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中国环境犯罪的现状和处罚改善

        결(Zhang Jie)(章潔)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圓光法學 Vol.36 No.4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industry,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estruction in China have become the main problems faced by contemporary society. Behind this problem i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nvironmental crimes. From 2012 to 2019, China s environmental crime generally showed an upward trend, especially in 2014 and 2019, the crime of polluting the environment, the crime of illegally felling trees, the crime of indiscriminately felling trees, the crime of illegal fishing aquatic products, the crime of illegal hunting, and the crime of illegal occupation of agricultural land is relatively high. The emergence of this phenomenon is related to the legal punishment and sentencing of environmental crimes.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environmental crime, this paper analyzes the shortcomings of freedom penalty, fine penalty, qualification penalty and non-penalty measures from the perspective of criminal punishment. Compared with other crimes, the legal penalty of environmental crime is lighter, the sentencing range of some environmental crimes is single, the penalty provisions violate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and the probation rate of environmental crimes is generally higher. In the aspect of fine penalty, there is no specific amount standard in the fine penalty of environmental crime, which is lack of guidance. In terms of qualification punishment, the limitation of the content of qualification punishment and the lack of qualification punishment are another obvious defect in the legislation of environmental crime in China. In the aspect of non-penalty measure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non-penalty measures in environmental crime is narrow and the direction is insufficient. Based on the above problems, this paper puts forward the corresponding improvement measures. In the aspect of freedom penalty, first of all, the freedom penalty of the crime of polluting the environment, the crime of illegally felling trees, the crime of indiscriminately felling trees, the crime of illegal fishing aquatic products, the crime of illegal hunting, and the crime of illegal occupation of agricultural land should be appropriately adjusted. The crime of environmental pollution is divided into intentional crime and negligent crime, and the legal punishment of intentional crime of environmental pollution should be higher than that of negligent crime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 maximum legal penalty of the crime of illegally felling trees and the crime of indiscriminately felling trees should not be lower than that of larceny. The range of sentencing will be increased for the crimes of illegal fishing of aquatic products, illegal hunting and illegal occupation of agricultural land.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probation in these cases. Secondly, in the aspect of fine penalty, multiple fine penalty and limited fine penalty are applied to the fine penalty of environmental crime. Thirdly, in terms of qualification punishment, adjust the content and scope of application of qualification punishment. In addition, it is related to the deprivation of professional qualification. In terms of unit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nd limit the scope of business and deprive units of the qualification to engage in specific industries. At the same tim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qualification penalty will be extended to all environmental crimes. Finally, in terms of non-penalty measures, Article 37 of the criminal law adds similar provisions such as “if necessary, order the defendant to restore to the original state, eliminate the influence, and treat within a time limit.” The performance of this obligat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manifestations of the perpetrator s repentance, which can also be considered as appropriate in the discretionary execution of the penalty. 随着近代产业的发展,中国的环境污染和破坏已成为当代社会面临的主要问题。这种问题的背后与环境犯罪数量的增加有关。从2012年到2019年,中国环境犯罪总体呈上升趋势,特别是在2014年和2019年,环境犯罪大幅度增加。其中,污染环境罪、非法捕捞水产品罪、非法狩猎罪、非法占用农业用地罪、滥伐林木罪、盗伐林木罪的犯罪比例总体上较高。这种现象的出现与环境犯罪的法定刑与量刑有关。本论文以环境犯罪的现状为基础,从刑事处罚层面分析自由刑、罚金刑、资格刑以及非刑事处罚措施等方面存在的不足之处。环境犯罪的自由刑方面,相比较其他犯罪,法定刑整体上较轻,部分环境犯罪的量刑幅度较为单一,处罚规定违反责任原则,环境犯罪的缓刑适用率普遍较高。罚金刑方面,环境犯罪中的罚金刑规定没有具体的数额标准,缺乏指导性。资格刑方面,资格刑内容的局限和资格刑的缺乏可以说也是中国环境犯罪立法上的另一个明显缺陷。非刑罚性处置措施方面,环境犯罪中非刑罚性处置措施适用范围较窄,指向性不足。本文以上述问题为基础,进而提出相应的改善措施。即在自由刑方面,首先,对犯罪发生率高的污染环境罪、盗伐林木罪、滥伐林木罪、非法捕捞水产品罪、非法狩猎罪、非法占用农用地罪的自由刑进行适当调整。将污染环境罪分为故意犯罪和过失犯罪,且故意污染环境罪法定刑应高于过失污染环境罪的法定刑。盗伐林木罪和滥伐林木罪的法定最高刑应不低于盗窃罪。对非法捕捞水产品罪、非法狩猎罪、非法占用农用地罪增加量刑幅度。有必要控制这些犯罪的缓刑适用情况。其次,在罚金刑方面,将倍比罚金刑和限额罚金刑应用到环境犯罪的罚金刑中。再次,在资格刑方面,调整资格刑的内容和适用范围。自然人方面,增设与禁止从事特定职业,剥夺、终止相关资格相关的资格刑。单位方面,增加与限制经营范围和剥夺单位从事特定行业资质的资格刑。同时,将资格刑的适用范围扩大到所有的环境犯罪中。最后,在非刑罚性处置措施方面,在《刑法》第37条中增加“必要时,命令被告人恢复原状,消除影响,限期治理“等类似规定,将这种义务的履行情况作为行为人悔罪的表现之一,在刑罚的裁量执行时也可以酌情考虑。

      • 晚淸中國對繼受外國法的選擇

        중추(Zhang Zhongqiu)(張中秋)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4 아시아연구 Vol.- No.18

