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oogle Classroom을 활용한 클라우드 기반 정보교과 교육시스템 설계 및 구현

        서경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ggest a smart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different types of classroom with a new paradigm shift. Due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universities are using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to provide a blended learning, and the offline education system is still maintained in public education sectors. However, classes are in need of more easy smart devices to access the smart contents. In this thesis, Google Classroom is proposed to approach cloud service as digital learning tools to move traditional offline classrooms to cloud computing environment. Cloud-based education systems can not only eliminat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in the form of teaching, but can also be expected to improve educational quality by managing software and hardware by service providers. Google Classroom's learning tools go beyond the traditional ways in which users simply download the specific contents. Google's drives provide Google documentation, Google apps, Google third-party services, file management, mail management. Google Apps Script platform is available for users to define and use in addition to the designated menu. Since all the tools are stored in the cloud, Cloud Computing System are more flexible to integrate and investigate and make it different from existing client and server digital learning tools. In addition, utilization and use cases of Google Classroom is presented to operate the educational Google Apps Script, which was used to implement the educ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se Google Classroom in order to move learners to a classroom in the cloud environment where they will be taught in an computer related course based on ‘the 2015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policy’ submitted by Korean Government. By logging on to Google Classroom, a learning system has been implemented so that students can start and finish learning on their own, and a teacher can manage without intervention. Traditional learning guides students through the same content in each classroom that the teacher is responsible for evaluating each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on the same basis. On the other hand, in the cloud classroom, teachers can reduce repeative job and evaluate automatic assessment processing with a single set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sheets, thereby allowing them to focus on the creation of learning content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earning process. The education contents includes the content of education provided by ‘the 2015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policy’ process and the criteria for evaluation of education. Starting from 2018, the compulsory education of computer education for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will be gradually implemented. The system was equipped with learning contents and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and presented education policy, education contents and assessment criteria for ‘the 2015 curriculum of Korean education policy’. Experimental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it has attempted to use Google Apps Script for cloud services to deal data, away from traditional client and server development formats. Cloud Computing Systems can be presented as new models at the web based educational site. Fortunately, there are so many companies that have introduced cloud and would like to propose the introduction of cloud comput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schools. Currently, Google Classroom is popular in the United States, and if Korea's public education site offers an example of a traditional classroom class, it will be used as a digital education tool combined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f web based educational contents are collected and modified to get the higher quality to process in the future, it would be possible that a more specific and practical learning contents are used in education domain for students with collaborative smart devices.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교육은 스마트한 방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교실 수업 형태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교육 환경의 변화로 대학에서는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를 활용하여 Blended Learning의 형태로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의 혼합형태를 나타내며 공교육에서는 오프라인 교육 형태를 아직은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의 수월한 접근성에 의해 디지털 학습 도구를 활용한 수업이 가능한 환경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Google의 디지털 학습 도구 Google Classroom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오프라인 교실을 클라우드로 옮겨 교실 간 경계가 되는 교실 벽을 허물고 온 라인상에서 교수·학습을 할 수 있도록 탈 전통방식의 교실을 제안한다. 