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기 김동리 소설 연구(1)

        김병길(Byoung Gill K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현대소설연구 Vol.- No.47

        This research`s goal is to confirm the bibliography of DONG-REE KIM`s short stories and novels and compare different editions in the Korean War. During the 1950-53 Korean War DONG-REE KIM` creation was relatively inactive, and many changes of the title and remakes had been done frequently. This time has special meaning because it is noteworthy how he coped with wartime as a ideologist representing right-wing literary circles. Under that critical mind this basic research has great significance in order to uncover the peculiarity of DONG-REE KIM`s short stories and novels. To correct preceding studies` mistakes I make start with DONG-REE KIM complete collection second volume (MINUMSA, 1995). This text is the criteria to trace inversely the whole changes that took place in other texts. As a result this study will lay groundwork for confirming each work`s canon.

      • KCI등재

        김동리 신라 연작 역사소설의 판본 비교 연구

        김병길 ( Byoung Gill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7 No.-

        현 단계 김동리 문학 연구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작품들의 정확한 서지 정리 및그에 근거한 정전 텍스트의 확정에 있다. 그 구체적인 사안의 하나가 일명 17편에이르는 ‘신라 연작 역사소설’의 최초 텍스트를 발굴하고 판본 간 계보도를 작성하는일이다. 김동리는 이들 단편 역사소설을 수차례 다른 지면을 통해 발표하고, 이후 .. 김동리 역사소설..집으로 엮어낸 바 있다. 그 과정에서 적지 않은 개제 및 개작이 행해졌다. 서사적 얼개의 재배치와 부분 개작에서부터 어휘 및 표현의 사소한 손질에이르기까지 전 방위적인 수정이 가해진 것이다. 이는 지속적인 개작을 통해 문학적완성도를 높여 갔던 김동리의 창작 관행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신라연작의 경우는 역사와 문학이라는 상호 모순적인 글쓰기로서 역사소설 창작의 지향이 무엇이 되어야 하느냐에 답하려는 실천적 작가의식이 반영된 결과라는 점에서그 의의가 소소하지 않다. 본 연구는 판본 비교를 통해 이와 같은 결론을 확증하고자 했다. The most urgent task for DONG-REE KIM`s literature study is his shortstories and novel works` bibliography and confirm canon texts. One of specifics details to this task is to discover the first version of ``a series of Silla texts`` and trace their pedigree. DONG-REE KIM published these shortstories in different literary magazines several times and since then collectedand bound into "DONG-REE KIM`s Historical Fiction" in 1977. In the process, he retitled and revised these texts. To put it concretely, hereorganized narrative plot or added new content to earlier versions, and corrected expressive vocabulary and modified sentences in the earlier draft. This fact typically showed DONG-REE KIM`s creation style to raise degree of literary completion through continuous revising. Especially in the case of``a series of Silla texts``, it is particularly relevant that his consciousness of awriter on historical fiction is reflected in them. This study intended to corroborate such a point of view via comparison of ``a series of Silla texts``.

      • KCI등재
      • KCI등재

        극으로 소환된 이 순신 - 최 윤수 작 역사극 <將軍李舜臣>을 중심으로 -

        김병길(Byoung-gill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20 사회이론 Vol.- No.57