        본고는 중국어 자료에 근거하여 만청 시기 외국법을 받아들인 대상국 및 그 경로와 방식의 선택에 대해 연구하였다. 주요한 선택으로 資訊、國情、政制、目標、國際環境、法律傳統 및 人力과 物力資源의 제약이 있지만, 國情. 政制와 目標가 關鍵이기 때문에 晩淸 시기 외국법을 받아들이는 대상국을 선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師夷"(1842年)→"西人(法律)皆極詳明"(1898年)→"取法歐美"(1900年)→"중국과 서양의 것을 함께 취하고, 각국의 것을 참작한다"(1902年)→"동서 각국에서 법률에 정통한 박사나 변호사 초빙"(1905年), 1842年부터 1905年 전후 63年간 만청이 "師夷"에서 "變法修律"의 선택기를 거쳐 최후 일본을 선택하였는데, 그 목적은 일본을 모방하여 서방정치 법률의 핵심을 섭취하여 영사재판권을 회수 하려는 것이었다. 그 외 중일의 政敎、風俗、文字相通, 地域相近, 人才、物力 한계 등의 요소가 있었다. 만청은 받아들일 만한 대상국을 확정한 후에 계수의 경로와 방식에서 비교적 효과적인 留學、飜譯、考察 및 외국 전문가 초빙이라는 몇 가지 방식을 선택하였다. 먼저 만청 시기 대량으로 일본에 유학하였는데, 그중 법정을 전공자가 비교적 많았다. 다음으로 일본에서 법정을 전공한 인재는 만청이 근대 일본법을 이어 받는데 상당하게 지원하였는데 직접적으로 수혜를 받은 것이 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변역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은 조사 고찰인데, 법제에 대한 실지 고찰은 청정 오대신의 정치 고찰이 시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실제는 모두 일본이 시작한 것을 본받아 진행한 것으로 광서 32년(1906)에 沈家木의 추천하에 董康 등이 일본에 가서 재판과 감옥 등을 고찰할 수 있었고, 선통 원년(1909)에는 헌정 고찰을 위해 李家駒 대신이 일본에 파견되어 사법제도를 고찰하였다. 고찰 이외에 다른 중요한 경로는 직접 일본 전문가를 초빙하여 중국 입법화와 법률교육에 참여시키는 것이었다. 만청 시기 외국법을 받아들이는 이러한 선택은 우리가 중외 법률 문화 교류를 살펴보는데 거울을 제공하고 있다. This article studies the selection of a target country for foreign law succession by China of late Qing Dynasty as well as the channels and approaches based on documentation in Chinese language. According to this article, the selection was mostly limited by information, national situation, political system, objectives, international environment, legal tradition and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which the national situation, political system and objectives serve as key factors. In this case, procedure of selection of foreign laws for succession in late Qing Dynasty was, "learning from the foreign countries"(1842) → "westerners' laws are all detailed and clear"(1898) → "introduce a law from Europe or the United States"(1900) → "adopting laws of the east and the west, consulting laws of all countries"(1902) → "hiring doctors and lawyers from eastern or western countries whom are proficient in law"(1905). So the 63 years from 1842 to 1905 was a period of selection by China of late Qing Dynasty from "learning from the west" to "political reform and amending laws". Qing government finally selected Japan as the target country for succession in order to absorb the essence of western politics and laws and to revoke Consular jurisdictions. Besides, some other factors such as politics, education, custom, written languages, geography, as well a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lso promoted the choice of Qing government. After China of late Qing Dynasty had determined the target country for succession, in terms of the channels and approaches for the succession, several fairly effective methods including studying aboard, translating foreign writings, making survey trips and hiring foreign experts were adopted. First of all, among large number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Japan, quite a large group of them studied law and politics. Second, many talented students who studied law and politics in Japan provided a lot of intellectual support for the succession of modern Japanese law by China of late Qing Dynasty. Translation of books was one of the direct benefits. Field survey of legal systems, which was also important, started with the survey of politics by five government officials of Qing government. Actually, it was all inspired by Japan and proceeded through treating Japan as a role model. In the 32nd year of Guangxu Period (1906), recommended by ShenJiaben, Dong Kang, etc. were approved to go to Japan to make an inspection on the matters related to sentencing and prisons. In the first year of Xuantong Period (1909), Li Jiaju was also dispatched Japan to make an inspection of its judicial system. Important as field survey, directly hiring Japanese experts to participate in China's legislation and law education is another approach for succession of modern Japanese laws by China of late Qing Dynasty. Such selection by China of late Qing Dynasty for the purpose of succession of foreign laws have offered references to us for thinking about law succession and the current exchange of laws and cultures between China and foreign countries.

      • KCI등재

        기획논문 : 「전기」의 의미 변모와 근대적인 의의 -A.콩트의 3단계의 법칙 의 시점을 중심으로-

        후천 ( Houquan Zhang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5 언어사실과 관점 Vol.36 No.-

