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셰익스피어 <햄릿> 의 애니메이션화 연구

        장원재 한국연극학회 2000 한국연극학 Vol.15 No.1

        The main topic of this article covers the achievement of animation Hamlet, which produced in 1992 by BBC Wales as an successful model of adaptation and visualisation. The main areas of discussion are the followings. First, what is the socio-cultural and socio-historical significance of Shakespeare: The Animated Tale Project. Second, the features of animation Hamlet in technical aspects are analysed through a comparison with other method of animation production. Third, the features of animation Hamlet in dramatic structure as a adaptation are analysed through a comparison with Shakespeare's original text. Finally, essential elements of the symbolic visualisation are examined in order to provide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future production of films and TV dramas which launched from adaptation of classical-plays.

      • KCI등재

        일본 한자사전의 현황과 전망

        장원재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1 日本硏究 Vol.50 No.-

        本稿は、現代漢和辞典の源流となる明治以降の漢和辞典の流れと特徴を説明し、最近刊行された漢和辞書については、利用目的による細分化の傾向が現れており、さらに現代と漢字表記語というキーワードへの辞典に移行されていることを指摘した。これは、現代における漢字使用の増加とともに漢字が日本語化されたことによる必要性があるからであろう。 今後漢和辞典の展望については、いくつかの筆者の見解を述べるとともに、「外国人日本語学習者のための漢字辞典」、「現代日韓中の漢字の意味·用法辞典」、「漢字文化圏近代語語誌辞典」の必要性と可能性について述べた。これらの辞典は、19世紀以降漢字文化圏における新漢語の語彙交流を通して、3国の現代語へと定着する過程と定着した様子を記述したものであることに他ならない。 現代3国ともに近代以降の通時的コーパスや現代語均衡コーパスがすでに構築されており、資料のデジタル化も進んでいる。これは今後3国の様々な資料を手安く入手でき、大規模なコーパスからこれまでは不可能に近かった辞典的情報が抽出できるようになるということである。これからの課題であり、大いに期待できるゆえんでもある。

      • KCI등재후보

        통과 교통 자료를 활용한 노측조사 기반의 기종점 통행량 추정모형 개발

        장원재 한국교통연구원 2009 交通硏究 Vol.16 No.1

        A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vestment generally requires a great deal of social resources, detailed analyses are typically followed after the proposal for an investment.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se analyses is to predict the travel demands for the proposed transportation facility. The origin-destination(O/D) trip matrices play a vital role for these analyses. Roadside survey results can be used for estimating travel patterns between municipalities. Although roadside surveys are considered as resource-intensive, difficult, and socially unfavored due to its adverse impacts on traffic, they provide simple and direct means of capturing inter-zonal passenger trip patterns, compared to other traditional methods such as the home-interview surveys.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utilizes the data from all survey stations for each given origin-destination pair. Contrastingly, previous approaches used only the data from the stations located on the screen lines for the origin or the destination of a given O/D pair because of the so-called double counting problem. The proposed method u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asible path set and the locations of the survey stations to eliminate the double counting problem.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a small toy network problem as well as the national roadway network and its associated auto passenger trip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s performed better than the existing methods. 교통시설은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한 필수요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현대사회는 적절한 수준의 교통시설을 확보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교통시설 투자는 막대한 사회적 재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투자타당성 및 투자 효율성에 대한 검토가 사전에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교통시설 투자의 타당성 및 효율성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나 주요 요인의 하나로서 현재 및 장래의 교통수요를 들 수 있다. 교통수요를 추정하는데 있어 근간이 되는 것은 물리적인 교통체계와 이 체계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사람과 화물의 양이다. 기종점 통행량 혹은 O/D 통행량은 교통계획과정과 교통체계의 운영 및 제어 등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기종점 통행량 자료의 추정은 가구통행실태조사를 활용하는 방법, 노측면접조사 자료를 이용한 방법, 통행발생 및 분포모형을 이용하는 방법, 관측교통량과 통행배정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가 사용되어 왔다. 이 중 노측면접조사 자료를 이용한 방법은 그간 국가교통DB의 승용차 여객통행량 자료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노측면접조사 자료를 활용하되 그간 사용되지 않았던 통과 교통 표본조사자료를 활용하는 추정모형을 제시한다. 통과 교통 조사자료가 사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교통량 중복 산정(double counting) 문제 때문이다. 본 연구의 추정모형은 통과 교통 표본조사자료를 활용하면서도 중복 산정 문제를 해결한다. 제안된 모형은 소규모 가상 네트워크와 국가교통DB자료에 적용하여 모형의 추정력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기존 방법론에 비해 우월한 추정력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후보

