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주자학과 전쟁 - 임진왜란을 맞은 서애 류성룡의 사상적 변화

        최진덕 ( Choi Jin-duk ) 서애학회 2023 서애연구 Vol.8 No.-

        Zhu Xi’s Learning was of little use in the wake of war. When the Southern Song (1127-1279) was invaded by the Jurchen Jin, Zhu Xi (1130-1200) spoke only of cultivating the mind and resisting aliens without considering how to strengthen the military. Zhu Xi only emphasized the primacy of the mind as the ultimate solution in times of both war and peace. The followers of Zhu Xi in Joseon Korea repeated what Zhu Xi said as to the primacy of the mind. Yulgok Yi Yi (李珥, 1536-1584) was one of those Zhu Xi’s followers. Ryu Seong-ryong, too, was not much different from Yi Yi. However, in the wake of the Imjin War, he was transformed into a military expert, economic specialist and diplomatic strategist. As a war- time premier, Ryu Seong-ryong proved to be an excellent soldier like Yi Sunsin (李舜臣, 1545-1598). Rather than engage in the lofty ideals of heavenly principle or Confucian ethics, he paid heed to the humanly desires of the people and designed various wartime policies based on the conditions of time, which were beyond the scope of ordinary followers of Zhu Xi. The metamorphosis of Ryu Seong-ryong was indeed revolutionary although he seems never to have been conscious of his internal transformation. Because of the urgency of the war, other Neo-Confucian scholars could not notice the revolutionary transformation of Ryu‘s thought; even if they did, they could not take issue with his radical change. At least during the wartime, the revolution of Ryu‘s thought could take place without much resistance from others. However, when the war was over, Yi Sunsin died and Ryu was dismissed from office. After the war Joseon scholars became all the more obsessed with Zhu Xi’s learning. The Imjin war put a temporary stop to Zhu Xi’s learning in Joseon, which should be considered the most significant intellectual meanings of the war itself. We can only conjecture why Ryu underwent a fundamental intellectual revolution and why became the hero of the Imjin War. He felt an insurmountable sense of guilt over the collapse of the state and the sufferings of the people, and devoted his life to the cause of overcoming the challenges of war. He selflessly committed to the cause of overcoming the challenges of war with his ailing body. It was his way of steeling his mind in response to the actual events of life. In the realities of history, the path of the great man (dazhangfu 大丈夫) is meant to be full of tragic sufferings.