        메이지의 계몽사상가들은 문명개화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새로운 학술 사상을 표현하기 위해 수많은 개념을 한자어의 형태로 고안하였다. 새로운 한자어에는 「철학」이나 「심리학」, 「민주」 「과학」 등과 같은 추상개념의 단어가 많은데 「전기」와 같은 과학 기술의 용어도 포함되어 있다. 필자는 이렇게 새로 만들어진 한자어를 서양근대의 문명을 이식하는 프로세스에 착안하여 「근대 한자어」라 칭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근대」는 일본의 근대라는 의미가 아니라 「서양근대」의 의미이다.「근대 한자어」를 고찰함에 있어서, 주로 아래의 세 가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단어 구성의 문제이며, 또 하나는 단어의 의미 형성과 변모의 문제이다. 나아가 일중한의 사이에서 차용의 사실이 있다면 차용 관계도 중요한 문제이다. 본론은 과학기술의 개념으로써 중요한 용어인 「전기」를 고찰한 것이다.「전기」에 대한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에서는 「전기」가 ‘electricity’의 번역으로써 중국어로부터 일본에 전해졌다라는 설이 유력하였다. 그러나 몇 가지 문제점이 남는다. 하나는 「전기」가 일본에 전해지기 전에 그것에 해당하는 네덜란드어 역의 「월력」(에레키)과 같은 의미인 것처럼 여겨지고 있는 점이다. 다른 하나는 당시의 「전기」가 과연 오늘날의 「전기」와 같은 의미의 용어였는가 하는 문제이다. 구와키 아야오(1935 : 4)는 「에레키테르 물어(物語)」에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기라는 말은 나중에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것이다」라 말하고 있다. 야마다 다카오(1958 : 420)는 「한자 번역의 서책으로부터 들어왔다」고 분류하고 있다. 그 때문인지 필자가 2001년에 국어학회에서 발표했을 때에 「전기」를 일본의 근대 한자어로 분류하자 질문자로부터 「중국어라는 것이 정설이다」라고 지적 당하였다. 그러나 그 정설이 어떠한 기준으로 어떻게 정해졌는지는 꼭 명확하지만은 않다. 특히 「전기」와 같은 근대성을 지닌 과학 기술의 용어는 글자의 출현 순서만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A.콩트의 지식의 「3단계의 법칙」이나 과학사의 척도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전기」라는 말은 중국어에서 유래했다는 견해는 일찍부터 존재하여, 가와모토 고민(1857 : 3)은 「기해관란광의(氣海觀瀾廣義)」에서 네덜란드어인 「에레키테루」에 해당하는 단어를 「중국인이 최근 전기라 번역함」이라고 말하고 있다. 가와코토 고민(1857)이나 구와키 아야오(1935), 야마다 다카오(1958)의 「전기」 중국어 설에는 특별히 구체적인 중국어의 문헌은 거론되고있지 않다. 이에 반해 마츠이 도시히코(1983)는 「전기」라는 용어가 영국의 선교사 W. 뮤어헤드(William Muirhead 모유렴(慕維廉))의 「지리전지(地理全志)」(1853-54년) 속에서 확인되었다고 구체적인 문헌을 언급하여 명확히 지적하고 있다. 또한 야쓰미미 도시후미(1992 : 118)는 미국 선교사 맥고원(D.J.MacGowan)이 번역한 「박물통서」(1851년)에 대하여 상세히 논고하면서 「전기」라는 단어의 시작이 맥고원의 「박물통서」에 있었다고 말하였다.그러나 「박물통서」의 번역 예가 가장 빨랐다는 이유로 현대의 「전기」라는 용어가 중국어에서 유래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신빙성이 빈약하다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당시 번역된 「전기」라는 말의 의미가 현대의 「전기」와 꼭 합치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박물통서」의 기술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마찰전기」「정전기」의 의미로써 사용하는 것도 있다. 이것은 제2차 산업혁명의 상징으로써 이해되고 있는 현대의 「전기」의 개념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또한 야쓰미미 도시후미(2007 : 93)는 「중국에서는 「전기」는 기(氣)가 아니기 때문에 「電(電)」 한 자로 사용되게 되었으나 일본에서는 여전히 「전기」가 사용되고 한국에서도 「전기」의 한글 표기가 사용되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어, 여기에서는 확실히 주장하고 있지는 않지만, 중국에서는 「전기」라는 용어가 그 후사용되지 않게 되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電氣”/전기」는 지금도 「“電氣化”/전기화」 「“電氣工程學”/전기공학」 「“電氣工程師”/전기 엔지니어」와 같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용어이다. 한편 「전기」라는 용어가 중국어에서 유래했다는 주장과는 반대로 중국의 연구자 중에는 일본의 근대 한자어로써 인정하는 사람도 있다. 예를 들면 언어학자인 왕리(王力1980 : 526)는 「「電」이 접두어로 되어 있는 복합어는 모두 일본어에서 유래한다」고 기술하였다. 최근 장후천(張厚泉 2006 : 58)은 「박물통서」(1851년)를 언급하며 이 책이 아마도 가장 일찍 「전기」를 사용한 중국어 문헌이며 전기는 「전」과 「기」의 복합어로 「기」는 중국 고대 철학의 개념이라 지적하고, 유선전보의 순간적인 통신기능이 「전기」의 형성을 촉진했다고 밝혔다. 중국어의 「전기」가 일본어에 들어오기 전에 네덜란드어인 ‘Elektriciteit’의 일본어 역인 「에레키데리세이리테이」 「에레키(越歷)」에는 이미 「기(器)」의의미가 있었다. 고토 리슌은 「홍모담(네덜란드 이야기)」 (하권) (1765년)에서네덜란드어인 「Elektriciteit/에레키데리세이리테이」를 「모든 고통 있는 병자의 아픈 곳에서 불을 취하는 기구」. 「에레키테리」란, 「이 도구를 연구하여성취했을 때의 사람의 이름을 지금은 이 도구의 이름으로 한다」고 기술하고있다. 또한 모리시마(가쓰라가와) 추료도 「홍모잡어 「5권」」(1787년)에서 「이기구는 먼 서양의 사람, 전광의 이치를 추구하여 처음 만들어낸 완기翫器(장난감) 중 더욱 희귀한 물건」이라 기록하여, 「기(器) (의료기구)」 「완기(장난감)」로 인식하고 있었다. 상기 2개의 문헌은 사이토 세이(1967) 「일본어에 미친 네덜란드어의 영향」이나 스기모토 쓰토무(1995) 「에도의 번역가들」등 에서 거론되고 있다. 「불을 취하는 기구」 「여러 종류의 에레키테루를 새로만들었다」 「완기 중 더욱 희귀한 물건」이라 기록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난학자들은 네덜란드어 ‘Elektriciteit’를 모두 「기(氣)」가 아닌 「기(器)」로써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에레키테루는 그 후 오오츠키 겐타쿠의 문하생인 하시모토 소키치(담재曇齋)의 「阿蘭陀(오란다) 에레키테루 구리원(究理原)」(1811년)에서 「호박(琥珀) 」 「호백(虎魄)」의 의미라고 설명되어 있다. 또한 같은 책 「천기기제조병명의(天氣器製造倂名義)의 변(弁)」에서는 천기기(天氣器)로도 번역되고 있다. 그러나 하시모토 소키치가 「전(電)」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구리원(상권)」의 목록에는 「플라스크의 물로 사람을 몹시 놀라게 하는 도설(圖說) 및 전(電)을 나타내는 그림」과 같이 「전(電)」을 사용한 흔적을 확인할 수있다. 한편, 「전기」라는 자연과학의 용어는 20세기의 초반까지, 예를 들어 엄복(嚴復)과 같은 중국의 계몽사상가에게 있어서도 사용하는데 상당한 저항이 있었던 용어였다. 엄복 이전, 외교관인 곽호도(郭蒿燾 1905 :29)는 「윤기여파려일기(倫敦與巴黎日記)」에서 영국의 발전소를 견학한 내용을 「모든 전기는 석탄 속에서 나온다」라고 적고 있다. 곽호도는 1876년 12월에 영국에 부임하여 이듬해 2월부터 일본 공사 우에노 가게노리나 이노우에 가오루 등과 빈번히 교류하여, 1878년 1월에 우에노 가게노리로부터 「동경개성학교 일람(東京開成學校一覽)」이 도착하여 설명을 받았다는 사실을 일기에 적고 있다. 「동경개성학교일람」에는 「왈대기중전기(曰大氣中電氣)」 등 39과목의 학과 명이 거론되고 있다. 엄복과 대조적으로 곽호도의 일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기」는 우에노 등 일본의 외교관으로부터 받은 영향이라고 단언은 할 수 없지만, 그럴가능성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동경개성학교란 말할 것도 없이 도쿄대학의 전신으로, 1874년에 설치된 법학·화학·공학의 3과로 구성된 근대적인 학교이다. 동경개성학교의 과목에서는 「전기」는 확인할 수 없으나 메이지9 (1876)년 「동경개성학교 일람」「제10장」 「제2조」에는 「전기학용의 모든 기기 중 귀중한 것은 람스덴씨 플레이트 대전기기(大電機器), ···」 (p.27), 「제2년 물리학 전기유동론」 (p.47), 「제1 보통과」에 「대기 중의 전기」 (p. 59)라는 기술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곽호도의 일기 내용에 대한 신빙성은 매우 높다. 부언하자면, 「제1년 초보물리학」에는 아직 「정월력학, 동월력학」의 용어가 사용되었다.「전기」에 대해서는 서주(1870 : 58)도 「백학련환(百學連環)」 「총론」에서 프랑스의 철학자 A.콩트의 지식의 「3단계의 법칙」을 응용하여 「천둥(雷) 」과 「전기」의 관계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서주는 「천둥(雷)」에서 「전기」로 변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였는데, 「주공(周公)의 역리(易理)」나 「음양의 다툼」이라는 개념으로 해석했던 「전기」를 제2단계인 형이상학적개념으로 설명한 것은 분명하다. 이는 가와모토 고민 등의 난학자가 접촉했던 중국에서 전해진 한자역의 「전기」였다. A.콩트는 인간의 지적 발전은 신학적·형이상학적·실증적이라는 세 개의 「stage」 = 「장」(단계, 상태)를 거침으로써 완성된다고 주장한다. 이 점으로 미루어 A. 콩트의 지식의 「3단계의 법칙」으로 서로 다른 시기의 「전기」의 의미가 제2단계 혹은 제3단계에 있는 지를 검증하는 것은 이 학문의 중요한 과제라는 것을 주장하고 싶다. 이 법칙에 따라서 과학기술 용어의 의미를 정의한다면, 근대 한자어는 당연히 서양 근대 문명의 의미를 포함해야만 한다. 다시 말해, 현대의 「전기」라는 한자어는 A. 콩트가 주장하는 제3단계에 있는 말이며, 과학사의 시점에서 본다면 산업혁명의 의미를 반영하고 있다고 규정하지 않을 수 없다. 제2차 산업혁명(전기·석유)의 통설은 나라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19세기 후반이라는 것은 거의 일치한다. 즉, 전화기·축음기(1877), 전구(1879), 발전기(1880)가 발명된 후의 개념이라는 말이다. 상기의 고찰 결과 「전기」는 일본의 「월력(에레키)」과 「기구」나 「기계장치 」로써 난학에서 출발하였으나, 중국의 한역 양서는 보다 빨리「Electricity 전기」의 본질을 밝혀냈다는 점이 확실하다. 그 때문에 중국어의 한역 양서에서 음양론이나 오행설 등으로 설명하여 번역한 「전기」를 받아들인 시점에서 이미 중국어의 「전기」와 일본어의 「월력(에레키)」에는 그 의미영역이 상이했었다. 그 후 지식의 제2단계에 있는 중국어의 「전기」를 차용하여 「에레키 」 대신 사용했는데, 그 다음에 제3단계의 「전기」가 외교관을 통해서 중국으로 역수출되었다고 여겨진다. 