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회생절차에서 M&A의 효율적 활용

        백숙종 ( Back Suk Jong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5

        본 논문은 회생절차 내에서 기업회생을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진행되는 M&A에 관하여 각 인가 전과 인가 후에 진행된 경우를 구분하여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 회생절차에서 M&A의 효율적 활용에 관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000년대 이후 법원에서 기업회생절차를 진행하면서 적극적으로 M&A를 시도하여 왔는데, 초기에는 일단 원회생계획이 인가된 이후 가결기간의 제한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시간적으로 여유를 갖고 진행하는 인가 후 M&A가 원칙처럼 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인가 후 M&A는 두 차례의 회생계획을 통해 채권자의 권리가 대폭 감축되는 경우가 많았고, 채무자가 장기간 회생절차 내에 머무를 수밖에 없어 그로 인한 불이익을 감수해야 하는 등 M&A를 통해 얻는 이익 못지 않게 단점이 많다고 지적되어 왔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신탁관계의 해소 등 인가 후에 M&A를 진행할 필요가 있는 사건도 있을 것인데, 이는 일반적인 경우는 아니다. 이에 관하여 필자가 주심으로 인가 후 M&A를 진행한 3건의 사례를 분석하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다행히 법원으로서는 다년간의 M&A 진행 경험을 축적하는 한편, 종래 회생절차가 지나치게 공정성만을 중시함으로써 다소 경직적으로 운영되었다는 비판을 수용하여 공정성과 효율성을 함께 고려하는 방향으로 회생절차를 유연하게 운영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한 견지에서 인가 전, 회생절차 개시 단계에서부터 기업회생을 위하여 필요하다면 적극적으로 M&A 진행 여부가 고려되고 있고 실제 통계상으로도 인가 전에 M&A를 시도하는 경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의미한 통계 분석을 위해 필자는, 2014년 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3년간 접수된 법인회생사건(간회합 사건 제외) 967건을 대상으로 M&A에 관한 각종 통계적 쟁점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본 논문에 기재하였다. 이를 통해, M&A가 성공할 경우 그 특성상 채무가 일시에 조기 변제된다는 점에서 채권자들의 이익에 부합할 것임은 당연히 예상된 것이었으나, 특히 인가 전 M&A가 성공할 경우 채무자가 매우 단기간 내에(통계상 1년 이내에) 회생절차를 종결하고 다시 정상 기업으로서 사업을 영위하는 이익을 누리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사건과 채무자의 특성에 따라 가장 적합하고 효율적인 방법의 회생절차가 진행되어야 함이 원칙이나, 2017년 3월 서울회생법원 설립 이후 이미 정착 단계에 들어선 조기 종결 원칙과 함께 성공적인 기업회생을 위하여 여러 가지 노력이 행해지고 있는 중에, 인가 전, 회생절차 초기 단계부터 M&A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 역시 매우 효율적인 기업회생의 방법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In this thesis, M&As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before or after the confirmation are studied, so to make it more efficiently in-court rehabilitation process. After 2000s, Court tries to do M&A in the corporate reorganization procedure actively. In early days, M&A is used widely after the confirmation, because there is no time limit after the confirmation compared to before the confirmation. However, in the majority M&A cases done after the confirmation is accompanied by the big impairment of creditors' right through the original plan and the changed plan. And it also means that the debtor should stay in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for a long time, which are very disadvantageous to the debtor. In certain cases like the one a trust agreement should be terminated for the rehabilitation, it's necessary to do M&A even after the confirmation, but this happens not frequently. In regard to these matters, I analyzed 3 cases which I have dealt with as a judge in this study. Fortunately, for several years, court's experience of M&A has deepened. In addition, recently, court is trying to operate the procedure more flexibly with effectiveness as well as fairness. I have found that M&A is considered actively before the confirmation, right after the commencement if necessary, and the rate of attempting M&A in-court process has increased statistically these days. To analyze the statistics meaningfully, I investigated 967 corporate rehabilitation cases which are filed from February 2014 to February 2017 and the result is included in this thesis. This showed that as expected, if M&A succeeds, the creditors have an advantage of being paid earlier and at one time. Especially M&A succeeds before the confirmation, the debtor also has an advantage that the insolvency case could be closed 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according to the statistics, within one year) and the debtor itself can run the business as it was. Needles to sa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se and each debtor, the most proper and efficient wa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successful rehabilitation. I just want to emphasize that the utilization of M&A from the very first time of the rehabilitation procedure, before the confirmation would be one of the way for the effective corporation rehabilitation.