        업무중심형 자동차 공동이용(Business Car-Sharing) 시스템 도입의 잠재효과 분석

        장원재,김동준,박준석 한국교통연구원 2009 交通硏究 Vol.16 No.1

        Car-sharing has been recognized as a potential solution to decrease automobile dependencies and reduce car-ownership and vehicle travel. While there exist many countries - more than 65 countries around the world - that have car-sharing services in their domestic areas, no single service provider ever exists in Korea. Furthermore, no serious governmental-level consideration or research has ever been given to introducing such schemes in Korea. This research might be the first of such kind. This study focuses on feasibility of the business car-sharing scheme in Korea. Business car-sharing has been referred as a promising solution for commute trip reductions. In our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about 30% of commute trips using personal vehicles is contributed to business use of their personal vehicles during the working hours, which subsequently increases the parking demands at the workplace. We estimated the potential number of users as well as the potential benefits of business car-sharing if such a scheme is introduced. To estimate the number of possible users, a stated preference survey was designed and conducted. Based on the estimated number of users, the amount of potential benefits was calculated in terms of reduced vehicle travels, fuel cost and CO2 emissions savings. A simple market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whether it could be a viable business in Korea. As many researches pointed out that governmental support is critical for the success of car-sharing, possible support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were summarized. We provided recommendations of immediate actions to introduce such a scheme. 현재 국외 여러 나라에서는 불필요한 개인 자동차 보유를 억제하고 승용차 통행량을 줄이는 방안의 하나로서 자동차 공동이용(Car-Sharing)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자동차 공동이용은 대기오염 등 환경문제의 대두와 함께 지속가능한 교통체계를 구성하는 요소의 하나로서 국외에서는 많은 주목을 받아왔으며, 주요 선진국에서는 여러 유형의 시범사업을 추진하는 등 이 시스템을 자국의 교통체계의 일부로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의 경우 정부 차원의 도입 시도가 전무한 상태이나 고밀의 생활환경을 가지고 있고 대중교통수단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으며 심각한 주차문제를 경험하고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도입 여건은 비교적 좋은 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업무중심형 자동차 공동이용(Business Car-Sharing)의 국내 도입가능성을 중심적으로 검토한다. 업무중심형 자동차 공동이용은 업무상 필요한 자동차 수요를 공동이용 시스템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업무상 자동차가 필요한 경우 보통 기업의 자체 소유 차량이나 임차 차량, 그리고 직원들의 개인 소유 차량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업무상 직원 소유 차량의 이용은 출퇴근 시 개인 차량의 이용을 늘리고 직장에서의 주차수요를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업무중심형 자동차 공동이용은 주거중심형 공동이용에 비해 상업적으로도 유망한 시스템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이는 이용자층이 비교적 일정하고 통행목적이 주로 업무로 한정되어 차량 관리가 용이하며 차량 수요도 비교적 안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업무중심형 자동차 공동이용의 잠재수요를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행량 감축 효과, 유류비 절감 효과 등 예상되는 사회적 편익을 분석하였으며, 도입 시 사업성도 개략적으로 검토하였다. 자동차 공동이용의 성공적 도입은 정부의 지원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업무중심형 자동차 공동이용과 함께 넓은 의미의 수요관리정책에 대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지원방안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돌발상황하의 교통망 통행시간 예측모형