물론 「근대 한자어」에 대한 문헌을 세밀히 조사하여 중국어인지 일본어인지를 묻는 대조연구가 필요하지만, 「근대한자어」에 대하여 그 말의 당시 의미용법이 현재와 같은지 어떤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덧붙여 말하자면 그 용어의 사용이 일본과 중국, 한국의 근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바로 「근대 한자어」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 Enlightenment thinkers of the Meiji Period devised a number of concepts using Chinese words in order to fully influence th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and to express the new academic ideas. The new Chinese words often included the words of abstract concepts such as “Philosophy”, “Psychology”, “Democracy”, and “Science” and also included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such as “Electricity.” These newly devised Chinese words were called the “Modern Chinese Words” in this study, referring to the process of implanting the modern Western civilization. Here, the term “Modern” means “Modern Western” instead of “Modern Japanese.” There three basic problems relat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Modern Chinese.” They are the problem of the word structure, and the formation and the change of the word’s meaning. In addition, if there were borrowings of words between Japan, China, and Korea, the borrowing relationship becomes another important problem. This study focused on “Electricity”, an important term representing the concept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electricity”, there is an established theory that “electricity” was transmitted to Japan from the Chinese as a translation of electricity. Still, however, there are few problems. One is that "electric" is regarde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Ereki”, the Dutch translation that corresponds to “electricity” before “electricity” was introduced to Japan. Another one is the problem of whether “electricity” at the time meant the “electricity” today. Ayao Kuwaki (1935: 4) argues in "Erekiteru Story" that “As you are well aware of, the term ‘electricity’ was introduced from China later.” Takao Yamada (1958: 420) classified the term to have been “introduced through Western books translated into Chinese.” For this, when I had a presentation at the Society of Japanese Linguistics in 2001 where I classified “electricity” as the modern Chinese word of Japan, I was rectified by the questioner,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it is Chines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clear how it became established by which criteria. Particularly for the scientific and technical terms that reflect modernity such as “electricity”,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Three Stages Law” of A. Comte or the criteria of science history rather than determining it only by the order of textual appearance. The view that the term, “electricity”, was derived from Chinese existed for a long time; Koumin Kawamoto (1857: 3) indicated in “Kikai Kanran Kougi” that the Chinese translated the word that corresponds to the Dutch word, “Erekiteru”, as “electricity” recently. The theory of “electricity” coming from Chinese by Koumin Kawamoto (1857) or Ayao Kuwaki (1935), and Takao Yamada (1958) does not mention specific Chinese literature. On the contrary, Toshihiko Matsui (1983) clearly indicates that the term "electricity" was found in the “Universal Geography (1853~54)” by the English missionary, William Muirhead by indicating the specific literature. In addition, Yatsumimi Toshifumi (1992: 118)discussed “Hakubutsu Tsusho (1851)” translated by the American missionary, D.J. MacGowan in detail and argued that the origin of the word "electricity" is the “Hakubutsu Tsusho” by MacGowan. However, the argument that the modern term of the “electricity” was originated from China solely based on the fact that the translation of “Hakubutsu Tsusho” was dated the earliest somewhat lacks credibility, because the meaning of the word translated into “electricity” at the time does not necessarily square with the meaning of modern day “electricity.” As it was suggested in the description of “Hakubutsu Tsusho”, the term was also used to indicate "frictional electricity" or "electrostatic.” This is far from the concept of modern “electricity” which is understood as a symbol of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Yatsumimi Toshifumi (2007: 93) also argued that, China uses “電(電)” as “electricity” is not “氣” whereas Japan still uses “電氣” and Korea also uses the Hangeul notation for “electricity.” Although he did not clearly argued he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term, “電氣” had not been used in China since then. However, “電氣/ electricity” has been widely used in the form of “電氣化 (Electrify)”, “電氣工程學 (Electric Engineering)”, and “電氣工 程師 (Electric Engineer).” Contrary to the argument that the term “electricity” was derived from the Chinese, some Chinese researchers recognize it as the modern Chinese word of Japan. For example, Li Wong (1980: 526) said all compound words prefixed by “電” were originated from the Japanese.” Recently, Houquan Zhang (2006: 58) said "Hakubutsu Tsusho" (the 1851) is perhaps the earliest Chinese literature that used the term “electricity” and argued that “電氣 (electricity)” is the compound word of “電 (thunder)” and “氣 (energy)” where “氣 (energy)” reflects the concept of ancient Chines philosophy and that the instant communication of wired telegram accelerated the formation of the word, “electricity.” “Ereki” and “Erekideriseiritei”, the Japanese transliteration of the Dutch word, ‘Elektriciteit’ already had the meaning of “器 (device)” before the Chinese word “電氣 (electricity)” was transmitted to Japan. Rishun Goto described “Elektriciteit” as the “device which takes fire from the pain of all suffering patients” and “Erekiteri” is the “name of the person who developed this device and the name is now used to indicate the device” in “Dutch Tale” (Vol. 2) (1765). Churo Morishima also recorded in “Komo Zatsuwa (Vol. 5)” (1787), “This is a rarer object among the toys that Western