      • KCI등재

        『맹자』에 대한 두 해석: 『맹자집주(孟子集注)』와 『맹자요의(孟子要義)』

        최진덕 ( Jin Duk Choi ) 다산학술문화재단 2006 다산학 Vol.- No.8

        다산은 주자학을 박멸하지 않고는 조선조의 혁신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다산은 주자학의 이학적理學的 자연주의自然主義가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 이원론二元論과 도덕적道德的 이원론二元論을 보여주지 못함으로써 인간을 자연에 매몰시키고 선악의 구별마저 흐릿하게 했다고 비판한다. 주자학에 대한 다산의 비판은 정곡을 찌르고 있다. 다산의 사서학四書學도 역시 주자학의 경학적經學的 보루堡壘을 초토화시키기 위한 전략에서 비롯된다. 다산의 사서학은 자연세계 즉 마음의 내면세계에 매몰된 주자학의 인간을 구제하여 외적인 행사行事의 능동적 주체主體로 정립시키기 위해 형이상학적 이원론과 도덕적 이원론을 도입하는가 하면 은밀히 순자의 성악설性惡說에 따라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을 새롭게 해석한다. 하지만 사서四書는 원래 인간주의적인 다산의 실학實學보다는 자연주의적인 주자의 이학理學에 더 적합한 경서들이고, 사서四書 중에서도 특히 『맹자』는 다산의 실학적 인간주의人間主義와는 거의 정반대에 가까운 편이다. 성선性善과 효제孝弟와 왕정王政에 관한 『맹자』의 세 담론은 모두 무위자연無爲自然이 곧 도덕적 선善이라 여기는 자연도덕주의自然道德主義에 의거하고 있다. 『맹자』의 자연도덕주의는 송명이학宋明理學의 이학적 자연주의와 다르지 않기 때문에 주자의 『맹자집주孟子集注』는 『맹자』의 본의를 잘 살린 주석서일 수밖에 없다. 반면 다산의 『맹자요의孟子要義』는 주자학의 이학적 자연주의를 비판하는 데는 성공적이라 할 수 있지만 『맹자』에 대한 주석서로서는 『맹자집주』에 미치지 못하는 실패작일 수밖에 없다. 본고는 『맹자집주』와의 대비 속에서 『맹자요의』가 『맹자』를 무리하게 해석하는 모습을 가급적 자세하게 보여주고자 한다. 이는 다산을 평가절하하기 위한 노력이 아니라, 자기 시대를 누구보다 깊이 염려하던 경세가經世家 다산의 경학經學과 그의 다급한 마음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고, 또한 오늘날 우리 자신의 사유의 폭을 넓히고 그 깊이를 더하기 위한 노력이다. Tasan believed that without destroying Zhu Xi(1130~1200)`s Learning it was impossible to renovate Chosun-dynasty. Tasan`s classical studies of Four Books四書 was one of his strategies to destroy Zhu Xi`s Learning. Four Books are the Neo-Confucian classics on the basis of which the legitimacy of Zhu Xi`s Learning is established. The general tendency of Four Books, especially The Mean and Mencius, to find the ground of the moral goodness in the natural order of Heaven and Earth and to praise the tranquility of man`s mind and his spontaneous action according to the natural order was the very philosophical belief of Neo-Confucianism including Zhu Xi`s Learning. The so-called nature-moralism that the natural is the moral good while the artificial is the beginning of the moral bad was the main target of Tasan`s assault on Zhu Xi`s Learning. Tasan`s hermeneutic principle in his studies of Four Books was the modern-oriented humanism to establish man as the moral and political subject and to advocate man`s activity against the given natural and social condition. The humanistic tendency of Tasan`s Learning was diametrically opposed to the naturalistic tendency of Four Books, especially Mencius famous for the doctrine of natural goodness of man. It is no wonder that Tasan`s The Essential Meaning of Mencius孟子要義 could not be successful. In fact Tasan`s scholarly endeavor to get rid Mencius of the nature-moralism was resulted in the getting rid it of its "Essential Meaning." Here we can see that Tasan`s prophetic will to renovate his nation overwhelmed the scholarly attitude demanded in studying and annotating the Confucian classic.

      • KCI등재

        다산학의 上帝鬼神論과 그 인간학적 의미

        최진덕(Choi, Jin-Du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3 No.-

        다산학은 도덕적ㆍ정치적 지향의 인간주의적 유학임에도 불구하고 유학과는 양립하기 힘든 종교신학적 상제귀신론을 전면에 내세운다. 종교적ㆍ철학적 관심 때문은 아닌 것 같다. 그러면 무엇 때문일까. 다산학이 자연주의적 유학인 주자학의 안티테제라는 점을 고려하면 실마리가 풀릴 수 있다. 다산학의 상제귀신론은 애당초 자연이 곧 선이라 믿는 주자학의 자연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장치가 아닐까. 다시 말해 다산학의 상제귀신론은, 자연세계 너머 초자연적 정신의 지평을 열어젖힘으로써 인간을 자연필연성으로부터 해방시키고, 그를 자유로운 사유주체ㆍ도덕주체ㆍ정치주체로 우뚝 세운 다음, 그로 하여금 가족ㆍ사회ㆍ국가 속에서 능동적 작위를 통해 선을 만들어내도록 하기 위해, 서학에서 찾아낸 궁여지책일지 모른다. 이런 추측을 뒷받침하기 위해 다산학의 일신론적 상제귀신론 및 이원론적 형이상학을 주자학의 범신론적이고 일원론적인 음양귀신론과 비교해본다. Tasan is a very pragmatic and active Confucian scholar who cannot believe in the existence of God and life after death. But he introduces Christian theology and dualistic metaphysics in his interpretations of Confucian classics. It is of course certain that he does not want to become a Christian or a philosopher. Then what are his theology and metaphysics? The fact that Tasan’s learning is the antithesis of Chu Hsi’s learning is, I think, the key to solve the problem. Whereas Chu Hsi’s learning, like Taoism, has a naturalistic tendency, Tasan’s learning, like Legalism, has a humanistic tendency. In Chu Hsi’s naturalism, where even guishen is no more than yinyang in this changing world, humans must be immerged in the no-action of naturalness, so that no subject of human activity, moral or political, cannot be allowed for. Tasan’s theology and metaphysics are designed to break through Chu Hsi’s naturalism, to open the supernatural dimension, and to establish humans as moral or political subjects beyond the natural dimension.

