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톱밥의 열분해를 위한 Rotary kiln 의 modelling 에 관한 연구

        지동,최익수,이보성 한국화학공학회 1984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22 No.1

        본 연구는 톱밥의 열분해를 위한 Rotary Kiln의 기본설계문제와 조작조건을 논의하였다. 특히 Rotary Kiln내에서의 고체반응물질의 평균체류시간과 混合度의 關係式을 얻었으며 그결과 체류시간은 원료투입량에 무관함을 발견하였고 가장 混合度가 좋은 回轉數는 120rpm이었다. Axial dispersion model을 적용하여 熱分解溫度에 따른 必要한 Rotary Kiln의 길이를 予見하도록 하였다. A study on the fundamental design of the rotary kiln and the operational techniques of the kiln for the pyrolysis of saw dust was carried out. The emphasis of this study was plac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 residence time and mixing degree of the solid reactant in the rotary kiln. It was found that the mean residence time of the solid was independent with the feed rate, and the highest mixing degree was obtained at rotational speed of 120 rpm. With the Axial Dispersion Model, the optimum lengths of the rotary kiln with different reaction temperatures were predicted for the pyrolysis.

      • KCI등재

        백두대간 중점보전종인 댕강나무의 식생 군집 및 환경인자 특성

        지동,이혜정,이동혁,변준기,박병주,허태임 한국산림과학회 202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1 No.2

        Currently, species extinctions are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and continued anthropogenic impact. We selected 300 species for conservation with emphasis on plants co-occurring in the Baekdudaegan area, which is a large ecological axis of Korea. We aimed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Zabelia tyaihyonii in the limestone habitat among the target plant species in the Baekdudaegan region to derive effective conservation strategies. In Danyang-gun, Yeongwol-gun, and Jecheon-si, we selected 36 investigation sites where Z. tyaihyonii was present. We investigated the vegetation, flora, soil and physical environment. We also found notable plants such as Thalictrum petaloideum, Sillaphyton podagraria, and Neillia uekii at the investigation sites. We classified forest vegetation community types into 4 vegetation units and 7 species group types. With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of the vegetation community and habitat factors, we determined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to be 75.2%, and we classifie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of Z. tyaihyonii into a grouping of three. Among these, we detect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factors elevation, slope, organic matter, rock ratio, pH, potassium, and sodium. We identified numerous rare and endemic plants, including Thalictrum petaloideum, in the investigation site, and determined that these groups needed to be preserved at the habitat level.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vegetation units analyzed based on the emerging plants and the CCA, we reaffirmed the uniqueness and specificity of the vegetation community in the habitat of Z. tyaihyonii. We anticipate that our results will be used as scientific evidence for the empirical conservation of the native habitats of Z. tyaihyonii. 오늘날 급격한 기후 변화와 지속적인 인간의 개발 압력으로 멸종의 우려에 대한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우리나라의 커다란 생태축인 백두대간 일대에서 출현하는 식물 가운데 중점적으로 보전해야할 식물 300종을 우선적 으로 선정하였다. 그중 석회암 지대에 출현하는 댕강나무를 최우선 보전종으로 인식하고 이들의 식생 군집과 환경인자 특 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단양군, 영월군, 제천시 등 댕강나무 서식지 36개소를 조사지로 설정하고, 조사지 내 출현식물, 식생, 토양과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조사지에서 특기할 만한 식물로 꽃꿩의다리, 덕우기름나물, 나도국수나무 등이 출 현하였다. 산림식생 군락유형은 4개의 식생유형과 7개의 종군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식생군집과 환경인자의 CCA 분석결과, 종합설명력 75.2%였으며 댕강나무 서식지의 환경적 특징이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에서 관계성이 있었던 환경인자 는 해발고도, 경사, 유기물, 암석 비율, pH, 칼륨, 그리고 나트륨이었다. 조사지 내에서 꽃꿩의다리를 비롯하여 다수의 희귀 식물과 특산식물이 확인되어 이들 집단을 서식지 수준에서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출현 식물을 토대로 분석된 식생 유형 분류와 CCA 분석에서 댕강나무 서식지의 식생 집단의 고유성과 특이성이 재차 인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댕강나무 자생지의 실증적 보전을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북한의 제18대 대통령선거 개입의 의도와 행태 : 『로동신문』분석을 중심으로