people built for the first time using the principle of electric lightning”, regarding it as a “device (medical equipment)” or toy. The two literatures above were mentioned in “Dutch Influence on Japanese Language” by Sei Saito (1967) or “Translators of Edo” by Tsutomu Sugimoto (1995). The fact that it was recorded as the “device to take fire”, “~ made a variety of types of Erekiteru ~”, and “a rarer object among the toys~”, shows that the scholars of Dutch studies have regarded the Dutch word, “Elektriciteit”, as “器 (device)” instead of “電氣 (electricity).” Later, Erekiteru was described to be “amber” in “Oranda Erekiteru Kumoritoki (1811)” by Soukichi Hashimoto, a pupil of Gentaku Otsuki. Also, is also translated as weather instrument (Erekiteru) in “天氣器製造倂名義” of the same book. However, It does not mean Soukichi Hashimoto did not use the term “electric.” The list of “Kumoritoki (Vol. 1)” shows the trace of using “電” in the “Diagram or figure that makes people greatly surprisesd with the water in the flask” in its list. On the other hand, the natural science terms called “electricity” was a term that faced considerable resistance in its use even for Chinese enlightenment thinkers such as Fu Yan until the beginning of the 20thcentury. Songtao Guo (1905: 29), a diplomat before Fu Yan, described that “all electricity comes from coal” his report on the visit to a power generation plant in England in <London and Paris Diary> dated September 12, 1877. Songtao Guo arrived in England in December 1876 and frequently exchanged with Japanese consul Kagenori Ueno and Kaoru Inoue from February of the following year and he wrote in his diary that he received “Tokyo Kaisei School List” as a gift from Kagenori Ueno with explanation in January 1878. The “Tokyo Kaisei School List” mentions the names of 39 subjects including “Atmospheric Electricity.” In contrast to Fu Yan, it is possible that the “electricity” used in Songtao Guo’s diary could have been influenced by Japanese diplomats such as Ueno although it cannot be affirmed as so. Needless to say, Tokyo Kaisei School established in 1874 is the predecessor of the University of Tokyo, and is a modern school which was composed of three departments including law, chemistry, and engineering. Although it was unable to find “electricity” in the curriculum offered by Tokyo Kaisei School, the credibility of the contents of Songtao Guo’s diary is quite high considering the descriptions such as “The most precious one of all machines for electrical science is Mr. Ramsden’s large electric machine called ‘Plate’ … (p. 27)”, “Second Year Physics - Electrical Flow Theory” (p. 47), and “Electricity in Atmosphere” in “1. General” (p. 59) in Article 2 of Chapter 10 of the <Tokyo Kaisei School List> written in Meiji 9 (1876). In addition, the <First Year Elementary Physics> used terms like “Static Ereki (Electricity) Science, Dynamic Ereki (Electricity) Science.” For “electricity”, Amane Nishi (1870: 58) also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under and “electricity” in a simple manner using the “Three Stages Law” of A. Comte., the French philosopher in the “Introduction” of the <Encyclopedia>. Amane Nishi has been described the process of change from the “thunder” to “electricity”, and it is clear that he explained “electricity” as a metaphysical concept in the second stage while it had been interpreted as the concept of “Zhougong’s Logic of Change” or the “Struggle between Yin and Yang.” This was clearly the “electricity” imported from Chinese translation that the scholars of Dutch studies such as Koumin Kawamoto contacted. A. Comte stated that human intellectual development is completed as it passes through three “stages” = “places” (steps, states) such as theological, metaphysical, and empirical stages. Therefore, I wish to argue that verifying whether the meaning of “electric” in different times is in the second or third stage based on the “Three Stages Law” of knowledge by A. Comte. is an important issue of this study. If you define the meaning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terms in accordance with this law, the modern Chinese words must naturally include the meaning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In other words, “electricity” as a modern Chinese word is the word in the third stage insisted by A. Comte. and has to be considered that it reflects the meaning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science. Although the common view of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electricity and petroleum) is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untry, they all agree that it took place in the late 19th century. In other words, it is the word of the concept that came after the invention of telephone and phonograph (1877), light bulb (1879), and generator (1880). According to the discussion above, it is clear that China``s translation of Western books identified the essence of the "electricity" earlier while Japan started to understand “Ereki” as a “device” or “mechanical device” from Dutch studies. For that, the meaning of “electricity” in Chinese and that of “Ereki” in Japanese already had different area of meaning at the time China acknowledged “electricity” as it was described with the Yin-Yang theory or the Five Elements theory in Western books translated into Chinese. Later, Japan borrowed “electricity” in Chinese in the second stage of knowledge and used it instead of “Ereki” and it is conceivable that “electricity” in the third stage of knowledge could be exported back to China through diplomats. A controlled study inquiring whether a word is Chinese or Japanese by thoroughly reviewing the literatures on “Modern Chinese” is of course necessary; however, clarifying whether the meaning and usage of the word at the time were the same as the current meaning and usage of the word is all the more important. In other words, exploring how the use of the word influenced the modernization of Japan, China, and Korea is the very purpose of studying “Modern Chinese Words.”