      • KCI등재

        섬진강권 감성 문화와 지역 문화콘텐츠 발전 방안 - <수월정 30영>을 중심으로 -

        백숙아(Baek Sukah)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5 No.-

        <수월정30영>은 수은 강항(睡隱 姜沆, 1567~1618)이 섬진강 가에 자리한 수월정에서 바라본 풍광, 주변의 소리, 인간의 삶, 시간의 흐름, 나무와 물, 새와 송아지, 풍류 등을 읊은 연작시이다. <수월정30영>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에서 시적 구성, 표현 양상, 비교 연구 등 다양한 측면의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 본고는 섬진강권 감성문화를 파악하고 수은 강항의<수월정30영>을 지역문화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발전 방안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다 객관적이고 상징적인 문화요소를 찾고 그 과정을 통하여 지역문화콘텐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일은 꼭 필요한 작업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수월정30영>은 광양의 젖줄인 섬진강 주변 풍광과 지역민들의 소소한 삶을 읊은 지역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문화콘텐츠로서 주목되는 작품이다. 21세기는 문화경쟁 시대라고 일컬을 정도로 문화자원을 활용한 부가가치와 인간 삶의 윤택함을 지향하는 추세이다. 때문에 각 지자체들의 치열한 움직임이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감지된다. 이러한 때에 지역의 문화요소들을 탐색하고 연구하여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연계 발전시켜나가는 일은 연구자들이 마땅히 풀어나가야 할 과제라고 여겨진다. 연구자들은 지역문화콘텐츠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 해당 지자체는 이를 수용하여 보다 높은 지성과 감성을 겸비한 지역민들의 삶을 가꾸어줄 필요가 있다. 이는 지역 문화의 발전을 꾀하는 관심 있는 사람들과 연구자들이 앞장서서 노력할 때 가능한 일이다. <수월정30영>의 문화콘텐츠화 및 활용 방안을 논의한 이 연구는 문화경쟁 사회가 도래된 지 몇 해가 지나도록 개발에 역점을 두고 문화도시 발전에 대한 사안을 소홀히 하고 있는 지자체 행정과 지역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될 기반이 될 것이다. 광양에도 타 지역처럼 도시문화사업단이 꾸려져서 갖가지 문화사업들을 추진하고는 있다. 그러나 타 지역을 답습하고 있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괴리감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타 지역과 변별력 있는 문화사업들이 꾸려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아름다운 풍광과 넉넉한 인심을 자랑하는 광양 지역만의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의 정체성을 찾아 보다 발전적인 문화사업을 확장해나가야 한다. “Suwoljeong30Yeong (Suwol pavilion 30 poetic songs)” is a collaboratively composed type of Jeyeong‐shi (Subject‐given Song Reciting Poems), which Sueun Kang Hang (睡隱 姜沆, 1567~1618) recites the scenery viewed from Suwoljeong, located along the riverside of Seomjin‐river, the sound of the surroundings, human life, the passage of time, trees and water, birds and calves, poet’s elegances, etc. As for “Suwoljeong30 Yeong”, research results in various aspects such as poetic composition, expression patterns, and comparative studies were achiev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ulture of the Seomjin‐river zone and to identify developmental strategies that can utilize Sueun Kang Hang"s “Suwoljeong30Yeong” as local cultural contents. This is because finding more objective and symbolic cultural elements, and through the process, seeking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contents is an essential task. From this perspective, “Suwoljeong30Yeong” is a work that attracts attention as a cultural content because it has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recite the surrounding scenery of Seomjin‐river, the lifeline of Gwangyang, and the tiny humble lives of local residents. The 21st century is said to be an era of cultural competition, and now we are in a trend toward added value and the prosperity of human life using cultural resources. Therefore, the fierce movements of many local governments are detected through several channels. At this time, by exploring and researching regional cultural elements,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and bringing about progress in interdisciplinary efforts are tasks that researchers deserve to solv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should be presented, and the local government should accept them and lead the lives of local people with higher intelligence and emotion. This is possible when those interested people and researchers who seek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take the lead and make effor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focusing on “Suwoljeong30Yeong”, will bring a lot of change to the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local community of Gwangyang, which has focused on development for several years since the advent of a cultural competition society, and neglects the issue of cultural city development. In Gwangyang too, as in many other regions, an urban cultural project team has been formed to promote various cultural projects. However, they have not been able to deviate greatly from the level that is following what other regions do. In order to get out of this sense of disparity, cultural project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should be organized. It is necessary to expand more advanced cultural projects by finding the identity of competitive cultural content unique to the Gwangyang region, for which we were proud of the beautiful scenery and generous humanity.