        지동,한관수 한국동북아학회 2013 한국동북아논총 Vol.18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North Korea intervened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of ROK. 198 articles of Rodong Sinmun newspaper from Jan. 2012 through Dec. 2012 were analyzed in order to discover its intention and behavior. Different patterns of topics and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presidential election period was observed. It was revealed that its intention to intervene in ROK's presidential election was to create pro-North Korean government. It attacked conservative camp and supported progressive camp in order to make the next president for changing the coercive policy toward North Korea to flexible policy and finally to fulfill 15th June and 4th October presidential declaration. Corresponding strategies are required to interrupt or minimize the effects of its intervention since it is against inter Korean basic agreement and also it can cause wrong result of the election. 이 논문은 북한이 한국의 제18대 대통령선거에 어떻게 개입했는가를 노동당의 기관지인 로동신문을 통해 그 의도와 행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북한의 로동신문을 2012년 1월부터 투표일인 12월까지의 1년간의 보도내용 198건을 분석한 결과 개입시기에 따라 주제와 게재 빈도가 상이한 흐름을 보였다. 북한의 선거개입 전략적 의도는 친북정권 창출을 위해 보수진영을 공격하고 진보진영을 우회지원 또는 옹호하는데 있으며, 그 목적은 차기 대통령이 이명박정부의 강경한 대북정책을 6·15, 10·4선언을 이행하는 유연한 정책으로 전환하여 북한의 국가목표 달성에 기여토록 하는데 있음을 밝혀 낼 수 있었다. 북한의 한국 선거개입은 ‘남북기본합의서’에 위배되는 사항이고 왜곡된 선거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어, 이를 저지하거나 그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응방안이 요구된다.

      • KCI등재

        백두대간 바람재일대 식생유형 및 천이경향

        지동 ( Ji-dong Kim ),이준우 ( Jun-woo Lee ),박병주 ( Byeong-joo Park ),이혜정 ( Hye Jung Lee ),이동혁 ( Dong-hyuk Lee ),허태임 ( Tae-im Heo ),변준기 ( Jun-gi Byeon ),안지홍 ( Ji Hong Ah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3

        본 연구는 바람재일대의 산림생태계복원 이후 식생유형에 따른 천이경향에 대한 산림의 변화 상태를 분석하였다. 바람재일대의 식생유형 분류를 위해 2019년 5월부터 10월까지 식생조사법에 따라 총 81개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생유형분류체계는 소나무군락군으로 구분되었다. 군락단위에서 신갈나무군락, 소나무전형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군단위에서 떡갈나무전형소군, 버드나무소군, 신갈나무전형소군으로 구분되었다. 중요치 분석 결과, 식생단위 1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식생단위 2는 신갈나무, 떡갈나무, 식생단위 3은 소나무, 그리고 식생단위 4는 버드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천이계열에 따라 층위별 이입 종의 우점도 차이를 보였다. 식생유형분류체계를 바탕으로 천이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DCA)를 분석한 결과, 1축(33.2%) 및 2축(28.9%)로 종합 설명력 62.1%로 나타났다. 복원 이후, 천이경향은 식생단위 1과 식생단위 2가 가장 광범위한 식생으로 발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생단위 2와 식생단위 4에 해당하는 버드나무소군은 초기식생 발달에 이입된 종이 다수 분포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바람재 일대는 단계적 천이계열로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e succession by vegetation type after forest ecosystem restoration in the Baramjae area. Vegetation of the Baramjae area was classified using a survey of 81 sites from May to October 2019. The vegetation type was classified as Pinus densiflora community group with both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P. densiflora typical community. The group unit was further classified as the Quercus dentata typical subgroup, Salix koreensis subgroup, and Q. mongolica typical subgroup. Such as Q. mongolica, Quercus variavilis in vegetation unit 1, Q. mongolica, Q. dentata in vegetation unit 2, P. densiflora in vegetation unit 3 and S. koreensis in vegetation unit 4 were shown a high importance value. The difference in species by vertical layer is explained by sere. Based on the vegetation type classification system,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trend of succession. Since restoration, vegetation unit 1 and vegetation unit 2 were considered to have developed the most extensive vegetation. In vegetation unit 2 and vegetation unit 4, many of the species found were in the early vegetation development in S. koreensis subgroup. Accordingly, vegetation in the Baramjae area can be categorized as a stepwise succ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