      • 不栺方鼎時代「穆王說」補

        張德良(Zhang De Liang)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0 아시아연구 Vol.- No.9

        ‘不栺方鼎’이 만들어진 시기에 대해서는 현재 周昭王시기, 周穆王시기 그리고 周恭王.周懿王시기라는 세 가지 견해가 상존하고 있다. 본 논문은 考古類型學의 방법을 활용하여, 함께 출토되었던 器物.器形,紋樣및 書體등의 네 가지 각도에서 고찰했다. 함께 출토되었던 器物로는 서로 다른 형태를 띠고 있는 두 개의 銅戈가 있다. 하나는 穆王시기에 해당하는 伯墓에서 출토된 微胡一穿戈이고, 또 하나는 西周中期에 해당하는 天馬—曲村M7092에서 출토된 長胡三穿戈이다. 井中偉박사의 연구에 의하면, 전자의 유행은 그 年代의 下限線을 西周시대 중기의 초기단계로 잡을 수 있고, 후자의 유행은 西周시대 중기까지로 볼 수 있다. 그리고 陝西省長安縣張家坡의 西周시대 무덤 M284에서 출토된 咸作豐大母方鼎은 이 ‘不栺方鼎’과 그 器形이 매우 유사한데, 그 시기는 서주시대 중기에 해당한다. 또한 이 ‘不栺方鼎’과 유사한 紋樣을 가진器物로는 陝西省岐山縣董家村의 窖藏에서 출토된 二十七年衛簋를 들수 있는데, 그 시기는 穆王시기에 해당한다. ‘不栺方鼎’의 書體는 시기적으로 穆王시기에 해당하는 豐尊과 共王시기에 해당하는 墻盤의 중간지점에 놓여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중에서 穆王시기에 해당하는 方鼎甲과 가장 근접하고 있는 편이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몇 가지 내용을 종합하여 필자는 이 ‘不栺方鼎’의 시기를 西周시대 중기의 초기단계인 穆王시기로 잡았다. 이러한 時代區分은 周原甲骨文에 보이는 ‘不栺’의 활동연대와도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이 사실도 필자의 견해에 또 하나의 중요한 증거가 되어주었다. 그 외에도 이 ‘不栺方鼎’의 시기를 穆王시기로 정하는 일은 상단에 새겨진 竊曲紋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By now there are three kinds of opinion about the dating of the rectangular cauldron of Buzhi: the period of King Zhao, or King Mu or the period of King Gong and King Yih in Western Chou history. The paper studies the co-existing utensils、vessel shape、decoration and the style of calligraphy with the means of typology. Among the co-existing utensils, there were two kinds of dagger axe. One is tiny Hu(flange) with one apertures, which also appeared in the tomb of Dong in Shan’xi Province. The other is long hu(flange) with three apertures, which occurred in one tomb of Tianma-qucun in Shanxi Province. The period of the former is King Mu of Western Chou, and the latter is Middle of Western Chou based on the study of one doctoral dissertation by Jing Zhongwei. Similar rectangular cauldron for Feng Damu(豐大母) was found at the cemetery of Zhangjiapo of Western Chou, which was in the middle of Western Chou. As for the decoration, gui food container for Wei from the hoard of Western Chou at Dongjiacun in Qishan County is similar to the rectangular cauldron, and the period of the gui food container is generally acknowledged as King Mu. The period of the style calligraphy of the rectangular cauldron was between King Mu and King Gong, compared with the Zun for Feng from the Hoard at Zhuangbai and the pan for the scribe of Qiang, and it is closer to the rectangular cauldron for Dong. Based one the analysis above,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period of the rectangular cauldron for Buzhi was King Mu, and this agreed with the conclusion that one person called Buzhi from the oracle inscriptions of the Western Chou at Zhouyuan was living Between the early Western Chou and the middle Western Chou. This is one circumstantial evidence. Once we accept the opinion, it is very important for us to study the pattern of Qiequ(竊曲紋) of the bronze of Western Chou.

