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란기(壬亂期) 의병문인이 바라 본 남송 ― <영남송사(詠南宋史)>의 주제의식 및 그 시적 형상화

        田娟 ( Tian¸ Ju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영남송사>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으로 참여했던 剡湖 陳景文이 ‘미개국에 의해 짓밟힌 문명국’이라는 남송의 ‘신화’의 중복과 재구를 통해 전쟁의 상처를 투영하고 폐허 속에서 다시 일어서기 위한 의지를 표출하고자 쓴 장편 연작 영사시다. 본고는 이 작품의 창작 배경과 주제적·예술적 특징 등을 살펴보았다. <영남송사>는 칠언절구로 이루어진 총 69수의 연작시이다. 그 내용은 79명의 역사적 인물에 대한 형상화와 ‘고종화의’라는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본고에서는 작품 속 인물을 남송의 군주, 남송의 臣·民, 금·원 출신의 인물 등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살폈다. 이를 통해 이 작품이 ‘오랑캐 문제에 대한 대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임진왜란으로 인한 심리적 충격과 함께 군주의 덕목, 忠義 정신, 華夷觀 등에 관한 작자의 생각 등을 살필 수 있다. 본 작품의 예술적 특징을 두 가지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우선 여러 작품으로 이룬 하나의 전체로 볼 때 비교적 치밀한 짜임새를 갖추고 있다. 분명한 포커스의 존재, 종적 축과 횡적 폭의 상호 작용을 통해, 개별 작품이 조직적·유기적으로 묶이어 정밀한 구조를 갖춘 하나의 결합체를 형성하여, 작품의 완결성을 확보하였다. 다음으로 <영남송사>를 이루는 개별 작품을 한 편 한 편 살펴보았을 때, 특별한 기교와 수법없이 그저 자신의 평가와 감정을 직설적이고 소박하게 털어놓는 방식을 사용하여 분명한 가치 판단과 강렬한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방식의 조화로운 결합, 거기에 전달하고자 하는 생각과 감정의 진솔함을 더하였기 때문에, 이 작품은 감정과 메시지 전달에 큰 성공을 거두었다. On the History of Southern Song Dynasty is a series of poems on history written by Jin Kyungmun who participated in Korean voluntary soldier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period in Year RenChen (29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There are 69 poems in total and all of them are four-line poems with seven characters per line and express the praises and demerits of historical figures in Southern Song Dynasty. Firstly, the poet's specific evaluations on the emperors, ministers, citizens, and people of Jin Dynasty are reviewed. The results show that both the choice of specificallydescribed objects and the evaluations of merits and demerits mainly focus on the dealing methods of foreigners, which should be the reflection of metaphor literature of psychological impact brought by the Japanese invasion in Year RenChen. Secondly, the artistic techniques and literary effects of this work are reviewed from two perspectives, the poems as a whole and the individual works in this work.

