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朱子書節要?의 編纂 流通과 朴光前의 位置

        柳鐸一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3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2 No.-

        Compilation and Circulation of Chuja's Condense Edition and the Position of Park Kwang Ju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책판』의 연구영역 설정과 그 과제

        류탁일(Ryu tak-il) 한국국학진흥원 2005 국학연구 Vol.6 No.-

        문화란 ‘자연에 인간의 지혜를 결합하는 현상’을 말하고 그 결과물을 우리는 문화재라고 한다. 즉 문화재란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합목적적산물合目的的産物’이다. 따라서 문화재에는 조선의 삶의 지혜가 녹아져 있는 정보의 집합체인 것이다. 어느 것 하나인들 우리가 소홀히 여길 수 없는 것이다. 더구나 그 삶의 정보를 문자로써 고정화시키고 문화를 보존 확산하는 기능을 가진 ‘책판冊版’이라는 점에서 우리는 그대로 지나칠 수 없는 것이다. 더구나 세계 최대의 고려 『팔만대장경 八萬大藏經』 책판을 생성하여 보존하고 있는 우리로서는 더욱 지나칠 수 없는 일이다. ‘책판’의 문화재적 가치는 1) 우리 삶의 과거적 정보가 살아있는 보고寶庫다 2) 삶의 과거적 정보가 고정화(文字化)된 원판原版이다 3) 도식圖式, 서체書體 판화版畵 등 판각예술의 집약체다 4) 당대 연고문화역량緣故文化力量의 총체적 결실물이다 5) 인류의 목판인쇄문화 유산이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인류의 인쇄문화 유산인 책판을 수집ㆍ정리ㆍ보존하고 이에 관한 연구를 해야만 한다는 새로운 인식이 고조된 오늘인 것이다. 학문의 방법에는 왕도가 없는 것이다 연구대상에 따라 접근방법이 달라지며 연구자의 취향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책판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을 때 재질, 판각, 보관, 인쇄라는 4개 영역을 설정하여 이를 유기적으로 집중 연구할 때 책판의 문화재적 실체가 밝혀지고 인류문화적 가치와 그 보존의 과학적 방법이 발견될 것이라는 필자의 평소 생각을 피력해 본 것이 이 글이다. Defined as a "phenomenon of uniting the wisdom of human beings into nature," culture resultfully brings about cultural assets as a "purposeful product" made for the need of human beings. This cultural assets is an assemblage of information in which the everyday life wisdom of ancestors is imbued, so that we cannot neglect any part of the assets. Furthermore, we must pay much attention to "wood-block" that functions to fix the information of life by letters and to keep and expand culture, while we keep the greatest "wood-block" the Tripitaka Koreana consisting of over eighty thousand blocks.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in "wood-block" is as follows: 1. a treasury containing the past information of our life. 2. a manuscript fixing in a form of letter the past information of our life. 3. a collection of the engraving art on woodblocks such as a graph, a calligraphic style, and a woodcut print. 4. a total product resulting from the ability of associated culture of the age. 5. a heritage of the culture of wood-block print of human beings. In this respect, today a new understanding is raised for collecting, classifying, and preserving "wood-block" and for its study. There is no royal road to studying. Its approach depends on its object for study and the taste of its scholar. I have always been of this opinion that while studying woodblock book, we must set up the four dimensions of material quality, woodcutting, preservation, and printing to study it organically so that we can enlighten the cultural reality of wood-block and find its anthropological and cultural value and the scientific method of its preservation.

      • 『朱子書節要』의 編纂 流通과 朴光前의 位置

        柳鐸一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2

        이 논문은 『朱子書節要』가 어떻게 편찬되어, 유통 되었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退溪에 의해 요약된, 『朱子書節要』는 그것이 유통되는 동안 조선에서는 9번, 일본에서는 4번에 걸쳐 발간되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조선 1 <星州本(1561)> 黃俊良印本 2 <海州本(1564)> 유중영인본 3 <平壤本(1564-6)> 4 <定州本(1567)> 유중영간본 5 <川谷書院本(1575)> 6 <羅州(錦城)本(1786)> 鶴峰金誠一刊本 7 <錦山(元營)本(1611)> 愚伏鄭經世刊本 8 <癸亥本(1743)> 癸亥陶山書院刊本 9 <甲辰本(1904)> 甲辰陶山書院刊本 2) 일본 1 <明曆本(1656)> 2 <寬文本(1671)> 3 <寶永本(1709)> 4 <明治本(1871)> 이 작업에서 얻어진 주목해야 할 것은 첫째, 星州本 『晦菴書節要』의 인본을 확인하였을 뿐 아니라, 임란 이전의 지방목활자의 하나인 臨皐書院 活字印本을 찾았다는 것이요. 둘째, 퇴계 당시에 필사된 竹川本 『회암서절요』(15권 8책 사본)을 발견,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한다는 것이다. 본 논고에서 죽천본 『회암서절요』를 시일관계로 미룬 것이 아쉽지만, 후일을 기다릴 수밖에 없고, 셋째, 외래문헌, 즉 중국문헌이 어떻게 전래되어 변용·전개되었는가?하는 물음에 대한 하나의 實例를 보였다는 것이다. 이제 남은 일은 이런 기초 작업을 근거로 하여 異本들의 문헌적 특성을 밝혀야 하는 것이 잇달아 하여야 할 작업이다. 이는 현존본의 실사와 대조에서만 그 면목이 들어날 것이다. 이런 實査와 對照에서 얻은 자료를 근거로 문헌계보를 설정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일연의 연구는 바로 「외래문헌의 한국적 수용과 전개」라는 큰 주제에 드는 한 작업인 것이다. 우리 한국학연구에 있어서는 이러한 외래문헌의 전래와 전개라는 문헌의 개별적 기초 작업이 찬찬히 지속되어야 기초가 든든한 한국학이 이루어질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Chuja's Condensed Edition was published to be circulated to a circle of readers in a form of a printed edition. Epitomized by ToeKye, Chuja's Condensed Edition was published for its circulation nine times in Korea and four times in Japan as follows: 1) Korea 1 <星州本(1561)> 黃俊良印本 2 <海州本(1564)> 유중영인본 3 <平壤本(1564-6)> 4 <定州本(1567)> 유중영간본 5 <川谷書院本(1575)> 6 <羅州(錦城)本(1786)> 鶴峰金誠一刊本 7 <錦山(元營)本(1611)> 愚伏鄭經世刊本 8 <癸亥本(1743)> 癸亥陶山書院刊本 9 <甲辰本(1904)> 甲辰陶山書院刊本 2) Japan 1 <明曆本(1656)> 2 <寬文本(1671)> 3 <寶永本(1709)> 4 <明治本(1871)>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 Sungju edition of Hoeam's Condensed Edition exists as a printed edition, and that its printed edition was already made with a local wooden printing type by Imjin Auditorium before Japanese Invasion in 1592. Second, Jukchun Edition, Hoeam's Condensed Version (15 Vol. 8 books), transcribed during Toekye's lifetime was found out to be reported to the academic world. Third, this edition can be presented as an concrete example of how Chinese materials were introducted to Korea. The philological characteristics of its differnt versions, I am certain, should be continuously examined on the basis of this primary study. The future study will exhibit its own character by comparing existing editions and surveying them on the spot, which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our establishment of their philological geneology. A series of philological studies will functions as a part of a main topic. "Korean reception and Development of Foreign Materials." In the filed of Korean Stuides, this primary and Philological work for this kind of topic will will pave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