      • KCI등재

        16세기 남도풍류와 송순 시조의 표현 미학

        백숙아(Baek Suk ha) 한국시조학회 2021 시조학논총 Vol.54 No.-

        16세기 조선시대에 송순(성종 24년, 1493〜선조 15년, 1582)은 호남시단의 영수로서 많은 학자·문인들과 교유하며 제자를 육성하고 남도풍류를 가꾸었던 사람이다. 송순 시조 연구는 이병기와 조윤제에 의하여 시작되었으며, 정익섭에 이르러 본격적인 주제별 탐색이 이루어졌다. 이후 문헌적 재검토와 작품 전반에 대한 연구와 주제 논의가 이루어졌다. 조선시대 선비에게 있어서 삶의 공간은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인간으로서의 삶을 영위하는 기본적인 공간으로 세속적 현실공간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이상적 현실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강호자연의 공간이다. 송순 역시 사대부로서 정치현실에서의 사회적 성취를 위한 삶과 정치현실에서 염증을 느끼거나 꿈이 좌절될 때 강호 한정의 삶을 찾아 오가며 살았던 인물이다. 송순이 두 가지의 길을 택하여 살았던 것은 조선시대 선비들이 숙명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길이 오직 두 가지 뿐이었기 때문이다. 남도풍류의 원동력은 현묘지도의 풍류 정신으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로 이어져 선비정신과 문화예술의 정신으로 계승되었다. 때문에 남도는 조선시대부터 문학적· 예술적·학문적 기질이 뛰어난 인물들이 많아 풍류의 고장으로 불리었다. 이러한 기질과 지리적 환경이 남도풍류의 주류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16세기에 광·라 지역을 중심으로 문예창작과 강학의 열풍이 일어났다. 이러한 분위기가 쇄도했던 16세기 조선시대에 송순은 호남시단의 영수로서 많은 학자·문인들과 교유하며 제자를 육성하고 남도풍류를 가꾸었던 사람이다. 송순 시조의 특성을 공간미와 인격미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서 남도풍류의 일단을 규명하였다. 면앙정이 지닌 매력적인 공간을 통하여 접하게 된 매개물은 각각의 색깔과 느낌이 다르지만 이것들이 작가에게 주는 즐거움과 흥취는 같다. 송순 작품의 공간미는 이러한 정신적 중심이 뒷받침된 상황에서 자연을 만끽하고 즐기고 노래하면서도 자신의 생각을 감흥으로 이끌어낸 점이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면앙정이라는 공간이 있었기에 가능한 작품과 소재와의 조화로움이야말로 송순 시조를 풍류 흥취로 이끌어낸 개성적인 미의식의 표출이자 묘미임을 살폈다. 송순 시조의 인격미는 평생을 정계에 몸을 담아온 그가 관직을 벗어나 향리로 물러남에 미련을 떨치지 못함에 대한 망설임을 통하여도 살필 수 있었다. 숱한 세월 동안 치세(治世)를 하면서 겪었던 일들이 스치는 순간, 자신의 나이를 생각하고 물러날 줄 안다는 점에서 송순의 선비다운 인격미를 탐색할 수 있다.