      • KCI등재

        農巖계열 문인의 陸遊 관심에 대한 일고찰

        田娟(Tian, Juan) 한국고전번역원 2016 民族文化 Vol.47 No.-

        본문에서 신정하를 중심으로 하여 농암계열 문인들이 육유의 시문을 독서하고 비평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주요 논지는 아래와 같다. 육유는 1만수 가량의 방대한 한시 작품을 남겼지만, 17세기 중후반까지는 조선문인들이 『名公妙選陸放翁集』과 『瀛奎律髓』에 수록된 700수도 안 되는 일부분만을 접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상황은 17세기말 18세기초에 이르러 달라졌다. 농암계열 문인들이 중국에서 새로 간행한 『宋詩鈔』·『劍南詩鈔』·汲古閣本 『陸放翁全集』 등 여러 시문집을 받아들였다. 이로써 육유 시에 대한 독서의 범위는 전시기 문인보다 훨씬 확대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전 시기에는 주목받지 못했던 육유의 산문까지 관심을 보였다. 김창협을 비롯한 농암계열 문인은 송시에 대해 비교적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그들은 형식을 중요시하며 험준하고 메마른 미감을 전형적인 송시보다 평이하고 자연스러우면서 ‘風致’가 느껴지고 당시의 맛도 함께 있는 진여의나 육유의 시를 선호하였다. 이러한 경향, 특히 육유에 대한 애호는 김창협·김창흡·김창업·이의현·이하곤·신정하 등 농암계열의 여러 문인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이들 모두 육유 시를 차운하거나 육유의 시풍을 본떠 지은 작품을 남긴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그 시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자연경치나 일상생활을 묘사하는 것이 많은데, 그 원인 중 하나는 농암계열 문인들이 眞詩를 추구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농암계열 문인 중에서도 신정하의 육유 애호가 가장 각별한 것으로 보인다. 신정하는 육유를 두보 이후의 유일한 시인이라고 높이 평가하였으며, 자신의 전생이 분명히 육유였을 것이라 하였다. 그는 산수풍경과 전원생활을 묘사한 육유의 閒適詩를 매우 좋아하였다. 특히 그는 자신이 별장을 운영하던 석호의 경치와 풍물이 육유가 살던 산음 鏡湖와 비슷하다고 여겨, 경호를 묘사한 육유의 시를 특히 아꼈다. 그리고 신정하의 시는 육유의 작품과 기교, 시의 미적 풍격 등 여러 면에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이전시기 문인들이 육유의 시에만 주목하여 그의 산문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는데, 신정하는 이를 매우 못마땅하게 여겨 육유의 문장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하였다. 그는 육유의 문장을 文統과 道統이 잘 아울려진 것이며 문장가로서의 솜씨, 도학자로서의 성리학 조예와 사대부로서의 經世濟國․愛國愛民의 덕성을 모두 갖춘 것으로 보았으며, 당송팔대가 이후 고문의 정맥을 이어받은 유일한 대가라고 평가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sponse of the Nongam school, and in particular, Shin Jeong-ha, to Lu You’s writing. The main points are summarized below. Lu You was a prolific writer who left about 10,000 poems; but until the midand late-17th century, Joseon period writers were familiar with fewer than 700 of these poems. This situation changed in the late 17th and early 18th centuries as Nongam writers came into possession of several collections of poems and essays, newly published in China, such as A Representative Collection of Song Dynasty Poetry, Jian’nan shichao, and The Well-selected poetry of Lu Fang-weng. These works made available many more of Lu You’s poems than ever before. The Nongam school showed a relatively open attitude toward Song poetry. They preferred Lu You’s poetry because of its simple, natural elegance and a rugged and barren sense of beauty not typical of Song poems. All of the Nongam school writers composed poems either borrowing Lu You’s rhymes or imitating his style. The Nongam school pursued “genuine poetry” and this can be seen in their poems that mostly describe landscape scenery or everyday life. Among all of the Nongam writers, Shin Jeong-ha’s loved Lu You’s work the most. He valued Lu You as second only to Du Fu and said that he had taken Chinese poetry as high as it could go. Although he liked Lu You’s patriotic poetry, he preferred the more refined literary works depicting landscape and rural life. In particular, he was drawn to the poems that depicted Jinghu (Mirror Lake) where Lu You had once lived; the poems called to mind his own villa and the nearby lagoon. In terms of technique and aesthetics, Shin Jeong-ha’s poetry is similar to Lu You’s work. Writers in earlier periods focused exclusively on Lu You’s poetry, neglecting his prose. This upset Shin Jeong-ha whose appreciation of Lu You’s prose had been influenced by Kim Chang-Hyeop. He especially liked Lu You’s prose writings in which Chinese literary tradition was well harmonized with Confucian philosophical tradition. He appraised them, saying that Lu You had the skills of a good writer, he was knowledgeable about both Neo-Confucianism and how to govern a nation; as a nobleman and a bureaucrat, he helped the country and loved it and its people. Accordingly, Shin Jeong-ha praised Lu You as the only master who could succeed the eight great master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 KCI등재

        廟堂과 自然 사이 - 해좌 정범조 산수전원시의 고찰

        田娟(Juan, Tian),張玲玉(Zhang, Lingyu)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4 No.-

