically, he wants none of it. He cannot help contradicting himself. Owing to this self-contradiction, the foreclosure of the Name-of-the-Father is caused and structured throughout Kim`s poetry. For this lack of the Name-of-the-Father, the suppletions that is a substitute or a stand-in for what is missing at the level of symbolic is attempted. A world without adult men, the imaginary identification with maternal Jesus, and a fantasy of artist-community are some various forms of symbolic suppletion. But as time passes, the sense of guilty is much more stronger, and need for self-punishment and death drive are dominant over all the others in his poetry. This paper explains that the complex psychology of him originates from the unconscious desires of becoming-father. His feeling of guilt is a unconscious sign that he desires to become ``a new father``. But the desire of becoming-father is thoroughly suppressed in Kim`s. To become ``a new father`` may be to a primal father, neither a existent incompetent father nor a symbolic father, called the Name-of-the-Father. But a primal father is also a obscene father, according to Freud. For this reason, Kim`s poetic subject relinquishs his desire, but rather it deepens his sense of guilty. But, by reason of nursing this desire, the superego sentences the ego to a severe punishment, and the ego must die to expiate his own crime. This is why Kim`s feeling of guilt turns is gradually converted into death drive. In later poetry, Kim`s subject is identified with a man who wants his own death. To him, living a life is jouissance, a kind of deal in which pleasure and pain are presented as single packet. It means that the pleasure cannot be obtained without paying the price of suffering. In later poetry, Kim fails to become the subject of desire and his subjectivization is concluded in the subject of jouiss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