      • KCI등재

        朱子學의 理氣論과 鬼神論

        최진덕(Choi Jin-duk) 한국양명학회 2009 陽明學 Vol.0 No.23

        유학의 본령은 삶의 세계이다. 상제례도 삶의 세계에서 산 자들이 행하는 것이다. 유학에서 죽음의 세계는 그만큼 멀리 있다. 하지만 주희는 죽음의 세계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귀신론이 그것이다. 그의 귀신론은 이기론 가운데 기론 즉 음양론과 일치하므로 실은 이기론의 하위담론이다. 易의 세계의 모든 현상이 다 귀신이라는 그의 귀신론은 무신론도 아니고 유신론도 아닌, 고대적 애니미즘을 역의 세계 전체로 일반화시킨 일종의 범신론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의 귀신론이 무신론이고, 그래서 제사론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설은 재고되어야 한다. 문제는 다른 데 있다. 모든 현상이 다 귀신이고 다 하나의 理라면 제사는 불필요해진다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Confucianism is so concerned with the ethical activities in the world of living that it almost pays no attention to the world of death. But Chu Hsi leaves lots of discourses on guishin, the core of which is that all the phenomena of this world is guishin as the phenomena of the other world, because guishin is no other than yinyang. Whereas some scholars maintaining that Chu Hsi’s thesis is atheism unsuitable for the ancestor worship, I think that it is a kind of pantheism rooted in the primitive animistic thought. According to Chu Hsi’s pantheism all living man as the subject of sacrifice is guishin like his ancestors as the objects of sacrifice, and ontologically speaking they all have the same li in common so that they all are originally one and the same. The problem in Chu Hsi’s dicourses on liqi and guishin is not that his atheism is not coincided with Confucian sacrificial practice but that his pantheism makes all the sacrifices of Confucianism unnecessary.