클라우드 기반 교육시스템은 교수·학습형태의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없앨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관리를 서비스 제공자가 함으로써 교육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Google Classroom의 학습 도구는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여 사용하는 기존 방식을 탈피한다. 구글 드라이브에서 제공하는 구글 문서와 구급 앱, 구글 써드 파티 서비스를 사용하며 파일 관리, 공유가 구글 드라이브에서 작동한다. 사용 도구 중 정해진 메뉴 외에 사용자가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Google Apps Script 플랫폼이 있다. 이러한 도구와 환경은 클라우드에서 작동하고 존재하므로 Cloud Computing System에 대한 조사와 함께 기존 Client와 Sever 방식의 디지털 학습 도구와의 차별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Google Classroom의 활용도와 유형을 조사하고 교육시스템을 설계하여 구현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Google Classroom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정보교과의 교수·학습 장소를 클라우드에 있는 교실로 옮기는 것이다. 또한 Google Classroom에 학생이 로그인함으로써 학습의 시작과 마침을 스스로 온 라인상에서 할 수 있도록 학습 시스템을 구현하여 교사의 개입 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시스템의 특징이다. 전통방식의 학습 지도는 교사가 담당하는 각각의 교실에서 같은 내용의 수업을 학생들에게 지도하며 동일한 평가 기준으로 각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한다. 반면에 클라우드의 교실에서 교사는 한 번의 학습 지도 내용과 평가지의 탑재로 반복을 줄이고 평가 처리를 자동화함으로써 교사는 학습 콘텐츠의 제작에 몰입할 수 있으며 결국 소프트웨어와 하드 웨어 관리와 더불어 교육과정에서도 교육 품질 향상이 가능하다. 교육 과목은 정보교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 내용과 교육 평가 기준을 담는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교과 교육은 2018년부터 중학교 1학년의 의무교육을 시작으로 점진적으로 시행한다. 본 시스템은 학습 콘텐츠 와 평가를 교육과정에 맞추어 탑재하며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 이념, 교육 내용, 평가 기준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는 기존의 Client와 Server 방식의 개발 형식을 탈피하고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비스의 Google Apps Script 사용을 시도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기존 정보통신기술 리소스의 양적인 증가는 이용의 효율화를 필요로 하고 있으므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교육 현장에서 새로운 모델로 제시될 수 있다. 이미 클라우드를 도입한 기업이 증가하고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교육 품질 향상을 위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는 미국을 중심으로 Google Classroom이 사용 중이며 우리나라의 공교육 현장에서는 전통방식의 교실 수업 형태인 Off-Line 교육 환경에 있으므로 정보통신기술과 융합된 디지털 교육 도구로써 Google Classroom을 사용한다면 본 연구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진보된 예가 될 수 있다. 향후 웹 데이터 수집 기술과 데이터 분석처리를 시스템에 접목한다면 조별 과제 분석, 공동 작업 문서의 분석 등으로 좀 더 구체적이고 실습 중심의 학습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 체육전담교사에 의한 유아의 체육활동참가와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서경애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체육전담교사에 의한 유아의 체육활동참가와 사회적 능력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조사대상자의 성, 출생서열, 부모의 교육수준, 가계소득 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차이, 체육전담교사에 의한 유아의 체육활동유무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 체육전담교사에 의한 유아의 체육활동참가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유아의 인구통계학 적·사회경제적 특성 및 체육진담교사에 의한 체육활동참가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다니는 6-7세 유아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실험집단 200명과 비교집단 200명을 무선집락표집방법(random cluster sampling method)으로 선정한 후 실제 설문 조사에 참여한 인원 351명 중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68명을 제외한 283명을 표집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치원 체육전담교사에 의하여 체육활동에 참가하는 유아 133명과 유치원 체육전담교사에 의하여 체육활동에 참가하지 않은 유아 150명을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활동 빈도, 기간, 강도, 몰입도 등으로 구성된 체육활동 참가척도와 이경희(1994)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표준화하였으며 주도성, 사교성, 책임성, 개방성 등의 4개 하위 변인으로 구성된 학부모용 사회적 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지를 완성·배포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체육전담교사에 의한 유아의 체육활동참가유무에 따른 주도성, 사교성, 책임성, 개방성 등의 사회적 능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체육전담교사에 의한 유아의 체육활동참가가 주도성, 사교성, 책임성, 개방성 등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자료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의 성별과 출생서열과 부친 교육수준 그리고 가계소득 등에 따라 사회적 능력에 차이가 있는 반면 모친의 교육수준에 따라 사회적 능력의 차이가 없다. 둘째, 체육전담교사에 의하여 체육활동에 참가경험이 있는 유아가 참가 경험이 없는 유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주도성, 사교성, 책임성, 개방성 등의 수준이 높다. 셋째, 유아의 체육활동참가에의 몰입도는 주도성, 사교성 등에 영향을 미치며, 참가기간은 주도성과 사교성과 개방성에, 참가빈도는 개방성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참가 강도는 사회적 능력 하위 변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유아의 체육활동참가가 인구통계학적·사회경제적 특성 변인에 비하여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regular physical activities with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social competences among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selected using the random cluster sampling method. They were 400 children who were six-seven years in kindergarten and participated or not participated in the regular physical activities programs provided by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the kindergarten located in Pusan area.