      • KCI등재

        송순 한시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백숙아 ( Suk Ah Baek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글은 송순의 한시 연구에 대한 현황과 전망을 살핀 글이다. 국문시가를 대표로 하는 「면仰亭歌」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던 기존의 논의를 계승하면서 더불어 송순 한시와 관련된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기존의 한시 연구의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송순 한시의 경향은 자연을 소재로 한 논의를 중심으로 크게 세 가지로 파악할 수 있다. 첫째 자연을 대상으로 하여 창작된 것, 둘째 자연에서 ‘道’의 발현을 읊은 것, 셋째 자연 속에 누정과 기행을 담은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밖에도 자연시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輓詩를 비롯하여 이별시와 교유시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송순 한시 연구에 있어 주제별 분류에 따른 각 작품의 문학적 의미 파악과, 미적 특성에 대해 보다 면밀히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의 자연 소재 한시에 나타난 ‘道’의 발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道’의 발현이 드러난 작품들은 주로 자연 소재나 사회비판적 한시 등에서 추출할 수 있었기에, 그 의미에 대해 새로운 모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 각각의 한시 작품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그 성격과 미의식의 면모를 적절히 지적해내는 작업이 요구된다. 다음은 기행시 · 누정시 등에 대한 주제별 분류에 따른 논의의 필요성을 살폈다. 그리고 자연시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만시를 비롯한 이별시와 교유시에 대한 논의가 빈약하기에 이에 대한 관심의 환기가 요구된다고 여겨진다. 아직까지 송순의 만시나 이별시의 경우엔 따로 논의된 바가 거의 없는 실정이며, 간혹 자연 소재의 시나 교유의 시에 포함되어 다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이러한 실정에 대하여 연구자들이 더욱 관심을 갖고, 다양한 자료의 확보를 통해서 꾸준한 논의를 이어가야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송순 한시 연구의 흐름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하나의 반성적 모색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그의 작품에 대한 관심을 보다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and prospect of research on Song Soon’s Sino-Korean poems. Mainly with regard to previous discussions centering on gasa Myeonangjeongga (면仰亭歌), this study reviewed the outcomes of research related to Song Soon’s Sino-Korean poems. This is for closer inquiry into his literary world, and for this purpose, we studied previous research on Sino-Korean poems. Previous studies largely categorized discussions on nature into three groups: first, Sino-Korean poems written on nature; second, poems describing the manifestation of ‘Dao道’ in nature; and third, poems on pavilions and travels in nature. Besides, we reviewed studies on Song Soon’s requiems(輓詩), farewell poems, and friendship poems, which were fewer than nature poems but still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Song Soon’s Sino-Korean poems. First, it was found necessary to recognize the literary meaning and aesthetic characteristic of each poem classified by theme in research on Song Soon’s Sino-Korean poems. With regard to the manifestation of ‘Dao道’ observed in his Sino-Korean poems on natural theme, poems in which ‘Dao道’ was manifested were mostly Sino-Korean poems on natural themes or for social criticism and therefore there should be renewed efforts to find the meaning. For this, each Sino-Korean poem needs to be classified by theme and its character and aesthetic consciousness need to be pointed out adequately. Next, we discussed the necessity for discussing travel poems and pavilion poems classified by theme. In addition, given insufficient discussions on poems other than nature poems such as requiems, farewell poems, and friendship poem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all people’s attention to them. Song Soon’s requiems and farewell poems have been little discussed separately so far, and occasionally they were covered together with nature poems or friendship poems. In this situation, researchers need to take interest in these types of poems and continue discussions steadily based on various materials. When these research tasks are conducted, they may achieve a reflective search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rend in research on Song Soon’s Sino-Korean poems, and enhance people’s interest in his poetry.

      • 沙蔘의 化學的 成分에 關한 硏究

        백숙,우상규,김만욱 漢陽大學校 韓國生活科學硏究所 1991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1

        The proximate composition, free sugar, crude saponin fatty acid and minerals of wild and cultivated Codonopsis lanceolata and wild Adenophora triphylla were analyzed. The Condonopsis lanceolata (C.L.) had higher contents of crude fat and reducing sugar, smaller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ash as compared with Adenophora triphylla (A.T.). In the free sugar content, C.L. had higher content of fructose as compared with A.T. Cultivated C.L. and wild A.T had higher contents of sucrose as compared with wild C.L. Maltose was detected only in the cultivated C.L. and its level was 0.18%. The content of crude saponin were 1.31% in the wild C.L., 1.58% in the cultivated C.L., and 0.55% in the wild A.T. The main fatty acid in the C.L. and the A.T. was linoleic acid and followe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Unsaturated fatty acid in cultivated C.L., and wild A.T. was 63.76%, 57.93%, and 69.58% respectively. The richest mineral in C.L. and A.T. was K and followed by Ca. Wild C.L. and wild A.T. had higher contents of Na, Ca, Mg, Fe, Zn, Cu as compared with cultivated C.L.