      • KCI등재

        여서(女書)문자를 통한 강영(江永) 여성의 정체성 형성 연구 : 여서로 개작된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청원(Zhang, Qing-Wen)(張清,遠)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3 No.-

        이 연구는 옛 중국의 강영현 여성들이 여서문자를 통해 자신의 문식성을 발전시키는 욕망과 과정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여서문자의 개념과 형성 배경, 그리고 교육방식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여성 문식성 공동체의 형태를 고찰했다.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체성 발전을 고찰하기 위해 ‘설득’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설득의 확장 개념인 ‘순수 설득’ 이론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여서문자와 ‘순수 설득’가 서로 결합하는 가능성을 타진하고, 그 이론을 바탕으로 여서로 개작된 문학작품을 해석하며, 옛 중국 강영 여성의 정체성 형성과 문식성의 발전 과정에 대해 다각도로 살펴보았다. Nvshu, just like the name shows, is females words and their self-created writing form. The accident discovery of Jiangyong Nvshu triggers the research fever at home and abroad. In ancient China, under the male-centered hierarchical environment of Chinese characters, Jiangyong females created their own literacy community with their wisdom which to some extent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become literate and appreciate literature. Meanwhile, with an unique presentation form, this education form deepened local females’ identification with their self-identity and allowed them to share friendship and sorrow and fears between them which set them free from the traditional male-centered social structure to express themselves to the fullest and eulogized females’ life. The discussion process of the thesis is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s the research systems and directions about Nvshu at home and abroad and finds out that most domestic researches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ords in Nvshu in the form direction including glyph, phonetic meaning, etc. But foreign researches take Nvshu as a tool for cultivating and developing females’ self-awareness and focus on discussing the formation of females’ self-awareness. Second, during learning related theories, the author mainly discussed the basic concept of persuasion and the extension of Pure Persuasion and combined this theory with Nvshu under the power structure i.e. the formation of awakening self-awareness and self-identity under interference, satisfaction of self-spirits, etc. which expanded and explained the environment applicable for this theory. In addition, in the formation of personal identity, such factors as language community and language application also played a role unconsciously. all stimulated female’s self-development and needs for becoming literate which to some extent, can be seen as a bounce of self-awareness under the strong intervention of male-centered society. At last, this thesis extracts some literary works from Nvshu including Sisterhood shu and Sanzhao shu (focusing on marriage celebrations and friendship reviewing) and uses literary works adapted from Nvshu to fully express the private communication among females,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bosom female friends and the establishment of female’s literary quality, etc. In a male-centered society which is an exquisite expression of self-awareness, social reality and emotional output. The most attractive part is that the adaption of literary works through Nvshu in a male-centered society shows females’ flexible application of dialects and their literary expression ability by dialects. Lack of official education does not affect their appreciation and enthusiasm for literature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heir self quality and at the same time, their criticism to the social reality also shows females’ unique thinking ability and critical perspectives.

      • 공공데이터 분석을 통한 하수관로 악취 현황 시각화 및 준설작업자 배치의 최적화

        ( Zhang Chuanli ),선경 ( Jang Seonkyeong ),이소림 ( Lee Sorim ),김윤경 ( Kim Yoonkyoung ),박규홍 ( Park Kyoohong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서울시가 2019년에 설문 조사한 바에 의하면, 하수도 선결과제는 하수도의 냄새라고 답한 응답자가 56.4%로 가장 많았다. 이에 따라 시민과 밀접한 시설인 하수관로는 시민의 요구에 부합하는 악취없는 친환경시설로의 변모가 필요하다. 최근 공공데이터를 민간에 공개하려는 법제도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빅데이터 등의 제4차산업혁명기술의 활용도를 모든 분야에 확대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20 서울특별시 다산 콜재단의 공공데이터 81,904건을 활용하여 악취지도를 작성하였다. 주소 변환 툴인 GeoCoder-Xr을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위도, 경도를 추출하고 유효하지 않은 주소를 교정 후, 히트맵(heat map) 작성에 용이하도록 CSV파일을 EXCEL파일로 변환하였다. Folium, Pandas, Python을 도구로 활용하여 히트맵으로 데이터 시각화를 하였다. 또한, 대상지역의 유지관리대상관로를 추출하여 작업자의 위치 배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정확히 추정하여 이를 최소화하는 최적화 모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QGIS로부터 유지관리 대상관로의 좌표를 추출하고 실시간 교통여건을 반영한 Naver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하여 대상 관로간의 이동시간 및 이동거리를 찾을 수 있다. 이는 인구와 교통량이 많은 도심에서는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이며, 대규모의 사고(심한 악취 및 해충 발생 등) 직후에는 더욱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실제 악취 발생한 하수관로 유지보수 작업 상황에 전형적인 순열 조합 최적화 문제이자 NP-Complete 문제인 TSP(Traveling Salesmen Problem)를 적용하여, 수학 모형을 수립하였다. TSP는 도시간 거리가 주어졌을 때 가상의 외판원이 최단 거리로 모든 도시를 한 번씩 방문하고 출발한 도시로 돌아오게 하는 순서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해당 모델을 EXCEL 해 찾기 기능을 통하여 시간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경로를 찾고 이를 통해 악취 발생 관로 준설작업자의 배치 소요 시간 최적화를 실현할 수 있다. 모듈의 최종 결과물은 침전물 퇴적 관로 지점 간 인력 배치에 걸리는 최적 시간과 비용으로 작업자 이동 시간에 시간당 인건비를 곱하여 작업자 배치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악취민원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하수도 악취지도 작성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해당지역의 하수관로 준설보고서에 나타난 유지관리대상관로에 작업자를 비용효과적으로 배치하는 최적화기법을 적용하여 그 사례연구 결과를 성공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중 수용자의 뉴스 미디어 신뢰도 비교 연구

        정욱(Zhang, Dingyu),류춘렬(Ryu, Choon Ryul)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0 No.3

        이 논문은 여러 수용자 속성들과 미디어 신뢰도와의 관계에 관하여 국가의 영향(한국과 중국의 차이)을 주로 Two-way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언론 전반 신뢰도에 대한 국가별 평균 차이는 없었다. 언론 전반 신뢰도에 대한 성별과 국가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으나 연령과 국가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교육 수준과 국가는 언론 전반 신뢰도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으나 정치적 성향과 국가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언론 전반 신뢰도에 대한 타인 신뢰 성향과 국가의 상호작용 효과도 없었고 매체 주-이용집단과 국가와의 상호작용 효과도 없었다. 미디어 이용동기와 국가의 상호작용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언론 전반 신뢰도에 대한 여러 수용자 속성 변인과 국가 간 상호작용 효과는 대부분 나타나지 않아서 한국과 중국의 차이는 별로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주효과에서 여러 수용자 속성 변인이 언론 전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은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서 수용자 속성 변인이 미디어 신뢰도의 예측 변인으로서 유용하다는 사실은 검증되었다. 각 국가별로 세 주요 미디어(신문, TV, 인터넷)의 신뢰도에 대하여 앞서 논의한 여러 수용자 속성 변인들의 영향도 아울러 분석되었고, 통계적 유의미 여부는 검증할 수 없었으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nationality on relationship between media credibility and relevant audience attribute variables (sex, age, education, attitude on social change, credulity for others, etc.) by using Two-way ANOVA. It surveys audiences of two nations in East Asia, China and Korea. Its results show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s of media credibility between audiences of two nations. But there are interaction effects with nationality for some audience attributes. While age and attitude on social change have interaction effects with nationality for media credibility, sex, education, and credulity for others hav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Most of the main effects of audience attribute variables on media credibilit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results of many previous studies indicated. For three major media-newspaper, TV, and internet, Korean and Chinese audiences are investigated separately for the influences of audience attribute variables on media credibility. Thus the differences between two nationalities are not examined for these extra analyses.

