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를 위한 영역 및 지표개발

        강경종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Evaluation Areas and Indicator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by major fields, which could keep the continuity and the credibility by way of revising the current evaluation tools, and enhance the rationality of evaluation result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ly, the various related concepts of the school evaluation were explored by reviewing previous related studies and data analysis, and to find the suggestions for developing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vocational high schools those were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the domestic school evalu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evaluation areas and items by the major fields of study, two-round Delphi technique was used to collect data through a series of survey to obtain the consensus of a group of experts in evalu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addition, the workshop was held to verify the credibility of the evaluation areas and the evaluation item and develop specific evaluation items by each evaluation item and evaluation indicators by each specific evaluation item. Based on the results, six areas, nineteen sub-areas, sixty nine indicators were identified fitness for Evalu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실업계 고교의 환경변화 및 직업교육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고, 단위학교 운영의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를 통한 실업계 고등학교 운영 체제 개선을 위해 실업계 고등학교에 대한 평가 영역 및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이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 관련 선행연구 등을 통해 영역, 항목, 지표와 그 외의 문헌 연구 결과, 직업교육의 환경 변화, 시대적 요구 및 혁신 방안 등에서 제시한 내용에서 추출된 결과를 기초로 제1차 델파이 조사도구에 포함된 ⑴학교발전계획, ⑵교육과정, ⑶교원, ⑷학생, ⑸시설 및 설비, ⑹지역사회와의 연계, ⑺교육성과의 7개 영역, 25개 항목, 90개의 평가지표 등을 도출하고 제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추가되거나 수정되어야 할 문항을 조사한 결과, 16개 지표를 추가하고 12개 지표를 수정하였다. 그 결과 6개 영역, 19개 항목, 69개의 평가지표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실업계 고등학교의 개선 및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서는 이러한 평가 지표를 통한 지속적인 학교 평가의 실시와 평가 결과의 피드백이 정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평가 목적, 방법, 절차, 운영조직, 주기, 영역, 결과의 활용을 명시화하고, 평가에 필요한 인력 및 재정 확보를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평가 정책이 입안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에 대한 산업체 인식에 관한 연구

        강경종,김종우,허영준 한국직업교육학회 2007 職業 敎育 硏究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ion and adapt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nd perceptions of corporate personnel staffs, and draw out implications for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and articles, surveyed to personnel staffs of companies included to Ten Sector Councils by interviews. Respondents were 1,373 persons and data from 1,043 persons of them who experienced of employing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ere used to analyze by Spss Windows version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76% of respondents has employed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because of levels of performance ability, salary, and majors related to job, and employment ratio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s declined during last five years. Second, many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s blue-collar workers, and the more size of company, the higher ratio of blue-collar job. Third, in selection procedure, they consider more important personality, practice competency, certificates, and majors than paper-and-pencil tes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chool. Fourth, ratio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ho would resign work in one-year-employed terms is twice as much those of 2-year or 4-year college graduates, and these reasons were dissatisfaction to their salaries and working conditions and personal problem such as military duties. Fifth, performance level of basic skill is lower than personality and attitude as a worker, and special knowledge and skills are the lowest of performance competencies. Sixth, ability and attitudes insufficient to vocational high schools graduates is problem-solving ability and affirmative attitude to work. Finally, many of respondents forecasted that employment siz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ould sustain or expand. 이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의 채용과정, 산업체 현장적응 및 직무수행에 대한 산업체 인식을 분석하여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직업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 논문 및 연구자료를 기초로 하여 산업체 관계자의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한 조사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산업자원부에서 선정한 국가 주력산업을 주축으로 구성된 10개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sector councils)에 속하는 회원 산업체의 인사담당자 및 (생산)관리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는 총 1,373명이었고, 이 중에서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를 채용한 경험이 있는 1,043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산업체는 업무수행 수준, 임금 수준 및 업무관련 전공 등의 이유로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를 채용하고 있었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의 채용분야는 생산직이 가장 많았고, 기업규모가 클수록 생산직의 비중이 높아지는 반면, 규모가 작을수록 일반사무직과 기술전문직의 비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의 신규 채용시 고려요인으로는 성격, 현장실습능력, 자격증 소지, 전공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는 반면, 입사 필기시험과 학교성적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의 채용 당시 업무수행능력의 충분성에 대하여, 기본적인 인성 및 태도에 비하여 기초적인 직업능력 및 지식이 더 낮고, 전문지식과 기술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에게 가장 부족한 능력 및 태도로는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대표적이었다. 끝으로, 향후 전문계 고등학교 출신자의 채용 규모 변화에 대하여 현재와 비슷하게 유지되거나 감소할 수 있다는 의견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문계 고등학교는 지역적 그리고 산업적 인력수요에 맞춰 지역산업별 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소수 정예인력 양성에 초점을 둔 직업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 KCI등재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이용한 학교기업지원사업의 생산성 변화 분석