        본고는 식민시기 이충무공 모티프의 유일한 극화 최 윤수 작 <將軍李舜臣>에 대한 최초의 전면적인 논의다. ‘이충무공’의 생애를 모티프 삼은 근대적인 글쓰기는 역사전기문학의 형태로 처음 문학화가 이루어졌다. 이충무공 모티프가 본격적으로 근대문학에 등재된 것은 1930년대 초 이 광수의 역사소설 『李舜臣』과 최 윤수의 역사극 <將軍李舜臣>에 이르러서다. 이후 해방 전까지 이충무공 모티프가 문학화된 사례는 없었다. 해방 직후 김 태진의 <壬辰倭亂>과 이를 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리순신 장군> 창작을 통해 이 순신은 극계에 재차 소환된다. 김 태진의 이 두 텍스트는 식민시기 ‘이충무공 유적보존운동’이 라는 사회문화운동의 열기 속에서 탄생한 최 윤수 작 <將軍李舜臣>의 데자뷰라 할 수 있는 창작이었다. 주요 갈등, 조정 대신들로 대표되는 지배계급의 수탈과 이 순신의 희생을 대척점에 배치함으로써 선악의 이분법적 갈등을 고조시키는 극적 구성이 최 윤수의 <將軍李舜臣>을 떠올리게 만드는 것이다. 그와 같은 유사성과 함께 세 텍스트는 상이한 담론 지형에서 창작되고 각색된 만큼 차이 또한 적지 않다. 특히 작자의 역사 인식에서 세 텍스트는 확연히 다른 면모를 드러낸다. 그 구체적인 지점은 이 순신이란 인물의 형상화에서 발견된다. <將軍李舜臣>에서 이 순신이 격정에 사로잡힌 인간적인 영웅 형상인 것과 달리 <壬辰倭亂>의 경우 완성형의 영웅에 가까우며, 이에서 더 나아가 <리순신 장군>은 우상화에 기울어 있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거쳐 <將軍李舜臣>이 <壬辰倭亂>과 <리순신 장군>의 유일한 극적 전사(前史)라는 사실, 그리고 <將軍李舜臣>의 복제를 의심할 만한 극 구성의 변주가 김 태진의 두 작품에서 공약수로 발견된다는 사실을 확증하였다. This study is the first full-fledged discussion of Choi Yun-su’s <Admiral Yi Sun-shin> which dramatized the ‘Yi Chungmugong’ motif during the colonial period. Modern writing, which took advantage of the life of Yi Chungmugong as a motif, began to be literaryized by historical and biographical literature. Yi Chungmugong motif was listed in modern literature through the creation of Yi Gwang-su’s historical novel 『Yi Sun-shin』, and Choi Yun-su’s historical drama <Admiral Yi Sun-shin>. Since then, there has been no literaryized case of Yi Chungmugong motif until 8․15 Liberation. After 8․15 Liberation, Yi Sun-shin is summoned to the theater again through the creation of Kim Tae-jin’s <Imjin Japanese Invasion> and <Yi Sun-shin, Admiral>, which is believed to have adapted it. Kim Tae-jin’s two texts were created as a déjà vu of Choi Yun-su’s <Admiral Yi Sun-shin>, which was created in the midst of the social and cultural movement called “Reservation Movement of Yi Chungmugong” in the early 1930s. The main conflict in Kim’s two texts between the exploitation of the ruling class represented by the Royal Court liege men and the sacrifice of Yi Sun-shin is placed at a counterpoint raising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which reminds us of Choi Yun-su’s <Admiral Yi Sun-shin>. Along with such similarities, there are also differences as the three texts are created and adapted from different discourse topography. In particular, these texts at the level of the author’s perception of history reveal distinctly different aspects. The specific point is the figure of Yi Sun-shin. In <Admiral Yi Sun-shin>, Yi Sun-shin is portrayed as a human hero who is obsessed with passion. On the other hand, it appears as a complete hero in <Imjin Japanese Invasion>, and furthermore it is idolized in <Yi Sun-shin, Admiral>. After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confirms that <Admiral Yi Sun-shin> is the only work created prior to <Imjin Japanese Invasion> and <Yi Sun-shin, Admiral>, and that the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 drama that doubts the reproduction of <Admiral Yi Sun-shin> is found as a common factor in Kim Tae-jin’s two texts.