      • KCI등재

        주자학 속에 숨은 양명학: 노수신의 주자학과 그의 인심도심 해석

        최진덕 ( Choi Jin Duk ) 한국사상사학회 2015 韓國思想史學 Vol.0 No.51

        노수신은 16세기 당시부터 양명학을 한다고 비판받아 왔다. 오늘날에도 신향림은 그를 “최초의 양명학자”로 지목한다. 하지만 노수신의 산문은 매우 주자학적이다. 그의 시에서 간혹 양명학적 소신이 드러날뿐이다. 간혹 보이는 그의 양명학은 그의 주자학과 모순이라 보기 어렵다.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이에는 “이는 하나(理一)”라는 진리가 있다. 이 진리는 왕양명의 만물일체설과 다르지 않다.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은 곳에 양명학이 숨어있다. 그러므로 모든 주자학자는 잠재적으로 양명학자일 수 있다. 노수신은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이에 침잠함으로써 양명학과 만난다. 그의 『인심도심변』은 주희의 인심도심 해석이 주자학적 본체론과 공부론의 체와 용을 겸비하지 못하고 용의 차원에 그치고 있음을 안타깝게 여겨 16자 전심결을 주자학적으로 완전하게 해석한다. 『중용장구서』 에서의 주희의 인심도심 해석보다 더 주자학적인 노수신의 인심도심 해석은 나정암의 그것과 흡사하다. 그런데 노수신은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이에서 하나(一)과 무(無)를 말하면서 양명학과 만나는 반면, 나정암은 하나와 무를 말하지 않으면서 양명학과는 반대 방향으로 나아간다. 하지만 노수신은 양명학을 하더라도 극단으로 가지는 않는다. 그에겐 강렬한 깨달음의 체험도 없고 광자기상도없다. 주자학과 양명학은 근본적으로 연속적이지만 주자학이 권력화되던 시절에 양명학적 소신을 피력하기란 쉽지 않기도 했다. Noh Susin(盧守愼, 1515-1590) had been accused of his inclination to Yangming``s Learnning by the fundamentalist scholars of Chuhsi``s Learning in Chosun Dynasty. However, in his proses discussing the themes of Chuhsi``s Learning, we cannot find out any evidence that he was a scholar of Yangming``s Learning as opposed to Chuhsi``s Learning. On the contrary he seems to be faithful to the authenticity of Chuhsi``s Learning more than any other scholar of Chuhsi``s Learning. Only in his poems we can find out some phrases showing his inclination to Yangming``s Learning. Is there any discontinuity between Chuhsi``s Learning in his proses and Yangming``s Learning in his poems? At first we must know that Yangming``s Learning has the same theory of ontology as Chuhsi``s Learning, and that Yangming``s Learning is different from Chuhsi``s Learning only in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According to the ontology of Chuhsi``s Learning, all different things in this changing world are flowing into one thing whil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his oneness of all things is the ontological depth of Chuhsi``s Learning, but Chuhsi``s Learning cannot provide any efficient method of self-cultivation to arrive at the ontological depth and to become a sage. The sudden enlightenment theory of self-cultivation proposed by Wang Yangming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moral and intellectual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Chuhsi``s Learning. We can say that the ontological depth of Chuhsi``s learning calls for Yangming``s Learning. The inclination to Yangming``s Learning of Noh Susin seemed to be due to his experience of the ontological depth of Chuhsi``s Learning, which was the result of his arduous study of Chuhsi``s Learning. He became inclined to Yangming``s Learning because he was faithful to Chuhsi``s Learning. Also his new interpretation of Men``s mind and Tao``s mind was to revive the ontological depth of Chuhsi``s Learning omitted in the interpretation of Chuhsi himself which considers the two minds as the two desires of the psychological level.

      • KCI등재

        주자의 중화신설과 경의 공부론

        최진덕(Jin Duk Choi) 철학연구회 2000 哲學硏究 Vol.51 No.-

        주자 본체론의 중심이 理라면, 그 공부론의 중심은 敬이다. 본체론과 공부론은 상응하며, 더 중요한 것은 공부론이다. 주자는 40세에 主靜的 도남학과 主動的 호상학을 종합해서 動과 靜, 已發과 未發을 아우르는 본체론 및 공부론을 건립한다. 이때 敬은 이발시 공부와 미발시 공부를 일관하는 공부방법으로 계시된다. 敬공부는 양자의 공부를 포괄하지만 그 중심은 미발시 함양공부에 있다. 주자는 미발시 함양공부의 기초를 禮에 따라 몸을 규율하는 小學공부로 보고, 整齋嚴肅을 강조한다. 敬공부는 무엇보다도 먼저 엄숙한 자세의 유지이다. 엄숙한 자세를 통해 인간이 動과 靜의 극단으로 치우치는 것을 막고 인륜적 질서의 기초 위에 인식과 실천의 공부를 자리잡게 하는 것이 敬의 공부론이 지향하는 바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