        강경종,이건남,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oductivity change of school-based enterprise according to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This study analyzed productivity change and the related factors by school size, and session of school-based enterprise. Input factor was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in this study, and output factors were net sales, the number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ield trip and the number of employee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productivity, the school-based enterprise was successful project. Second, according to school siz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were more influenced by technical change than net efficiency. Third, the support should be conducted in the long term. Fourth, customized strategies should be studied for each school-based enterprise. Fifth, scanning the effect and counterplan of school-based enterprise should be conducted more by school size continuously. Sixth, additional support such as teacher training and accounting support should be planned. 이 연구의 목적은 2004년부터 정부의 국고지원으로 운영되고 있는 학교기업지원사업을 Malmquist 생산성 지수를 이용하여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그리하여 투입요소로 국고지원금을, 산출요소로 매출액(순수익), 현장실습참여 학생수, 직원채용수로 하여 학교기업지원사업의 기수에 따른 학교급별 생산성 추이와 학교기업지원사업의 생산성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교기업지원사업을 통한 전체 학교기업의 생산성이 신장된 것으로 나타나 의미있는 사업이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학교급에 따른 학교기업의 효율성과 각 기간간의 생산성 변화에 대해 학교기업 모두는 상대적으로 기술변화가 순수 효율성보다 더 영향을 받았다. 셋째, 학교기업지원사업의 장기적 성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기업 특성에 따른 생산성 증대 전략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속적으로 학교급에 따른 학교기업의 대응 정도 및 효과를 파악해야 한다. 여섯째, 내부의 효율성에도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운영하고 학교기업에 대해서는 국고지원 외에 교사연수, 회계지원 등의 별도의 추가적인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의 농업정보기술인력 육성의 현황과 과제

        강경종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산업사회가 디지털 사회로 변화되면서 한국의 농업정보기술인력의 육성과 관련된 현황 및 문제점,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조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연구의 결과로는 농업정보기술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농촌 지역의 정보통신기반 확충과 농민들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고, 농업정보화 추진을 위한 체제의 정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농업정보기 인력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대학, 농업계 대학, 각종 농업관련 교육기관의 체계적인 교육 및 농민들의 정보이용능력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농업정보환경(시스템의 조기 안정화)을 개선하여야 하고, 다양한 컨텐츠 개발 및 제공하는 정보의 영역을 확대하여야 한다. 그리고 농업정보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표준교육과정 및 컨텐츠 제공, 교육 이수자에 대한 사후 지원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농업계 고등학교에서의 학교기업 활성화 방안

        강경종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 more detail the operational status of school-based enterprises at agricultural high schools in Korea. We conducted case studies and the current status analys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school-based enterprises, and proposed an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result of case studies and the current status analysis. Regarding specific strategies for the operation of school-based enterprises at agricultural high schools, we presented the target, the period, the oper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operational procedure of school-based enterprises and an implementation plan. In conducting this study, we analyzed relevant research papers and data of vocational & agricultural high school as a preliminary source and supplemented the result of the study with interviews and expert committees. In order to facilitate school-based enterprise programs, first, the operational objectives of school-based enterprise programs should be embodied. Secondly, feasible products by school-based enterprises must be specified. Thirdly, human resources such as teachers, who can deliver educational courses related to school-based enterprise programs, should be secured. In addition, the students should participate in school-based enterprise programs voluntarily and the program should be a part of optional courses of the formal course work. Fourthly, a firm found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allow schools to operate practical programs. To secure more voluntary schools as possible and to guarantee the autonomy in designing curricula, operating school-based enterprises and selecting students are critical. Fifthly, local education offices should conduct pilot programs and promote exemplary cases in order to enhance the awareness of the operation of school-based enterprises.

      • KCI등재후보

        전문대학 현장실습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강경종,이종상 한국직업교육학회 2003 職業 敎育 硏究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model and program of work-based experience appropriate for the conditions of junior colleges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the concept and objectives of work-based experience were reviewed and the model and program of work-based experience were also reviewed through the previous related studies. Secondly, the regulations of work-based experience in Korea were reviewed and the cases of work-based experience in foreign countries(work-based learning in the U.S., sandwich system in the U.K., and TAFE in the Australia) were also reviewed. Finally, the expert meeting consisting professors in junior colleges, educational administrators and industrial firms' staffs was held to make the final decision on the model and program of work-based experience appropriate for the conditions of junior colleges.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provided the model of work-based experience and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methods of operation.

      • KCI등재후보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필요 능력

        강경종 한국직업교육학회 2005 職業 敎育 硏究 Vol.24 No.1

        A digital-based information society is arousing people's interest in e-Learning as a new way of educational supporting system. The importance of e-Learning has been emphasized as e-Learning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In a digital-base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e-Learning is arousing peoples interests as a new way of educational supporting system. Meeting the demands of learners, such as just in time learning, e-Learning, which escape from the limit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face to face educational environment, is strengthening the importance of utility. A major role of traditional instructional designers is to design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roles of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however, are not limited to designing educational contents because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conduct various tasks such as development,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they links technology to education. To deliver successful e-learning solutions, a clear role of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should be identified in advance.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of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and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ies. A two-round Delphi technique was introduced to collect data through a series of surveys. Thirty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necessary for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