      • KCI등재

        후기 중세 한국어에서의 ㅸ의 음운론적 지위와 본질

        석 ( Zhang Shu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8 No.-

        선학들이 오랫동안 ㅸ에 대해 연구해 왔지만 아직까지도 ㅸ의 음운론적 지위와 관련된 논의가 진행 중이고 계속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ㅸ은 짧은 시간에 나타났다가 사라진 것으로 보아 다른 자모보다 특이하다. 따라서 ㅸ의 制字 원인을 비롯한 ㅸ의 본질에 대해 정확히 설명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두 문제를 논의하였다. 본고는 ㅸ과 관련된 음변화, 최소대립쌍, 분포, 그리고 ㅿ, ㅇ과의 비교를 통해 ㅸ의 음운론 지위를 살펴보았다. ㅸ은 수의적인 ‘ㅂ→w’ 혹은 ‘ㅂ→Ø’의 한 단계이므로 음소의 기능을 하지 못했다. 그리고 ㅸ과 다른 분절음의 진정한 최소대립쌍이 확인되기 어렵기 때문에 ㅸ은 음소가 아니었을 것이다. 또한, 분포적으로는 ㅸ과 ㅂ이 포괄적 분포를 이루고 있으므로 역시 ㅸ이 음소로 해석되기 어렵다. 한편, ㅸ의 성격과 비슷한 ㅿ, ㅇ이 음소로 해석되기 어렵기 때문에 ㅸ도 음소가 아니었을 것이다. 본고는 ㅸ의 소리 인식, 制字 원인, 그리고 ㅸ으로 고유어를 표기하는 원인을 논의하여 ㅸ의 본질을 밝혔다.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은 모두 외국어에 능통하고 SLM 이론에 따르면 일반인보다 더 많은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ㅸ의 制字 원인은 훈민정음 문자의 체계성, 외국어의 한글 표기와 관련된다. 한편, 세종은 소리보다 형태를 더 중요시하는 표기 의식을 가지고 있고 집현전 학자들은 精密的 표기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표기 의식은 ㅸ으로 고유어를 표기하는 원인이다. The scholars have long studied the phonological status of ㅸ, but discussions are still under way. And since ㅸ appeared and disappeared in a short time, it is more unusual than other let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explain the essence of ㅸ. These two issue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ㅸ was a step in the numerical ‘ㅂ→w’ or ‘ㅂ→Ø’ in Korean of the 15th century. So ㅸ did not function as a phoneme.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ㅸ was not a phoneme becaus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Minimal Pair of ㅸ and other Segments. In addition, ㅸ and ㅂ are in a comprehensive distribution, so it is also difficult to interpret ㅸ as a phoneme. Meanwhile, the ㅿ and ㅇ were difficult to be interpreted as phonemes. Therefore, ㅸ would not have been a phoneme. King Sejong and the scholars are all fluent in foreign languages. According to the SLM theory, King Sejong and the scholars were able to identify more voices than ordinary people. In addition, ㅸ is a letter made for the systematicness of Hunminjeongeum consonants, and for the use of foreign languages. This is the cause of ㅸ’s creation. And King Sejong has a notation consciousness that places more emphasis on form than sound and the scholars have a strong tendency to narrow transcription. This is the reason why ㅸ is used to mark the Native Korean.

      • KCI등재

        중국 BIT상 최혜국대우조항의 투자자-국가 간 분쟁해결절차에 적용에 관한 연구

        ,하현수,Zhang, Man,Ha, Hyun-Soo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9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10 No.1

        This paper examines th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clause on the BITs concluded by China and examines the attitudes of China on the application of th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clause to the ISDs by period as the scope of arbitration increases. Moreover, this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s that would be exposed if th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clause applies to ISDs and then also suggested solut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f the Chinese government strictly restricts the applicable expansion of th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clause to th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by considering only the position of the capital importing country, it implies a contradiction against the development trend of the arbitration system related to international investment disputes. Of course, in order to protect the rights of Chinese investors investing abroad, expand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clause to the ISDs procedure unconditionally may have a negative impact under China's dual status of being a capital-importing country and a capital-exporting country. Therefore, China should clearly defin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clause, the completion of the local remedy for the host country in cases of BIT to be concluded in the future or amended, and also clearly define that th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clause should not be retroactively applied into BITs already concluded as an exception of applicability of th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 KCI우수등재

        왕슈(王澍) 건축에 나타난 중국 전통 서예와 산수화의 특징에 대한 연구 - 전통 서예와 산수화의 공간 조성 기법을 중심으로 -

        명월(Zhang, Ming-Yue),조항만(Zo, HangMan)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6 No.4

        The Chinese Architect Wangshu, who won 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at 2012, is the first and only winner in China.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his unique architectural ideas. Especially with a high interest in Chinese traditional calligraphy and landscape painting, Wangshu tried to use its traditional features to form his own architectural way. First this study looked at the features of calligraphy and landscape painting. Second this research studied the expression of Wangshu’s architectural practice in calligraphy’s way. Lastly this study furthered study of Wangshu’s architecture combined with landscape paintings’ features. The results state these following. 1) For calligraphy, he used the “modular composition” of Chinese characters to architectural composition, which included architectural form and materials. The “similarities” and “space creation” of calligraphy are respectively applied to architectural spatial details and site planning. 2) For landscape painting, Wangshu borrows its elements to compose his architecture with “gardening consciousness”. The “view method” of paintings was used to his architectural pedestrian flows, and Wangshu also based on the “space creation” of landscape painting to do architectural space design with creating the similar atmosp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