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ere developed by Lee(1994). Among the hypothesized variable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were measured from children's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ere measured from their mothers. Therefore, total number of data for the analysis came 283 questionnaires.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is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wer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variance(ANOVA),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analyses of data, this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 First,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regular playful physical activiti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detail, social competence is different according to sex of children, birth order of children, educational level of father and family incomes, but is not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of mother. Second, the more the children's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regular physical activities, the higher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itiative, sociability, responsibility and self-disclosure among social competence. Third, the degree of flow experience has effects on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itiative, sociability among social competence. And the period of participating in the regular physical activities with physical education teacher has effects on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itiative, sociability and self-disclosure among social competence, the frequence of participating in the regular physical activities has effects on the children's perception of self-disclosure among social competence. Fourth,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the regular physical activities with physical education teacher more effects on the children's perception of social competence tha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 고급산화공정을 이용한 반응성 염료의 색도 제거 및 생태독성 저감에 관한 연구

        서경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삶의 질을 결정지을 수 있는 물 환경은 이제 수질개선 중심의 개념에서 수생태계 중심의 개념으로 변해가고 있다. 배출되는 물질이 다양해지고 그 영향을 예측하기 힘든 지금 상태에서 생태적으로 건강한 하천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화학적인 요건만을 충족시키는 처리수는 수계 영향 예측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물 환경을 지향하고 더 나아가 수생태계에 까지 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출되는 폐수 중 염색폐수를 대상으로 선정해 보았다. 그중 반응성 염료를 대표하는 아조계염료중 Acid Orange(Ⅱ)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TiO2 를 이용한 고급산화공정을 통하여 색도제거의 최적 조건을 도출하고 각 광원의 종류별로 최적의 조건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되는 염료의 농도의 범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후 처리수의 생태독성 급성평가를 실시하여 염료의 색도제거에 따른 생태독성의 영향까지 알아보고자 다음 연구를 수행하였다. 색도제거의 최적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광원을 조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pH를 3,5,6,10 으로 나누어 염료용액농도 20ppm에 TiO2 0.5g을 투입하였을 때 pH3에서 가장 색도제거율이 높았으며 광원이 없는 상태에서는 pH에 강하게 의존됨을 알 수 있었다. 각 pH별 TiO2 투입 양을 달리 하였을 때에는 최고 투입량 5g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으나 경제적인 부분을 고려하였을 때 3g을 최적조건으로 선정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태양광, 형광등, BLB lamp, UV-B lamp를 이용하여 광원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4가지 광원모두 최적 조건에서 용액의 농도를 50,100,200,300,500ppm으로 조절하여 실험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저농도에서 훨씬 효율적인 공정임을 알 수 있었으며 광촉매가 제일 활성화 될 수 있는 파장영역을 가진 태양광과 UV-B lamp가 50ppm에서 99.4%, 100%, 100ppm에서 98.6%, 99.7%로 제거율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용액의 pH가 산성영역 일수록, TiO2 투입양이 증가할수록 색도제거가 잘 이루어지는 만큼 유기물질제거도 같은 영역에서 좋은 효율을 나타내었으나 색도제거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기물의 제거율이 더 낮게 나타나 완전한 색도제거가 완전한 무기화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라는 결론을 얻었다. 최종적으로 각 조건별로 실행한 처리수를 생태독성 급성평가를 실시하였을 때 pH가 산성영역이거나 염기성 영역에서는 독성도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pH가 산성영역일 때 색도 및 TOC제거효율이 좋았지만 생태 독성값은 큰 저감을 나타내지 못했다. 또한 TiO2의 투입량이 늘어나더라도 독성이 증가하는 점은 없어 TiO2가 독성평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색도와 TOC가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조건이라고 하더라도 수계에 방류하였을 때에는 생태계에 높은 독성 값을 초래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따라서 염료폐수 처리만이 목적이 아닌 처리수 방류수계의 수생태계에 관련된 점까지 고려하여 공정이 연구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가 있었다.