        장원재 대한교통학회 2011 대한교통학회지 Vol.29 No.1

        전통적으로 동적 교통망 모형들은 실시간 교통운영 문제를 위한 도구로 인식되어 왔다. 이와 같은 모형들을 활용하는 방안 중 하나는 예측통행시간을 생성하는 것이다. 예측통행시간 정보는 통행자들이 혼잡한 지역에서 덜 혼잡한 지역으로 경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해 주는데 이는 교통망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게 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돌발상황이 발생했을 때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통행시간정보가 미래 통행여건 자체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예기치 못한 과잉반응(over-reaction)을 야기할 수 있으며 예측정보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돌발상황 발생 시를 대상으로 교통망 차원의 통행시간 예측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에서는 모든 운전자가 개인 차내 단말기를 통해 상세한 교통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경로선택에 관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경로기반(route-based)의 확률론적 변등부등식(stochastic variational inequality)을 통행시간예측의 기본모형으로 사용하였으며 운전자의 경로전환의사를 반영하기 위해 경로전환함수를 적용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램과 간단한 교통망 분석을 통해 제안된 모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Traditionally, a dynamic network model is considered as a tool for solving real-time traffic problems. One of useful and practical ways of using such models is to use it to produce and disseminate forecast travel time information so that the travelers can switch their routes from congested to less-congested or uncongested, which can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This approach seems to be promising when the traffic congestion is severe, especially when sudden incidents happen. A consideration that should be given in implementing this method is that travel time information may affect the future traffic condition itself, creating undesirable side effects such as the over-reaction problem. Furthermore incorrect forecast travel time can make the information unreliable. In this paper, a network-wide travel time prediction model under incidents is developed. The model assumes that all drivers have access to detailed traffic information through personalized in-vehicle devices such as car navigation systems. Drivers are assumed to make their own travel choice based on the travel time information provided. A route-based stochastic variational inequality is formulated, which is used as a basic model for the travel time prediction. A diversion function is introduced to account for the motorists' willingness to divert. An inverse function of the diversion curve is derived to develop a variational inequality formulation for the travel time prediction model. Computational results illu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model.

      • KCI등재

        日韓の料理名における計量的特徴をさぐって

        장원재,木内明実 한국일본학회 2010 日本學報 Vol.85 No.-

        料理名は、その国の食べ物の素材や調理の仕方、摂取の仕方などが現れていて、文化的にも言語的にもおもしろい材料である。本稿は、日本と韓国においてある程度一般化した食べ物(給食の献立)を対象に料理名を構成する形態素と結合パターンの特徴をいくつかの観点から調べたものである。大まかな日韓の特徴を以下に示す。①料理名の長さは日韓ほぼ同じであり、形態素数別分布では、日本は2形態素が、韓国は3形態素が一番多い。②料理名の構成形態素の品詞は日韓ともにほとんど名詞と動名詞でできていて、比率もほぼ同じ傾向を示している。ただ、副詞に関しては、韓国では料理名にあまり使われない品詞であるという特徴がある。語種では、日本は料理名にかなり多くの外来語を取り入れているのに対して、韓国は外来語が少なく固有語が多いことが特徴である。外来要素の取り入れ方の違いが見られて興味深い。意味面では、日本語は完成名と付加語が、韓国は材料と料理方法を表す語彙が多い。構造パターンの特徴にもつながる。③意味と品詞の関係では、メインの構成要素(材料、完成名、料理方法)は日韓の違いがないが、付加語の「食感」と「色、味」においては、日韓の特徴が見られる。日本の「食感」は副詞を、韓国の「色、味」は形容詞を多く使う傾向が強い。また、意味と語種の関係では、日本の完成名における外来語の比率の高さが目立つ。④最終形態素の分類による構造パターンでは、相対的に日本が完(成)名型が、韓国が(料理)方法型が多いという特徴があり、構成形態素の割合とも関連がある。そして結合の分類による構造パターンでは、日本だけに見られるものが10パターン、韓国だけに見られるものが2パターンがあった。日本の付加語と韓国の調理方法の要素の違いによるところが大きい。