      • KCI등재

        김동리 소설의 개작 양상과 ‘정전(正典)’의 문제 : 「진흥대왕(眞興大王)」 연작 발굴 사례를 중심으로

        김병길 ( Kim Byoung-gill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0 No.30

        현 단계 김동리 문학 연구에 있어 가장 시급한 과제의 하나는 소설 작품들의 정확한 서지 정리와 정전 텍스트의 확정 문제라 할 수 있다. 김동리 소설문학 텍스트 서지 연구의 가장 큰 난점은 무엇보다도 여러 이본 텍스트에서 비롯된다. 이는 곧 정전 텍스트 확정의 최대 장애가 되는데, 이 글에서는 크게 세 가지 개제 및 개작 양상을 들어 그 실제적인 난맥상을 확인해보고자 했다. 그 첫 번째는 최근 필자가 발굴한 김동리의 단편 역사소설 「眞興大王」 연작 발굴 사례이고, 두 번째는 개제 및 개작이 가장 빈번하게 행해진 시기로서 한국전쟁기의 「未遂」와 「傷兵」 텍스트 사례이다. 그리고 동일 매체와 지면에 발표된 세 편의 작품, 「靑磁」와 「雅歌」 그리고 「故友」의 상이한 개작 양상에 관한 사례이다. 이들 세 유형에 관한 검토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김동리 전집 개정에 걸맞는 정전 개념을 제안하고자 했다. ‘제3의 텍스트’ 개념이 그것인바, 이는 작가 개입이 확인된 판본 모두를 하나로 포괄하여 재구성한 텍스트를 가리킨다. 시기상 가장 앞선 판본을 모본으로 삼아 여타 판본들과의 차이를 수렴해내는 과정이 그 구체적인 방법에 해당한다. 말하자면 작가 개입이 배제된 제3의 판본으로서의 정전 개념을 상정하는 셈이다. The most urgent task for DONG-REE KIM's literature study is to classify his short stories and novel texts' bibliography and confirm canon texts. Above all the knotty subject of study on bibliography arise from a lot of variant texts. This study investigated it's concrete difficulties through three phases of retitle and remake. The first phase is historical short story series “JINHUNGDAEWANG” developing case, the second is creative aspects during the 1950~1953 Korean War. The third is three works(“CHUNGJA”, “AGA”, “GOWOO”) published in same magazine “SINTAEYANG” which shows different remake aspects. Based on these three types this study would like to suggest a definition of canon for the correction of DONG-REE KIM's complete works. It is so ‘third text’ that reconstructs all of editions corrected by author. The definite method is to gather differences among other editions and reflect them on the earliest edition text.

      • KCI등재

        일반논문 : 역사소설, 창기(創,記)의 경계를 횡단하다- 김영하의 역사소설 『검은 꽃』을 중심으로

        김병길 ( Byoung Gill K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2

        본 연구는 근 한 세기에 달하는 역사를 지닌 한국 근대 역사소설의 성격에 관한 비판적 고찰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충실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세 가지 구체적인 논점을 선정하였다. 첫째는 ``비-사건적인 것``에 역사소설이 주목하는 이유와 의의의 문제이다. 둘째는 대문자 역사가 망각한 시공간을 소문자 허구로 복원하는 역사소설의 서사 전략에 관한 논의이다. 그리고 마지막 논점은 ``사가연(史家然)하는 역사소설의 서술자와 서술자연하는 역사소설의 작가, 그리고 작가연하는 사가``, 세 층위에 걸친 발화가 담화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구조의 서사로 환원될 수밖에 없는 사정에 대한 것이다. 이 같은 논점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역사소설 문학의 내재적 특질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 주요 분석 대상이자 증거 텍스트로 선정된 작품은 김영하의 『검은 꽃』이다. 20세기 초의 역사를 대상으로 21세기 벽두에 창기(創/記)되었다는 사실과 작품의 주된 배경이 멕시코 혁명사라는 점이 이 텍스트만의 예외적인 면모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민족의 수난사가 그 주요 모티프라는 점이 전통적인 면모이다. 이 같은 역설적 국면이 앞의 세 논점들의 해명에 있어 이 작품을 최적의 텍스트로 꼽게 한 이유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ep structure of historical novelists` creative motive that has been accumulated since historical novel was imported and translated in modern Korea. For this purpose three points are presented in this study. The first issue is about the reason for historical novelists to pay attention to the non-evenemential and its meaning. The second is about the narrative strategy of historical novels that reconstruct the lost public history with fiction. The last is about the common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ors, historical novelists, and historiographers. This study grasps the major aspect of historical novel`s tradition of attempting to public history rather than fiction. Young-ha Kim`s historical novel Gumunkkot(black flower) was selected as a case since it is a suitable text to demonstrate historical novel`s eternal tradition.