        해좌가 남긴 2000수 가량의 방대한 작품에서 산수전원시는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는 단지 한시 작가라면 누구나 산수전원시를 많이 창작한다는 사실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평생토록 ‘隱士的’ 삶의 태도를 견지하였다. 후반기에 창작한 작품이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40대 전후로 하여 시 학습과 창작에 있어 변화가 생겼다. 해좌의 산수전원시는 이 세 가지 요소가 결합해 나타난 결과로 그의 인생과 문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해좌 산수전원시의 주제적 양상을 살펴보면, ‘산수 사이의 노닒과 吟詠’, ‘전원에서의 일상과 自適’, ‘늙어감에 따른 희락과 인생의 성찰’, ‘애민·염군의 감정과 태평성세의 氣象’, 이 네 가지로 귀결할 수 있다. 또 해좌 산수전원시가 지닌 풍격미 및 그 조성 기법을 검토하였다. 그의 시는 ‘맑고 전아한 미감’ 및 ‘천근하고 담백한 미감’, 이 두 가지의 풍격미를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풍격 조성을 위해 활용한 예술적 기법을 확인하는 동시에 해좌의 學詩 궤적과 산수전원시 풍격미 형성의 관계를 살폈다. Beomjo Jeong, also called Haizuo, is representative of Korean poetry from the 18th century. In this paper, his pastoral poems are reviewed in detail. Due to leading a life similar to a hermit, most of his existing works were written in the last half of his life, and he changed his poetic style and started to write more around the age of 40. Pastoral poems are the products of three factors, from which his artistic style can be manifested the most. In this paper, the contents of Haizuo’s pastoral poems are reviewed in detail, and their themes can generally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four themes: praise of mountains and rivers, daily pastoral life, the happiness of older people and overview of life, love for citizens and the emperor, and the prosperous mundane world. The styles of Haizuo’s pastoral poems can also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elegant style and realistic style. Combined with the learning trajectory of his poetry, the specific reasons for the adoption of these two styles are specifically analyzed.

      • KCI등재

        조선문인들의 石鼓에 대한 관심과 관련 시문 고찰

        田娟(Tian Juan)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5 No.-

        석고는 현존하는 중국의 가장 오래된 금석으로, 중화의 상징적 의미와 높은 문예적 가치를 겸비한 진귀한 유물이다. 고려시대부터 대한제국에 이르기까지 과거 한국의 많은 문인들이 석고에 관심을 기울였다.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석고를 대상으로 한 작품은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 작가층은 연행을 다녀온 사람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그 내용은 석고를 직접 방문하고 느낀 감회나 석고에 대한 고증이 많았다. 석고를 대상으로 한 작품은 한유와 소식의 〈석고가〉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尊周’와 ‘尙古’적 정서가 기본적으로 깔려 있다. 석고와 관련한 작품들을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면, 17세기 전반까지의 작품은 주로 석고의 유구하면서도 기구한 역사에 감탄하고 주나라 문명에 대한 숭상과 동경심을 표출하고 있다. 그러나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에 창작된 작품들은 ‘尙古’·‘尊周’의 정서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청이 중국을 지배한 당시 현실을 애통해하고 세상이 바뀌길 기대하는 심정을 토로하고 있다. 한편, 18세기 후반에 들어서면 고증학과 금석학 열풍이라는 학문풍토 위에 건륭제가 석고를 새로 제작한 일로 조선 문인들의 석고에 대한 관심은 한층 높아졌다. 이 시기의 지식인들은 건륭제의 새 석고 제작에 대해 일부 우호적 태도를 보였다. 아울러 석고를 이념적으로만 인식하지 않고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보고자 노력하였다. Seokgo(石鼓) is the oldest epigraph existing in China and has great political significance and calligraphy value. Korean writers’ were very interested in it and greated a large number of poems and prose. To poems and proses about Seokgo by the early 17th century expressed admiration about Seokgo’s long and strange history and respect and longing for the civilization of Ju Dynasty. On the contrary, the works created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lamented the reality of domination of China by the Quin Dynasty. And by the late 18th century, because of the impact of epigraphy and bibliographical study, they made efforts to view Seokgo objectively not perceiving it ideological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