      • KCI등재

        Korean Mask Dance’s Influence on Yeats’s Play

        장원재 한국예이츠학회 2002 한국예이츠 저널 Vol.18 No.-

        예이츠가 레이디 그레고리와 더불어 아일랜드 문예부흥운동 및 아일랜드 연극운동을 견인하고, 장기간에 걸쳐 애비 극장의 책임자로 활동한 것은 널리 알려진 일이다. 그 기간 동안 예이츠는 극장의 행정을 담당하고 공연의 예술적 지표를 설정하는 외에, 극작가로서 활동의 지평을 넓히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예이츠의 <Four Plays For Dancers>를 중심으로, 한국 탈춤이 그의 후기 희곡 작품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논구한다. 서양의 연극적 관습이 표현의 한계에 봉착했다고 진단한 예이츠는 그 탈출구를 동양의 전통극에서 찾고자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그는 주일 영국대사관에 봉직했던 페날로사의 원고를 에즈라 파운드가 정리한 책으로부터 일본의 전통극 노(能)에 관한 정보를 습득하고, 나름대로 새로운 연극적 문법을 창시하였다. 악사들을 무대 위로 올려 관중들이 그들의 존재를 곧바로 인지하도록 하고, 등장인물들과 악사 간에 대화를 나누도록 하며, 별도의 장치 전환 없이 배우들이 무대를 몇 바퀴 도는 행위만으로 극중 장소의 변경을 적시하려 한 점 등이다. 이는 근대 이후의 서양적 연극관습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고, 새로운 시공간 개념을 도입하려한 시도에 다름 아니다. 일본의 전통극 노(能)가 공연양식, 탈의 활용법 등을 기준으로 한국의 탈춤, 특히 서낭굿 탈놀이와 방법론적 유사성을 보인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국의 탈춤과 일본의 노(能)는 공히 불교 선교극에 예술적 뿌리를 두고 있다. <일본서기(日本書紀)>를 보면, 나라시대(奈良時代: 646-794)에 백제(百濟)로부터 기악(枝樂)이라는 공연 양식이 전래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이 곧 오늘날의 노(能)이다. 이와 같은 전파과정을 고려하면, 한국의 탈춤이 예이츠의 후기 희곡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예이츠가 차용한 악사의 역할, 그리고 연극적 공간의 활용법은 표면적으로는 한국 탈춤의 경우와 상당히 흡사하다. 그러나, 예이츠의 희곡과 한국 탈춤의 채록본을 분석하면, 공연의 전체적인 맥락 안에서 논의되는 이 두 요소의 연극적 기능에 본질적인 차이가 내재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바탕 위에서, 본 고에서는 탈춤과 예이츠 희곡 간의 유사성 및 상이점을 자세하게 논구하였다. 나아가, 예이츠가 ‘총체극의 현현일 뿐 아니라 가장 첨단의 공연 양식’이라고 평가했던 동양 전통극의 공연관습이, 한국의 연극 운동 지도자들에게 전근대적이라고 폄하된 까닭을 고찰하였다. 이 문제와 이어지는 ‘연극적 근대성’의 개념에 대한 논쟁을 비교 분석하는 일은 지면 관계상 다음 기회로 미뤄 두기로 한다.

      • KCI등재

        근대 병렬코퍼스를 통해 본 한일 자순도치 한자어의 대응 양상과 현대어로의 변화

        장원재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3 No.-

        본고는 근대 한일 병렬코퍼스에서 추출한 자순도치 한자어에 대해 한일 간의 대응 양상과 현대어로의 변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일 간에 ‘둔주(AB)-주둔(BA)’과 같이 대응되 는 자순도치 한자어 페어는 26페어로 중국에서 자순도치 한자어 페어를 한일 양국이 각각 받 아들이면서도 19세기 말 이후 새롭게 사용하기 시작한 단어들도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순도치 한자어의 대응 양상을 몇 가지 분류와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고, 그중 대역어가 자순도치 한자어로 대응되는 둔주 주둔과 장성 성장에 대해서는 19세기 말 이후 현대까지의 통시코퍼스를 이용하여 서로 유의 관계로서 용법을 나누어 사용하여 현대어로 이행, 정착하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한일 근현대 어휘의 차이점 기술 및 단어사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rrespondence pattern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 process of change to modern language for Sino-Japanese/Korean with reversed letters extracted from the modern Korean-Japanese parallel corpora. The number of pairs corresponding to Sino-Japanese/Korean words with reversed letters such as “AB-BA” between Korea and Japan was 26,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words that were newly used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s Korea and Japan accepted pairs of Sino-Japanese/Korean words with reversed letters. The correspondence pattern of Sino-Japanese/Korean words with reversed letters was examined through several classifications and examples. Among them, in the cases of “屯駐-駐 屯” and “長成-成長,” where the target words correspond to Sino-Japanese/Korean words with reversed letters,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to modern languages by dividing the meaning and usage as synonyms using the diachronic corpora after the end of the 19th century can be seen. In addition,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studying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odern and contemporary vocabulary and word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