      • High Energy Observations of Supernova Remnants in Milky Way

        서경애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우리 은하 내에는 약 2000 여개의 초신성 잔해가 예상된다. (Dragicevich et al.1999).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은하에서 오직 약 302개의 초신성 잔해만이 발견되었다(Ferrand & Safi-Harb, 2012). ROSAT all-sky survey (RASS)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우리는 초신성 잔해의 후보로 보이는 약 100여개의 확인되지 않은 엑스레이 소스들을 찾아내었다. 그러나 ROSAT의 짧은 노출시간과 저 성능의 해상도로 인해, 후보들의 기원에 대해 알 수 없었다. 그래서 우리는 Chandra와 XMM-Newton과 같은 고성능 엑스레이 망원경들을 이용하여, 우리 은하 내에서 확인되지 않은 새로운 초신성 잔해 후보들을 찾는 관측 캠페인을 추진하였다. 첫 번째로 우리는, 가능성이 높은 후보 G308.3-1.4 과 G38.7-1.4를 선택하였다. 불완전한 쉘 모양의 G308.3-1.4 와 G38.7-1.4의 엑스레이 구조는 방출된 전파와 일치를 이루었다. G308.3-1.4의 스펙트럼은 충격 가열된 플라즈마의 증거를 보여주었다. G38.7-1.4의 엑스레이 스펙트럼 또한 대표적 충격 가열된 플라즈마모델인 충돌 흡수된 이온화 평형 플라즈마 모델(an absorbed collisional ionization equilibrium plasma model)에 의해 설명된다. 형태와 스펙트럼의 형질로 보아, 우리는 G38.7–1.4이 복합 형태의 목록에 소속되어야 할 초신성 잔해라고 주장한다. 우리는 또한 이미 알려진 초신성 잔해에 대한 상세연구도 진행하였다. 알려진 초신성잔해들은 대부분 전파관측에 의해 발견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미 알려진 타켓이라도, 엑스레이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우리는 이렇게 이미 명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초신성 잔해의 엑스레이 성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Kes 69의 상세 연구를 진행하였다. Kes 69의 엑스레이 스펙트럼 또한 충격 가열된 플라즈마의 증거들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우리의 이번 캠페인을 통하여, 우리 은하내 초신성 잔해로써 큰 가능성을 가진 후보들 G308.3-1.4, G38.7-1.4와 이미 명명된 Kes 69의 고에너지 영역에서의 특징들을, 향상된 성능의 망원경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고에너지 영역에서 초신성 잔해의 자연적 특징을 확인하였고, 초신성 잔해를 명명하는 연구에 크게 기여 할 것이라 예상된다. A number of ~2000 SNRs are expected in our Galaxy (Dragicevich et al.1999). However, only 302 SNRs have been uncovered in the Milky Way (Ferrand & Safi-Harb, 2012). Base on the ROSAT all-sky survey (RASS) database, we have found ~100 unidentified extended X-ray sources as the possible SNR candidated. But because of the short exposure and the poor spatial resolution of ROSAT, It was not allow to constrain their nature. So, we have initiated an observational campaign for searching and identifying new Galactic SNRs with Chandra and XMM-Newton telescopes of improved resolution. we have selected promising candidates G308.3-1.4 and G38.7-1.4. An incomplete shell-like X-ray structure of G308.3-1.4 and G38.7-1.4. that is well correlated with the radio shell emission. The X-ray spectrum of G308.3-1.4 suggests the presence of a shock-heated plasma. The X-ray spectrum of G38.7–1.4 can be well-described by an absorbed collisional ionization equilibrium plasma model, which suggests the plasma is shock heated. Based on the morphology and the spectral behaviour, we suggest that G38.7–1.4 is indeed a supernova remnant belong to a mix-morphology category. We also studied x-ray investigations of known SNRs. For the known SNR population, most of them were identified through radio observations. Because their X-ray properties are poorly constrained, we have carrried out a deep X-ray study of Kes 69. The X-ray spectrum of Kes 69 have showed the presence of a shock-heated plasma. Through our observational campaign for searching and identifying new Galactic SNRs with Chandra and XMM-newton telescopes of improved resolution, we have led better understanding of emission properties on G308.3-1.4, G38.7-1.4, Kes 69.

      • Marcel Dupré의 Le Chemin de la Croix, Op.29에 관한 연구

        서경애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 교회음악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초 록 마르셀 뒤프레(Marcel Dupré, 1886년~1971년)는 20세기 프랑스 오르간 음악의 거장으로서 많은 오르간 작품을 작곡하였고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년~1750년)와 여러 바로크 작곡가들의 곡을 새로 편집하였으며, 또한 뛰어난 즉흥 연주를 하기도 하였다. 그는 여러 가지 형식을 사용하여 65개의 오르간 곡을 작곡하였으며, 특히 교회적인 특성을 가진 표제음악들을 많이 작곡하였는데 이 중 대표적인 곡으로 ‘십자가의 길’(Le Chemin de la Croix, Op.29)을 꼽을 수 있다. 가톨릭교회에서 잘 알려져 있는 ‘십자가의 길’은 예수께서 빌라도로부터 사형선고를 받고 십자가를 지고 갈바리아산으로 올라가 못 박히고 무덤에 묻히실 때까지의 행로를 말한다. 교회는 이 ‘십자가의 길’을 통하여 예수의 마지막 수난을 살아있는 생생한 사건으로 보존하고 있으며 그 속에 담겨진 구원의 신비를 전하고 있다. 뒤프레의 오르간 곡 ‘십자가의 길’은 1931년 사순시기에 그가 벨기에의 음악원에서 가진 연주회에서, 당대 프랑스의 시인인 폴 클로델(Paul Claudel, 1868년~1955년)의 시(詩) ‘십자가의 길’이 한 처(處)씩 낭독된 후 그가 오르간으로 즉흥 연주를 한 곡이며, 본 논문에서도 이 곡을 클로델의 시와 연결시켜 분석해보았다. 