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인공판막 치환수술후의 용혈

        장원,이계영,김상형,Jang, Won-Chae,Lee, Gye-Yeong,Kim, Sang-Hyeong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5 No.12

        Forty two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had valve replacement with St. Jude Medical prosthesis were studied on a view point of intravascular hemolysis. Patients were consisted of 14 mitral valve replacement, and 7 aortic valve replacement, and 21 double, mitral and aortic, valve replacement. Serum LDH, indirect bilirubin, GOT, hemoglobin levels and ret-iculocyte count were pursued in postopeative 1st day, 3rd day, 7th day, 14th day and 21th day. Postoperatively, all patients were not detected paravalvular leakage on the ech-ocardiographical study. The patients with double valve replacement revealed higher levels of LDH on postopeative 14th day[P<0 05] than those with single valve replacement. Among the patients with single valve replacement, the patients with aortic valve replacement revealed slightly higher levels of entire postopeative data, but considered insignificant.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hemolysis and the size of replaced aortic valve. In the postoperative LDH levels, the patients with small sized-aortic valve[less than 21mm in diameter] replacement revealed higher levels of postoperative 3rd day, 7th day and 14th day than those with large size[more than 23mm in diameter]. The patients with high level LDH of greater than 800 WU /L on postoperative 7th day were 61.9%[26 of 42]. The high LDH frequency of DVR was 71.4%[15 of 21], MVR 50.0%[7 of 14] and AVR, 57.1%[4 of 7]. The level of LDH declined gradualiy thereafter through postoperative 3 weeks. In conclusion, intravascular hemolysis after prosthetic valve replacement was dependent on position of valve replacement and size of valve. And this study supports the conventional valve selection and usage in our hospital. The patients with subclinical hemolysis after valve replacement should be placed on a close observation.

      • SCOPUSKCI등재

        St. Jude Medical 판막에 의한 승모판치환술의 임상성적

        장원,신성현,나국주,김상형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3

        A total of 172 cases of MVR using the St. Jude Medical valve was conducted in the period from August 1986 to May 1996. The hospital mortality rate was 3.5% (n=6) and the late mortality rate was 3.3% (n=5). According to the follow-up of 161 surviving patients, the average length of survival was 50.23$\pm$0.27 months. Three cases of prosthetic valve related complication deaths were identified. Two cases could be ascribed to left atrial thrombi and resulting cerebral infarction, and one case was prosthetic valve endocarditis. Two cases were caused by hemorrhagic complications that we presume to have been accompanied by anti-coagulation therapy. The actuarial survival rate of all cases at 10 years was 92.3%. We conclude that good clinical results and a low complication rate could be achieved through mitral valve replacement with the St. Jude Medical valve. We also conclude that mid-term and long-term follow-ups were instrumental and necessary. 저자들은 1986년 8월부터 1996년 5월까지 172례의 환자에서 St. Jude Medical 판막을 사용하여 승모판 치환술을 시행하였다. 병원사망률(hospital mortaliy rate)은 3.5%(6례)였고, 만기사망률(late mortality rate)은 3.3%(5례)였다. 생존한 161명의 환자에서 추적관찰(follw-up)을 시행하였는데 평균기간은 50.23$\pm$0.27개월이었다. 인공판과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좌방혈전 및 이로인한 뇌경색으로 사망한 예가 2례있었고, 인공판 심내막염(Prosthetic valve endocarditis)이 발생하여 사망한 예가 1례 있었으며, 항응고요법에 동반된 것으로 추정되는 출혈성 합병증은 2례에서 발생하였다. 전체환자의 10년 생존률은 92.3%이었다. 이상으로 본 흉부외과교실에서는 St. Jude 기계판을 사용하여 승모판 치환술의 중단기 임상성적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며, 앞으로 계속해서 장기추적관찰에 노력할 생각이다.

      • KCI등재

        심낭 압전을 유발한 심장혈관증 1예 보고

        장원,김병표,최용선,범민선,오봉석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3

        Cardiac hemangioma is an extremely rare benign tumor. A 65 years old woman was admitted due to epigastric and chest pain. After we confirmed cardiac tamponade with right atrial mass by chest CT, we performed surgical resection of the mass and identified hemangioma with capillary endothelial hyperplasia on pathologic examination. Therefore, we report the case with literature review. 심장에 발생하는 혈관종은 매우 드문 양성 종양이다. 본원에서는 상복부 및 흉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65세 여자 환자에서 시행한 전산화 단층 촬영상 심낭 압전과 함께 우심방 종괴를 발견하고 수술절제를 시행하여 조직 검사상 유두상 내피세포 증식증을 가지고 있는 혈관종을 발견하였다.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연하곤란 및 반복적인 폐렴을 동반한 이상우쇄골하동맥 -1예 보고-