      • KCI등재

        ‘김 옥균 서사’의 극화 계보

        김병길(Byoung-gill Kim) 한국사회이론학회 2021 사회이론 Vol.- No.59

        본 연구는 식민 시기 일련의 ‘김 옥균 서사’ 극화의 단속적 흐름, 곧 연속성과 단절적 국면을 조망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김 옥균 서사’ 극 텍스트에 관한 선행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세부 논점을 상정했다. 첫째, ‘김 옥균 서사’ 극화의 시발점에 대한 재고 둘째, 김 진구 작 〈대무대의 붕괴(大舞臺의 崩壞)〉 공연 성사 여부 셋째, 식민 시기 ‘김 옥균 서사’ 모티프 역사극 공연사 넷째, 박 영호 작 〈김옥균의 사(金玉均의 死)〉를 둘러싼 상반된 평가 위와 같은 논점을 중심으로 식민 시기 ‘김 옥균 서사’의 극화계보를 추적한 본 연구는 다음의 몇 가지 사실 확인 및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1920년대 지면 희곡으로 발아된 ‘김 옥균 서사’의 극화는 1940년대 들어서면서 연극 공연으로 그 무대가 옮겨졌다. 둘째, 1920년대 텍스트가 김 옥균의 죽음에 극의 초점을 맞춘 것과 달리 1940년대 텍스트는 갑신정변과 김 옥균의 일본망명 시절을 중점적으로 사건화했다. 셋째, 1920년대 텍스트에 나타나는 김 옥균의 ‘삼화(三和) 사상’은 1940년대 텍스트에서 대아시아주의, 곧 제국담론으로 전변된다. 넷째, 1940년대 동양극장의 〈김옥균전(金玉均傳)〉과 극단 아랑의 〈김옥균(金玉均)〉 공연을 분기로 ‘김 옥균 서사’의 극화는 멜로드라마적인 통속극으로 그 성격이 점차 변모한다. 다섯째, ‘김 옥균 서사’ 극화를 통한 동양극장과 극단 아랑의 경연은 1940년대 역사극 열풍을 이끈 주요한 계기였다. ‘김 옥균 서사’의 극화에 개입된 당대 담론 및 역사적 상황에 주목한 위와 같은 결론은 향후 극 장르를 포함한 문학 연구, 김 옥균 관련 인접 학문 분야 연구에도 유용한 참조점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ew the continuity and disconnection flow of “narrative of Kim Ok-kyun” dramatiz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detailed points based on prior research results on the motif play texts of “narrative of Kim Ok-kyun”. 1) reconsideration of the beginning of the dramatization of “narrative of Kim Ok-kyun,” 2) whether Kim Jin-gu’s 〈The Collapse of the Great Stage〉 performance was completed, 3) during the colonial period, Kim Ok-kyun’s Motif historical drama performance history, 4) the conflicting assessment of Park Young-ho’s 〈Kim Ok-kyun’s Death〉. Focusing on the above points, this study, which tracked the dramatization genealogy of “narrative of Kim Ok-kyun” during the colonial period came to the following facts and conclusions. First, The dramatization of “narrative of Kim Ok-kyun” which began in the 1920s in a series of magazines, moved the stage to theatrical performances in the 1940s. Second, unlike the 1920s text focused on the death of Kim Ok-kyun, the 1940s text focused on the Kapsin Coup and Kim Ok-kyun’s exile in Japan. Third, Kim Ok-kyun’s “Samhwa” idea, which appears in the text of the 1920s, is transformed to the grand Asianism, or imperial discourse in the text of the 1940s. Fourth, with the performance of Dongyang theater and theater company Arang in the 1940s, the dramatization of “narrative of Kim Ok-kyun” gradually transforms into a melodrama. Fifth, the competition between the Dongyang theater and the theater company Arang through the dramatization of “narrative of Kim Ok-kyun” was the decisive factor that led to the success of historical drama in the 1940s.