      • KCI등재

        한훤당 김굉필 문학을 통한 청소년 밥상머리교육 활성화 방안

        백숙 한국시가문화학회 202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50

        본 연구는 한훤당 김굉필 문학을 통하여 청소년 밥상머리교육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논의한 것이다. 21세기 한국의 현대사회에서 애국심, 효심, 형제애, 신의 등에 대한 인식은 낯설어진지 오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시대가 도래되면서부터 개인주의적 정서가 더욱 팽배해졌으며 빈부 격차에 따른 사회적 계층 갈등도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점은 현대를 살아가는 지식인으로서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먼저 『소학』 교육이 당시 사회 문화 분위기와 지식인들의 도덕적 책임의식과 실천의식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당시 사회 분위기를 감안하여 다양한 지식인들의 교육적 소통으로서의 『소학』 교육이 사회 전반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주목하였다. 이러한 논의가 21세기를 살아가는 청소년 밥상머리 교육과 어떻게 연계될 수 있는지와 어떤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이다. 다음은 김굉필 문학을 통하여 믿음과 의리에 대한 깨우침과 그 실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김굉필은 희천에서의 귀양 생활 중에 조광조를 가르쳤고 순천으로 이배하여서는 신재 최산두를 비롯한 호남의 문인들에게 많은 가르침을 전수하였다. 지역을 넘나들며 인간 삶의 도리를 강조했던 김굉필 문학의 특성과 청소년 밥상머리교육의 상관관계에 주목한 것이다. 김굉필 문학은 교육적 실천과 올곧은 선비 정신으로 사회 문화 가치추구의식을 담고 있다. 이 논의를 통하여 각박한 현실을 살아가야하는 청소년들의 올바른 인간관 형성과 정서적 안정 도모에 도움이 되는 밥상머리교육이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면앙정가>와 감성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가사 창작의 실제

        백숙아 ( Baek Suk-ah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2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5

        본 연구는 <면앙정가>화자의 감성 발현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논의이다. 시인의 상상력으로 표현되는 <면앙정가>화자의 감성을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감성에 동기 유발을 일으킬 수 있는 모방 가사를 써본 후, 새로운 가사 창작 이론으로 이어지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무엇보다도 기존 연구에서 <면앙정가> 전반부인 ‘물(物)’에의 감성적 완상과 후반부의 ‘아(我)’의 감성적 흥취를 노래한 점에 덧붙여 ‘아我’의 감성적 자각에 주목하였다. 즉 <면앙정가는 ‘물(物)’과 ‘아(我)’를 노래한 것으로 ‘물(物)’과 ‘아(我)’의 감성적 작용을 살핀 것이다. 따라서 시인이 작품에서 표현하고 있는 인간의 정신적, 육체적 활동을 수반하는 모든 성질의 상위 개념인 감성 발현을 화자를 통해 살핀 것이다. 다음으로, 이 연구는 문학작품을 통하여 작가와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화자와의 대화를 통해 작품에 드러난 감성 작용을 파악할 수 있다. 학습자로 하여금 시인의 감성을 파악하고 시인의 입장이 되어 <면앙정가>를 랩 음악에 맞춰 노래하게 했다. 가사를 감성으로 접촉하게 하는 가장 자연스러운 단계로, 기존 가사를 노래해보는 시도에서 감성 커뮤니케이션의 첫걸음을 뗀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악에 맞춰 가사 작품을 노래해보는 과정은 문학작품과 감성 커뮤니케이션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가사 문학과 세계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확대하기 위해 <면앙정가>화자의 감성 발현과 가사 창작 이론에 대한 이 논의는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of Gasa through "Myeonangjeongong".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Myeonangjeongong" expressed by the sensual imagination of the poet, and based on this, aimed to discuss the communication process that motivates our emotions and leads to new creative ways. Above all, this study found that "Myeonangjeongga", which sang a state of ‘things-body unification’ (物我一體), was structured with the emphasis on 'the view of things 物' in the first half and the 'body view of body 我’ in the second half. That is to say, "Myeonangjeongong" sang the state of things-body unification, and the first half structured with the emphasis on the 'things 物 perspective', and the latter half was structured with a weight on the 'body 我 perspective'. Thus, it was possible to look at the emotional characteristic which is the upper concept of all the properties accompanied by the mental and physical activities of the human being expressed in the work by the poet. Next, this study grasped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interact with the author while listening to the literary works and read the emotions of the author through dialogues.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singing "Myeonangjeongong" to catch up with the poet's thoughts and become the poet's position and adapt to the rap music which is popular to young people recently. Given the most natural step of getting Gasa in touch with emotion is to give it a try to sing it once, it is thought that trying singing is the first step of emotional communication. It is said that the process of singing Gasa works that you make along to the rap music is to be a standard example of emotional communication. In this sense, this discussion seems to suggest that we use "Myeonangjeongong" to expand our communication between Gasa literature and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