이 곡은 14처를 묵상하는 14편의 시에 맞게 14개의 오르간 곡으로 작곡되었으며, 각 곡마다 상징적인 주제와 내용을 담고 있어 때로는 격렬하게, 때로는 아름다운 서정적인 선율로 예수의 마지막 여정을 그의 독창적인 스타일과 형식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가 사용한 선율 주제와 의성어적인 리듬은 여러 가지로 전조되고 변형되면서도 끝까지 곡의 통일성을 유지하면서 작곡가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되고 있다. 뒤프레는 이 곡에서 19세기 프랑스 오르간 음악의 낭만적이고 교향악적인 양식에 20세기의 신고전주의 양식을 받아들여 자신만의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하였다. 즉, 그는 신고전주의의 특징인 분명한 선율과 대위법적인 짜임새로 전체적인 균형을 강조하였으며, 프랑스 후기 낭만주의의 교향악적인 스타일에 환상적인 화성을 첨가하였다. 또한 그는 오르간의 다양한 음색을 적절히 구사하여 시의 내용을 음악으로 표현하고 있다. ‘십자가의 길’ 기도는 가톨릭교회에서 신자들이 신심수련(信心修練)의 한 행위로 언제든지 바칠 수 있지만 특히 이 곡을 사순시기 때 예수님의 고통의 길을 묵상하면서 시와 함께 오르간으로 연주한다면 신자들에게 새로운 감동이 될 것 같다.

      • 下 .廢水處理施設에서의 溫室氣體 排出量 評價 硏究 : 메탄(Methane)을 中心으로

        徐京愛 동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기후변화를 이르키는 온실가스에 대한 연구가 우리나라에서는 에너지분야를 제외하고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하·폐수 처리시설에서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표 하·폐수처리시설 10개소를 선정한 다음 메탄 플럭스(flux)를 측정하기 위해 floating flux chamber를 직접 설계 제작하여 최적의 운영조건을 확립하고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uideline에서 제안하고 있는 지침을 중심으로 하·폐수처리시설에서의 메탄 배출량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2000년 현재 하수처리시설에서 배출되는 메탄배출량은 1,306 ton/yr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선정한 6개 산업폐수처리시설에서의 메탄배출량은 1차금속업종이 169 ton/yr으로 가장 많았으며, 제지업종이 147 ton/yr, 섬유업종이 103 ton/yr, 그리고 폐수종말처리시설은 106 ton/yr으로 나타났고, 식품업종, 비금속업종, 화학업종은 3~9 ton/yr로 상대적으로 적은 배출량을 보였다. 우리나라 하·폐수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메탄량을 산정한 결과 2000년 현재 총 메탄 발생량은 2,909 ton/yr 나타났다. 이 값은 환경부 연구의 4,175ton/yr에 비하여 30%정도 과소평가된 값으로, 이러한 차이는 조사대상 업종 및 대상사업장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하수처리시설의 경우 지역특성과 운전조건 등을 고려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며, 폐수처리시설의 경우 업종의 세분화 및 업종을 대표할 수 있는 보다 많은 사업장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research on Greenhouse gas raising the climate change is not adequate yet except for a field of energy in Korea. In particular, in case of sewage·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re is no research on the discharge amount of greenhouse ga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manufacture and design the floating flux chamber directly and to establish the optimum operational conditions for measuring the methane flux after selecting the 10 places of representative sewage·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Korea. Also, it is to investigate the discharge amount of methane in the sewage·wastewater treatment plant centered on the guideline suggested by IPCC guideline. As a result of it, the discharge amount of methane discharged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 in 2000 was 1,306 ton/yr. As for the discharge amount of methane in the 6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selected by this study, the basic metal industry group took 169 ton/yr most. And the paper & pulp industry group took 147 ton/yr, and the textiles industry group took 103 ton/yr. Also,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took 106 ton/yr, and the food, nonmetal, and chemistry industry group presented relatively small discharge amount as 3~9 ton/yr. As a result of calculation of methane amount produced in course of sewage·wastewater treatment, total production amount of methane in 2000. It was an underestimated value by 30% compared with 4,175 ton/yr according to the research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t considered that this difference was caused b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dustry groups of investigation and objective business sites. It needs to investigate the discharge amount of greenhouse ga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al conditions, etc. in the future in case of the sewage treatment plant. Als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charge amount of greenhouse gas in a lot of business sites more that can represent and segment the business groups in case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