      • KCI등재

        한국 근대 역사문학의 기원과 지형

        김병길(Kim Byoung-gill) 국어국문학회 2010 국어국문학 Vol.- No.155

        This study is a kind of resume on Korean modern historical literature. In other words, this report was made as a meta-writing to depict the history of historical literature in genealogy by reconstructing the dynamic relations and their origins among historical novel, historical play, and historical romance. For this, philological consideration was adopted as a study of method. Until now the study on historical literature has obtained excellent results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However, the approach by bibliology as a key to get a wide view and understanding of early historical literature's features has not been performed enough. In consequence, different views about the origin of historical novel or historical play, confusion over genre's terms, discourse differences among historical literature genres, and the relativity of media to them have not been discussed thoroughly. For these reasons, this study was aimed to raise the necessity of discussion on such subjects and strengthen the basis of it.

      • KCI등재
      • KCI등재

        홍사용의 "불교역사극(佛敎歷史劇)" < 흰 젓 > 연구

        김병길 ( Byoung-gill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6 드라마연구 Vol.0 No.49

        홍사용의 < 흰 젓 >은 한국근대문학사에서 ‘歷史劇’이라는 용어를 타이틀로 내세운 최초의 작품이다. 이 같은 이력에도 불구하고 < 흰 젓 >은 그간 연구사에서 외면된 텍스트나 다름없었다. 홍사용에 관한 작가론 연구의 한 장면에서, 혹은 불교극 논의에서 단편적으로 거론되는 데 그쳤을 뿐이다. 본고는 위와 같은 선행연구들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정리이자 본격적인 작품 연구로 기획되었다. < 흰 젓 >에 대한 상세한 이해와 그에 근거한 객관적 평가를 위해 본고는 형식미학적 층위에서의 분석을 우선적인 과제로 상정했다. 아울러 역사극으로서 < 흰 젓 >의 사료적 전거성과 이의 문학적 변용 양상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 이광수의 역사소설 『異次頓의 死』와의 비교를 통해 < 흰 젓 >이 한국희곡사에서 자리하는 위치를 확인하고 재평가를 시도했다. < 흰 젓 >이 한국 근대희곡사, 특히 1920년대 희곡사에서 차지하는 독보적 위상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역사극이라는 타이틀 당당히 내건 최초의 작품, 해당 시기까지 발표된 희곡 가운데 가장 압도적인 스케일의 장막극, 사료에 대한 정확하고 풍부한 이해에 근거한 서사적 재현, 음악적 효과의 과감한 활용과 시적인 대사로 대표되는 다채로운 형식미학, 과거사에 대한 심층적 해석 등 이작품은 미덕은 실로 다채롭기까지 하다. 무엇보다도 < 흰 젓 >에 대한 가장 정확한 평가는 민족극으로서 역사극의 전범을 제시했다는 사실이다. Hong Sa-yong’s < HINJEOT > is the first piece of work which used the term ‘歷 史劇(historical drama)’ as a title in the history of Korea modern literature. In prior research < HINJEOT > did not make a mark as the subjects of study. It has been considered in a scene of theory research of a writer on Hong Sa-yong, or fragmentary for debate among Buddhism plays. This paper is not only derived as a review of existing studies’ performance but also planned as a full-scale study. For detailed understanding and objective assessment of < HINJEOT >, this paper laid an analysis on esthetics of form as a priority agenda. Secondly this paper considered < HINJEOT >’s the use of historical materials and its literary alternation aspects as a historical play. Thirdly by comparing with Lee Gwang-soo``s historical novel “ICHADON’s death”, this paper attempted to reevaluate < HINJEOT >’s position in a play history of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