        장원,임영혁,임성철,오봉석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3

        Aberrant right subclavian artery (ARSA) is an anomaly with a reported incidence of 0.5% to 2%. Most patients with an ARSA remain asymptomatic; however about 10% of adult patients have compressive symptoms. A case is reported of a 64-year old female patient who had a few years of history of dysphagia and recurrent pneumonia. Angiography was performed, which demonstrated an ARSA with common origin of the right and left carotid arteries. Surgical correction was performed via right thoracotomy. The proximal aberrant artery was mobilized behind the esophagus. The distal, right subclavian artery was exposed, transected, and transposed with reimplantation into the aortic root by graft bypass. 이상우쇄골하동맥은 약 0.5∼2%에서 발생하며, 성인의 경우 대부분이 임상적인 증상 없이 생활하나 약 10%에서 기관이나 식도의 압박에 의한 임상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수년 간 연하곤란 및 반복되는 폐렴을 주소로 한 이상우쇄골하동맥을 가진 64세 여자 환자를 보고한다. 혈관 촬영상 좌우 경동맥(carotid artery)이 하나의 동맥간(common trunk)에서 기시하고 우측 쇄골하동맥은 좌측 쇄골하동맥 기시부 가까이의 상행대동맥 후방에서 기시하여 식도의 후방으로 주행하는 이상우쇄골하동맥을 진단하였다. 수술적 치료는 우측 개흉술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식도의 후방부위를 박리하여 이상우쇄골하동맥을 완전히 박리하여 유동시켰다. 우쇄골하동맥을 박리한 후 근위부를 결찰하여 분리한 후 원위부를 인조혈관을 이용하여 대동맥 근위부와 연결하였다.

      • KCI등재

        월경 시 객혈을 동반한 폐 자궁내막증 치험 1예

        장원,유웅,김병표,최용선,홍성범,오봉석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1

        Pulmonary endometriosis is a rare disorder. We report a case of a 38-year-old woman with a 10-year history of catamenial hemoptysis due to pulmonary endometriosis which was diagnosed by CT during menstruation and treated successfully by wedge-resection of the right middle lobe. Medical therapy with hormones was not performed. There is no evidence of recurrence 5 months after the operation. 폐 자궁내막증은 매우 드문 질환이다. 본 증례는 10년 전부터 월경 시 객혈의 과거력을 가진 38세의 여자 환자로 월경 중 검사한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으로 폐 자궁내막증을 진단하고 우중엽 쐐기절제술로 치료하였다. 호르몬 요법을 포함한 내과적 치료는 시행하지 않았으며, 술 후 5개월째 재발 소견 없이 추적 관찰 중이다.

      • KCI등재

        흰쥐에서 출형성 쇼크 후 회복 시 저체온법 및 수액 치료에 따른 폐장의 염증성 변화

        장원,범민선,정인석,홍영주,오봉석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12

        배경: 출혈성 쇼크는 허혈 시 발생하는 산소산화물 등에 의해 체내에 여러 가지 염증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각 장기의 기능부전을 초래한다. 특히 폐장은 허혈 시 조기에 폐포 세포의 투과성이 증가하여 부종, 염증세포의 침윤 및 출혈 등이 일어나 호흡부전증을 초래한다. 또한 출혈성 쇼크 시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수액 요법은 간질의 부종을 일으켜 폐장의 기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위험 요소이다. 따라서 출혈성 쇼크 후 폐장의 기능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폐장의 염증 반응을 줄이고 폐부종을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300∼350 gm 정도의 수컷 흰쥐를 이용하여 경정맥을 통해 약 3 mL/100 g의 혈액을 제거하여 평균 경동맥압 35∼40 mmHg의 출혈성 쇼크 상태(I 단계, 60분)를 유도하고 유지한 후, 제거한 혈액을 재주입하고 수액요법을 실시하여 평균 경동맥압을 80 mmHg로 유지하는 소생 상태(II 단계, 60분)를 시행한 후 약 3시간 정도 경과를 관찰(III 단계)하였다. 실험동물은 3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I군(n=10)은 I 단계 시 직장체온을 37 1oC로 유지하고 II 단계에서 린저액을 이용하여 수액요법을 실시하였다. II 군(n=10)은 I 단계 시 직장체온을 33 1oC로 유지하고 II 단계에서 린저액을 이용한 수액요법을 실시하였다. III 군은 I 단계 시 33 1oC로 체온을 유지하였고 II 단계에서 5% 알부민액을 이용하여 수액요법을 실시하였다. 각 군 모두 실험 전, I, II, III 단계 후반에 혈류역학적 인자(심박수, 평균 경동맥압), 동맥혈 가스 분석, 혈청내 포도당과 LDH, I, II 단계의 투여 수액양, 기관지-폐포 세척액의 Interleukin (IL)-8을 측정하였고, 조직검사를 통해 염증반응의 정도를 조직학적 점수로 평가하였다. 결과: I 군의 4예를 제외한 26예가 III단계까지 생존하였다. 각 군 간의 평균 경동맥압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실험 1단계에서의 채혈량은 I 군은 3.2 0.5 mL/100 g으로 II, III 군의 3.9 0.8 mL/100 g, 4.1 0.7 mL/100 g에 비해 각각 유의하게 적었다(p<0.05). II 단계에서의 투여 수액량은 I 군 28.6 6.0 mL, II 군 20.6 4.0 mL, III 군 14.7 2.7 mL로 각 군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5). 혈청내 칼륨 농도는 I 군에서 II 군에 비해 소생술 후 의의 있게 높았으며(p<0.05), 포도당 농도는 II 단계의 I 군에서 타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았다(p<0.05). IL-8은 I 군 1,834 437 pg/mL, II 군 1,006 532 pg/mL, III군 764 302 pg/mL로 I 군에서 II 및 III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폐조직의 조직검사를 통해 평가한 염증세포 분포 점수에서 III 군이 1.6 0.6으로 I 군 2.8 1.2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압력 조절형 출혈성 쇼크 모델에서 시행한 저체온법은 정상체온을 유지하고 있는 군에 비해 쇼크 상태에서의 기초대사량을 줄여줌으로써 허혈에 의한 조직의 직접적인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저체온법은 수액의 사용량을 줄여주고 IL-8 등의 싸이토카인 분비를 억제시키며 백혈구의 침윤을 줄여줌으로써 쇼크 후 폐장의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저체온법을 시행한 군에서도 투여하는 수액을 달리함으로써 폐장의 염증변화나 손상이 차이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한 세심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자발성 혈흉을 동반한 제1형 신경섬유종증

        장원,정인석,이교선,오봉석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2

        Vascular involvement is a rare and life threatening complication of type I neurofibromatosis. A twenty-eight years old female with a family history of type I neurofibromatosis had sudden onset of upper back pain and dyspnea. Chest CT showed right massive hemothorax with aneurysmal rupture of the intercostal artery. She underwent an emergency operation on unstable hemodynamic status. We report a case of surgical treatment of spontaneous hemothorax in a patient with type I neurofibromatosis. 제1형 신경섬유종증에서 혈관 병변은 드물지만 매우 치명적일 수 있다. 환자는 제1형 신경섬유종증 가족력이 있는 28세 여자로 갑자기 생긴 배부 통증과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상 우측에 다량의 혈흉을 동반한 늑간 동맥류 파열이 발견되었고 생체징후가 불안정하여 응급 수술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자발성 혈흉을 동반한 제1형 신경섬유종증 1예를 치험하였기에 증례보고를 하는 바이다.

      • KCI등재

        흰쥐에서 폐정맥 폐쇄에 의해 유도된 폐동맥고혈압 발생 후의 폐장의 변화

        장원,정인석,조규성,오봉석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9

        배경: 저산소증, 공기색전증, monocrotaline 약물 주입 등에 의해 혈관 내막의 손상을 일으켜 폐동맥내 세포외간질 단백질 합성을 활성화시키고 혈관의 중막비후나 신생내막의 형성을 일으키는 혈관개조(vascular remodeling) 실험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폐정맥을 폐쇄시킨 후 변화된 혈류에 의해 폐장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확인하고자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352 18 g의 흰쥐(n=10)를 이용하여 ketamine 근육내 주사로 마취하여 정중흉골절개술을 시행하고 심장을 노출시킨 후 우측 폐정맥을 크립을 이용하여 폐쇄하였으며, 15일 후 폐동맥압, 좌심실과 심실중격 대비 우심실 무게비(RV/LV Sweight ratio), 말초 폐동맥의 외측지름대비 벽두께비(percent wall thickness (%WT)) 등을 측정하여 대조군(n=5)과 비교하였다. 결과: 폐정맥 폐쇄군의 폐동맥압은 38 12 mmHg로 대조군의 13 4 mmHg에 비해 의의 있게 증가되었다(p<0.05). 좌심실과 심실중격 대비 우심실 무게비는 대조군의 0.35 0.04에 비해 0.52 0.0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우심실 비대 소견을 보였고(p<0.05), 말초 폐동맥의 외측지름대비 벽두께비는 폐쇄군이 22.4 6.7%로 대조군의 6.7 3.4%에 비해 증가되었다(p<0.05). 결론: 한쪽 폐의 폐정맥 폐쇄는 폐동맥고혈압, 우심실 비대, 말초 폐동맥의 중막 비후 소견을 유도하였다. 이는 폐동맥 혈관개조의 병리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측 폐정맥을 폐쇄하는 경우 반대측 폐장의 폐혈류량 증가뿐만 아니라 혈관개조를 유발하는 내막의 손상을 동반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